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불자전 과 현대 한국어문학

        이은령 ( Eun Ryoung Lee ) 반교어문학회 2016 泮橋語文硏究 Vol.0 No.42

        파리외방전교회의 선교사들에 의해 편찬되었고, 1880년 요코하마에서 출판된 『한불자전』은 사전편찬학적 관점에서 최초의 한국어 이중어사전이다. 이 사전은 19세기 말부터 시작된 영미권 선교사들의 한국어-영어 이중어사전의 모델이 되었고 이후 한국어와 타 외국어의 이중어사전뿐만 아니라 국어사전 편찬에도 직,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프랑스어로 된 뜻풀이와 외국인에 의해 편찬된 이중어사전이라는 한계 때문에 『한불자전』은 우리말 연구에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했다. 세종 21세기 계획의 「역사 자료 말뭉치」로 구축되면서 『한불자전』은 비로소 19세기 한국어의 역사를 증언하는 자료로 탈바꿈했고, 이후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활용됐다. 본 연구에서는 『한불자전』이 현대 한국어문학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기 위해 『한불자전』을 활용한 학술논문을 분류하여 그동안 현대 한국어문학에서 『한불자전』이 소환된 양태를 분석했다. 그 결과, 우리는 『한불자전』이 19세기 한국어 어형과 의미변화를 고찰하는 실증적 자료로 쓰인 예가 가장 많았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또한, 사전 편찬 경위와 타 사전의 영향 관계에 관한 연구와 『한불자전』이 가진 문화적 함의에 대한 여러 논의를 통해 개항 전후 시대의 사회 문화적 현상을 이해하는 데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Dictionnaire Coreen-Francais (DCF) is, from the lexicographic perspective, the first Korean bilingual dictionary compiled and printed in 1880 at Yokohama by the French missionaries of the Missions Etrangeres de Paris. Since its +publication, DCF had been a lexicographic model especially for Korean-English dictionaries written by American-English missionaries and later had a direct or indirect impact on other foreign languages and Korean lexicography. However, DCF had not been widely used in Korean language studies because of its french definition. As DCF was partly built into 「Korean language history corpus」 of the 21st century Sejong Project between 1998-2007, it has been used in the various fields of the Korean studies after having been transformed into a raw corpus, that shows us how the Korean language was in 19th century. By proceeding a thematic classification of the research papers related to the DCF, this study aims to show how DCF is used in Korean literature and language studies in order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DCF to the field. As a result, we found that DCF is most frequently used as empirical data that allows to verify the lexical forms and semantic changes. Also, DCF had a substantial impact in understanding the Korean socio-cultural phenomena of the late 19th century.

      • KCI등재

        프랑스의 언어, 마그레브 언어의 사용과 전수

        이은령 ( Eun Ryoung Lee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人文論叢 Vol.35 No.-

        전 세계적으로 국가 간 경계를 넘나드는 국제 노동 이주가 일반적인 현상이 되었으나 이주민의 모어와 출신언어에 대한 권리는 정주국의 언어처럼 보장되지 못한다. 그럼에도 소통과 경제적 이유, 그리고 정체성의 문제로 언어는 부모 세대에서 자녀세대로 전승된다. 본 연구는 프랑스 사회에서 주변화 된 마그레브 이주민 언어의 사회적 위상과 전수의 양상을 살펴 다문화 사회에서 상호문화적으로 서로를 인정하며 갈등을 최소화할 방법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프랑스 국내에서 90년대 말과 2000년대 중반에 일어났던 대도시 근교 폭동 사건 등으로 이주민에 대한 인식이 악화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프랑스 사회에서 마그레브 아랍어는 타자의 언어로서 차별의 기재가 되었다. 화자 수에서 프랑스어 다음으로 규모가 큰 마그레브 아랍어는 프랑스 내에서 300년 동안 교육되어 온 언어이다. 이 과정에서 문어 표준 아랍어와 구어 지역 방언이라는 이분법은 문어 표준 아랍어를 우위의 지점에 올려놓았고 구어 지역 방언 교육을 공교육의 틀 밖으로 밀어냈다. 그럼에도 구어 지역어의 수요는 증가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프랑스의 언어이자 이주민의 언어, 그리고 마그레브 지역의 생활 언어인 마그레브 지역어의 교육과 전수를 위한 언어정책이 시급하다. 본 연구는 문어 아랍어만을 강조하는 교육은 이주민 자녀 세대에게는 허구의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다는 위험을 인식하고, 구어 아랍어의 사회적 기능과 언어적 특성에 따라 교육도 보장해야 할 필요성을 검토한다. The labor migration crossing the international boundaries became a common phenomenon, but the immigrants often do not have the language right in their resident countries. Nevertheless, languages, often considered as a symbol of the cultural identity, are transmitted to the children from their parents generation for the communication.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status of immigrants’ languages, marginalized in French society and the ways to minimize social conflict on the basis of the inter-culturality. The recognition about migrants was deteriorated due to the riots in French metropolitan banlieues occurred in the end of 1990’s and the mid-2000’s. In those circumstances, the Maghreb Arabic language, as a language of others, is the very criteria for the social differentiation. Maghreb Arabic, second language in the numbers of speakers, has been teaching in France for over than 300 years. Nevertheless, the literal Arabic has come to occupy a point of superiority in the dichotomy between colloquial dialect and literal, standard Arabic. Standard Arabic extruded the regional dialect in the public education of France, but the need for the education of the colloquial dialect rather increased. In such a situation it is imperative to design a linguistic policy for the Maghreb dialects in France. This research is aware of the risk of the education emphasizing only the literal Arabic since it may transmit a fictional cultural identity to the children of immigrants. Finally, we suggested the need for providing the language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learners’ linguistic need and social function of the Maghreb Arabic.

      • KCI등재
      • KCI등재

        유럽연합의 언어통합정책과 다중언어주의 -이주민 언어의 상호문화적 인정을 위한 정책 개선 방안 연구

        이은령 ( Eun Ryoung Lee ) 한국불어불문학회 2014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97

        Le present travail a pour objectif d`analyser les aspects et les problemes socio-linguistiques de 《l`integration linguistique》, un autre nom de la cohesion sociale au sein de l`Union Europeen. Pour ce faire, nous examinerons 1) le concept de l`integration linguistique et les instruments de l`education des langues pour les migrants adultes proposes par le Conseil de l`Europe, 2) des ecarts existant entre la politique de l`integration linguistique et l`education plurilingue pour les migrants adultes. Nous proposerons en conclusion 3) une orientation generale qui se veut amortir la tension entre la difficulte accrue des migrants et la politique linguistique de l`Europe. En vue d`aider a developper la competitivite de nouveaux citoyens de l`Europe dans le marche du travail et a les faire integrer durablement a la societe d`accueil, la politique de l`integration linguistique continue a modeler et a remodeler l`education de la langue (officielle) du pays d`accueil et propose les moyens efficaces de l`evaluation de la competence plurilingue des migrants. Cependant, dans la pratique de la politique de l`integration linguistique et de l`education plurilingue de l`Union Europeen, nous pouvons deceler quelques problemes d`ordres social et linguistique que l`on doit reexaminer. Premierement, le point de vue selon lequel la non maitrise de la langue du pays d`accueil se traduit comme une barriere de l`integration et une source de conflits dans la societe d`accueil. La maitrise de la langue du pays d`accueil est certainement utile mais elle n`est pas directement liee a l`integration sociale du migrant. Deuxiemement, une perception selon laquelle la diversite linguistique des migrants ou la diversite culturelle est aussi une source de conflits, a savoir un element qui freine la cohesion sociale. Dans ce cadre de perception, qui est, d`apres nous, une derive du monolinguisme, on ne pourra pas decouvrir les aspects positif et productif de l`hybridation qu`apportera le contact entre la langue et la culture des migrants et celles du pays de l`accueil. Finalement, par la combinaison de l`acquisition de competences linguistiques et de la cityonnete, la langue devient un outil pour l`exclusion en ecartant de l`idee originale du projet de l`integration. Et nous conclurons notre discussion par remarquer que le modele actuel du plurilinguisme de l`Union Europeenne, lorsqu`il est applique a la politique linguistique des migrants adultes, peut courir le risque de se deriver en un bilinguisme repressif centree uniquement sur la langue du pays d`accueil et ceci, au depriment de langue d`origine des migrants que l`Europe considere comme une richesse culturell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파리외방전교회의 『한불자전』(1880)과 『불한사전』(1869) 비교 연구

        이은령(Lee, Eun-Ryoung)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코기토 Vol.- No.80

        한국 최초의 한불사전인 『한불 자전(Dictionnaire Coréen-Français)』(1880)과 최초의 불한사전인 Dictionnaire Français-Coréen(『불한사전』, 1869)은 프랑스 선교사들의 한국어 학습과 번역을 목적으로 편찬되었지만, 체계적인 사전의 틀과 형식을 갖춘 한국어 사전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한불자전』은 2만 7천여 개의 표제어를 수록하고 의미정보뿐만 아니라 발음 전사, 한자어, 형태 정보가 체계적으로 제시되었으며 인쇄본의 형태로 현존하기 때문에 지속해서 활용되며 관련 연구도 잇따르고 있다. 이와는 달리 페롱의 『불한사전』은 강이연(2004)의 논문을 통해 처음으로 판본 연구와 사전의 특징이 소개되었다. 『불한사전』의 발견은 『한불자전』과 더불어 초기 프랑스 선교사에 의한 한국어 연구로서 큰 의미가 있는 것이었으나 필사본 자료를 다루기란 쉽지 않기 때문에 활용되기 어렵고 후속 연구 또한 이어지지 않고 있다. 『한불자전』과 『불한사전』은 모두 프랑스인의 한국어 학습에 그 목적을 둔 사전이지만 불한사전 은 프랑스어 표제어를 대상으로 대응되는 한국어 어휘의 의미와 용법을 설명하는 데 중점을 두었으며, 『한불자전』은 한국어 표제어와 용례가 다양하고 풍부하다는 점에서 한국어 연구자료로 가공하여 활용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프랑스어를 출발점으로 삼은 『불한사전』과 한국어를 출발점으로 삼은 『한불자전』의 다의어 구분과 용례 비교를 통해 한-불 번역용례 말뭉치로서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나아가 이 두 사전이 19세기 한국어 연구를 위한 귀중한 언어자원으로서 통합적인 한국어 역사말뭉치로 재구성되고 활용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Stanislas Féron and Félix-Clair Ridel, two French missionaries who survived the Byeong-in Persecution(1866), wrote respectively the first Korean bilingual dictionary, Dictionnaire Français-Coréen(1868∼1869? hereafter, DFC) and Dictionnaire Coréen-Français(1880, hereafter, DCF). Ridel’s DCF has been relatively well preserved in both its initial printed version(Yokohama, Levy) and the manuscripts; however, the original manuscript of Féron’s DFC was lost, and only four later manuscripts remain in France and Korea. These early bilingual dictionaries were written for the practical Korean-language education of missionaries who clandestinely pursued their religious expansion in Korea equipped with only Latin-Chinese reference works. The DCF became the lexicographical model for succeeding English-language bilingual dictionaries by J. S. Gale and H. G. Underwood, and has often been employed by linguists as the key 19th century Korean-language resource. In fact, its 27,000 entry words (a total comparable to those of modern Korean bilingual dictionaries) along with the Sino-Korean forms were collected as part of the Korean National Corpus under the 21st Century Sejong Project(1998∼2007). Whereas the DCF has been considered an important historical language resource, the DFC was not even known to Korean linguists until the publication of its photographic edition based on the manuscript of Richard(1869) in 2004. The DFC, containing 10,328 French entry words and rich examples of French-Korean translation sentence pairs, should also be exploited as a historic corpus for 19th century Korean as well as an example dictionary of that century’s French-Korean translation. Both of these dictionaries are also key resources for determining how the early French missionaries learned the Korean language and what their primary resources were as they compiled their lexicons. However, besides the obvious superficial difference in their entry-word/definition directionalities, the DCF and DFC also differ significantly in their macro and micro structures. The DFC focuses on presenting Korean lexical forms, locutions, and examples along with their usages, while the DCF explains, in French, the usages and contexts of the Korean entry words. In this sense, the two dictionaries are complementary, and indeed, both are necessary to the study of the Korean language of the 19th century. Therefore, in this study we had two objectives : 1) to compare the macro and micro structures of DFC and DCF, based on the first versions of their metadata, and 2)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onstructing an intelligent and augmentable knowledge base of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along with a parallel Korean/French translation corpus.

      • KCI등재

        한국어 동사의 어휘의미망 구축을 위한 중립동사의 의미분할

        이은령 ( Eun Ryoung Lee ),윤애선 ( Ae Sun Yoon ) 한국언어정보학회 2005 언어와 정보 Vol.9 No.2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word sense distinction of Korean middle verbs for restructuring KorLexVerb 1.0. Despite the duality of its meaning and syntactic structure, the word senses of middle verb are not clearly distinguished in current dictionaries. The underspecification causes very often mismatches that a same Korean word sense is used for two different English verb senses. A close examination on the syntactic and semantic properties of middle verb shows us that the word sense distinction and the reconstruction of hierarchical structure are indispensable. Finally, by doing this fine grained word sense distinction, we propose an alternative way of classification and description of the verb polysemy for KorLexVerb 1.0 as well as for dictionary-like language resourc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

        “결국”의 의미와 화용적 기능

        이은령 ( Eun Ryoung Lee ) 한민족어문학회 2013 韓民族語文學 Vol.0 No.64

        ‘결국’은 문장을 발화하는 화자의 태도를 나타낸다는 의미에서 양태 문장부사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류에 ‘마침내’와 ‘드디어’과 같은 어휘가 있으나, 말뭉치를 대상으로 조사해 보았을 때 ‘결국’은 유사 어휘보다 훨씬 광범위한 문맥에서 빈번하게 쓰이고 있다. 그럼에도 ‘결국’은 기존의 부사연구에서는 잘 다루어지지 않았고, 유의어 간의 구별도 상세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이들 어휘는 각각 조금씩 그 의미적 특징들이 다르다는 점에서 더욱 세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그간의 품사분류와 문장부사의 특성 연구의 범주에서 벗어나 대용량 말뭉치와 언론 기사문에서 약 6,700건의 ‘결국’의 용례를 추출하여 어휘의 의미와 화용적 기능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형태소 주석이 된 세종말뭉치의 문어와 구어 말뭉치를 모두 활용하여 ‘결국’이 나타나는 환경을 분석하고, 문장 내에서의 쓰임을 고찰한다. 특히 기존의 논의에서는 포함되지 않았던 담화표지로서의 기능과 논증에서 접속 기능을 상세히 고찰한다. 이를 통해서 형태 및 통사적 분석의 한계를 극복하고 의미와 화용적 기능에 특징을 밝혀 향후 ‘결국(fin)류’의 의미 및 화용적 기능에 대한 대조언어학적 연구의 기반으로 삼고자 한다. ‘Kyeolguk(finally)`` can be considered as a modal sentence adverb in the sense that it indicates the speaker``s attitude toward his or her sentence. In the lexical class of ‘finally``, we can also find other adverbs such as ‘deudieo’, ‘macimnai’ and so on. However, when we investigate the corpus, the result shows that ‘kyeolguk’ is being used more frequently in the much broader context than its synonymous words. Nevertheless, ``kyeolguk`` has neither been studied as a main subject of the preceding research, nor been made a detailed distinction of synonymies in Thesaurus. More research is needed in the sense that each of these lexical items shows differences in their semantic features. In this study, we extract and analyze about 6,700 occurrences of ‘kyeolguk’ from the large scale corpus Sejong(2010 distributed version) and from the daily and periodical newspapers to review the semantic and pragmatic functions that can not be captured by the analysis based on the simple part of speech classification or the grammatical descriptions. To this end, using the annotated corpus of spoken and written language, we analyze the function of ‘kyeolkuk’ and the context where it appears. In particular, we extend our discussions on the argumentative values of ‘kyeolguk’ and its functions as discourse marker, that was not included in the study of the lexical class of ‘finally``. Furthermore, we expect to extend the result of this study to design the contrastive study on the semantic and pragmatic features of the lexical class of ‘finally`` in different languages.

      • KCI등재후보

        이중어사전으로 본 문화번역

        이은령(Lee, Eun-ryoung)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코기토 Vol.- No.70

        최초의 한불사전인 『한불?뎐』(1880)의 뜻풀이에는 프랑스인 선교사가 19세기 말 한국의 문화를 인식하는 태도가 드러나고 있어서, 문화번역의 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매우 의미 있는 연구대상이다. 이중어사전으로서는 단순히 한국어 표제어에 프랑스어 대역어를 제시한 형태가 아니라, 한국어 표제어의 어원과 의미를 표상하는 한자어와 이를 프랑스어로 축자 번역한 부분과 프랑스어 뜻풀이를 함께 제시하고 있고, 표제어의 의미가 매우 세밀하게 분석, 기술되어 있다는 점에서 어휘연구와 사전편찬 연구에도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번역의 측면에서, 한자어의 의미에 경도된 뜻풀이가 부분적으로 나타나는 다언어 간 번역의 문제나 사전편찬자의 문화적 우월성, 종교적 배타성과 함께 문화적 가치판단 등이 뜻풀이에 개입된 다양한 사례를 통해 서양의 언어로 번역, 기술되는 과정의 문제점에 주목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도 드러나듯이 의미상의 등가를 제시하는 방법과 유와 종차의 개념을 사용한 의미의 분류, 그리고 사회적, 문화적 맥락이 다른 어휘로 번역 대응하여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는 양상에 이르기까지, 한국어 어휘의미가 구축되고 변용되는 과정은 19세기 말의 문화번역의 한 양상으로 재조명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