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ISA 2015와 비교한 PISA 2018 과학 영역의 성취수준별 인지적 성취 특성과 교육과정 상 인식론적 지식 함양을 위한 교육 탐색

        이신영 ( Shinyoung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1 No.5

        본 연구의 목적은 PISA 2015 결과와 비교하여 PISA 2018 과학영역에서 성취수준 집단별로 과학적 소양 성취 특성을 알아보고, PISA 2018에서 PISA 2015보다 정답률이 특히 상승한 ‘인식론적’ 지식에 대해 PISA 참여 학생들이 경험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PISA 2015와 PISA 2018 평균 정답률을 PISA 과학영역 평가틀 차원별 하위영역별로 분석하였다. 특히, ‘역량’ 차원에서 중집단과 하집단에서 ‘과학 탐구의 평가 및 설계’ 정답률이 가장 낮았지만, PISA 2015과 비교하여 모든 성취집단에서 정답률이 상승하였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다. ‘지식’ 차원에서 ‘생물계’ 지식과 ‘인식론적’ 지식에서 정답률이 낮았지만, PISA 2015와 비교하면 ‘인식론적’ 지식에서 상집단과 중집단의 정답률이 상승하였다. PISA 2015에 비해 PISA 2018에서 정답률이 상승한 ‘인식론적’ 지식과 관련하여 PISA에 참여한 학생들이 경험한 교육과정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과학에 대한 이해 측면에서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과학이란?’ 단원과 과학 탐구 활동에서 모형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과학 지식을 정당화하는 과정에 대한 이해 측면에서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탐구 활동의 수는 증가하고 실험 결과에 기반한 과학적 설명을 강화하였으며 ‘과학과 인류 문명’ 단원을 도입하여 학생들이 STS를 이해하는 것과 동시에 논변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PISA 2015와 비교한 PISA 2018의 성취수준별 인지적 성취 결과를 알아보았고 우리나라의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이 탐구수업을 통한 인식론적 지식 함양 교육 측면에서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타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gnitive achievement characteristics by group of achievement levels in the PISA 2018 science domain compared to the results of the PISA 2015, a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epistemic’ knowledge in the revised curriculum 2009 and in the revised curriculum 2007. The average correctness rates in PISA 2015 and PISA 2018 were analyzed by sub category of the evaluation frame in the PISA scientific domain. In the competencies domain, especially, the average correct answer rates of ‘evaluating and designing scientific inquiry’ were the lowest in medium and lower groups, but the rates rose in all achievement groups compared to PISA 2015, which is encouraging. Although the answer rates were low for both ‘living system’ knowledge and ‘epistemic’ knowledge in the knowledge domain, the average answer rates of the upper and middle groups increased in ‘epistemic’ knowledge compared to PISA 2015. The changes in the curriculum experienced by students participating in PISA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the ‘evaluating and designing scientific inquiry’ competency and ‘epistemic’ knowledge, which increased in average correct answer rates. In terms of understanding science, the “What is science?” unit that explicitly presents epistemic knowledge, and nature of model in inquiry activities, were explicitly presented in the revised curriculum 2009. In terms of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justifying scientific knowledge, the number of inquiry activities increased, scientific explanations based on experimental results strengthened, and the “Science and Human Civilization” unit was introduced to help students to understand STS while simultaneously conducting arguments. These findings confirm the educational performance of groups by achievement level in the PISA 2018 scientific domain and suggest that the direction of education relates to epistemic knowledge in Korea’s Science curriculum.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19에 대비한 초.중등 특수교사의 원격수업에 대한 경험 및 요구 : Experience and Requirement to Distance learning of Elementary and Seco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 to prepare for Post COVID-19

        이신영(Lee Shinyoung),서석진(Seo Seok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4

        목적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19에 대비한 특수교사의 원격수업에 대한 경험 및 요구사항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방법 이를 위해 2020년 9월에서 2021년 1월까지 원격수업을 경험한 10명의 초⋅중등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의 원격수업은 크게 인터넷 활용, 실시간 쌍방향 수업, 격일 격주 수업 및 방문지도, 학습꾸러미 발송 및 지도 등으로 이루어졌으며, 이에 대한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육에서 원격수업에 대한 요구사항은 특수교사 간 네트워크 형성, 온라인 콘텐츠 제작 및 활용에 대한 연수, 원격수업에 대한 매뉴얼 및 관련법 제정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셋째, 원격수업을 위한 특수교사의 역량강화를 위해서는 개별화교육 진단 역량, 온라인 콘텐츠 제작 및 활용에 대한 연수, 보호자와의 소통 및 협업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결론 위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포스트 코로나에 대비한 체제 정비와 교육정책, 교사의 역량에 대한 후속연구를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quirement and experience to distance learning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to prepare post COVID-19. Methods To accomplish this goal, a qualitative study is conducted with 10 elementary,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 who have experienced from September 2020 to January 2021.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distance learning of special education has been a hard time that is consist of using Internet, real-time interactive classes, every other day or week classes, learning package. Second, requirement to distance learning of special education needs making network to teacher to teacher, to produce and use online contents, to make manual and legislate for online class. Third, for competence improvemen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to distance classes, it is necessary to diagnosis for IEP, to produce and use online contents, cooperation and communicate with parent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for that improvement of system, educational policy and improvement competence of teacher for prepared post COVID-19.

      • KCI등재

        PISA 2018 교사 설문에 나타난 우리나라 중등교사들의 교사 전문성 계발에 대한 인식과 실천

        이신영(Shinyoung Lee),조홍주(Hongjoo J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8

        목적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등교사들의 교사 전문성 계발에 대한 인식과 계발 활동 참여 현황을 미국, 영국, 대만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방법 PISA 2018 교사 설문에 참여한 우리나라, 미국, 영국, 대만 결과를 바탕으로 교원 자격 프로그램, 교사 전문성 계발 활동 필요에 대한 인식, 교사효능감, 교사 전문성 계발 활동 참여, 교사 교육활동 저해 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교원 자격 프로그램에서 모든 국가에서 응답 평균은 ‘교수-학습, 학급 경영, 생활 지도’ 순으로 높았고 전통적인 PCK 구성 요소가 그렇지 않은 주제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응답 평균은 우리나라, 대만이 미국, 영국보다 교사 전문성 계발 활동 필요에서는 높게 나타났고 교사효능감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모든 국가에서 교사 전문성 계발 활동에 참여의 응답 평균은 동료교사와 협력하는 활동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사 교육활동 저해 요인의 응답 평균은 우리나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교사 전문성 계발 활동 필요에 대한 인식과 교사효능감을 고려할 때 교원 자격 프로그램 전문성 계발 주제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고, 교사들이 교사 전문성 계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위해 교육청이나 학교 차원에서 전문적 교사 협력체를 활성화시키고 디지털 교육 환경에 알맞은 교육 제반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compare Korean secondary teachers' perceptions and participation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with those of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Taiwan. Methods We used the following variables: 1) teacher qualifications programs; 2) the awareness of the need for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3) teacher efficacy; and 4) the factors hindering teacher education activities. The responses to the PISA 2018 teacher questionnaire from Korea,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Taiwan were analyzed in line with these variables. Results Regarding the teacher qualification programs, the response average in all countries was high in the order of ‘teaching-learning, class management, and life guidance’, and he response average of the subjects related to traditional PCK component were higher than the other subjects. The average response of the need for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were higher and teacher efficacy were lower in Korea and Taiwan than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Regarding the participation i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the response average of sub-variables related to activities in cooperation with fellow teachers was the highest in all countries. Regarding the factors hindering teacher education activities, Korea showed the highest response average among the analysis target countries. Conclusions Considering the perceptions of the need for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and teacher efficacy,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subject of the teacher qualification program. In order to support teachers' participation i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it is important to activat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PLC) and to make an overall educational environment suitable for the digital education environment with the help of the office of education or school.

      • KCI등재

        PISA 2018 과학 영역에서 나타난 교육맥락변인 특성과 영향력 분석

        이신영(Lee, Shinyoung),김현정(Kim, Hyunjung)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1 교과교육학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PISSA 2018 과학 영역에서 나타난 주요 교육맥락변인의 특성과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주요 교육맥락변인에 대해 과학 성취수준 집단별로 응답 평균을 비교하고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교육맥락변인의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성취수준 집단별 다집단 다층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맥락변인들은 주로 상집단, 중집단, 하집단 순으로 응답 평균이 높게 나타났으나, OECD 평균보다 응답 평균이 낮은 변인들도 있었다. 둘째, ESCS, 부모의 정서적 지원 등 과학 성취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과 긍정적 감정, 협동적 분위기 등 과학 성취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이 있었다. 대체로 중집단에서의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PISA 2018 과학 영역에서 나타난 교육맥락변인의 특성과 영향력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과학 교수학습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 of key educational context variables in the PISA 2018 science domain. To this end, the response average value of each science achievement group was analyzed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through a one-way ANOVA, and multiple-group multilevel analysis by achievement level group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educational context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al context variables mainly had a response average in the order from high to middle and low achievement group, and some variables showed a lower response average than the OECD average. Secondly, there were variables that had a positive effect on science achievement such as ESCS and parents’ emotional support, and variables that negatively affected science achievement such as positive emotions and student co-operation. In general, the effect in the middle achievement group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 of educational context variables in PISA 2018 science domain, we proposed a plan for improving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 KCI등재

        Drifting and Deterritorialization in Dionne Brand’s Love Enough

        이신영(Shinyoung Lee) 한국아메리카학회 2020 美國學論集 Vol.52 No.3

        Dionne Brand provides the reader with vivid representations of the dilemmas and agonies from which people excluded in the history of belonging have been suffering. One of her latest novels Love Enough (2014) deals with the protagonists’ unceasing trial and error in the process of surviving in Toronto. In this paper, I analyze how Da’uud, Bedri, and Ghost’s process of drifting in Toronto causes a rupture with the monolithic sense of belonging in order to argue that they succeed in developing their own sense of belonging and connection and then reach in-between space, based on a link between Brand’s ideation of drifting and Gilles Deleuze and Félix Guattari’s conceptualization of deterritorialization. It would be meaningful to elucidate how Da’uud, Bedri, and Ghost’s everyday lives develop the possibility of loving themselves and each other enough, ultimately shedding light on the very beginning of the rupture with the history of belonging.

      • KCI등재

        중학생들의 유전 현상에 대한 인과적 설명 글쓰기 분석

        이신영 ( Shinyoung Lee ),김미영 ( Mi-young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8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이 유전과 관련된 과학적 현상에 대한 설명 글쓰기에서 드러나는 개념 성취 수준을 살펴보고, 과학적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어떠한 논변 구조와 정당화 방식을 사용하는지, 과학적 지식을 적절하게 정당화에 이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중학교 3학년 학생들 162명이 ‘유전과 진화’를 학습한 후에 크기와 모양이 같은 초록색 피망과 빨간색 피망이 같은 종류인지 다른 종류인지 다른 주장을 하는 경쟁 논변 중 하나를 선택하여 그 이유를 설명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개념 성취 개념 성취 수준에서 전체 응답자(162명) 중 47%(77명)는 정답을, 53%(85명)는 오답을 제시하였다. 논변 수준을 살펴보면, 정답 학생들은 자료를 주장이나 결론에 연결하여 논거를 제시하는 수준인 수준 3(Constructing warrant)이 오답 학생들은 주장과 자료를 논리적으로 연결하지 않고 증거만 제시하는 수준인 수준 2(Providing evidence)가 가장 많았다. 정당화를 하면서 과학 지식(Scientific idea)의 사용을 학생들의 조사한 결과, 인과적 설명의 질을 결정할 수 있는 요소로 과학 지식을 사용한 학생 중 36%가 옳은 과학 지식(Correct scientific knowledge)을 사용하였으나, 나머지 학생들은 옳지 않은 과학 지식이나 특정되지 않은 과학 지식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들은 인식적 실행인 과학적 현상을 설명하는 논변적 글쓰기를 장려하기 위해서 논변의 구조에 대한 영역 일반적인 지식의 교수 실행을 통해 관련된 특정 과학 지식을 적용하여 자신의 생각을 증거와 주장을 잘 연결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knowledge and ability level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four areas: conceptual understanding, argument construction, justification schemes, and use of scientific knowledge in a causal explanation for a genetic phenomenon. A group of 162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taken a class titled Genetics and Evolution participated in the study. Each student answered―and justified the answer to―one question pertaining to genetics. Ability levels were rated from level 0 to level 4, with 4 being the top rating. Students were required to choose one of two competing arguments to explain whether green seed pimps and red seed pimps of the same size and shape were the same species or not. Analyzing conceptual understanding: 47% of the respondents provided the correct answer. Analyzing their abilities for constructing an argument: 75% of the students with the correct answer and 42% of the students with the incorrect answer were evaluated to be at ability level 3 or 4 for argument construction. Analyzing the students’ justification schemes: “Scientific idea” and “Analogy”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schemes. Analyzing their use of scientific knowledge: of the students who selected the scientific idea justification scheme, 36% used the correct scientific knowledge, but the remainder used inaccurate or nonspecific scientific knowledge. These findings provide implication for encouraging argumentative writing explaining scientific phenomena regarding epistemic practice.

      • KCI등재

        국내 학술지의 시각장애학생 관련 연구 동향 : 2010∼2019년의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이신영(Lee Shi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1

        본 연구는 최근(2010년∼2019년)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시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이와 관련된 효율적인 연구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하였다. 이에,‘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등의 학술 전자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검토·분류하여, 최종 25개 학술지에서 총 120편의 논문을 선정·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표된 논문의 연도는‘2011년’ 22편(18.3%), 학술지는‘시각장애연구’68편(56.7%)으로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주제는‘교육지원’ 54편(45.0%), 다음으로 ‘교육과정’ 29편(24.2%) 순으로 많이 게재되었다. 셋째, 연구방법은‘조사연구’ 48편(40.0%), 다음으로 ‘실험연구’ 32편(26.7%)으로 가장 많았으며, 넷째, 연구자 수는‘2인’연구 54편(45.0%), ‘1인’연구 41편(34.3%) 순으로 가장 많이 발표되었다. 위의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였으며, 제언에 후속적인 연구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nalysis to related studies to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from 2010 to 2019 in journal in South Korea that want to give basic data of trend for better efficient to related studies of special education of school for the blind. Such as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 it is reviewed and classified 120 studies in 25 journal. Summarized results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published studies that twnety two(18.3%) is the highest in 2011, and sixty eight(56.7%) is the highest in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of domestic journal. Second, subject of study is high published that seventy seven(45.0%) is ‘Support to education’, and thirty(24.2%) is ‘Curriculum’. Third, there are research method that forty eight(40.0%) is the highest to ‘survey’, andthirty two(26.7%) is the high to ‘experiment’. Fourth, published research is that fifty four(45.0%) is the highest to ‘two collaboration’, and forty one(34.3%) is the higher to ‘only one researcher in study’. Implications were follow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 KCI등재

        소집단 논변활동에 대한 협력적 성찰을 통한 중학생들의 소집단 규범과 논변활동 능력 발달 탐색

        이신영 ( Shinyoung Lee ),박소현 ( So-hyun Park ),김희백 ( Hui-baik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6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학생들이 소집단 논변활동 수업과 협력적 성찰에 참여하면서 나타나는 논변활동에 대한 소집단 규범과 인식적 측면에서 이해 발달 과정 및 논변활동 실행에서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참여 학생들은 중학교 1개 학급 내 1개 소집단 구성원으로 선정되었으며, 이들의 학업 성취 수준과 학습접근방식은 다양하였다. 소집단 논변활동 수업은 광합성 단원에 대해 10차시 동안 이루어졌고, 협력적 성찰은 일주일에 한 번씩 총 7번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논변활동 수업과 협력적 성찰을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우선, 협력적 성찰과 소집단 논변활동 수업이 진행됨에 따라 참여 학생들의 논변활동 참여 형태와 관련된 사회적 규범이 발달하였고 논변활동의 인식적 측면에서 이해 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의 논변활동 산물과 논변활동 과정으로 살펴본 소집단 논변활동 능력도 향상되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논변활동 산물 측면에서는 반박 관련 발화의 수가 증가하였고, 논변활동 과정 측면에서는 다양한 학생들이 논변의 구조에서 증거, 정당화, 주장을 제시하면서 논변활동 과정이 복잡해졌다. 협력적 성찰을 통해 학생들의 소집단 규범 및 논변활동의 인식적 측면에서 이해가 발달하고 이와 더불어 논변활동 능력이 발달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는 학교 현장의 과학 수업에서 논변활동을 적용하기 위한 좋은 본보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econdary students` progression in group norms and argumentation competency through collaborative reflection about small group argumentation. The progression is identified as the development of group norms and an epistemic understanding of argumentation with the enhancement of group argumentation competency during collaborative reflection and argumentation lessons. Participants were four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different academic achievements and learning approaches. They participated in ten argumentation lessons related to photosynthesis and in seven collaborative reflections. As a result, the students` group norms related to participation were developed, and the students` epistemic understanding of argumentation was enhanced. Furthermore, the students` group argumentation competencies, identified as argumentation product and argumentation process, were advanced. As the collaborative reflection and argumentation lessons progressed, statements related to rebuttal increased and different students suggested a range of evidence with which to justify their claims or to rebut others` arguments. These findings will give a better idea of how to present an apt application of argumentation to science teachers and science education researchers.

      • 스마트폰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모션 제스쳐 프레임워크의 설계 및 구현

        이기문(Gimun Lee),이신영(Shinyoung Yi),김종현(Jonghyun Kim)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 No.2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모션 제스쳐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최근 IT 패러다임의 변화를 주도하고 있는 스마트폰의 대표적인 특징 중의 하나가 터치 인터페이스이다. Apple 사의 iPhone은 세계 최초로 터치스크린으로 가능한 사용자 입력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터치 제스처를 정의하고 상용화에 성공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터치 인터페이스를 대체하거나 보완할 새로운 인터페이스로서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모션 제스처 프레임워크를 설계하고, 실제 스마트폰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적용하여 활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 KCI등재

        협력적 성찰과 과학 논변수업 실행에서 드러난 교사의 논변특이적 PCK 탐색

        김선아 ( Suna Kim ),이신영 ( Shinyoung Lee ),김희백 ( Heui Baik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6

        이 연구는 논변활동을 지도하는 교사의 수업실행 변화와 이 과정에서 드러나는 논변특이적 PCK의 요소를 확인하고 이것이 수업 실행에미친 영향에 대해 탐색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교사는 과학교육 박사학위 소지자로 연구 당시 교육경력이 19년이었으며 연구에 참여하기이전에 논변수업을 지도해 본 경험은 없었다. 논변활동 수업은 중학교1학년 광합성 단원에 대한 9차시로 구성되었고 수업 이후 주 1회 약30여분 총 5회에 걸쳐 연구자와 교사 간 협력적 성찰이 이루어졌다. 모든 수업과 협력적 성찰은 녹화, 녹음되었으며, 교사의 사전사후 논변검사지, 수업전사본, 관찰일지, 협력적 성찰 전사본이 분석 자료로 활용되었다. 교사의 발화를 분석한 결과 교사의 수업 실행은 1~3차시에해당하는 초반부에는 학생들에게 말하기, 논변 정의하기, 정당화하기등을 촉진하는 발화가 주로 나타났으나 4차시 이후부터는 교사가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며 상대방 이야기를 들어주기, 대안주장하기, 논변과정 반성해보기 등을 촉진시키는 발화도 함께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협력적 성찰과 논변 수업 실행으로부터 교사의 논변특이적PCK 발달이 나타났으며, 논변특이적 PCK는 학생에 대한 이해, 논변의 본성에 대한 이해, 논변 과제전략에 대한 이해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참여 교사의 논변 특이적 PCK에 대한 이해는 협력적 성찰과 수업실행이 반복되면서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여교사는 논변수업에서 학생이 갖는 어려움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으며, 논변에 대한이해를 개인적 측면으로부터 사회적 측면을 포함한 것으로 발달시켰다. 또한 논변과제를 자발적으로 변환시킴으로써 과제전략에 대한 깊은 이해를 드러냈다. This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 of a teacher`s teaching practice and identified argumentation-specif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and the influence of the argumentation-specific PCK on teaching practice in an argumentation classroom. The teacher has a Ph.D degree in science education, a 19-year teaching career, and no experience in instructing in an argumentation classroom. The developed program consists of nine lessons regarding photosynthesis for 7th graders. The teacher participated in a collaborative reflection with researchers after each lesson once a week and five times in total, which lasted for thirty minutes. All of the lessons were video- and audio-recorded and the transcript of lessons and collaborative reflection, pre- and post-survey related to argumentation, and researchers` journals were analyzed. Analysis of the data showed that the teacher emphasized group interaction showing utterances of listening, evaluating arguments, counter-arguing/debating, and reflecting on argument process after the fourth lesson although the teacher focused on individual argumentation showing utterances of talking, knowing meaning of argument, and justifying with evidence in the first three lessons. Also, the argumentation-specific PCK, which was identified with the understanding of students, nature of argumentation and argumentation task strategy, also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teaching practice. The teacher comprehended the students` challenges in argumentation, developed her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argumentation from an individual plane to social plane, and demonstrated a deep understanding of the task strategy by voluntarily joining in modifying the argumentation tas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