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분산 객체지향 데이타베이스에서 분산 설계 및 구현

        이순미,박혜숙,하얀,Lee, Soon-Mi,Park, Hea-Sook,Ha, Ya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1 No.5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상의 대용량 자료에서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지원 기능으로서 분산 객체지향 데이타베이스에서 클래스를 분할하여 여러 사이트에 분산시키는 기법에 관하여 설계 및 구현하였다 제안된 분산 기법은 클래스의 분할 과정과 할당 과정으로 구성된다. 클래스의 분할 과정에서는 메소드, 계승 및 복합 객체와 같은 객체지항 데이터베이스의 특성을 반영하여 클래스를 분할하였으며 할당 과정에서는 저장, 질의 처리 및 전송비용을 고려하여 할당수식을 정의하였으며 이를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This paper addresse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lass distribution in distributed object-oriented databases. The proposed strategy of distribution consists of two-step design of fragments. One is class fragmentation and the other is allocation of fragments. In step of class fragmentation, we have defined partitioning algorithm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object-oriented databases such as method, inheritance and composite-object. In step of allocation, we have defined the objective function for allocation considering system operating cost including storage, query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and implemented it using Genetic Algorithm.

      • KCI등재

        기업보수주의 측정으로 회계정보가 배당정책에 미치는 연구 (내부회계 관리제도 관점에서)

        이순미,유연우,Lee, Soon Mi,You, Yen Yoo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8

        본 연구는 기업보수주의 측정으로 회계정보가 배당정책에 미치는 연구를 내부회계 관리제도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검증은 한국은행 (2019) 「2018 년 기업 경영 분석』과 한국 생산성 본부의 기업분석 중 유가증권 상장기업 (코스닥, 금융업은 제외) 543개의 기업을 표본 (12월 결산 법인으로 상장기업 공개된 재무자료) 으로 구성하였다. SPSS 22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회귀 분석으로 실증분석 하였다. 첫째는 기업 보수주의와 배당정책 역할과 관련되는 검증으로써, 내부회계 관리가 재무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검증이다. 둘째, 내부 회계 관리가 존재하는 경우, 보수주의와 투자정책 (사내유보, 부채차입, 자본증자, 배당 등) 이 회계정보에 따라 기업 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검증이다. 그 결과 내부회계 관리 제도의 관점에서 회계정보의 변수중 수익성이 재투자의 기업 가치평가 방식으로 기업보수주의 와 배당정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기업 보수주의가 잉여금 및 사내 적립금 등 자본 축적 재투자로 인한 수익성 대비 가치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추후 내부 회계 관리제도의 취약점 개선과 지배구조의 관련성으로 기업보수주의와 배당정책의 상호보완성을 연구 논의하기로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ccounting information on dividend policy as a measure of corporate conservatis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ternal accounting management system. The verification is based on a sample of 543 companies listed on securities (excluding KOSDAQ and financial industry) among the Bank of Korea (2019) 「2018 Corporate Management Analysis」 and company analysis of the Korea Productivity Center (financial data disclosed as listed companies as a December settlement company) was composed. Using SPSS 22,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first is the verification related to corporate conservatism and the role of dividend policy, and it is verification of whether internal accounting management influences financial decision-making. Second, if internal accounting management exists, it is a verification of how conservatism and investment policies (in-house reserve, debt borrowing, capital increase, dividends, etc.) affect the corporate value according to accounting information. As a resul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ternal accounting management system, it was found that among the variables of accounting information, profitability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conservatism and dividend policy as a corporate valuation method of reinvestment. In addition, it has been proven that corporate conservatism has an effect on profitability-to-value through capital accumulation and reinvestment such as surplus and internal reserves. In the future, we will study and discuss the complementarity of corporate conservatism and dividend policy in relation to governance structure and improvement of the internal accounting management system.

      • KCI등재

        丹陵 李胤永(1714-1759)의 繪畵世界

        이순미(Lee Soon-mi) 한국미술사학회 2004 美術史學硏究 Vol.- No.242·243

        본 논문은 평생 出仕를 거부하고 벗들과 낭만적인 詩文과 書畵활동을 하며 명승명소를 유람하는 등 隱者的 삶을 살았던 文人畵家 丹陵 李胤永(1714-1759)의 생애와 작품세계를 살펴본 것이다. 李胤永은 字가 胤之이며 號는 1741년경에 지었던 서재 이름을 따라 澹華齋, 1748년경에 明紹先生 그리고 단양에 은거한 이후로 丹陵山人, 丹丘處士라 했다. 단양에 은거하는 동안에는 蒼露亭과 棲碧을, 서울로 돌아와서는 水品樓라는 정지를 세웠다. 이윤영의 집안은 조선 후기 문예와 정치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던 金昌翕(1653-1722) 등 安東 金氏 집안과는 혼인으로, 李喜朝(1655-1724) 등 延安 李氏 집안과는 학맥으로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가계의 배경은 이윤영의 문예적인 측면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시인이자 서회수장가로 잘 알려진 族大父 李秉淵(1671-1751), 정치적으로 영향이 컸던 仲父 李台重(1694-1756), 處士的 삶을 살았던 스승 尹心衡(1698-1754) 등에게 학문과 서화 등 문예 전반에 영향을 받았다. 특히 이윤영은 스승 윤심형이 주장한 문장의 궁극적 목표는 道를 깨치는 것에 있다는 因文悟道를 계승하여 文을 통해 道로 나아가는 문예관을 문학, 서화 등 문예활동 전반에 적용하였다. 그는 그의 문예활동을 ‘대나무를 傅神하고 눈속의 芭蕉에 寫意한다.’라는 회화와 관련된 傅神과 寫意로서 요약하였다. 이것은 대상물의 외양을 배제하거나 요약하여 그 안에 정신을 구현하려는 것으로 창작자의 기교보다 마음가짐을 중시하는 寫意的 藝術觀이다. 이윤영은 서로의 집을 오가면서 詩文을 교환하고 서화를 함께 감상하고 제작할 만큼 절친했던 친구 李麟祚(1710-1760)과 이러한 사의적 문예관을 함께 추구하였다. 이윤영의 사의적 문예관은 그에게 周易을 배우면서 학문적으로 영향 받았던 朴趾源(1737-1805)을 비롯한 19세기 北學派의 사의적 예술관에 일정한 영향을 주게 된다. 이윤영은 진흙에서 피어났음에도 아름다움을 뽐내는 연꽃을 혼탁한 세상에 홀로 서 있는 君子의 모습으로 보았다. 그는 〈西池白連圖〉를 비롯한 〈蓮花圖〉 등을 즐겨 그러면서 평생 소망했던 군자의 삶을 연꽃을 통해 표현하였다. 또한 그는 산수를 배경으로 한 芽亭圖나 峻石을 주제로 한 山水圖 등 절개를 상징하는 소재에 지신의 내면세계를 담아내었다. 그는 趙榮?(1686-1761) 등의 선배화가와 畵譜類, 明代 吳派와 安徽派 등 다양한 畵風을 섭렵하여 개성있고 문기있는 작품세계를 보여 주었다. 특히 그가 좋아했던 峻石의 표현에 안휘파의 암석 표현을 적극 수용하였다. 은거 이전의 〈樹石圖〉, 〈皐蘭寺圖〉에서는 굵은 필선의 둥근 윤곽선과 각이 진 형태의 암석으로 나타낸 반면에 1751년 단양 은거 이후의 〈龜潭圖〉. 〈道譚三峰圖〉에서는 거칠고 단단한 느낌의 필선으로 괴석과 같은 암석에 자신이 지향하는 정신성이 드러나도록 화면을 재구성하였다. 安徽派 화풍의 수용은 사물의 형태보다 작가의 정신성을 추구하는 그의 寫意的 藝術觀의 표현에 적절하였던 것이다. 이윤영은 조선시대 18세기 회단의 중요한 경향이었던 寫意的 文人畵의 흐름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인물이다. 자신을 완성하는 道의 길과 문학, 서화 등 예술의 길을 동일시하였던 그의 예술관과 작품들에 대한 이해는 18세기는 물론 19세기 北學派의 寫意的 文人畵를 이해하기 위해 꼭 필요한 작업이라고 본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life and art of Lee Yun-yeong (李胤永, 1714-1759), a literati painter who lived as a hermit refusing to engage in political activity and devoting himself to writing and painting, and visiting beautiful and famous places for life time. His nickname was Yun-ji (胤之) and he had several pen names. For example he used pen name Damhwajae (澹華齋) after the name of his library in 1741, Myeongsoseonsaeng (明昭先生) in 1748, and Danreungsanin (丹陵山人) and Dangucheosa (丹丘處士) while living in retirement in Danyang (丹陽) province. He built pavilions such as Changhajeong (蒼霞亭) and Seobyeokjeong (棲碧亭) while living in Danyang, and constructed Sujeongru (水晶樓) when came back to Seoul. Lee Yun-yeong's family established close relationship with academically and politically influential families They had marital relations with Kim Chang-heup (金昌翕, 1653-1722) from Andong (安東) Kim family, the most influential family in the later period of Joseon dynasty and academic relations with Lee Hui-jo (李喜朝, 1655-1724) from Yeonan (延安) Lee family. Such a family background is an essential condition to understand Lee Yun-yeong's art and literature. He was largely influenced by his elder relatives including Lee Byeong-yeon (李丙淵, 1671-1751) who was well known as a poet and fine art collector, Lee Tae-jung (李台重, 1694-1756) who was politically influential, and Yun Sim-hyeong (尹心衡, 1698-1754) who was a teacher of him and scholar in retirement. In particular, Lee Yun-yeong inherited his teacher Yun Sim-hyeong's Inmunodo (因文悟道) that ultimate goal of cut is to realize truth. He applied such a view to his art work as a whole including literature cu1d painting. He summarized his art ‘portray the inside of bamboo and express your mind through banana plant in snow (傅神盆上竹 寫意雪中蕉).’ This is an art view emphasizing artist' s mind rather than artistic skill by excluding or summarizing outward appearance of objects in order to represent soul hidden inside of them. He shared such view of art with his very close friend Lee In-sang (李麟祥, 1710-1760). They exchanged poems, appreciated and created paintings together. Lee Yun-yeong's literati painting pursuing mind influenced, to some extend, advocates for Bukhak school (北學派) in 19th century pursuing pragmatic and reformist values, including Park Ji-won(朴趾源, 1737-1805) who was taught the Book of Changes (周易) and academically influenced by him. Lee Yun-yeong showed unique and literary painting style by being influenced by senior painters including Jo Yeong-seok (趙榮?, 1686-1767) and partially accepting painting styles of Wu school (吳派) and Anhui school (安徽派) in the Ming dynasty. He tended to paint very symbolic objects reflecting spiritual world. He painted many pavilions or big, beautiful stones against background of mountains and waters, When he tried to portray big and beautiful stones, one of his favorite objects, he adopted Anhui school style. Before going into hermitage, he portrayed angled stones and rocks very with thick round lines, as shown in Suseokdo (樹石圖) and Goransado (皐蘭寺圖). But, after going into retirement in Danyang (丹陽), he almost perfectly represented his own spiritual world by recomposing and recreating strangely-shaped rocks with rough line, as shown in Gudamdo (龜潭圖) and Dodamsambongdo (圖潭三峰圖). His adoption of the Anhui school' s painting style was very appropriate to his literati painting pursuing mind by excluding or summarizing the outward appearance of objects. Lee Yun-yeong loved lotus flower very much. That is because he thought that as a flower blossoming in the mud, it resembles a Wise man (君子) who stands alone in the corrupt world. He tried to portray the life of a Wise man whim he wanted for life in Seojibaekyeondo (西池白蓮圖) and Yeonhwado (蓮花圖). Lee Yun-yeong is a crucial figure in understanding the stream of literati painting pursuing mind which was a very important painting trend in 18th century. Understanding his art work and view of art identifying the way to truth

      • KCI등재
      • KCI등재

        생애과정의 복합적 탈근대화와 가족화와 개인화의 이중적 과정

        이순미(Soon-Mi Lee) 한국사회학회 2014 韓國社會學 Vol.48 No.2

        이 연구는 생애과정 접근으로 가족과 젠더라는 근대성의 변화를 추적하고 이를 통해 한국의 개인화 현상을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의 생애과정 구조변화를 탈성별화와 계층화의 이중적 과정으로 인식하고, 이를 ?생애과정의 탈근대화?로 개념화하였다. 분석에는 한국노동패널 1차~12차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1955-1974년생들을 출생코호트별로 구분하여 15-36세까지의 성인기 이행 연령 구조 및 배열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고학력 남성을 중심으로 한 근대성의 지속과 여성들의 탈근대적 생애과정이 혼재되어 있는 ?복합적 탈근대화?의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새로운 생애과정의 등장이라 할 만한 변화는 여성들에서만 존재하였고 남성들의 생애과정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또한 이것이 여성의 탈성별화 경향과 남성의 부양자 경로 지속이라는 변화의 ?방향?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이 때문에 상당기간 동안은 여성들이 가족책임을 전담하는 구조가 지속될 것이나 이때의 가족책임은 노동을 통한 독립성의 추구와 같이 가기 때문에 ?가족화를 동반한 개인화?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저학력 집단을 중심으로 ?가족화를 동반한 개인화?의 위험의 측면이 부각되는데, 교육과 취업에서의 동등 성취 경향으로 저학력 남성은 파트너십 형성이 어려워지고(위험의 개인화), 저학력 여성은 독립적 삶을 유지하기 어려우므로 다시금 가족에 의지하게 되는 모순적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강제된 가족화). 이때의 위험은 전자에서는 연대의 부재, 후자에서는 개인의 부재이다. 반면 고학력 남성의 가족 이행은 개인화의 차원보다는 근대적 의미에서의 가족화의 연장선에 놓인 것이었다. 따라서 생애과정의 복합적 탈근대화는 가족화와 개인화의 이중적 과정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ttempts to figure out some features of Korean individualization, based on the result of tracing the change of modernity such as family and gender through approach of Life-Course perspective. To this end, I suggest recent structural changes of life course as dual processes of de-gendering and stratification and then conceptualized such changes into post-modernity of life course. For analysis, I used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and analyzed the age structure and sequence of the transition to adulthood of people aged from 15 to 36 by classifying people born in 1955 to 1974 into birth cohor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mplex process of post-modernity was found, which concurrently contains modern life course of men and post-modern life course of women. New patterns of life course is founded in women, but not man. Moreover, such gender difference was found to contain issues related to de-gendering of women and the direction of changes, which are the continuance of male-breadwinner norm of men. Based on such outcomes, women are expected to fully take responsibility for family affairs for long time, but women with high educational level will seek labor life course encompassing family because family responsibility goes with the seeking of independence through labor. This can be called as ?individualization accompanying with familization?, However, risks can be posed in the individualization accompanying with familization among the group with low educational level. Men with low educational level face with the difference in forming partnership due to the equal achievement in education and job(individualization of risk), while women with low educational level have difficulty in maintaining independent life and have tendency to rely on their family(coerced familization). In this regard, the risk in the former situation is the lack of solidarity and that in the latter is the lack of individualism. Whereas family-formation transition of high educational men was left familization, which has continuace of modernty rather than individualization. Therefore complex process post-modernity is experienced by dual process of familization and individualization.

      • KCI등재

        한양 北里 淸風溪의 장소적 의미와 鄭敾(1676~1759)의 〈淸風溪圖〉

        이순미(Lee, Soon-mi)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72 No.-

        한양의 문사들은 17세기를 전후해 재야의 山林과 달리 스스로를 ‘城市山林’이라 인식하며 현실의 공간에서 명공과 처사의 삶을 동시에 실현하고자 하였다. 성시산림의 공간이었던 金尙容의 淸風溪는 탈속과 충효의 이념성을 지니며 조선후기 한양 北里 문예활동의 대표 장소였다. 鄭敾과 청풍계와의 관계는 그의 고조부 鄭演이 청풍계 집안과 교류하며 시작되었고 그가 활동할 당시까지 지속되었다. 김상용의 출처에 영향받았던 그는 청풍계에서 이병연 등의 한양문사들과 학문과 시회 등의 모임을 공유했고 청풍계주인 金時保로부터 학문과 작화활동 등에 영향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고려대학교박물관소장 〈淸風溪圖〉는 1731년 10월 국가가 劉希慶에게 旌閭門을 하사한 사건과 관련되어 제작된 정선의 〈劉村隱林庄圖〉와 함께 한양 유거지 그림에의 관심을 확대시켰을 것이다. 정선은 청풍계의 자연적인 경관과 김상용의 절조 등의 이념성을 조화시키고자 강한 필치와 독특한 구도를 사용하여 청풍계도 를 제작하였다. 1732년경의 작품들은 이후의 청풍계도 제작에 영향을 주었다. 특히 정선의 말년 작품인 《壯洞八景帖》의 〈청풍계도〉에서는 간략한 구도와 빠른 필치로 장소의 특징만을 간일하게 그렸다. 정선의 〈청풍계도〉는 한양진경산수화풍의 성립과 전개 방향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Unlike the intellectuals in the countryside around the 17th century, the intellectuals in the capital recognized themselves as “Sungshi Sanlim” (Crowd of intellectuals in the capital city) and tried to realize a life of fame and achievement along with a hermit in a real space at the same time. Kim Sang-yong’s Cheong-poong-gye became a symbolic place of escaping-reality-like literary activities in Hanyang Buk-ri of late Chosun dynasty as the space of escaping reality of Sungshi Sanlim, in addition of emphasizing the ideology of loyalty to king and par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Cheong-poong-gye and Chung Sun was established when his high-grandfather, Chung Yean interacted with the family of Cheong-poong-gye, and the relationship continued during the time of his activities. Cheong-poong-gye to Chung Sun was the gathering place where he shared his academics and poetry with the friends like Yi Byung-yeon, including the staying and hiding from reality (Chool-Cheo) of Kim Sang-young, while Kim Shi-bo, the master of Cheong-poong-gye, was assumed to be the person who influenced Chung Sun’s academic establishment and painting activity. He harmonized the natural scenery of Cheong-poong-gye with the philosophy of Kim Sang-yong, such as controlled in tune, in production of Cheongpoonggyedo featuring strong brush-strokes and a unique composition. His paintings around 1732 had a continuous influence after establishing typification. In particular, the Cheongpoonggyedo in 《Jangdongpalkyungcheop》, a fine work of his later years, featured the characteristics of a simple composition centered on scenic objects and high-speed brushwork, as if he wanted to tell only the features of the place. Chung Sun’s Cheongpoonggyedo can be a representative work that specifically shows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Hanyang Chingyong landscape painting style.

      • KCI등재

        가족중심주의와 개인화 사이의 한국 가족

        이순미(Lee Soon Mi) 한국가족학회 2014 가족과 문화 Vol.26 No.3

        이 연구는 세대관계의 현상 이면에 존재하는 잠재적 구조유형을 통하여 개인화 시대의 가족의 변화를 분석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첫째, 의존과 부양이라는 규범적 틀 내로 제한되었던 기존의 세대관계 차원을 친밀성의 관계적 차원까지 확장하여 물리적 연결구조, 기능적 교환 관계, 친밀성을 세대관계의 주요 하위 차원으로 설정하였다. 둘째, 친족관계의 방향과 내용 변화의 축이 딸을 중심으로 전개됨을 고려하여 아들과 딸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개인의 자율성과 연대의 공존 차원에서 한국 가족의 다양성을 분석해야 한다는 관점 하에 개인주의와 가족중심주의의 연속선 상에서 세대관계의 잠재유형들을 위치짓고 해석하였다. 아들과 딸의 세대관계 잠재유형 분석 결과, 아들은 '동거밀착형, 동거의무형, 별거의무형, 약한 교환-별거친밀형, 약한 교환-접촉형, 분리형'의 6가지 유형이, 딸은 '동거밀착형, 별거밀착형, 비교환-별거친밀형, 비교환-접촉형, 분리형'의 5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이 중 아들의 '의무형'과 딸의 '별거밀착형'은 성별 특수한 관계유형이며 비중도 가장 크다는 점에서 아들의 세대관계는 규범적ㆍ의무적인데 반해 딸의 세대관계는 부모와의 깊은 감정적 연결을 특징으로 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또한 이들 각각의 세대관계 유형별로 연령, 혼인상태, 가족주의의 차이가 존재하고, 이러한 유형간 차이들이 성별에 따라 상이한 패턴으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대관계 유형을 개인주의와 가족중심주의의 연속선 상에 배치한 결과, 한국 가족의 세대관계는 2010년 현재 개인은 부재하고 가족이 우선시되는 가족중심형의 규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딸의 경우는 가족중심형 못지 않게 개인주의가 수용되는 모델들이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고 있는 반면, 아들은 가족중심형과 개인주의적 가족형으로 이원화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아들의 개인주의 발현은 소원형과 분리형처럼 세대간 유대가 단절되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반면, 딸은 정서적 관계성에 기반한 유대 속에서 개인주의가 발현되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세대관계가 개인을 억압하지 않고, 또 개인주의가 세대관계를 배제하지 않는 것이 이상적이라 할 때 딸의 세대관계 행위양식이 아들보다 훨씬 더 이상형에 가깝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change of family in era of individualization through intergenerational latent structure analysis. To this end, taken together with functional aspects of intergenerational relations(exchanges of assistance) and opportunity structure(frequency of contact and residencial type), I consider affective dimension such as intimacy. And then, I analysis to distinguish between sons and daughters, so that focus on gender as key factors of diversity in the intergenerational relations. Further, I situate clusters of intergenerational relations in the continuum of familism and individualism and interpret the diversity of Korean families in perspective that goes with autonomy of individual and solidar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ons' intergenerational relations were 6 clusters, which contains 'cohabitation-tight-knit, cohabitation-obligatory, separation-obligatory, weak exchange-separation-intimacy, weak exchange-contact, detached'. Daughters' type were found 5 clusters, which contains 'cohabitation-tight-knit, separation-tight-knit, non exchange-separation-intimacy, non exchange-contact, detached'. The result suggests that sons' intergenerational relations are characterized by being normatively and obligatorily, while that of daughters are characterized by strong attachment. Relationship types are also differentiated by age, marriage-state, familism, and gender. Interpreting relationship types by quality of individualism and familism, the family-oriented was dominant type of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s in Korean families. However for daughters, the models accepted individualism were evenly distributed as well. whereas that of sons were tend to be bimodal with family-oriented and individualistic family types. While the individualism of sons have direction toward disconnection from relationship with parents, that of daughters goes with cohesion based on affinity. It can conclude that daughters'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 are closed the ideal type which goes with autonomy and solidarity rather than that of sons.

      • KCI등재

        일-가족 분담 패턴에 내재한 젠더 질서의 지속성 : 첫째 자녀 출산 전후 부부의 경제활동 시퀀스를 중심으로

        이순미(Lee, Soon-Mi) 한국가족학회 2012 가족과 문화 Vol.24 No.2

        This study analyzes changes in gender order in the work-family division patterns of marital couples before and after their first childbirth by birth cohort from 1950s to 1960s, based on KLIPS data. For this end, this study also deals with the argument of Beck-Beck Gernsheim who recognizes post-modern changes in family/intimacy as duplicity of de-familization and re-familization, and a paradox of individualization that enhances and reproduces a typical lifestyle of gender by considering the decision on work-family division as individuals' reasonable choice or their own responsibilities. Couples' career is classified into five types by creating 16 work career sequences through classifying economic activities for four years (from the year before first childbirth to two years after first childbirth): consistent employment during childcare; suspension of employment during childcare; employment after childcare; consistent unemployment. Then, work-family division patterns a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models by integrating career of husband and wife: traditional model; reverse role model; labor-concentrated model; shift role model; cut-down labor model.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during the first childbirth and childcare, most couples belong to a traditional model in division of family responsibilities and labor market. Especially, according to the recent cohort, although the employment of husbands is not stable and their wages are insufficient, the traditional model is dominant. These factors are the main causes of instability of family because male breadwinner model has lost its basis but still remains as the main working force in family and labor markets. 이 글은 KLIPS 자료를 이용하여 1950년대와 60년대의 출생코호트별로 유자녀 기혼부부의 초기양육기 일-가족 분담 패턴에 내재한 젠더 질서의 변화(지속)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가족/친밀성 영역에서의 후기 근대적 변화를 탈가족화와 재가족화의 이중성으로 인식하는 벡과 벡-게른샤임의 논의, 부부들의 일-가족 분담 결정을 개인들의 '합리적 선택', '자기 책임'으로 만들어버림으로써, 젠더 전형적인 삶을 강화하고 재생산하는 개인화의 역설에 대한 논의들을 검토하였다. 부부의 직업경력은 초산 전년도에서 초산 후 2년까지 총 4년 동안의 경제활동상태를 1년 단위로 구분하여 총16개의 경제활동 시퀀스를 만든 후, 이를 양육기 취업지속형, 양육기 취업단절형, 재취업형, 양육기 후 진입형, 미취업 지속형의 5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그런 다음, 남편과 아내의 직업경력을 통합하여 전통형, 역할역전형, 노동전념형, 역할교대형, 노동축소형의 5가지 일-가족 분담 유형을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자녀의 출산과 양육기 동안 부부들이 노동시장과 가족책임을 분담해 온 방식은 최근까지 성별분업의 전통적 모델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특히 최근 코호트에서 남편들의 고용이 불안정해지고 근로소득도 불충분해지고 있음에도 전통적 모델이 지배적인점은 남성생계부양자 모델의 물질적 기반은 해체되고 있으나 여전히 가족과 노동시장의 주요작동 원리로 남아있어 가족의 불안정성을 더욱 가중시키는 주요 원인이 된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논문(論文) : ≪노걸대(老乞大)≫에 보이는 긍정응답어 "가지(可知)" 고찰

        이순미 ( Soon Mi Lee ) 중국어문연구회 2014 中國語文論叢 Vol.0 No.61

        本論文以≪舊本老乞大≫爲基本資料,對收錄在≪舊本老乞大≫中的肯定性應答詞組進行了調察,倂且對肯定性應答語“可知”的用法及變遷進行了考察。得出如下結論:第一、我們在≪舊本老乞大≫中可以看到五種類型的肯定性應答詞組:“道的是”、“可知”、“진敎”、“那般者”、“好好”等。第二、其中,作爲肯定性應答語的“可知”在≪舊本老乞大≫中可以看到例,在≪飜譯樸通事≫中則看到例。其形式爲「“可知”+對對方的話的反復或補充」。這種形式的“可知”在元明代戱劇中也能看到。由此可見,“可知”在近代漢語中的確有作爲肯定性應答的用法。這種用法的“可知”到淸代版本中一部分改爲“是”,其他被刪除不再使用。第三、我們在≪老乞大≫≪樸通事≫的詞彙書≪老樸集覽≫中可以發現對“可知”的解釋:그러아니려(“可不是마”);又그러커니□나(“是아、就是”)。這是崔世珍正確把握“可知”的用法的結果。而漢語詞典中却未收錄作爲肯定性應答語“可知”的用法,我們認爲辭書裏有關“可知”的義項要補充收錄。筆者認爲,≪老乞大≫≪樸通事≫兩書是以對話形式爲編纂的會話書,因此,兩書在分析談話的硏究方面上也可以作爲一項흔重要的資料。

      • KCI등재

        노동경력과 가족경로 분석을 통해 본 청년기 연장(long youth)의 젠더 차이

        이순미(Lee, Soon-Mi) 한국여성학회 2017 한국여성학 Vol.33 No.2

        이 연구는 ‘위기에 처한 청년’ 담론이 가진 남성중심성과 ‘독립’ 혹은 결혼 정상성의 규범성을 비판하기 위한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선험적 가정을 전제하지 않는 발견적 접근을 취하는 배열분석을 방법론적 전략으로 채택하였다. 구체적으로 노동패널 17개년 자료를 이용하여 청년층의 거주형태 배열분석을 중심으로 개인의 일대기적 선택과 기획에 가족이 접합되어 있는 정도와 방식, 그리고 그것의 성별차이를 분석하였다. 2,30대 청년기를 결혼 바깥에서 통과하는 청년들의 규모는 남성은 63.9%, 여성은 45.9%로 상당한 수준이나 이러한 탈근대적 청년기 경로가 경제적 강제인 점은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분명하게 나타났다. 또한 탈근대적 청년기 경로 중 부모와 장기간 동거하는 ‘가족주의적 청년기 연장형’의 경우, 남성은 일방적 의존이 아니라 기존의 가족주의와는 다른 대안적 관계성이 구성될만한 유형이 존재하였으나 여성은 부모에의 의존이 지배적이었다. 이는 청년 여성 대부분이 저임금 노동이나 시장배제로 수렴되는 상황과 밀접히 연관된다. 결국 결혼이 부모에의 의존으로 대체되면서 여성에게 탈근대적 청년기 연장은 결혼 중심, 남성 중심의 삶에 균열을 내는 지속가능한 생애모델이기보다는 결혼 중심 생애모델의 일시적 유예에 머물 가능성이 크다. 이상의 결과는 여성의 자율성 실현이 결혼 이외 다양한 선택지에 대한 사회적 인정체계의 확립을 요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 향상을 위한 제도적 조치와 함께 불안정한 생애전망에도 불구하고 자율성을 실현할 수 있는 개인 단위의 사회정책, 로맨스를 벗어난 관계모델의 구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dismantling of male-centrality and normality for independence or marriage of the discourse ‘Youth in crisis’. To this end, I used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and analyzed gender difference of career trajectory and family pathway, which is focused on articulation of family and individual biographical project. First, the size of post-modernity youth pathway type, which they did not marriage and living together with parents or alone during aged from 20 to 39, accounted for a considerable part to 63.9% of men and 45.9% of women. But It was more apparent to women than men that post-modernity pathway was resulted by economic crisis. Second, for men, some of ‘long youth in familism’ types among post-modernity pathway, could have been interpreted as an alternative relationship not unilateral dependence. However for women, the types were dominated by unilateral dependence. This is closely linked to situation in which most young women converge on low-wage labor and market exclusion. It can conclude that young women’s dependence on parents is to be replaced by marriage, So post-modernity youth pathway is more likely to be a transitory suspension of the marriage-centered life model than to the sustainable life model that breaks the male-centrality and normality for marri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