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도중복 장애학생 수업구성을 위한 "기초적 관계"(Elementare Beziehung)이론 분석

        이숙정 ( Suk Jeong Rhi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8 No.4

        대부분의 중도중복 장애학생들이 직면하는 의사소통 및 주변세계와의 관계 형성 어려움에 근거해볼 때, 그들과의 교육은 의사소통 및 관계형성을 출발점으로 하며, 수업 역시 의사소통 관계적 측면에 중점을 두고 구성하는 것이 기본적 원리라 할 수 있다. 바로 이러한 관계적 측면을 핵심으로 삼은 독일 중도중복 장애학생 교육이론인 "기초적 관계" 이론에 대해 인식론적 근거를 분석논의하고, 이 이론이 제시하는 수업 구성 원리의 구체적 사례를 분석하는것이 이 연구의 주요내용이며, 이를 통해 중도중복 장애인의 교육가능성에 대한 사유의 폭이확대되고, "기초적 관계"이론이 국내 중도중복 장애학생 교육현장에 변용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한다. The phenomena of communication and relations of the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their educational environment can be characterized as defect relationship, mainly due to the misunderstanding or neglecting of the first care-givers/teachers on their communicative requiring and purposing. Regarding these aspects, debates and arguments on learning and teaching to these children should be started with a fundamental question such as how they communicate or construct their own world, followed by the philosophical and anthropological reflecting on the existence of human-beings. In this paper, the elements and principles of theory "elementary relation" ("Elementare Beziehung) of B. Fornefeld, a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Cologne in Germany, as an instructional concept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ere presented. Some of those principles are based on the philosophy of communication Bodenheimers, Body-Phenomenology of Maurice Merleau-Ponty and developmental theories like the attachment theory J. Bowlbys. In addition, a sample of effective instruction according this elementary relation-concept was introduced and analyzed and finally some issues of this relationship-oriented approach to these children were discussed.

      • KCI등재

        인터넷 동호회 활동을 통한 장애아 부모들의 상호작용 유형 분석

        이숙정 ( Suk Jeong Rhie ),이경아 ( Kyung Ah Le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8 No.1

        이 연구는 비교적 불특정 다수의 회원과 익명성이 지배적인 인터넷 동호회 활동에서 포착되기 힘든 회원간의 상호작용 유형을 근거이론에 바탕하여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장애아를 둔 부모가 장애 대처 전략으로서 구성하는 동호회 상호작용 유형을 분석하고 나아가 상호작용을 통한 고립감 극복 및 대처에 대한 이론모형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해당 부모는 자녀의 장애로 인한 심리적 충격과 더불어 ‘도움이 필요한’인과적 조건에서 인터넷 동호회를 통하여 같은 경험을 가진 동질집단을 만남으로써 ‘고립에서 벗어나고자’하였으며, 중심현상으로서‘정보를 얻고자’여러 대처전략을 시도하였다. 나아가 부모들의 상호작용 및 장애 대처 전략 유형을 결정하는 데는 맥락적 조건(회워가입시기, 사례글 작성시기, 진술방식)과 중재조건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사이버 동호회는 해당 부모들에게 안전한 쉼터와 아고라로서의 공간을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of an interactive model between the web site club-members in cyber space. A club in cyber space has a large anonymous membership in general, so it is in need of specific methodical approach to find out the interactive relations and influences.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of Strauss & Corbin(1998), a self help-club in cyber space of parent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ADHD)in Korea and its interactive styles as coping strategy were analyzed to construct an theoretical model of interaction between their parents. The results showed their interaction started from a causal condition "need help" and "shock" and through the interactions with various forms(encouraging, express their feelings, information etc.), the parents tried to overcome their shock and could accept the handicaps of their children. Furthermore there are another factors, which influence complexly how to build their own coping strategy: 1) contextual conditions (period of membership, the time of writing out and styles of messages) and 2) medial conditions(the quality of information and the types of delivering messages). In the various communicative styles of interaction provides this self-help club for parents 1) security base 2) "agora" for their social-political participation.

      • KCI등재

        중도· 중복장애학생 학교교육 현황에 관한 일고찰

        이숙정((Rhie Suk Jeong) 한독교육학회 2010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5 No.1

        중도⋅중복장애 학생이 교육현장에서 어떤 교육을 받고 있는지 설명하고, 그들의 교육 요구에 비추 어볼 때 현재의 교육현실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를 설명하기 위해 중도⋅중복장애 학생이 재학 중인 특수학교 48개교를 대상으로 84부 설문지 자료를 근거로 학교교육 현황을 2개 영역으로 구분, 1)해당 장애학생에 대한 전반적 인식 및 해당 학생을 위한 학교의 교육기반 영역과 2)교육과정 운영 영역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중도⋅중복장애 학생 담당교사는 해당 학생이 지닌 능력과 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충분하지 못하며, 교육과정 등 관련 자료 부족을 이유로 해당 학생을 위한 적합한 교육활동에 대한 확신이 부족했다. 특히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서 막연히 알고 있는 직무상의 어려움과 실제 느끼 는 어려움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는 교육활동에 대한 교사의 이론적 반성이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했 다. 특수학교 교원양성 과정이나 연수과정에 특히 ‘표준전공이론’을 통한 보완조치 논의가 해결의 실마 리를 제공하리라 기대한다. With increased efforts to educate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here was not been an accompanying evaluation of current curricular implementation. Especially, the opinions of special educators have not been secured regarding curricular implementation for these students. This study is conducted to appreciate the implementation of school-curriculum in special educational school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he survey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o seek information from respondents. In order to validate contents of the survey, 15 special teachers were asked to identify the items from the questionnaire that teachers could influence. The survey included 22 indicators of the curricular basement area and 17 indicators of the curricular implemental area. A Sample of 84 special teachers who serve these students in special school nationwid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respondents showed low degrees of recognizing of capacities and abilities of these students and they showed their uncertainty and helplessness in their own teaching-activities. To overcome these pedagogical limits, it is to propose an alternative policy for university-curriculum or teacher-training program like standard-qualification in terms of mastering about certain educational theories for these students. With the appropriate curricular contents and strategies could these educational political consent enhance the safety in the praxi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증거기반 실제의 질적 지표에 근거한 자폐성장애인 상황이야기 중재 단일대상연구 문헌분석

        이숙정(Rhie, Suk Jeong),강윤아(Kang, Yoon Ah) 한국자폐학회 2020 자폐성 장애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국내에서 단일대상연구를 적용한 자폐성장애인 상황이야기 중재연구가 증거기반실제(Evidence Based Practice)에 부합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질적지표에 의거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자폐성장애인을 위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국내에 최초로 발표된 2000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상황이야기 중재 단일대상연구 23편을 분석하였다. 중재연구의 일반적 특성은 ①연구대상 특성, ②방법론적 특성, ③독립변인, ④종속변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증거기반 실제에 부합하는 정도는 Reichow 등(2008)이 제시한 질적지표에 근거하여 단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중재의 일반적 특성 분석 결과, 첫째, 국내 상황이야기 중재는 6~11세 이하 연령의 초등학생 및 경증장애 아동에게 가장 많이 적용되었으며, 둘째, 상황이야기 중재연구는 특수학급과 클리닉(센터)등 주로 제한적인 환경에서 적용되고 있었다. 셋째, 상황이야기 중재는 주로 다른 중재들과 결합되어 사용되었으며, 넷째, 주요 종속변인은 사회적 상호작용이 가장 많고, 문제행동과 의사소통이 그 뒤를 이었다. 그 다음 증거기반 실제의 질적 지표에 근거한 분석 결과, 분석논문 중 증거기반 실제의 ‘높음’ 수준에 해당하는 연구는 없었고, ‘적절함’ 수준은 14편(60.9%), ‘미흡함’ 수준은 9편(39.1%)으로, 이는 국내 상황이야기 중재연구가 증거기반 실제의 상위 수준인 ‘과학적 기반의 실제(Established-EBP)’에 해당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논의에서는 자폐성장애인 상황이야기 중재연구의 질적 측면에서 증거기반 실제 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세부 요소를 검토하고 향후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with qualitative indicators to determine whether Social Stories research for autism spectrum disorder(ASD) conducted in Korea with the single-subject research is consistent with evidence-based practice. For this purpose, journal articles from 2000 to 2019 were systematically searched via research databases, and a total of 23 studies were chosen based on criteria for this study. General research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classifying them in four categories; subject characteristics,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The degree of conformity with evidence-based practice was analyzed through a multi-step process based on the qualitative indicators presented by Reichow and colleagues (2008). The result of the analysis based on qualitative indicators of evidence-based practices found no studies corresponding to “Strong” levels of the rigor of research reports, 14 studies(60.9%) with “Adequate” levels, and 9 studies(39.1%) with “Weak” levels. These results of evaluation of research report regor can be assessed as “established evidence-based practies(E-EBP)”, which is the highest level of evidence-based practice. The discussion reviews factors that enhance the level of evidence-based practice in terms of the quality of Social Stories for ASD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장애전문어린이집 과연령아동 보육활동 실태 및 교사요구 분석*

        박유정(Park Yu-jeong),이숙정(Rhie Suk-jeong)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8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매년 증가추세를 보이는 초등학교 취학면제 과연령 장애아동의 제반 보육 현황 을 파악하여 이들의 적절한 교육지원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설문 연 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소재 21개 장애전문어린이집과 이곳에 근무하는 38명 의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과연령아동의 보육현황과 교사의 요구를 설문조사 하였다. 연구의 주요결 과로서, 장애전문어린이집 재원중인 과연령아동은 총 134명이며, 취학연령 이후의 재원기간은 대 부분 6년 미만으로 확인되었다. 과연령아동의 장애유형은 중도·중복장애가 단순장애의 4배에 달했 으며, 과연령아동의 보육활동은 주로 생활기능 및 신변자립 활동에 중점을 두고 진행되었다. 또한 연구에서는 과연령아동의 보육활동 및 보육관련 제반환경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검토하고, 이와 관련한 교사의 요구를 분석하여, 초등학교로의 전환교육 필요성과 부모 및 기관간 협력의 중요성, 나아가 중도·중복장애 과연령아동의 요구에 적합한 보육활동을 위한 행정적, 재정적 지원이 필요 함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the current enrollment status of the over-aged children, child care services and the environments in special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which specializes in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by analyzing the teachers needs in the facilities.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38 teachers in charge of the over-aged children from 21 daycare centers. The analyzed outcome of this survey is as follows. There are 134 over-aged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out special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ngi Province. There are more boys than girls ages 6 to 8 years old. Severe handicapped-multiple handicapped is 4 times more severe than simple disabled. Based on the standard of mixed by age, over-aged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 placed in classes. Child care services are mostly in the main group standard of child care services depending on the Nuri course. Then the program moves to the IEP and the disabled’s living function and their personal self-reliance activities follow after. Considering the child care services and all the related environment for the disabled over-aged children in specialized daycare center, they lack communication with other organizations related to health and cure even though they have the highest interest in over-aged children s health and safety, and furthermore, elementary school transit programs for over-aged children are indicated. The teachers responsible for over-aged children care services desire to develop the appropriate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children and intervention method on over-aged children s problematic behavior. The highest number of teachers do not want to prolong appropriate child care hours for over-aged children.

      • KCI등재

        장애인거주시설 중증발달장애인 의사소통 지원에 대한 생활재활교사 인식 및 요구 분석

        이재순(Jae-Soon Lee),이숙정(Suk-Jeong Rhie)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20 재활복지 Vol.24 No.4

        이 연구는 장애인거주시설 중증발달장애인 의사소통 지원에 대한 생활재활교사의 인식과 요구수준을 파악하여 일상적, 기능적 의사소통 지원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현장지원의 방향성을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증발달장애인 담당 생활재활교사 1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실시하였고, 의사소통 지원에 관한 각 문항을 현재 수행수준과 필요한 중요수준을 구분하여 질문하였다. 요구 우선순위는 IPA분석, LfFM, t-test, Borich 요구도 분석으로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증발달장애인 의사소통 지원은 하위영역인 생활재활교사를 통한 지원이나 시설의 지원 모두에서 현재수행수준이 중요수준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통합적 분석방법을 통해 도출된, 의사소통지원의 요구 최우선 순위는 생활재활교사 지원 영역에서 관찰을 통한 의사소통 방법 찾기, 의사소통내용 관련 세부단계 설명하기, 이해를 위한 시각자료 제시하기이며, 시설 지원 영역에서는 거주자의의사소통 상세정보를 직원에게 제공하는 것과 의사소통을 위한 팀 접근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생활재활교사 개개인의 지원에 비해 시설 차원의 지원에 대한 요구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연구결과에 따라 중증발달장애인 의사소통 지원을 위해 생활재활교사의 전문성 증진, 나아가 거주시설 차원에서 체계적인 의사소통 지원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taff s awareness and needs of communication support for adult with significant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residential institution to improve daily functional communication support and to provide direction for on-site assistanc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143 staffs in charge of adult with significant developmental disabilities. Each question regarding communication support classified current performance levels and the necessary important levels. The priority of needs was identified by IPA analysis, LfFM, t-test, and Borich need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formance level was lower than the importance level. Second, the highest priority identified for communication support, derived through the integrated analysis method, was finding the best communication method by observing, explaining detailed steps related to contents in communication, providing detailed communication information to staffs and developing a team approach for communication support. In particular, the needs level for communication support at the institutional organization level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individual staffs. The discussion reviews factors that enhance the level of awareness and professionalism of staff in residential institution in terms of communication support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심리운동과 감각통합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감각조절력 및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

        정수경 ( Soo Kyung Jeong ),이숙정 ( Suk Jeong Rhie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3 No.4

        심리운동과 감각통합치료 중재가 ADHD 성향 아동의 감각조절력과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여 대상 아동의 특징에 따른 적합한 중재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ADHD 성향으로 선별된 아동을 심리운동 집단에 11명, 감각통합치료 집단에 9명을 무선 배당하여 중재를 실시한 결과, 첫째, 대상 아동의 감각조절력과 주의력에 있어서 심리운동 중재 뿐 아니라 감각통합치료 중재 모두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중재효과에 대한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ADHD 아동의 하위유형에 따른 각 중재의 효과를 비교분석한 결과, 심리운동 중재에서는 특히 혼합형 아동의 주의력이, 감각통합치료 중재에서는 혼합형 아동의 감각조절력이 개선되는 추세를 보였다. 두 가지 중재 모두 ADHD 성향 아동의 감각조절력 및 주의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대상 아동의 행동 특성과 중재 목표에 적합한 중재방식을 선별하여 적용하면 높은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 of the principles of Psychomotorik and sensory integration therapy with control of sensory modulation and attention of children with ADHD tendency. Children with ADHD tendency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different groups: Eleven to Psychomotorik group and nine to sensory integration therapy group. The results were, first, the Psychomotorik interven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rol of sensory modulation and attention. Second,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effects of intervention between the two groups. Third,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ffects of intervention on each of the subcategories of ADHD, Psychomotorik intervention showed great effect on attention with combined type children, and sensory integration therapy as well showed great effect especially upon combined type children. The two kinds of intervention show positive effect on control of sensory modulation and attention upon children with ADHD tendency; therefore, an appropriate intervention applied considering the child`s behavior characteristic is expected to bring great effect.

      • KCI등재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 "다감성적 스토리텔링"을 통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초기 문해 능력 분석

        정민주 ( Min Joo Jeong ),이숙정 ( Suk Jeong Rhi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6 No.3

        영미언어권 및 독어권의 중도.중복장애 교육학에서 최근 국제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다감각적 스토리텔링TM’’ 및 ‘다감성적 스토리텔링TM’’컨셉은 스토리텔링 등 문학 활동을 통해 해당 장애인의 초기 문해 능력 습득 및 범주 확장 뿐 아니라 문화 참여 및 자아실현에도 중점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전래동화「콩쥐팥쥐」를 다감성적 스토리텔링으로 개발하고 이를 중도.중복장애학생 3명에게 각 5회기 적용하여 이들의 초기 문해 능력 관련 반응행동을 긍정적 및 부정적 행동 양상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반응행동 변화의 의미를 모색하였다. 결국 중도 중복장애 학생에게 어려워 보이는 문학(동화)일지라도 이를‘다감성적스토리텔링’을 통해 이들의‘이해 양식(modus)’에 맞게 전달한다면, 이들 역시 이야기에‘접근’하여 맥락적으로(apprehensive)이해할 수 있으며, 이는 이들이 보이는 반응행동의 변화를 통해서도 알 수 있었다. 논의에서는 이들의 초기 문해 능력 역시 위와 같은 문학 활동을 통해확장될 수 있기에 문학을 접할 기회를 다양하게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것이 곧 사회구성원으로서 문화 참여(cultural participation)에 이바지함을 강조하였다. In the field of education for people of profound intellectual and multiple disabilities(PIMD) of the UK and Germany has emerged MSSTTM and MSGETM in recent international issues. It focuses on early literacy ability, as well as cultural participation and self-realization of people with PIMD through the literary activities such as storytelling.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early literacy-related reactive behaviors of students with PIMD, when they are exposed to ``Mehrsinn Geschichten`` of the traditional fairy tale 「Kongji and Patzzi」. The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d three students with PIMD. The ``Mehrsinn Geschichten`` of「Kongji and Patzzi」developed by this researcher was equally delivered to each of the students during five sessions. The students`` early literacy-related reactive behaviors were videotaped, recorded and then analyzed. The students`` early literacy-related reactive behaviors were analyzed based on the Affective Communication Assessment (ACA) on each of the students. The results were classified as: reactive behaviors according to sentence in each session; positive and negative reactive behaviors over entire sentences; and categories of positive and negative reactive behaviors over entire sentences. First, as for the students`` reactive behaviors according to sentence in each session, the students felt unfamiliar with the story at the beginning, but felt familiar later. Second, the reactive behavior of the entire story sentences were more or less by the rate of change and difference in student behavior. Positive action has increased as the session continued, the latter half showed a decline. On the other hand, negative effects act decreased as the session continued, the latter half showed a slight increase. Third, categories of positive and negative reactive behaviors over entire sentences included facial expressions, gestures, movements, and vocalizations. This study found that students with PIMD can acquire earlyliteracy 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