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스타그램 게시물을 통해 본 관람 경험의 사회적 현존감적 특성에 대한 연구 - 메트로폴리탄미술관, 뉴욕현대미술관, 솔로몬 R. 구겐하임미술관을 중심으로 -

        이언주(Lee, Eon Ju),이보아(Rhee, Boa) 한국박물관학회 2021 博物館學報 Vol.- No.40

        본 연구는 관람 경험과 관련된 인스타그램 해시태그 기록에서 ‘공존감’과 ‘공동의 장소’에 대해 주목하고, 뉴욕 소재 미술관의 인스타그램 해시태그를 비교 분석하며 미술관 마다의 사회적 현존감적 특성에 대해 모색했다. 또한 미술관 공식 인스타그램에서 관람 경험에 대한 게시물의 활용 사례도 살펴보았다. 해시태그 분석 결과에서 메트로폴리탄미술관과 솔로몬 R. 구겐하임미술관의 경우, 뉴욕의 미술관이라는 물리적인 장소와 지역 중심의 기록으로써 공존감을 형성한 반면, 뉴욕현대미술관의 경우, 현대미술 중심의 해시태그 기록으로써 상호간의 연결을 위한 감각을 형성하고 있었다. 공동의 장소보다 예술에 대해 비중을 보인 뉴욕현대미술관의 사례는 소장품 및 기획, 미술 행사와 연관된 것으로 판단된다. 미술관과 관람객이 인스타그램에서 관람 경험을 기록 및 공유할 때에는 미술관의 장소에 함께 있는 것과 같은 감각으로써 상호간의 공존감을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본 연구의 빅 데이터 분석에서 작품 감상 및 미적 경험에 대한 결과가 상위에 없는 것은 시각 중심의 인스타그램에서 작품 정보 확산과 상호교류에 창의적인 시도가 요구되는 것이다. 앞으로 미술관에서는 미술관의 콘텐츠 확산 및 탐색을 위해 본 연구 사례 분석의 사회적 현존감적 특성을 참고하고 관람객의 기록 및 반응을 분석하며 미적 경험에 대한 참여를 이어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co-presence and co-location in Instagram hashtag records related to viewing experience, analyzed and compared big data of Instagram hashtag of museums in New York, and studied characteristics of social presence. Also it looked at the use of postings about the viewing experience on the museum s official Instagram. In the case of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and the Solomon R. Guggenheim Museum, it was creating a sense of mutual co-presence, with records a hashtag centered on exhibition place and local information. In the case of the Museum of Modern Art, it was creating a sense for mutual connection, with records a hashtag centered on modern art. The case of the Museum of Modern Art, which has shown greater importance to art than experience of physical place, is deduced to be related to collections, planning and art events. When Museum and visitors record and share their viewing experiences on Instagram, they create a sense of mutual co-presence as if they form a sense of being together at the place of museum. And the fact that there are no results about appreciation of works and aesthetic experience at the top on the big data analysis of this study, requires creative attempts to spread of information and interact of works in the visually-centered Instagram. Afterwards museums should refer to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presence of the case analysis of this study, analyze the records and reactions of visitors, and continue to encourage participating in aesthetic experiences for diffusion and exploration of the museum contents.

      • KCI등재

        미술관 소셜 플랫폼을 통한 경험 확장과 전략 실행에 관한 모델 제안

        이언주(Lee, Eon Ju)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7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0 No.-

        동시대 미술관은 소셜 플랫폼을 통해 디지털 컬렉션을 창조적이고 실험적인 방식으로 확장해야 할 과제를 지니고 있다. 다시 말해, 현재와 미래의 가치 및 행위로서 자리하고 있는 디지털 콘텐츠를 새로운 방식으로 사용자들의 경험을 유도하고 교류해야 하는 사명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전략 실행으로 미술관의 효용성 있는 가치 전달이 요구되나, 다수의 미술관에서 이러한 전략의 제시, 형성, 실행에 대한 인식이 미흡하고 연구 또한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외의 미술관 소셜 플랫폼 중, 디지털 전략에 비중을 두고 있는 뉴욕현대미술관과 테이트 갤러리 사례를 중심으로 디지털 경험 확장을 목표로 한 전략 및 실행을 분석하였다. 미술관은 다양하고 심오한 지식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디지털 컬렉션 활용과 실험적이고 창의적인 프로젝트의 전달 여부도 살펴보았다. 사례 분석에서 뉴욕현대미술관은 학습을 바탕으로한 풍부한 콘텐츠와 유명 매체를 활용하여 디지털 경험과 실제 경험을 위한 연결을 추진하고 있었다. 테이트 갤러리는 몇 년 단위로 구체적인 디지털 전략 사항을 제시하고 이를 소셜 플랫폼을 통해서 창의적인 프로젝트와 전략적인 메시지 전달로 이행하며 디지털영역에서 선두적인 미술관이 되려는 야심을 보였다. 또 뉴욕현대미술관과 테이트 갤러리는 소셜 플랫폼을 활용하여 홈페이지의 지식 및 정보로 사용자들을 유도하고 독자적인 온라인 공간을 구축하려 한다. 끝으로 본 연구는 디지털 경험에 관한 문헌을 참고하고 사례 분석을 토대로, 소셜 플랫폼에서 미술관 경험을 위한 전략의 실행 방법과 확장모델을 제안하였다. 이는 미술관의 가치를 바탕으로 한 전략과 사용자와의 교류가 디지털 경험으로 확장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 것으로, 핵심 전략 사항이 소셜 플랫폼에서 사용자들의 경험을 위한 교류로 실행되어야 함을 강조한 것이다. 이러한 실천 과정에서 사용자들의 활동은 이제 미술관 안팎에서 역동적으로 드러나며, 미술관의 문화적 가치를 변화하고 확장하는데 동참하게 될 것이다. 동시에 미술관은 사용자들이 예술에 대한 경험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을 잊지 않고 그들을 자극하고 선동하는 장소로서의 역할을 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자가 제안한 모델과 같이 미술관 소셜 플랫폼에서 전략 실행, 역량의 응용, 이에 따른 융복합적 사고의 수용 및 연구가 요구된다. Contemporary art museums have the task of expanding digital collection in a creative and experimental way through social platforms. That is, Implementation of strategies are required because of the need to deliver cultural values in a useful way. However, in many museums, the awareness of the presentation, formation, and execution of these strategies is insufficient and research is not actively conducted. For this reason, this study analyzed the core strategies and practices aimed at expanding the digital experience centered on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and the Tate Gallery, focusing on digital strategies among the social platforms of art museums. Museum of Modern Art was using learning-based contents and popular media to promote connections for digital experiences and real-life experiences. In recent years, Tate Gallery has shown its ambition to be a leading museum in the digital area by presenting digital strategies in concrete terms, implementing them on social platforms, delivering creative projects and strategic messages. In addition, Museum of Modern Art and Tate Gallery attract users to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their homepages using social platforms, and establish their own online space. Finally, this study refers to the literature on digital experience and suggests implementing strategies and expanding model for art museum experience on social platforms based on case analysis. This emphasizes that the strategy that is formed based on the research of the museum and the interaction of the user should be expanded to digital experience and that the core strategy should be implemented as an exchange for the art experience on the social platform. In the course of this practice, users’ activities are now dynamic in and out of the museum, it will be involved in changing and expanding the cultural value of the art museum. At the same time, art museums should not forget that users can create experience of art. Also they should play a role as a place to stimulate and instigate them. In the future, social platform of art museums requires implementation of strategies, and application of capabilities.

      • KCI등재

        초등 안전교육에서 학습 지도의 기본 원리와 교수·학습의 일반적 과정·절차

        이언주 ( Lee Eon Ju ),유병열 ( Yu Byung Yul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1

        최근 우리 사회와 학교에서 안전교육은 대폭 강화되어 가고 있다. 더욱이 국가에서는 학교 안전교육을 혁신적으로 개선, 강화하기 위해 초등 1, 2학년 교육과정 속에 안전교육 시간을 별도로 설치해 놓고 이를 역점을 두어 지도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 그러나 학교에서의 실제적인 안전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마땅하고 효과적인가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미미하며 특히 안전교육 학습 지도의 기본적인 과정 내지 절차 및 유용한 수업 모형들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 시피 한 것이 현실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 의식에 터하여 초등 안전교육을 위한 교수·학습의 원리 및 일반적 과정·절차를 탐구하는 데 주안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먼저 국가적 수준과 안전교육 기관·기구 수준 및 학자·전문가들 수준에서 제시되고 있는 여러가지 안전교육 지도 이론들을 검토하여 초등 안전교육 학습 지도의 기본원리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어서 이러한 원리들에 기초하여 초등 안전교육 교수·학습의 일반적 과정·절차가 어떻게 구안되어야 하는지를 탐구하여 인지적 측면과 행동적 측면 및 정의적 측면을 통합적으로 추구하여 종합적 안전 능력의 함양을 지향하는 일반 모형을 제시한 후 이 모형의 전체적 및 단계별 운영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한편, 이 연구에서는 앞으로 초등 안전교육 교수·학습을 보다 실효적으로 운영하는 데 긴요한 구체적인 하위 수업모형들 또한 연구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초등 안전교육을 위한 수업모형들은 적어도 실천체험 중심, 탐구 중심, 직접 교수 중심이라는 크게 세 가지 방향에서 수업모형들이 강구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다만, 초등 안전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수업모형 관련 탐구가 이 연구에서 논의된 것들에 머물러서는 안 되며, 앞으로 보다 많은 이론적·실증적 연구들이 수행되어 안전교육의 적합성과 실효성을 더욱 제고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Recently, safety education has been strengthened in our society and schools. Furthermore, in order to innovate and strengthen the school safety education, the nation is requesting to set up the safety education time separately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 curriculum and emphasize it. However, there is little study on how effective and proper the safety education in schools should be made. In particular, there is almost no study on the basic processes and procedures of safety education instruction and useful teaching models. This study focuses on exploring the principles and general processes and procedures of teaching and learning for elementary school safety education based on this problem. Therefore, in this study, we examined various safety education instruction theories which are presented at national level, safety education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level and scholar experts level, and examined basic principles of elementary school ㆍ safety education instruction. Then, based on these principles, the general process and procedure of teaching and learning of elementary safety education should be investigated to pursue the cognitive aspect, the behavioral aspect and the affective aspect integrally, After presenting the model, we discussed the overall and stepwise management plan of this model. This study explored the general process and procedures of elementary school safety education instruction. However, it is necessary to study specific subordinate instruction models that are important for more effective operation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future. Specific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instructional models for elementary school safety education should be modeled in at least three directions: practice and experience, inquiry, and direct instruction. However, it should not remain in the discussions of this study, and more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should be carried out to further improve the suitability and effectiveness of safety education.

      • KCI등재

        Implementation of Rule-based Smartphone Motion Detection Systems

        Eon-Ju Lee(이언주),Seung-Hui Ryou(유승희),So-Yun Lee(이소윤),Sung-Yoon Jeon(전성윤),Eun-Hwa Park(박은화),Jung-Ha Hwang(황정하 ),Doo-Hyun Choi(최두현)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6 No.7

        스마트폰에 내장된 각종 센서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정보는 사용자의 움직임, 상황 등을 파악하고 분석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스코프 센서에서 얻은 정보를 분석하여 ‘I’, ‘S’, ‘Z’ 모션을 인식하는 두 가지 규칙기반 시스템을 제안한다. 먼저, 각 모션에 대한 가속도 및 각속도의 특성을 분석한다. 이를 기반으로 두 가지 종류의 규칙기반 모션 인식 시스템을 제안하고 이를 안드로이드 앱으로 구현하여 각 모션에 대한 성능을 비교한다. 두 가지 규칙기반시스템은 각 모션에 대해서 90% 이상의 인식률을 보이며 앙상블을 이용한 규칙기반 시스템은 다른 시스템보다 향상된 성능을 보인다.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various sensors embedded in a smartphone can be used to identify and analyze user’s movements and situat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two rule-based motion detection systems that can detect three alphabet motions, ‘I’, ‘S’, and ‘Z’ by analyzing data obtained by the acceleration and gyroscope sensors in a smartphone. First of all, the characteristics of acceleration and angular velocity for each motion are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two rule-based systems are proposed and implemented as an android application and it is used to verify the detection performance for each motion. Two rule-based systems show high recognition rate over 90% for each motion and the rule-based system using ensemble shows better performance than another one.

      • KCI등재

        인성교육을 위한 바른 생활과 정체성 연구

        조석환 ( Cho Sug-hoan ),이언주 ( Lee Eon-ju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6 초등도덕교육 Vol.0 No.53

        바른 생활과는 교육과정의 변천 속에서 다양한 형태를 취해왔지만, 그 목표 및 내용에서 건전한 인성을 갖춘 사람을 형성시키기 위한 노력을 이어왔다. 그러나 이 시대의 교육적 요구가 인성교육으로 모아진 상황에서 오히려 그 정체성이 상실되어가고 있다. 바른 생활과의 정체성은 ``기본적인 생활 습관과 예절, 도덕 규범을 갖고 바른 생활을 영위하는 건전한 인성을 가진 사람``에 있다. 바른 생활과는 초등학교 인성교육 첫 출발의 중추이다. ``저학년 도덕과``로서의 바른 생활과는 중고학년 도덕과의 연계, 협력, 통합의 노력을 통해 인성교육의 핵심적 역할을 해내야 한다. The subject "Disciplined Life" has undergone many changes with the change of curriculum, but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the subject have maintained a focus on the person who has healthy personality. Although character education is a great educational demand in this day and age, "Disciplined Life" is losing the identity for elementary character educati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need to be taught basic living habits, etiquette, and moral standards and norms in "Disciplined Life" classes because the core identity of the subject "Disciplined Life" is a person who has healthy character. "Disciplined Life" should play a key role in character education by linking, cooperating, and combining with the subject "Moral Educ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PIV기법을 활용한 쇄파의 유동구조 해석

        조효제(Hyo-Jae Jo),이언주(Eon-Ju Lee),도덕희(Deog-Hee Doh) 한국해양공학회 2009 韓國海洋工學會誌 Vol.23 No.1

        This paper compares theretical wave profile and particle kinematics with experimental results generated by a 2-D wave tank. Partide velocity fields of campound waves were acquired using a PIV technique. Synchronization was applied to acquire images of the wave field, and the time gap between these images was controlled by the user. This technique was applied to investigate the wave breaking mechanism, and the wave profile and velocity distribution in a wave breaking field was obta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