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업시스템응용플랫폼을 이용한 2계 편미분 방정식의 해석

        이성용,김태곤,서교,한이철,이제명,이호재,이정재,Lee, SungYong,Kim, Taegon,Suh, Kyo,Han, Yicheol,Lee, Jemyung,Yi, Hojae,Lee, JeongJae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8 No.1

        The Agricultural Systems Application Platform (ASAP) provides bottom-up modelling and simulation environment for agricultural engine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usability of the ASAP to the second order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elliptic equations, parabolic equations, and hyperbolic equations. The ASAP is a general-purpose simulation tool which express natural phenomenon with capsulized independent components to simplify implementation and maintenance. To use the ASAP in continuous problems, it is necessary to solve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This study shows usage of the ASAP in elliptic problem, parabolic problem, and hyperbolic problem, and solves of static heat problem, heat transfer problem, and wave problem as examples. The example problems are solved with the ASAP and Finite Difference method (FDM) for verification. The ASAP shows identical results to FDM. These applications are useful to simulate the engineering problem including equilibrium, diffusion and wave problem.

      • KCI등재
      •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국내 실험 연구 분석

        이성용(Yi, Seong-yong) 순천향대학교 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14 특수·영재교육저널 Vol.1 No.1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는 아동의 교육에 직접 및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런데 대부분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를 감소시킨 국내 실험연구를 문헌 분석함으로써, 연구에 활용된 중재를 분석하고 앞으로 효과적인 부모 양육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관련 논문을 조사하고, 분석논문 선정기준에 따라 국내 22편의 실험논문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문헌 분석은 3가지 분석영역에 따라 총 8개의 분석변인(연구대상, 실험환경, 실험설계, 중재유형, 목표기술, 연구결과, 중재효과, 질적 지표)으로 분석하였다. 문헌 분석의 결과를 살펴보면 대부분 연구 대상은 장애아동의 어머니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감소를 위해 활용된 중재는 큰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에서는 향후 장애아동 부모 양육 스트레스 감소 연구 및 실제에 대한 함의 점을 제시하였다. Parenting stress may be directly related to children' education. However, parenting stress have consistently been found to be higher i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research literature of parenting stres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o provide information and suggestions on parenting stres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s at schools. A systematic search of the literature from 2003 to 2013 revealed 22 experimental studies published in major special education journals within the South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22 selected studies in terms of 8 analytical variables: participants, research settings, experimental design, training program and strategies, target skills, results(ie. effects), effects size(ES), qualitative indicator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in particular, most of the participants were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ost of the interventions were used group art therapy program, counseling program and parent training program. Intervention revealed large effects(ES > .80). These findings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 KCI등재

        특수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대한 조사 연구

        이성용(Seong-Yong Yi) 한국발달장애학회 2021 발달장애연구 Vol.2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의 교수효능감을 조사하여 이들을 위한 정책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편의표집으로 조사 대상자를 선정하였으며, C도의 특수교사 40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설문 조사는 인터넷 설문 조사 시스템을 활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해 분석(descriptive statics,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한 특수교사의 교수효능감은 긍정적인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교수효능감은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높았고, 통계에서도 유의하였다. 셋째, 담당학년에 따른 교수효능감은 중등교육(중학교 및 고등학교) 담당 특수교사가 초등교육 담당 특수교사보다 다소 높았고, 통계에서도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사의 교수효능감 증진 방안(전문적학습공동체, 맞춤형 연수, 교수효능감 척도 활동, 예비특수교사 단계에서의 교육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aching efficacy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pecial teachers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in order to set up and develop educational policies. This study method is survey research.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403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pecial teachers in “C”-do.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conducting descriptive statics,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using SPSS PC program (ver 25.0).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pecial teachers teaching efficacy level was positive level (M=2.99).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p<.05) in teaching efficacy score between man teachers and woman teachers. Thir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p<.05) in teaching efficacy score between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these to improve the teaching efficacy.

      • KCI등재후보

        총체적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학습장애 학생의 단어재인 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성용(Seong-yong Yi),연보라(Bo-ra Yeon)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0 교육연구 Vol.49 No.-

        본 연구는 전래동화를 활용한 총체적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습장애 학생의 읽기 능력 중 단어재인 능력을 향상 시키고자 하였다. 그리고 읽기 교수에 있어 전통적인 교사 중심의 직접교수 방법과 컴퓨터를 활용한 학생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방법을 비교하여 효과적인 읽기 지도방법이 무엇인지 밝혀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6학년 학습장애 1명이며 연구 설계는 단일대상연구의 교대중재설계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상 학생은 읽기 능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교대중재 결과 교사 중심의 직접교수 방법이 컴퓨터를 활용한 학생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습장애 학생의 읽기 교수 관점에서 논의되었으며 학습장애 학생의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초자료와 적합한 교수방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effects of the whole language education program on reading ability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direct instruc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The participant of the study was one elementary school student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the alternating treatment design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whole language education program. The results of applying the whole language education program were as the following:First, it had effects on progress in reading ability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Second, direct instruction was more effective than self-directed learning.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the reading instruction perspective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can be used to plan and implement effective reading instruction.

      • KCI등재

        중다요소 행동중재가 자폐성장애 아동의 머리카락 뽑는 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이성용(Seong-Yong Yi),이승훈(Seung-Hoon Yi) 한국발달장애학회 2020 발달장애연구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다요소 행동중재가 자폐성장애 아동의 머리카락 뽑는 자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자폐성장애를 보이는 초등학생 1명이고, 연구 환경은 특수학급이다. 연구 설계는 단일 사례 연구다. 본 연구의 중재는 행동계약, 자기평가 및 강화제공, 상반행동 차별강화를 종합적으로 적용한 중다요소 행동중재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중다요소 행동중재가 자폐성장애 아동의 머리카락 뽑는 행동 감소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연구 대상은 중재 이후 실시한 유지 단계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고, 1년 후 follow-up(추후 검사)에서도 중재 효과를 유지하였다. 끝으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향후 자폐성장애 아동의 자해행동 중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ulticomponent behavioral intervention on hair pulling behavior of child with ASD. The participant of the study was one elementary student with ASD. The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in the special education classroom. A case study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The intervention was included behavioral contract, self-evaluation and reinforcement, and differential reinforcement of incompatible behavior.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tervention was effective in the reduction of target behavior. Second, Child maintained the skills. Th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the recommendations were made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 미래 특수교육 교실을 위한 소고

        이성용(Yi, Seong-Yong) 한국교통대학교 미래교육통합연구소 2021 미래교육통합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최근 일반교육에서의 이슈인 4차 산업혁명, 스마트 교육, 미래학교, 미래형 교실에 대한 문헌을 체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미래 특수교육 교실에 대한 방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문헌 고찰 연구로 현재까지 발간된 국내 여러 문헌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문헌의 내용은 미래학교와 미래형 교실과 관련된 정책 연구를 중심으로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교육에서 수행된 연구를 활용하였다. 왜냐하면 아직까지 특수교육에서 미래학교와 미래형 교실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4차 산업혁명, 스마트 교육, 미래학교, 미래형 교실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개념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미래 특수교육 교실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었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살펴보았을 때, 특수교육에서도 미래학교와 미래형 교실에 대한 관심을 갖고 다양한 연구를 수행해야 할 것이다. 둘째, 국가 및 지역교육청에서도 미래 특수교육 교실에 대한 연구와 지원이 매우 필요하다. This study reviewed the direction of future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by systematically examining the literature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mart education, future school and future classrooms, which are recent issues in general education. This study was collected and analyzed of various policy studies published in South Korea. Specifically, the contents of the literature were collected focusing on policy studies related to future schools and future classrooms. This study focused on the studies conducted in general education. Because there have been few studies conducted on future schools and future classrooms in special education. This study was presented concepts on the keywor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mart education, future schools and future classrooms. We were able to gain insight into future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The conclusion was as follows. The conclusion was as follows. First, you will have to pay attention and carry out various studies in special education. Second, the national and regional education offices will have to study and support for future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 자기교수 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화폐 지불 기술에 미치는 효과

        이성용(Yi Seong yong) 순천향대학교 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17 특수·영재교육저널 Vol.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교수 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화폐 지불 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지적장애 초등학생 6명이며, 자기교수 훈련은 해당 학생이 다니는 특수학급에서 실시하였다. 연구 설계는 단일대상연구의 대상자 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이다. 그리고 본 연구는 짝을 이룬 두 명이 함께 중재에 참여하는 설계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학생이 지역사회 상점(슈퍼마켓, 문구점, 분식점)에서 활용하는 화폐 지불 기술을 습득 및 유지하였다. 둘째, 자기교수 훈련은 중재 단계에서는 중간 효과, 유지 단계에서는 큰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기능적 기술 및 수학 교육 관점에서 논의되었으며,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기능적 기술 및 수학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instruction on money skills of elementar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six elementar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in the special education classroom. A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pair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instruction improved the money skills of elementary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cond, The results indicated a moderately positive effect for self-instruction. Maintenance effect revealed large effec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the perspective of self-instruction and money skills(functional skill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can be used to plan and implement successful mathematics program.

      • KCI등재

        일반 유아 및 초등학생의 사회적 기술 증진을 위한 실험연구 분석

        이성용 ( Yi Seong-yong ),김진호 ( Kim Jin-ho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9 지적장애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일반 유아 및 초등학생의 사회적 기술 증진을 위해 중재를 적용한 국내 실험연구를 분석함으로써, 선행 연구들의 중재 효과를 살펴보고 앞으로 일반 유아 및 초등학생을 위한 사회적 기술 증진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데 있어 필요한 자료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1998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 사회적 기술 관련 학술연구 25편(유아14편, 초등 11편)을 체계적으로 수집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25편의 선행연구는 9가지 분석변인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변인은 연구대상, 실험환경, 실험설계, 목표기술, 측정도구, 중재방법, 중재기법 및 전략, 연구결과, 효과크기다. 주요 연구결과를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은 일반 유아 만 5세가 많았다. 둘째, 실험환경은 유치원과 학교와 같은 교육기관에서 연구되었다. 셋째, 실험설계는 집단설계연구의 사전-사후 비교(통제)집단 설계를 활용하였다. 넷째, 목표기술은 사회적 기술뿐만 아니라 추가 목표기술도 설정하였다. 다섯째, 측정도구는 SSRS를 대부분 사용하였다. 여섯째, 중재방법은 유아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초등학생은 모두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일곱째, 중재기법은 언어적 기법이 다수 활용되었다. 여덟째, 연구결과 중재는 사회적 기술을 증진시켰다. 아홉째, 효과크기는 유아의 경우 대부분 큰 효과를 나타냈고, 초등학생의 경우 다양하게(작은~큰 효과)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유아 및 초등학생의 사회적 기술 증진 관련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experimental research literature of social skills interventions of young children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provide information and suggestions on social skills interven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s. A systematic search of the literature from 1998 to 2018 revealed 25 experimental studies published in South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25 selected studies in terms of 9 analytical variables(participants, research settings, experimental design, target skills, tools of measurement, types of intervention, strategies of intervention, effects of intervention, effects size). The findings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participants of the studies conducted in preschool settings were five years old young children in general. Second, research settings of the experimental studies were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Third, the experimental design of the studies was the pre-post comparison(control) group design. Fourth, target skills were established not only for social skills but also for additional target skills. Fifth, most studies used SSRS as a measuring tool. Sixth, as the type of intervention, various programs were conducted for young children in preschool settings, and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s were used for all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venth, most reviewed studies used linguistic techniques as strategies of intervention. Eighth, intervention programs of the studies have enhanced social skills of most participants. Ninth, effect size was mostly large for young children, and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 were various effect sizes(small to large effect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on social skills interven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후보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수학 교수 관련 국내 단일대상연구 메타분석

        이성용(Seong-Yong Yi) 한국발달장애학회 2019 발달장애연구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특수교육에서 지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수학 교수를 실시한 단일대상연구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지적장애학생의 수학 교수를 위한 프로그램 관련 참고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 지적장애학생 대상 수학 교수 관련 실험연구들을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13개의 실험연구(단일대상연구)를 최종 분석대상논문으로 선정하였다. 그러고 나서 7개의 분석변인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변인은 연구대상, 실험환경, 실험설계, 목표기술, 중재방법, 중재효과, 질적지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대상논문들의 연구대상은 대부분 초등학교 지적장애학생들로 나타났다. 둘째, 분석대상논문들은 대부분 교육기관을 실험환경으로 설정하였다. 셋째, 분석대상논문들의 연구설계는 대부분 대상자 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였다. 넷째, 분석대상논문들은 수와 연산을 목표기술로 선정하였다. 다섯째, 분석대상논문들의 중재방법은 자기교수 훈련, Touchmath 전략 등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분석대상논문들의 중재효과는 중간~큰 효과 크기를 보였으며, 대부분 큰 효과 크기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분석대상논문들은 80%이상 질적지표를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수학 교육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research literature of mathematic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 systematic search of the literature from 2003 to 2018 revealed 13 experimental studies(single-subject design) published in special education within South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13 selected studies in terms of 7 analytical variables: participants, research settings, experimental design, target skills, type of intervention, effect size(PND), quality indicator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participants of studies w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Most of the research setting of studies were school(classroom). Third, Most of the research design of studies were a multiple(probe) across participants design. Fourth, Most of the target skills of studies were numbers and operations. Fifth, Most of the intervention of studies were self-instruction training and touchmath program. Sixth, The results of studies indicated a moderate and large positive effects for interventions. Lastly, Most of the studies have met more than 80% of quality indicators. These findings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