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계층분석법(AHP)을 활용한 수요자 중심의 농업가뭄평가 분석

        이석주 ( Sukju-lee ),손재권 ( Jaegwon-son ),장태일 ( Taeill-jang ),송재도 ( Jaedo-song ),고남영 ( Namyoung-goh ),고대희 ( Daehui-goh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8 No.-

        최근 기온상승 및 강우패턴 변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가뭄과 폭염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매년 가뭄으로 인해 농업·생활용수 부족 등의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김 등, 2018). 현재 농업가뭄평가에 활용하고 있는 기준은 저수지 저수율을 적용하고 있어 저수지 외 타 용수원은 반영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농업용수를 사용하는 수요자 중심의 농업가뭄 평가를 위해서는 저수지 저수율뿐만 아니라 기상, 수리시설, 토양, 작물 등의 다양한 인자를 적용한 모델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농업가뭄평가에 대한 선행연구 및 관련문헌을 조사하여 논·밭 등에서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수요자 중심의 농업가뭄 평가 항목을 설정하고, 2017년 가뭄상황과 비교검토 하였다. 분석결과는 사용자별(농업인, 전문가), 지역특성별(가뭄지역 농업인, 비 가뭄지역 농업인), 농지이용별(논 경작, 밭 경작, 논·밭 겸용) 등 세 가지로 구분하였으며, 저수지 저수율 평가기준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가뭄평가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 KCI등재
      • AHP기법을 이용한 농업인 가뭄 주요 인자 분석

        이석주 ( Sukju Lee ),손재권 ( Jaegwon Son ),최진규 ( Jinkyu Choi ),장태일 ( Taeil Jang ),송재도 ( Jaedo Song ),고대희 ( Deahee Ko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2016년 이상기후 보고서”에 의하면 2016년 5월부터 8월까지 81회의 폭염특보가 발표되었으며 여름철(6~8월) 기온은 평년기온(24.8℃)보다 1.2℃높게 관측되었으며 8월 중 강수량은 76.2mm로 평년의 27.7%수준에 그치는 등 전국적인 가뭄으로 인하여 16,599.7ha의 농작물 피해가 발생하였다(기상청, 2016). 또한, 밭의 가뭄대응 능력을 조사한 결과 용수공급시설을 갖춘 밭은 140천ha로 전국의 18.5% 수준(‘15.7월 행정조사)에 그쳐 논에 비해 가뭄 피해대책이 열악한 상황이다. 가뭄은 오랜 시간동안 강수현상이 없거나 지속된 현상으로 정의 하며 또한 고온이나 바람으로 인한 증발산량이 많아 물 공급이 어려워지는 현상도 가뭄으로 정의하고 있다. 가뭄은 ‘물 부족’의 개념과 혼동하는 경우가 많지만 ‘물 부족’에 대한 정의는 필요수량에 대한 부족 현상을 말하며, 가뭄은 평균 필요 수량에 대한 물 부족 현상을 말한다(변희룡, 2009). 또한, 가뭄은 ‘잠복성 재해’로서 가뭄이 발생하는데 걸리는 시간 동안 잠복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가뭄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가뭄에 대한 판단과 관리가 어려운 상황이다(이영근 외, 2010, 박종옹 외, 2012). ‘농업가뭄’이란 농작물 생육에 직접 관계되는 토양수분의 부족으로 정의하는 가뭄으로 가뭄이 시작될 때 농업은 저류된 물 부족 또는 토양수분 부족으로 인해 가장 먼저 피해를 받는다(국립가뭄경감센터(NDMC)), ‘농업 가뭄’은 강우부족, 실제 잠재증발산량, 토양수분, 식물 생작에 필요한 요소, 저수지 또는 지하수위의 저하 등의 요인들을 통해 ‘농업 가뭄’을 정의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업인이 판단하는 가뭄요소를 조사하기 위해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기법을 사용하였다. AHP기법의 장점은 정량적 요소와 정성적 요소 구분 없이 쌍대비교를 할 수 있다. 농업인 설문조사는 시범지구인 장수군 물관리 요원 및 농업인 중심으로 설문을 실행하였으며, 가중치 분석하여 우선순위를 계산, 가뭄요소별 지표를 설정하였다.

      • PSCAD/EMTDC를 이용한 PV-AF-SPE 시스템의 특성분석

        이동한(Donghan Lee),이석주(Sukju Lee),김종현(Jonghyun Kim),박민원(Minwon Park),유인근(In-Keun Yu) 대한전기학회 2006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6 No.7

        In this paper an integrated model of PV-AF (Photovoltaic-Active Filter) and PV-SPE (Photovoltaic Solid Polymer Electrolyte) system using PSCAD/EMTDC were explained in detail. The main concept of PV-AF system starts from the "harmonics". In order to deliver power to utility, PV system essentially needs a converter system. Here PV - AF system adds the function of active filter to the converter system installed in PV system, which was introduced already in several papers. PV-SPE system has been studied as a replacement of existing hydrogen production technology that emits large amount of carbon dioxide into atmosphere. Until now, these two systems, PV-AF and PV-SPE, have been considered separately. However, in this paper, characteristics and advantages of combined system are discussed in detail.

      • PV-AF-SPE 복합시스템의 응용에 관한 연구

        이동한(Dong-han Lee),이석주(Sukju Lee),김종현(Jonghyun Kim),박민원(Min-won Park),유인근(In-Keun Yu) 대한전기학회 2006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6 No.4

        In this paper an integrated model of PV-AF (Photovoltaic-Active Filter) and PV-SPE (Photovoltaic Solid Polymer Electrolyte) system using PSCAD/EMTDC were explained in detail. The main concept of PV-AF system starts from the "harmonics". In order to deliver power to utility, PV system essentially needs a converter system. Here PV-AF system adds the function of active filter to the converter system installed in PV system, which was introduced already in several papers. PV-SPE system has been studied as a replacement of existing hydrogen production technology that emits large amount of carbon dioxide into atmosphere. Until now, these two systems, PV-AF and PV-SPE, have been considered separately. However, in this paper, characteristics and advantages of combined system are discussed in detail.

      • 새만금 간척지 암거처리 후 시기별 토양특성 변화분석

        고대희 ( Jaedo Song ),손재권 ( Jaegwon Son ),장태일 ( Taeil Jang ),송재도 ( Daehee Ko ),이석주 ( Sukju Lee ),박영준 ( Youngjun Park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8 No.-

        쌀 생산·소비구조 등 농업환경의 변화에 따라 간척농지는 벼 이외 타작물 재배 등 다각적인 활용을 위해 벼 재배면적 감축, 다양한 밭작물 재배가 시도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간척지 토양은 초기 염분농도가 높아 배수여건 개선, 제염, 제염 이후 재염화 방지 등 토양 내 염분제거를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그러나, 국내 간척지는 벼를 중심으로 수도작 기반의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간척지 밭작물의 원활한 재배를 위한 효율적인 토양 제염방식, 재염화 방지 대책 등을 제시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 농생명용지 5공구 내 암거처리 후 토양염분농도를 시기별로 분석하여 암거처리 유무에 따른 제염효과, 재염화현상 분석 등 간척지 토양의 제염대책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새만금 간척지 암거처리에 따른 시기별 투수계수 분석

        송재도 ( Jaedo Song ),손재권 ( Jaegwon Son ),장태일 ( Taeil Jang ),고대희 ( Daehee Ko ),이석주 ( Sukju Lee ),박영준 ( Young Park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8 No.-

        식량생산을 위해 조성해왔던 135천ha의 간척지는 최근 쌀 소비량의 감소, 농업시장의 개방화에 따라 점차 벼 재배이외 고소득 밭작물의 생산기지로 전환을 모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2010년 준공 후 미처분 간척지를 대상으로 벼 이외에 고소득 작물생산을 모색하게 되었다. 그러나, 간척지는 장기간 해수에 잠겨 있어 토양염분이 높고 평탄한 지역여건으로 인해 지하수위가 높고, 토양구조가 발달되지 않아 배수 불량으로 인해 고소득 작물을 재배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간척지를 밭으로 활용하는 일본, 네덜란드에서는 암거배수시설을 시공하고 있으나, 국내 지하암거배수와 관련한 사업은 1980년대 습답지역을 대상으로 추진되었으나, 관막힘, 경제성, 유지관리 등 다양한 문제점으로 인해 국내여건에 부합한 암거배수기술로 발전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 간척지 내 지하암거배수시설을 설치하고, 지하암거배수시설 상부토양의 시기별 수직투수 계수에 대한 변화를 분석하여 새만금 간척지 밭작물 재배를 위한 최적 재배환경 조성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새만금 농생명용지 6차산업화 거점단지 선정에 대한 선호도 조사

        고대희 ( Daehee Ko ),손재권 ( Jaegwon Son ),장태일 ( Taeil Jang ),송재도 ( Jaedo Song ),이석주 ( Sukju Lee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현재, 새만금 종합개발계획은 2011년 농업용지, 산업용지 등 8개 용지체제로 수립되었고, 투자활성화 등 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2014년 농생명용지, 산업연구용지, 국제교류용지 등 6개 용지로 변경되었다. 이중 농생명용지는 13개 용지로 구분하고, 수출지향형 농산업 육성,농업 6차산업화 도모, 안정적 식량생산기지 확보 등을 목표로 계획되었다. 그러나, 농생명용지에 대한 구체적인 농산업화 실천방안과 소프트웨어적인 접근기술은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최근 드라마 등 한류열풍으로 동남아, 일본, 홍콩, 미국 등에서 우리나라에 대한 사회, 문화적인 관심으로 외국인 관광객 수는 증가하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새만금 방문객 수는 감소하고 있어 관심을 유인할 수 있는 구체적인 대비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5년 『새만금 내부개발지를 활용한 농업·농촌 6차산업 구상연구』에서 제시되었던 통일 한반도 단지, 감자골 특수미단지, 새만금 물고기단지, 계화·심포마니라항, 말산업 복합단지 등 5개 단지를 대상으로 새만금 농생명용지 6차산업화 거점단지 선정을 위해 성별·연령군, 직업군, 학력군 등으로 구분하여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새만금 홍보관, 김제 지평선축제 현장, 한국농어촌공사, 지자체 시·군청 등에서 1,120여명을 대상으로 거점단지 위치선정, 우선 도입시설, 중점개발분야, 사업추진방식 등에 대한 조사 자료를 통계분석 하였다. 통계프로그램 SPSS 2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다중응답, 우선순위 분석 등을 실시하였고, 우선순위분석에서 각 문항에 대한 순위별 가중치를 적용하였다.

      • 새만금 농생명용지 지하배수암거의 효과분석

        송재도 ( Jaedo Song ),손재권 ( Jaegwon Son ),최진규 ( Jinkyu Choi ),고남영 ( Namyoung Goh ),이기성 ( Kisung Lee ),이석주 ( Sukju Lee ),고대희 ( Daehee Goh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새만금 종합개발계획은 농업용지, 산업용지 등 8개 용지체계로 구분하였으며, 최근 농생명용지, 산업연구용지 ,국제교류용지 등 6개 용지체계로 변경하였다.(새만금 개발청, 2014) 농생명용지는 당초 수출농업전진기지, 친환경 고품질 첨단농산업기반, 녹색성장 농업생태관광 기반구축, R&D 및 농업서비스 지원 등 4대기능으로 설정하였고, 세부 13개 용지로 구분하여 첨단수출농업의 전진기지 육성, 농산업의 트랜드 변화에 대응 등을 구상하고 있다. 이러한 여건 속에서 새로이 조성되는 새만금 농생명용지에 대한 활용에 있어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상황이며, 토지이용계획에 있어 전작, 원예, 범용화 단지 조성을 계획하고 있다. 그러나, 간척지는 특성상 장기간 해수에 잠겨 있고, 경사가 완만하며 토양특성이 미사질 양토 계열로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아 제염 및 작물생육에 어려움이 있어 작물재배를 위한 농지를 효율적으로 정비할 수 있는 하드웨어적 측면의 대책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 농생명용지 5공구 내 지하배수암거의 시험시공에 따른 지하침출수량, 침출수의 염분농도 변화 등을 모니터링하여 지하침출 및 배수효과를 분석하였다.

      • 국내 가뭄정보시스템의 분석과 발전방안

        손재권 ( Jaegwon Son ),최진규 ( Jinkyu Choi ),장태일 ( Taeil Jang ),송재도 ( Jaedo Song ),고남영 ( Namyoung Goh ),이석주 ( Sukju Lee )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6 No.-

        일반적으로 가뭄은 오랜기간 동안 비가 내리지 않아 강수량이 비정상적으로 적은 상황을 말하고 있다. 가뭄은 농작물의 생육, 생산에 큰 영향을 미칠 뿐 만 아니라 사회 여러 분야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후변화 전망에 따르면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은 강수량 증가를 예상하고 있는데 이와 더불어 강우강도는 증가하고, 연강우일수는 감소하여 우기사이에 건거가 길어지고 기온 증가로 인해 증발산량의 증가를 예상하고 있다.(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2) 최근 기후변화 등의 영향으로 집중호우 및 가뭄 발생빈도가 증가 하고 있으며, 가뭄의 경우 1970년 이후 5~7년을 주기로 가뭄이 발생하고 있지만, 발생 계절과 지역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2015년 한국기상학회 가을학술대회 초록집, 변희룡 외) 그러나, 가뭄발생에 대한 요인, 주요인자를 잘 파악하면 정량적인 가뭄예측이 가능하여 가뭄 빈발 지역에 대한 효율적인 대책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해외에서 활용되는 가뭄평가 기법과 현재 우리나라에서 활용하고 있는 가뭄평가 기법을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국내외에서 적용되고 있는 가뭄평가기법을 비교분석하여 우리나라 기술의 문제점과 미흡한 부분을 보완하여 향후 우리나라 가뭄 추세에 따라 가뭄정보 시스템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