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모래상자놀이를 통한 부적응 행동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친사회적 행동 변화양상에 관한 연구

        이연승(Lee Yeon Seung),유명순(Yoo Myeong Soo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07 어린이미디어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모래상자놀이를 통한 부적응 행동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적 행동의 변화양상에 관한 연구로서, 모래상자놀이가 유아들의 전인적인 성장발달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지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적응한 행동유아가 모래상자놀이를 통하여 어떻게 자신을 표현하고 집중할 수 있는 기회가 늘어나고, 또한 자아존중감 향상에 도움을 받으며, 친사회적 행동 관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비교 분석을 하였다. 연구과정은 25주에 걸쳐 사전검사, 모래상자놀이실시,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래상자놀이를 통한 부적응 행동유아의 자아존중감 변화양상은 하위요인인 지적 능력에서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고, 유아개인별 자아존중감 변화추이에서 향상되는 변화를 보였다. 또한, 부적응 행동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변화양상은 나누기, 도와주기, 협동하기 등 친사회적 행동이 향상되었고, 유아개인별 친사회적 행동 변화추이에서 향상되는 변화를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lf-esteem and pro-sociality of the maladjusted children and this study is synthetic with using quantitative research. This study is made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the play with sand box to be the basic material for building children’s personality. For this purpose, the practical case has been analyzed to understand the effect on children’s sociality and self-esteem, as well as the way of expression of themselves and the opportunity of concentration on themselves. The target of the researcher is the 5~6 year old children in N child-care center which is attached to welfare facility in J area in Busan. The children are distracted, disturb others and have difficulty of social management, revealing the problem with a external maladjustment and their low self-esteem. Their home backgrounds are also normal except for one child whose parents are divorced. The research has been made in a daily life without any variable factor. The period of this research is 25 weeks, from August 16, 2006 to February 16, 2007 and pre examination, processing program, post examination are operated in order. As qualitative study, Young sook Kim’s modification on the Pictorial Scale of 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Acceptance for Young Children by Harter and Pike were used. In addition, Won young Lee’s revision and its questionnaire paper and assist material on the "Skill Situation Measues" by Mcginnis and Goldstein were used as measuring tool of pro-sociable behavior. For qualitative analysis tools used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n improvement of self-esteem in cognitive ability of the children which is one of the sub factors and difference in each children who played with sand box. Second, there was an improvement of pro-sociality in sharing, help, and collaboration and it was shown in each children who played with sand box. And there was a change in children's pro-Behavior.

      • 외국인 유학생의 우울성향에 따른 Draw-A-Story 그림검사 반응 특성 연구

        안찬우(Chan-woo Ahn),두현지(Hyeon-ji Doo),정재은(Jae-eun Jeong),연승하(Seung-ha Yeon),이모영(Mo-yeong Lee) 한국융합예술치료교육학회 2018 예술과 인간 Vol.4 No.-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우울 수준을 평가하고, 우울수준에 따른 이야기 그림검사(Draw A Story: DAS)의 반응특성을 분석하여, 이야기 그림검사가 유학생들의 우울을 평가하는 선별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남 소재 S대학에 재학하는 학생 중에서 편의 표집으로 선택된 한국인 학생 113명과 외국인 학생 55명을 대상으로 우울진단검사(BDI)와 DAS 그림검사를 배포하여 총 168부를 회수하여 본 연구의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 통계프로그램에 의해 ANOVA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외국인 유학생들은 한국인 대학생들에 비하여 더 높은 비율로 우울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우울수준에 따라 DAS 그림검사 점수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우울한 집단이 비우울집단 그리고 가벼운 우울집단에 비하여 정서내용척도와 자아상 척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로, 우울수준에 따라 DAS 그림검사의 자극 그럼 선택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DAS 그림검사가 외국인 유학생의 우울을 평가하는 선별도구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intended to verify whether the Draw-a-Story (DAS) test can be used as a screening tool for evaluating the depress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by evaluating the level of depress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analyzing the responsive characteristics to DAS test based on their level of depression. 113 Korean students and 55 international students, selected through convenient sampling, among the students enrolled in University S in Chungcheongnam-do were given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and DAS test and a total of 168 copies were retrieved and used as the material for this study. The data collected were put under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cross analysis by using SPSS 25 statistics program.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international students experienced depression at a higher rate than Korean students. Second,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AS test score and the level of depression showed that the depression group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content scale and self-image scale compared with non-depression group and mild depression group. Third, the analysis on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selecting stimulative pictures in DAS test according to depression level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AS test can be useful as a screening tool for evaluating the depression level of international students.

      • KCI등재

        아버지의 육아참여에 대한 인식, 실태 그리고 어려움

        이연승 ( Lee Yeon-seung ),최진령 ( Choi Jin-ryoung ),김현정 ( Kim Hyun-jeo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아버지의 육아참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개선사항 및 요구를 조사하여 향후 가정 내 아버지 육아참여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만5세 이하 자녀들 둔 아버지 총 681명의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육아참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결과, 자녀와 함께 하는 것 자체가 좋아서 육아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육아는 부모가 함께 해야 하는 것이므로 아버지의 육아참여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둘째, 육아참여 실태를 알아본 결과, 직장 일 때문에 바빠서 육아참여 시간이 충분하지 않았으며, 맞벌이, 학사이상의 학력을 가진 아버지의 참여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육아참여에 대한 어려움을 알아본 결과, 육아참여를 위한 프로그램 지원 및 육아관련 정보가 부족하였으며, 육아참여로 인한 조퇴 등의 사용으로 인해 직장 내 눈치를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fathers with infants and/or children on paternal involvement and their needs and opinions on what improvements should be made in an effort to seek ways of vitalizing paternal involvement in the future. A survey was conducted on 681 fathers of infants and/or children in a city of Busa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research findings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en father`s awareness on paternal involvement were analyzed, they showed their intevests in parenting because they were fond of being with their children itself. fathers thought paternal involvement was necessary as children must be raised by parents together. Second, the state of father`s involvement in parenting was analyzed, and fathers felt uncomfortable in spending time for parenting since they were busy with their works, Father`s whose wives also were working and who owned a bachelor`s or higher degree took more part in parenting. Third, Father`s difficulties in parenting were analyzed. As a result, fathers had some difficulties in collecting enough information on for parental involvement and on parenting.

      • KCI등재

        유아교육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기초 연구

        이연승 ( Lee Yeon-se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4

        현재 많은 공공 기관과 민간 기관에서 향후 빅데이터가 미래 국가경쟁력의 주요 요소가 될 것으로 인식하고 공공정책 분야에도 빅데이터를 활용한 사회현안 및 행정수요를 파악해 공공서비스의 대응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분야에서 빅데이터의 활용 및 적용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의 개념 및 특성을 기초로 유아교육분야에서의 교육 및 정책수립의 활용적 가치를 탐색해 보았다. 그결과 빅데이터 활용을 통한 유아교육정책을 유아 통합 데이터 시스템 구축, 빅데이터를 활용한 정보제공, 오피니언 마이닝(Opinion Mining) 기법을 활용한 교육과정 개발, 유아교사를 위한 데이터 리터러시(data literacy) 교육 등의 4가지로 제안하였다. Currently, many public institutions and civilian departments recognize that big data will be major factors of future competitiveness of nations henceforth. They also expect to increase responsiveness of public service by identifying current social issues and administrative demands using big dat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a direction for application of big data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we explored the value of education and policy mak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rea based on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big data.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 five policies as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using big data: establishment suggests early childhood integrated data system, information provision using big data, development of curriculum utilizing opinion mining, education of data literacy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stablishment of child crisis management system.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 R-러닝 적용상의 어려움 및 해결방안에 관한 델파이 조사연구

        이연승 ( Yeon Seung Lee ),정정희 ( Chung Hee Chung ),홍희주 ( Hee Ju Ho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1

        This study examines the difficulties and alternatives of R-learning application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 A delphi research was conducted three times on 20 expe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ifficulties of R-learning were found including limitation of software, and hardware, uncomfortable A/S system, lack of teacher training and educational resources. Second, the alternatives of solving problems of R-learning were selected such as A/S system construction, supporting software for Robot based learning, supporting fund from government. Suggestions for effective R-learning application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 were provided. 본 연구는 새로운 교육매체로 등장하고 있는 로봇을 유아교육기관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현재 적용하고 있는 R-러닝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 및 어려움을 파악한 후 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 학계와 현장 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연구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에서 실행하는 R-러닝의 어려움은 로봇의 소프트웨어적 한계, 불편한 A/S 지원시스템, 로봇활용에 관한 교사연수 및 교육지원 부족, 로봇의 하드웨어적 한계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에서 R-러닝을 활용할 때 겪는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 A/S 시스템 구축, 로봇교육 소프트웨어 지원, 정부의 일관된 재정적 지원 등이 도출되었다. 아직까지 유아교육기관에 R-러닝 적용을 위한 이론적 가정과 실제적 방안이 도출되지 않고 있는 시점에 본 연구를 통해 유아교육 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한 R-러닝의 어려움과 해결방안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 R-러닝이 효율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반한 교사용 유아 친환경 태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연승(Lee, Yeon-Seung),차숙경(Cha, Suk-Ky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6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반한 유아용 친환경태도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척도의 예비시안을 작성하였으며, 전문가집단의 내용타당도와 예비조사 대상들로부터 안면타당도를 검증받아 최종시안을 확정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유아 550명으로, 이들의 담임교사가 유아의 친환경 태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유아 512명의 검사결과가 회수되었고 불성실하게 작성된 28명의 검사결과를 제외한 최종 484명(96.8%)의 검사결과를 대상으로 최종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최종 개발 된 유아 친환경 태도 척도의 하위영역 간 상관은 r=.47~.81로 유의수준 .01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준거(공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Gardner (1993; 1999)의 유아 자연탐구지능과 pearson’s 적률상관분석 결과 r=.84(p<.01)로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 α를 산출한 결과 α=.84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유아 친환경 태도 척도는 타당성과 신뢰성이 검증된 안정적인 도구이며, 유아의 친환경적 태도를 잘 변별할 수 있는 문항으로 구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그 타당성이 검증된 척도는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반 한 유아의 친환경적 태도를 측정하는데 있어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d verify scales for ecofriendly attitude for young children based o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Preliminary draft proposal of the scales was drawn up through analysis of preceding research. Final proposal was confirmed by verification of both content validity from expert group and face validity from preliminary survey subjects.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550 children and their ecofriendly attitudes were measured by their teachers. As a result, test results of total 550 young children were returned and the final analysis of results was suggested based on the test results of 484 young children (96.8%), excluding test results of 28 young children that were unreliab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 AMOS 21.0 program. When a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that regarding the item discrimination power of the draft for the ecofriendly attitudes scales for young children, the factor loading of every item was above 0.4, which showed that the factor score of the items was goo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he sub-factors of the finalized ecofriendly attitudes scale was between .47 and .81, which implied that there was a close correlation. Their reliability coefficient(α) was .84, which showed that the scales were reliable. According to these results, scales for ecofriendly attitude for young children developed in this research are stable tool of which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are verified and they consist of questions that can well discriminate ecofriendly attitude of young children.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is scale of which its validity is verified in this research will be utilized as useful tool in terms of measuring ecofriendly attitude of young children based o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 KCI등재

        로봇기반교육의 물리적 환경이 교사의 로봇활용 능력 및 활용 정도에 미치는 영향

        이연승 ( Yeon Seung Lee ),강민정 ( Min Jung Ka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기관 내 로봇기기 현황과 로봇기반교육의 물리적 환경 실태를 파악하고, 로봇기반교육의 물리적 환경이 교사의 로봇활용 능력 및 수업에 로봇을 활용하는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로봇을 활용하고 있는 유치원 교사 1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연구문제에 따라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로봇기반교육의 물리적 환경 중 ``교사의 지도와 관리가 용이한 장소에 로봇 비치``가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로봇기반교육과 관련된 교재 및 교구 구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로봇기반교육의 물리적 환경과 로봇활용 능력, 그리고 수업에 로봇을 활용하는 정도가 정의 방향으로 유의하게 관련성이 있으며, 로봇활용 능력과 로봇활용 정도의 상관계수가 매우 높은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로봇기반교육에서 로봇과 연결하여 사용하는 컴퓨터 수가 많을수록, 물리적 환경의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의 로봇활용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물리적 환경이 다른 변수들보다 상대적인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로봇기반교육에서 물리적 환경의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가 수업에 로봇을 활용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로봇활용 수업의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실행을 위해 물리적 환경의 중요성을 재확인하였으며, 향후 로봇기반교육 정책 수립 시 물리적 환경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을 주장할 수 있는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R-learning based education, though still in its infancy, holds much promise and the more educators know about what makes it succeed and when it does, the more empowered teachers will become in using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type or quality of the physical environment of R-learning based education influences teachers` robot application ability and application level. To this en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alysis of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 1) that an accessible placement of the robot equipment ranked high as being important for teaching and administration while teaching materials and aides ranked low with respect to the physical environment of R-learning based integrative activities. 2) There is a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R-learning based education and robot application ability and level. 2) The levels of teachers` robot application are influenced by the number of computers connected to the robot for R-learning purposes and the practical aspect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These findings regarding the kind of physical environment best suited for R-Learning should be helpful in considering setting up R-learning programs and promoting teacher efficacy and confidence in R-learning.

      • KCI등재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장애유아 담당 보육교사의 실태 및 인식

        이연승 ( Lee Yeon Seung ),조인영 ( Cho In Yeo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7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장애유아 담당 보육교사의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운영실태 및 인식을 파악하여 개선점을 찾아 장애유아 대상 누리과정 운영 시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26개 어린이집에서 누리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보육교사 1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장애유아 담당 보육교사는 누리과정을 활용하여 보육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교사 개인 변인에 따라 살펴본 결과, 장애유아 보육경력, 학부전공, 누리과정 교사 연수 이수여부, 근무기관의 유형, 기관의 장애보육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장애유아 담당 보육교사는 누리과정이 장애유아의 교육적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며 활용할 수 있는 교수자료 등이 미흡하여 장애유아를 대상으로 보육 시 부적합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장애유아 담당 보육교사의 누리과정 운영 시 동반되는 어려움과 장애 요인을 제거해 줄 때 장애유아를 대상을 한 누리과정 운영이 좀 더 효과적으로 실행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e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Nuri curriculums for ages 3 to 5 among childcare teachers in charge of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awareness of the curriculums in an effort to seek workable reform measures. This study provides a foundation to help implement the Nuri curriculums for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34 childcare teachers who implemented the Nuri curriculums in 26 daycare centers located in the city of Busa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aycare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provided care in accordance with the Nuri curriculum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ir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s by personal variab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perience of offering care for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major in colleges, whether to take one or more training course(s) in the Nuri curriculums, the type of workplace and the type of car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workplaces. Second, the teachers did not think that the Nuri curriculums fully reflected the educational needs of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and they did not consider the curriculums to be appropriate for these children, due to a shortage of teaching materials available.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daycare teachers in charge of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will be able to implement the Nuri curriculums in a more effective way when their related difficulties and barriers are all elimin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