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1356년 공민왕 反元政治 再論

        이익주(Lee, Ik Joo) 역사학회 2015 역사학보 Vol.0 No.225

        There have been voluminous researches on history of Goryeo-Mongol relationship in the past decade. And the existing research outcomes have been followed by critiques. A most representative case is Gongmin King"s anti-Yuan policy in 1356. The rebuttals are mainly arguing that anti-Yuan factors can hardly be found in Gongmin King"s reform in 1356 and therefore it does not deserve an appreciation as a successful anti-Yuan reaction. Their grounds include: part of pro-Yuan group was participating in Gongmin King"s reform, so that the reform could not completely remove pro-Yuan group as a result, and also it could not fundamentally change Goryeo-Mongol relationship. However, these arguments mostly lack of validity in terms of applying the standard of "anti-Yuan". This is because either removing anti-Yuan party completely or bringing a fundamental change in the relationship was impossible. Moreover, among those rebuttals, some did not even fully understand the original explanation or supported themselves with materials which were not proven from historical fact. In this paper I analyze the letter which sent to Yuan in October 1356 to reveal that Goryeo"s anti-Yuan policy was not for restoring Sejoguje but instead for breaking it and building a new relationship as a form of appointment-tribute. Meanwhile Goryeo sustained appointment-tribute relationship with Yuan, and I evaluated it as the best and the most feasible anti-Yuan policy for Goryeo to choose at that time.

      • KCI우수등재
      • KCI등재

        1219년(고종(高宗) 6) 고려-몽골 "兄弟盟約(형제맹약)" 再論(재론)

        이익주 ( Ik Joo Lee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6 동방학지 Vol.175 No.-

        1219년 고려는 몽골과 ‘兄弟盟約’을 맺었다. 이것이 13ㆍ14세기의 200년에 걸친 고려-몽골 관계의 시작이었다. 따라서 형제맹약에 대한 연구는 고려-몽골 관계사의 첫 출발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연구가 당시 고려-몽골 관계에서 고려의 입장을 제대로 드러내지 못하고 있고, 최근에는 형제맹약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견해가 제시되어 재론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고려와 몽골 사이에 형제맹약이 체결되었음 은 1218년 12월부터 1219년 1월 사이에 양국 간 에 오간 문서로부터 분명히 확인된다. 그 내용은 고려가 몽골과의 상하 관계를 인정하고 稱臣上 表하면서 공물을 납부하는 것이었다. 고려 국왕 의 親朝는 고려에서 거부함으로써 형제맹약의 조건에 포함되지 않았다. 이 조건에 따라 1219년부터 몽골 사신이 고려에 와서 공물을 수령해 갔는데, 그 과정에서 공물의 종류와 양, 납부 회수 등을 둘러싸고 양국 간에 마찰이 계속되었다. 하지만 몽골에서 국왕의 친조를 추가로 요구하지 않았는데, 이로부터 형제맹약의 조건에 친조가 포함되지 않았음을 재확인할 수 있다. 고려-몽골 관계사 연구에서 몽골의 정책이 고려에 그대로 적용되었다고 보는 것은 위험하다. 몽골의 일관된 정책이 있었는지도 의문이지만, 고려-몽골 관계는 양국의 상호 작용 속에서 개별적으로 성립하였을 것이므로 몽골의 요구에 대한 고려의 대응을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The brotherly alliance of Goryeo and Mongolia sealed in January 1219marked the beginning of the Goryeo-Mongol relationship, which spanned the 13th and 14th centuries. It has deserved and actually drawn academic attention ever since Byung-ik Go’s contribution in 1969. However, studies have failed to represent Goryeo’s side of the relationship and have sometimes been compromised by counterarguments questioning the brotherly alliance itself, bringing about a need for re-discussions. The existence of a brotherly alliance between Goryeo and Mongolia from December 1218 to January 1219 is clearly shown in documents exchanged by the Goryeo and Mongolian military camps led by Khachi’un and Jala. These documents state that Goryeo admitted Ching-shin-sang-pyo(稱臣上表, calling itself a vassal) against Mongolia and accepted to pay it tributes. As Mongolia failed to include Chin-jo(親朝, whereby the king visits and greets an emperor in person) due to Goryeo``s rejection, Mongolian ambassadors ended up traveling to Goryeo in order to collect tributes from 1219 onwards, despite continuous disagreements on the frequency and volume of the tributes. No additional demands for Chin-jo were made afterwards, suggesting that brotherly alliances did not necessarily include that condi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인간의 노동과 영화적 자연풍경의 미학적 의미: 로버트 플레허티 『아란의 사람』, 신도 가네토 『벗겨진 섬』, 테렌스 맬릭 『천국의 나날들』을 중심으로

        이익주 ( Lee Ik Joo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4

        본 연구는 노동의 문제를 통해 자연 풍경이 어떻게 새롭게 정의될 수 있는지 영화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 분석이다. 자연풍경은 단지 자연의 아름다움에 대한 문제가 아니다. 특히, 노동이 자연풍경과 결부되어질 때, 자연풍경의 문제는 정치적인 담론의 경향성을 띄게 된다. 자연에서 일하는 노동자에게 자연풍경은 찾기 어렵다. 왜냐하면, 적당한 거리에서 자연을 향유할 수 있는 지배계급에 비해, 그 거리가 존재하지 않는 노동자 계급에게 자연을 향유할 수 있는 조건은 박탈되어 지기 때문이다. 랑시에르에 따르면, 미학은 감성학으로서, 예술작품을 통해 세계에 대한 감각적인 것을 모든 계층에 돌려줄수 있는 사회적 나눔이라는 정치의 문제로서 등장한다. 이런 면에서, 노동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영화 예술 안에서 자연풍경을 노동과 함께 연관 지어 미학적으로 사유할 때 노동과 자연풍경의 의미는 새로운 차원의 감각을 우리에게 부여한다. 자연풍경안에서 인간의 노동을 보여주는 로버트 플레허티(Robert Flaherty)의 『아란의 사람』(Man of Aran, 1934), 신도 가네토(新藤兼人)의 『벗겨진 섬』(裸の島, 1960), 테렌스 맬릭의 『천국의 나날들』(Days of Heaven, 1976)은 단지 자연의 이미지와 인간의 노동의 재현이 아니라 인간의 노동에서 대해서 미학의 정치를 생각할 수 있도록 이끈다. 특히, 신도 가네토의 영화는 노동자의 침묵 속에서 인간의 노동의 문제를 청각적 풍경까지 연결시키면서, 몫 없는자로서의 노동자의 말이 어떻게 드러날 것인지 까지 사유하고 있다 This study is about how meaning of landscape can be redefined in connection with problem of labour in cinematic images. Landscape does not just concern the beauty of Nature. Particularly, if landscape is related to human labour, it becomes problem of political discourse. It is not easy to find landscape for a labourer who has to work in nature. Compared with the governing classes who can enjoy landscape within moderate distance from nature, the working class is deprived of the condition of enjoyment about landscape because of the absence of its distance. According to Ranciere, aesthetics is about problem of sense and it appears as a problem of politics which is that of social distribution in order to give the sensible back to all classes through works of art. In this way, when we aesthetically consider the films of human labour within landscape, they give us a new sense of landscape and human labour. 『Man of Aran』(1934) of Robert Flaherty, 『Naked Island』 (1960) of Shindo Kaneto, 『Days of Heaven』(1976) of Terrence Malick give a new perspective of human labour as politics of aesthetics. Especially, the film of Shindo Kaneto is concerned how to express in their silence in the face of ``auditive landscape`` of Nature the word of labourers who are those without a share.

      • KCI등재

        『牧隱詩藁』를 통해 본 고려 말 李穡의 일상 : 1379년(우왕 5)의 사례

        이익주(Lee Ik-joo) 고려사학회 2008 한국사학보 Vol.- No.32

        이색(1328~1396)의 문집인 『牧隱集』(『牧隱詩藁』와 『牧隱文藁』)은 지금 까지 남아 있는 고려시대의 문집 중 분량이 가장 많다. 그런 만큼 역사 연구에서 좋은 자료가 되지만, 문집의 시문들은 일반 史書와 그 활용 방법을 달리해야만 한다. 사서가 저술된 시점에서 저자의 인식을 종합적으로 보여 주는 데 비하여, 문집의 시문들은 긴 시간에 걸쳐 지어졌을 뿐 아니라, 그때그때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집의 시문들을 사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작품 연보를 만들어 각 작품이 지어진 시점을 밝혀야 한다. 그리고 시문들은 정치사, 사상사 등에 대한 거시적인 연구보다는 일상사에 대한 미시적 연구에 더 좋은 자료가 된다. 이 논문은 『목은시고』의 시문 가운데 1379년에 지어진 981題의 시를 이용하여 그 한 해 동안 이색의 일상을 복원하고자 한 것이다. 우선, 相避親을 기준으로 하여 兩側的 親屬 범위의 친족들을 가족재구성[Family Reconstruction]의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1379년 당시 이색의 本族과 外族은 물론, 妻族도 그다지 번성한 편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고 1379년 한 해 동안 이색의 정치 활동을 조사하여, 그가 1371년 이후 관직에 나가지 않고 있었을 뿐 아니라 정치활동을 활발하게 하지 않았으며, 1379년 10월에 복직되었지만 몇 개월 만에 다시 물러났음을 밝혔다. 이것이 곧 당시 이색의 정치 · 사회적 위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1379년에 이색은 52세의 노인이었고, 부인 권씨와 장남 이종덕 부부, 그리고 어린 손자들과 함께 개경 묘각동의 집에서 살았다. 관직에서 물러나 있었지만, 韓山君으로서 녹봉을 지급받았으며, 고향인 한산과 면주에 있는 토지, 1363년에 지급받은 공신전, 부인 권씨의 재산 등으로 생활하였다. 특히 1378년에는 여주 천녕현의 토지를 사전으로 지급받았고, 그밖에 다른 사람들에게 글을 지어주고 받은 사례금이 이 시기 이색의 주요한 수입원이었다. 이색의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시를 짓는 일이었다. 그밖에 집안일로는 각종 제사에 참석하는 일이 중요했는데, 1379년 한 해 동안 어머니와 처부, 처조부, 처조모, 처외조모의 기재에 참석하였다. 주로 처가의 제사에 참석했고, 본가와 외가의 제사에 대한 언급이 없는 점이 주목되었다. 마지막으로, 1379년 한 해 동안 이색의 교유관계를 조사하였다. 이색과 어울린 사람은 약 100명 정도였는데, 그 가운데는 과거에 급제한 新興儒臣들이 가장 많았고, 그밖에도 고위 관료나 耆老들과도 폭넓게 왕래하였다. 승려들과도 왕래가 잦았는데, 그 가운데 상당수는 글 값을 매개로 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무학 자초의 정치 활동에 대한 재검토 - 한양 천도에서의 역할을 중심으로 -

        이익주(Lee, Ik Joo)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21 서울학연구 Vol.- No.85

        조선 건국 후 한양을 수도로 정하는 과정에서 무학대사, 즉 자초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알려져 있지만 그것은 근거 없는 이야기이며, 실제로는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것이다. 이 논문은 1410년에 작성된 「무학대사비문」을 비롯해서 『고려사』와 『태조실록』, 『태종실록』 등 자초 당대의 자료에 근거해서 고려 말부터 조선 초까지 그의 행적을 면밀하게 조사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조선 초 한양 천도 과정에서 자초의 역할이 그다지 크지 않았음을 밝혔다. 자초의 활동은 조선 초에 집중되며, 고려 말에는 두드러진 활동을 보이지 않았다. 특기할 것은 1353년(공민왕 2) 가을부터 1356년 여름까지 약 3년 동안 원에서 유학했고, 그곳에서 지공과 나옹 혜근을 사사했다는 점이다. 하지만 고려로 돌아와서는 불교계는 물론이고 세속의 정치에서도 눈에 띄는 활동을 하지 않았고, 대선사로서 청계사 주지를 지낸 것과 고려 말년에 공양왕이 인견했다는 것 정도가 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는 활동이다. 그랬기 때문에 「무학대사비문」에서는 고려말의 행적 거의 전부를 혜근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서술하고, 자초가 세상에 나오기를 꺼렸다는 변명을 하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자초의 정치 활동은 조선 건국 직후인 1392년 10월에 태조의 부름을 받고 상경해서 왕사가 되면서 시작되었다. 태조가 자초를 왕사에 책봉한 것은 불교신자로서의 개인적인 존경심 외에 천도와 연복사탑 중창에서 자문이 필요했기 때문이었다. 특히, 천도 문제에서는 풍수와 관련된 자문을 필요로 했고, 그 때문에 천도후보지에 갈 때마다 동행하도록 했으며, 따로 의견을 물었다. 하지만 자초의 대답은 ‘잘 모르겠다’거나, ‘나쁘지 않으나 여러 사람의 의견을 따르라’는 정도였고, 적극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말하지 않았다. 따라서 기록에 근거한다면, 자초가 한양 천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천도 논의의 정황을 살펴보아도 자초가 중요한 역할을 하기 어려웠음을 알 수 있다. 먼저, 태조가 천도를 결심한 것은 자초가 왕사가 되기 전의 일이었고, 천도 후보지인 계룡산과 무악은 각각 권중화와 하륜이 추천했고 한양은 무악에서 돌아가는 길에 우연히 후보지로 거론되었다. 따라서 이 과정에 자초가 끼어들 여지가 없었다. 또 한양은 풍수상으로 결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토의 중앙에 있다는 이유로 새 수도가 되었고, 한양이 수도로 결정되는 시점에서는 정도전에 의해 풍수의 효용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었다. 따라서 태조와의 개인적인 관계를 통해 풍수 지식을 바탕으로 천도 문제에 자문하는 자초의 역할은 한정되지 않을 수 없었다. 자초에 대한 기록은 한 가지 중요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자초가 활동했던 조선 초기의 『태조실록』과 『태종실록』에 그의 이름이 간간이 보이지만, 이후 약 200년의 공백기를 거친 뒤 조선 후기의 『선조실록』부터 다시 이름이 등장한다는 점이다. 그뿐 아니라 조선 초기 실록에는 없던, 자초가 한양 천도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이야기가 새로 나타난다. 실록뿐 아니라 조선 후기에 편찬된 『오산설림』, 『약천집』, 『연려실기술』, 『임하필기』 등에도 자초의 활동을 강조하는 내용이 실려 있지만, 이 책들은 모두 설화집 또는 야사류로서 믿을 만한 자료가 아니다. 이러한 현상은 자초에 대한 이야기가 조선 후기에 새로 만들어졌을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한다. 따라서 조선 초 한양 천도 과정에서 자초의 역할에 대한 연구는 철저하게 후대 자료를 배제하고 그가 살아있던 시기의 당대 자료를 이용해서 수행해야 한다. It is typically known that Buddhist master Muhak(無學大師), namely Jacho(自超), did an important role in relocating the capital to Hanyang after the founding of Joseon. However, this is groundless: it was actually fictionalized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This paper extensively analyzes his deeds from late Goryeo to early Joseon across contemporary documents including ‘Muhak’s epitaph’ written in 1410, ‘Goryoesa’, ‘Taejosillok’, ‘Taejongsillok’ and concludes that his role was not significant. Jacho’s achievements are mainly found in early Joseon, but he was not particularly active in late Goryeo. He studied in Yuan for nearly three years(1353~1356) under Jigong(指空) and Naong Hyegeun(懶翁惠勤). After returning to Goryeo, he rarely stood out either as a Buddhist monk or a politician. Instead, it is merely found in documents that he served as Daeseonsa(大禪師) and a chief monk at Cheonggye Temple and that King Gongyang brought him in his late years. Because of this, it is presumed that Muhak’s epitaph explains his deeds mostly based on his relationship with Hyegeon, providing an excuse for his political inactivity. Jacho began his political activities as he became Wangsa(王師) by Taejo in 1392, right after the founding of Joseon. Taejo hired him not only for religious reasons but mainly because he needed geomantic advice for relocating the capital city. Whenever Taejo showed him around the candidate locations and asked for his opinion, Jacho would answer, ‘Well’, or ‘Not bad, but please listen to many other people as well’, far from being aggressive. Therefore, based on the records, it is hard to conclude that Jacho’s role was significant in moving the capital. It is also true in terms of the whole context of the discussion on the movement. First, it was even before Jacho became Wangsa that Taejo decided to move the capital. Second, its two candidates Gyeryrongsan(鷄龍山) and Muak(毋岳) were suggested by Gwon Joonghwa and Ha Ryun, respectively. It was only a coincidence that Hanyang became another candidate on the way from Muak. Accordingly, there was no room for Jacho’s interference here. Moreover, because of its central location in the territory, Hanyang was determined as the new capital despite its geomantic insufficiency. At that time, a doubt against the plausibility of geomantic theory was raised by Jeong Dojeon. Overall, Jacho’s influence on the capital relocation based on his relationship with Taejo and geomantic knowledge had to be limited. There is one notable point about the records on Jacho. There is a 200-year-gap between his name showing up in ‘Taejosillok’ and ‘Taejongsillok’ and later again in ‘Seonjosillok’ in late Joseon. The latter records that Jacho did an important role in the capital relocation that was missing in the earlier documents. Other than Sillok, there are other documents edited in late Joseon that emphasize Jacho’s influence, including ‘Osanseollim(五山說林)’, ‘Yakcheonjip(藥泉集)’, ‘Yeolleosilghisul(燃藜室記述)’, and ‘Imhapilghi(林下筆記)’, but they lack credibility for being collections of folktales or anecdotes. This strongly suggests a possibility that the records overestimating Jacho’s role were invented in late Joseon. Therefore, studies on Jacho’s role in the capital relocation in early Joseon should be implemented based on the contemporary records in his era, thoroughly excluding the texts published in later years.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