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닥나무 속 식물의 엽록체 유전체 기반 InDel 마커의 개발

        이은지,김윤아,이미선,김주혁,최용규,김정성,신창섭,이이,Eun Jee Lee,Yoon A Kim,Mi Sun Lee,Ju Hyeok Kim,Young Kyu Choi,Jung Sung Kim,Chang Seob Sin,Yi Lee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36 No.4

        본 연구에서는 닥나무 속 식물에 대한 InDel 마커를 개발하였다. 전국의 닥나무 속 식물 22개체를 수집하였고, 수집한 닥나무 속 식물 중 6개체를 차세대염기서열 분석(NGS)을 실시하였다. NGS를 통하여 얻은 염기서열 정보를 기존에 발표되었던 닥나무 엽록체 서열과 비교하여 InDel 마커 후보를 선발하였다. 선발한 마커 후보를 수집된 닥나무 속 식물에 적용하여 마커의 특성 검정을 통해 총5개의 엽록체 기반 마커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InDel 마커를 22개의 유전자원에 적용한 후 군집 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5개의 그룹으로 나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마커들은 닥나무 속의 육종이나 종 판별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KCI등재

        국내 대학 디지털도서관 e-서비스의 민첩성 역량과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은지,이지연,Lee, Eun-Jee,Lee, Jee-Yeon 한국비블리아학회 2012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3 No.3

        Rapid changes in information technologies are forcing dramatic shifts in how business are conducted in various industry sectors. This pace of change is increasing all around the world.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the libraries to provide the information services with agility, which emphasizes on the prompt reaction to the changes, which are almost impossible to predict. Especially, the digital libraries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require more agility as their main mission is providing a wide range of cutting edge information for the research and education activities. In this study, the notion of 'agility' is examined 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gital library's e-service measure evaluation factors and the capability, which is defined as agility, is explored. In addition, the impact of agility in user satisfaction is analyzed. Based on these analyses, the factors to consider in managing digital librarie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are suggested. 급속한 정보환경의 변화는 여러 산업에 걸쳐 비즈니스 패러다임을 급격하게 바꾸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그 확산 속도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도서관에서도 예측 불가능한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서 신속하게 반응할 수 있는 능력인 민첩성 역량을 이용하여 정보서비스를 제공해야할 필요가 있다. 특히 원활한 연구 및 교육 활동을 돕기 위해 최신 정보와 방대한 범위의 정보 제공을 하고 있는 대학 디지털도서관에서의 민첩성 역량은 더욱 중요한 요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민첩성 역량에 대해서 살펴본 뒤 대학 디지털도서관 e-서비스 측정 평가 요인과 민첩성 요인들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또한 민첩성 역량이 이용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 디지털도서관 운영 및 경영에 있어 고려해야할 사안들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은지,김윤경,임수진,Lee, Eun Jee,Kim, Yune Kyong,Lim, Su-Jin 한국아동간호학회 2017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23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ationship among depression, school adjustment, parent-child bonding, parental control and smartphone addiction, and to identify factors which influence smart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ign was used,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183 middle school students from 3 middle school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April to May, 2017. Data were analyzed using ${\chi}^2$ 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with SPSS Ver. 21.0. Results: The mean score for smartphone addiction was 29.40. Of the adolescents, 21.3% were in the smartphone addiction risk group.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gender (OR=7.09, 95% Cl: 2.57~19.52), school life (OR=0.86, 95% Cl: 0.79~0.93), smartphone usage time (OR=1.32, 95% Cl: 1.04~1.66), and parental control (OR=4.70, 95% Cl: 1.04~21.29) were effect factors for the smartphone addiction risk group. Conclusion: Findings indicate that school satisfaction was an important factor in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Control oriented parent management of adolescents' smartphone use did not reduce the risk of smartphone addiction and may have worsen the addiction.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improve understanding of how teachers and parents will manage their adolescents' use of smartphones.

      • KCI등재

        가족구조에 따른 중년기 건강행동의 성별 차이

        이은지,전혜정,Eun Jee Lee,Hey Jung Jun 한국가족학회 2015 가족과 문화 Vol.27 No.2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중년기 가족구조와 건강행동 간의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가족구성원의 존재가 사회적 통제(social control)의 기능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분 석에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의 1차(2006년) 년도 자료가 사용되었으며, 분석 대상은 45~64세인 중년기 남성 2,530명과 여성 2,953명이다. 종속변수인 건강행동으로는 규칙적 운동여부, 흡연여부, 음주태도의 세 가지 변수가 포함되었다. 독립변수인 가족구조는 혼인상태와 생존 자녀의 유무, 막내자녀의 연령을 이용하 여 6개의 형태로 나누어 더미변수로 분석에 포함하였다. 분석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건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사회인구학적 요인들과 건강관련 변수, 사회적 특성들을 통제하였다. 자료는 Mplus 7.3을 이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고, 성별 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집단 분석(multi-group analyses)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남성과 여성 모두 음주태도와 규칙적 운동여부가 가족구조와 관계가 있다는 유의미한 증 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흡연여부는 가족구조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남성 은 배우자가 없을 경우, 여성은 자녀가 없을 경우 흡연을 할 확률이 증가하였다. 즉 중년기의 건강관련 행동들이 모두 가족구조와 관계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가족의 존재가 일부 건 강위해행위를 억제하는 사회적 통제의 효과를 가지며, 이에 대한 성차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중년기 건강관리를 위한 제도와 정책을 마련하는데 있어 개인이 속한 가족 의 구조와 성별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ocial control over marital relationships and parenthood by investig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structure in midlife and health-related behaviors and whether gender differences existed within this relationship. The first wave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conducted in 2006 was used for analysis. The experimental sample included 2,530 males and 2,953 females who were middle-aged, ranging from 45 to 64 years old. Three kinds of health-related behaviors were included as dependent variables—regular exercise, smoking, and binge drinking. The independent variable, family structure, was categorized into six groups by marital status, parenthood, and age of the youngest child and was dummy code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conditions, and social traits that were known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health-related behaviors were controlled for higher reliability of the results. Logistic regression using Mplus 7.3 was utilized, and multi-group analyses were done in order to identify gender differences.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evidence indicating that family structure was associated with regular exercise and binge drinking for both males and females. Smoking, however,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family structure; unmarried males and childless females were more likely to smoke. In other words, although family structure was not associated with all health-related behaviors, the presence of family members was found to have social control effects that restrained health-risk behaviors, and gender differences were shown to exist in the effects. The results suggested that it was necessary to consider both family structure and gender of t he middle-aged when establishing policies and plans for healthcare in midlife.

      • KCI등재

        중증질환이 중ㆍ노년기 인지기능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의 성차

        이은지(Lee Eun Jee),전혜정(Jun Hey Jung) 한국노년학회 2015 한국노년학 Vol.35 No.1

        본 연구는 중증질환자의 삶의 질과 깊은 관련이 있는 인지기능에 주목하여, 중증질환이 중ㆍ노년기 인지기능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의 1차(2006년)~4차(2012년)가 사용되었다. 분석 대상은 배우자의 중증질환 여부를 통제하기 위하여 1~4차년도 내내 혼인상태를 유지한 사람 중에서 배우자가 중증질환이 없는 45세 이상 중ㆍ노년으로 한정하였다(남성 1,834명, 여성 1,802명). 분석 대상 중, 암, 심장질환, 뇌졸중 중 한 개 이상의 질환을 1~4차년도 내내 지속적으로 보유한 경우를 '중증질환자'로, 1~4차년도 내내 위의 세 가지 중 어떠한 질병도 진단받은 적이 없는 경우를 '중증질환 미보유자'로 정의하여 독립변수로 사용하였다. 종속변수는 한국형 인지능력 측정척도(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 K-MMSE)로 측정된 인지기능 점수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Mplus 7.3을 활용하여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으로 분석하였으며 통제변수로는 연령과 교육수준이 시불변변수(time-invariant variables)로, 그리고 가구소득과 우울이 시변변수(time-variant variables)로 투입되었다. 분석 결과, 중증질환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차가 발견되었다. 구체적으로 남녀 모두 중증질환 여부는 인지기능 궤적의 초기값(intercept)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어 중증질환자의 4차년도 인지기능 수준이 중증질환 미보유자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증질환이 변화율(slope)에 미치는 영향은 여성에게서만 유의하여 여성의 경우 중증질환자는 중증질환 미보유자에 비해 시간에 따른 인지기능의 저하 속도가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증질환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에 있어서 여성이 특히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증질환자, 특히 여성 중증질환자의 인지기능 저하 예방을 위한 개입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severe diseases impact the middle and older adults' cognitive function. The four waves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was used for this study. The sample consisted of 1,834 males and 1,802 females who had maintained their marital relationship from wave 1 to wave 4 and whose spouses reported no severe diseases throughout the waves. Males and females who reported through all waves to have one or more severe diseases such as cancer, heart disease and stroke were coded 1 and who did not report any such disease were coded 0. Cognitive function was measured by the K-MMSE. Using Latent Growth Model, the data was analyzed with time-invariant (age, education) and time-variant (income, depression) control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males and females with severe diseases indicated lower levels of cognitive function at wave 4.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rajectory of cognitive function for only females with severe diseases, which suggested a higher rate of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 over time. Given th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raw up measures to minimize the negative effects of severe diseases to prevent the acceleration of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

      • 도서관 빅데이터 기반 서비스 개발 및 운영 방안 연구 -"도서관 빅데이터 분석 활용 체계 구축" 개발서비스를 중심으로-

        이은지 ( Eun Jee Lee ),김완종 ( Wan Jong Kim ),김혜선 ( Hye Sun Kim ) 한국디지틀도서관포럼 2015 디지틀 도서관 Vol.80 No.-

        스마트 기기의 발달과 함께 정보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여러 산업 전반의 비즈니스 패러다임에도 영향을 주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그 확산 속도는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새로운 정보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는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관련 학술연구와 활용사례들이 나타나고 있다. 정보 유통 및 관리의 중심기관인 도서관에서도 민첩하게 이용자의 이용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정보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도서관 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 사례를 분석하고, 현재 도서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모바일 서비스와 도서추천 관련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현황분석을 통해 빅데이터 시대에서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이용요구를 만족시키고, 국민 독서문화를 활성화시키는 도서관 빅데이터 분석 활용 서비스 개발 방향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With the development of smart devices such as smartphone, tablet PC, rapid changes in the information environment have transformed business paradigms in various industries and continue to proliferate around the world. To adapt to the new circumstances, there are various projects, research and studies. Accordingly, library which is an organization for circluation and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should provide new information services to respond users’ needs quickly in the competitive economic environments. This study aims to develop public library services based on Big data analysis which are related to “Study on Big Data Analysis and Adoption in Library”.

      • KCI등재

        중ㆍ고등학교 전환기 청소년의 학업성취도, 학교적응, 삶의 만족도 간 종단적 인과관계 연구

        이은지(Lee Eun Jee),유지혜(Yu Ji Hy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academic achievement, school adapta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third grade, and to analyze the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The longitudinal data were obtained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0 (KCYP 2010) covering a set of students from the third grade in middle school through to the third grade in high school, and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was adapted.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first, the autoregressive coefficients of academic achievement, school adaptation, and life satisfaction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means that the three variables were stable despite the passage of time. Second, there was a two-way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aptation. Academic achieve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ubsequent school adaptation, and school adapt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ubsequent academic achievement. Third, there was only on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life satisfaction. Academic achieve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ubsequent life satisfaction, but life satisfac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ubsequent academic achievement. Fourth, there was only a one-way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chool adaptation and life satisfaction. School adapta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ubsequent life satisfaction, but life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ubsequent school adaptation. 이 연구는 중ㆍ고등학교 전환기에 있는,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학교적응, 삶의 만족도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떤 양상을 보이는지, 변인 간 인과관계는 어떠한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ㆍ청소년 패널조사 2010(KCYP 2010)의 중학교 1학년 패널 자료의 3차년도(2012)부터 6차년도(2015)까지의 데이터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네 가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두 가지 결론과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청소년의 학업성취도, 학교적응, 삶의 만족도는 시간이 지나도 안정적이었으며 각 변인은 이전 시점과 이후 시점에 영향을 주고받는다. 따라서 특정 시점에 문제가 생겼을 때 즉각적으로 적극 개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청소년의 학업성취도와 학교적응 간에는 상호적인 종단적 인과관계가 있었고, 이전 시점의 학업성취도는 이후 시점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이전 시점 삶의 만족도는 다음 시점 학교적응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는 이전 시기의 학교적응이 이후 시기의 학업성취도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라고 볼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학생들의 학교적응을 돕기 위한 개별 학교 차원의 교육 및 상담적 제도 마련에 대한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

      • KCI등재

        차세대영재기업인 교육원 수료생의 고등학생 시기 발명활동 지속여부와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관계 분석

        이은지(Lee, Eun Jee)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1 창의력교육연구 Vol.21 No.3

        이 연구는 차세대영재기업인의 영재기업인 교육원 수료 이후 고등학생 시기 발명 활동 지속 여부와 창의적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를 위해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수집된 5~8기 교육 수료생 패널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N=138). 그 결과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발명 활동 지속여부는 서로 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첫째, 발명 활동 지속 상태에 따라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하위 요인에는 차이가 있었다. 고등학생 시기 발명활동을 완전히 포기한 학생들은 지속적으로 발명 활동을 하고 있거나 현재는 쉬고 있지만 향후 다시 할 의향이 있는 학생들보다 창의적 문제해결력 관련 점수가 낮았다. 둘째, 창의적 문제 해결력 및 하위 요인은 발명 활동 지속 상태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창의적 문제해결력 관련 변인이 높은 학생은 고등학생이 되어서 발명을 포기하기보다 발명 활동을 계속 유지해갈 확률이 높았고, 포기보다는 쉬는 상태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셋째, 발명 활동 지속 상태는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그 하위요인에 영향을 주었다. 포기 상태는 창의적 문제해결력 관련 모든 변인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istence of invention activities and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of gifte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Gifted Young Entrepreneurs Program. Analysis panel data demonst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the continuation of invention activitie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ccording to the continuation status of invention activities. Students who completely gave up on invention activities in high school had lower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than students who were either continuously inventing or taking a break. Second,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had an effect on the continuation status of invention activities. Students with a high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were more likely to either continue participating in inventing activities or to be in a state of rest rather than give it up completely. Third, the status of continuing an invention activity had an effect on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its sub-factors. Giving up had a negative effect on all variables related to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