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텅스텐 크기 변화에 따른 텅스텐 재료의 미세조직 및 경도 특성

        이서희(Seo Hee Lee),이상필(Sang Pill Lee),이진경(Jin Kyung Lee),이문희(Moon Hee Lee),서병석(Byeong Seok Seo),이종호(Jong Ho Lee),홍희성(Hui Seong Hong) 대한기계학회 2020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0 No.12

        In this study, both hardness and microstructure of tungsten materials with different sizes of starting powder were investigated. Especially, the effect of staring powder size on the characteristics of sintered tungsten materials was examined. The tungsten materials were fabricated by pressure assisted soild state sintering process. Tungsten powder was consolidated at the temperature of 1500 ℃. The hardness of tungsten materials were affected by the sizes of starting powder, due to the variation of their microstures.

      • KCI등재

        구룡산의 산림군집구조와 환경요인의 상관관계

        이서희 ( Seo Hui Lee ),김혜진 ( Hye Jin Kim ),윤충원 ( Chung Weon Yun ) 한국임학회 2012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1 No.3

        본 연구는 경상북도 봉화군 구룡산 일대의 산림식생을 대상으로 2010년 7월부터 2010년 8월까지 72개의 방 형구를 설치하여 Z-M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식생구조의 유형분류를 실시하였다. 최상위 단계에서 신갈나무군락군 이 분류되었고, 군락단위에서는 금강소나무군락, 고로쇠나무군락, 신갈나무전형군락이 구분되었으며, 인공식재림은 일 본잎갈나무군락, 잣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다. 금강소나무군락은 군단위에서 굴참나무군과 금강소나무전형군으로 세 분되었으며, 고로쇠나무군락은 개벚지나무군과 물참대군의 2개 군으로 세분되어 총 7개의 식생단위로 분류되었다. 그 리고 분류된 식생단위와 해발고와 지형의 환경요인이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층위별 상대우점치를 분석 한 결과, 금강소나무군락(식생단위 1, 2)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각 층위에 우점치가 높은 신갈나무, 굴참나무 등의 참 나무류에 대한 지속적인 숲가꾸기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classify forest vegetation structure of Mt. Guryong which is located in Bonghwa-gun, Gyeongsangbuk-do province. 72 plots (quadrat) were investigated from July to August in 2010 using phytosociological analysis methodology of Z-M schools. The forest vegetation of the study area was classified as Quercus mongolica community group that was further divided into 5 communities; Pinus densiflora for. erecta community, Acer mono community, Quercus mongolica typical community, Larix leptolepis community and Pinus koraiensis community. Pinus densiflora for, erecta community was subdivided into Quercus variabilis group and Pinus densiflora for. erecta typical group. Acer mono community was also subdivided into Prunus maackii group and Deutzia glabrata group. The vegetation of the study areas could be described as 1 community group, 5 communities and 4 groups and 7 units in total. Classified vegetation unit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altitude and topography. It was considered that forest tending operations for maintaining need to be continuously practiced for Quercus spp. with highly relative dominance value in the Pinus densiflora for. erecta community (vegetation units 1, 2).

      • KCI등재

        증례 : 감염 ; 발열과 기침으로 발현된 거대 간 혈관종의 1예

        이서희 ( Seo Hui Lee ),윤지현 ( Ji Hyun Yoon ),천재영 ( Jae Young Cheon ),조세희 ( Se Hee Jo ),김기현 ( Ki Hyun Kim ),진성준 ( Sung Joon Jin ),송영구 ( Young Goo Song ) 대한내과학회 2014 대한내과학회지 Vol.87 No.4

        Hemangioma of the liver is usually asymptomatic and incidentally discovered. However, giant hemangioma of the liver may be symptomatic, which is an indication for treatment. A 31-year-old female was admitted with a fever and 1-month history of a nonproductive cough. Her blood test results revealed thrombocytopenia, anemia, and mild coagulopathy. A giant hemangioma of the liver was the cause of her symptoms and signs, and was too large for surgical treatment. Therefore, we performed two sessions of transcatheter hepatic arterial embolization (TAE). The patient has been doing well without fever for 1 year following the second TAE procedure. Surgical resection and enucleation are the traditional treatments of choice for symptomatic giant hemangioma of the liver. However, the signs and symptoms of giant hemangioma of the liver improved by TAE in the present case. We herein report a case of complicated giant hemangioma of the liver that was partially treated by TAE and conservative management. (Korean J Med 2014;87:505-509)

      • 경기지역 주요 산지의 생물계절성 연구

        이서희 ( Seo Hui Lee ),배찬호 ( Chan Ho Bae ),박지민 ( Ji Min Park ),진향만 ( Hyang Man Jin ),박정아 ( Jeoung Ah Park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1

        최근 몇 년간의 기후 변화는 과거의 자연적인 변화에 비하여 100배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그 결과 따뜻한 기후조건을 선호하는 난대성 식생대의 확장, 한대성 기후에 적응된 아고산 및 고산대 식생의 쇠퇴와 봄철 식물의 개화시기가 빨라지고, 동물의 서식처가 교란되는 등의 다양한 생태적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김진석 등, 2006; 공우석, 2007; 오승환 등,2012). 이러한 지구온난화에 의한 식물의 변화 중 가장 눈에띄는 것은 생물계절(phenology)의 변화이다. 이는 매년 반복되는 계절변화에 따라 식물의 발아, 개엽, 개화 그리고 낙엽등 생물계절 시기가 반영되어 나타나기 때문이다(이경미 등,2009). 이렇듯 점진적으로 나타나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기후변화에 따른 부작용이나 대응책 마련을 위한 생물계절성 연구는 장기간의 모니터링을 통해 이루어지며, 계절변화연구는 최근 기후변화와 기온상승의 잠재적인 영향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지표로 인식되고 있다(Sagarin and Micheli,2001; Whitfield, 2001; 성정원 등, 2012). 최근 국내의 생물계절성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 식물종의 생물계절성 연구(신재성 등, 2011), 영남지역 식물종의 생물계절성 연구(성정원 등, 2012), 연천 풍혈지 식물종의 생물계절성 연구(장정원 등, 2012), 한반도 주요 기후변화취약 산림식물종의 생물계절성 연구(오승환 등, 2012), 기후변화에 따른 현지외 조성식물의 생물계절성 연구(윤주은등, 2013), 특산식물 산개나리와 장수만리화의 생물계절성연구(오승환 등, 2012) 등이 수행 중이다. 특정 종을 대상으로 생물계절성 연구가 수행되기도 하고, 지역을 중심으로 생물계절성 연구가 수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경기도 내 주요 산지인 수리산 및 용문산, 축령산을 지리적 분포를 고려하여 조사 대상지로 선정하였으며, 조사지역내에서 공통종으로 출현하는 소나무, 일본잎갈나무, 당단풍나무, 생강나무(암), 진달래, 철쭉을 대상으로 생물계절성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조사대상 식물의 잎눈, 개화, 낙화, 개엽, 단풍, 낙엽 및 생육일수 등 식물의 생육환경 변화를 조사하여 경기지역에 분포하는 자생식물자원의 생물계절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010년부터 2015년까지 모니터링 결과를 살펴보면 수리산 잎눈파열의 경우 소나무, 당단풍나무, 철쭉이 2011년보다 2012년 4~8일 빨라졌고 일본잎갈나무, 진달래가 1~3일늦어졌다. 생강나무(암)은 2011년 잎눈파열 시기 추정이 불가하여 비교가 어려웠으며, 2013년에는 소나무, 일본잎갈나무, 생강나무(암)의 파열이 비교 가능한 조사년도 중 가장늦게 진행되었고, 당단풍나무, 철쭉은 2011년 조사날짜와 동일하게 조사되었으며 진달래는 6일 빨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에는 모든 대상종의 파열시기가 비교 가능한 조사년도 중 가장 빠르게 나타났다. 2015년은 2014년과 큰 차이가 없었으며, 2011-2013년과 비교 시 파열시기가 앞당겨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엽시기를 2011년과 비교 시, 2012년도에 소나무가 6일 늦어졌고, 일본잎갈나무, 당단풍나무, 진달래, 철쭉은 3~6일 빨라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2013년도에는 모든 조사종이 1~5일 늦어졌고, 2014년의 경우 모든 조사종이 5일에서 최대 17일 빨라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2015년도에는 소나무가 4일 늦어진 것을 제외하고 일본잎갈나무, 당단풍나무, 진달래, 철쭉이 최대 9일 빨라졌으며, 생강나무(암)는 2012년보다 2일 늦어졌고, 2013년보다 10일 빨라진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 다른 조사지인 용문산의 잎눈파열을 2011년과 비교했을 때 2012년에는 소나무, 당단풍나무가 3~8일 빨라졌으며, 생강나무(암), 진달래가 5~7일 늦어졌다. 철쭉의 경우 2011년 잎눈파열 모니터링 시기를 놓쳐 비교가 어려웠으며, 2013년에는 일본잎갈나무, 당단풍나무가 2~5일 빨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일본잎갈나무, 생강나무(암), 진달래는 2~8일 늦어진 것을 확인하였다. 철쭉은 2012년과 동일한 날짜로 조사되었으며, 2014-2015년은 모든 대상종의 파열이 6일에서 최대 19일 빨라졌음을 확인하였다. 개엽시기를 2011년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2012년에 모든대상종이 1~11일 빨라졌음을 볼 수 있었으며, 철쭉은 2011년 개엽 시기를 놓쳐 추정이 어려웠다. 2013년에는 소나무, 당단풍나무, 생강나무(암)가 1~2일 늦어졌으며 일본잎갈나무, 진달래의 개엽시기는 1일 차이로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않았다. 철쭉은 2012년보다 11일 늦어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2014-2015년에는 소나무가 2~3일 늦어진 것을 제외하고 일본잎갈나무, 당단풍나무, 생강나무(암), 진달래, 철쭉의 개엽시기가 7일에서 최대 18일 빨라진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축령산의 잎눈파열 시기를 2011년과 비교 하였을 때, 2012년에 소나무, 당단풍나무, 철쭉이 1~5일 빨라졌고, 일본잎갈나무, 생강나무(암), 진달래가 2~8일 늦어진것을 확인하였다. 2013년에는 소나무, 당단풍나무가 1~2일앞당겨졌으며, 일본잎갈나무, 생강나무(암), 진달래, 철쭉이1~10일 늦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2014년에는 모든 대상종이 5~19일 앞당겨진 것으로 관찰되었다. 2015년에는 생강나무(암)만 6일 늦어진 것을 제외하고, 모든 조사종이 적게는 1일에서 17일까지 빨라진 것을 확인하였다. 개엽시기를 2011년과 비교했을 때, 2012년에는 모든 대상종이 3~11일 빨라졌으며, 2013년에는 소나무가 약 7일빨라지고, 철쭉이 5일 늦어진 것을 제외하면 일본잎갈나무, 당단풍나무, 생강나무(암), 진달래는 1일에서 2일 빨라진 것으로 관찰되었는데 큰 차이로 보기는 어려웠다. 2014년은 모든 대상종이 10일 이상 큰 차이로 개엽시기가 앞당겨졌고, 2015년은 보통 3~13일 빨라진 것으로 관찰되었다. 각 조사지별 설치해 놓은 주기상장치와 호보(HOBO)를 통하여 기상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축령산의 경우 2014년에 비해 2~4월 평균 기온이 1~1.5℃ 낮았으며, 8월은 1.5℃상승하였다. 나머지 달의 기온은 작년(2014)과 비슷한 수치로 나타났으며, 8월 기온 상승폭이 3개 산지 중 가장 크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용문산 역시 2014년과 비교하여 2~4월 봄철 평균기온이 1℃정도 낮아지고, 7월 이후 주기상장치의 전원장치 고장으로 인하여 데이터가 소실되었다. 주기상장치의 데이터 수치 대신 간이 HOBO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8월 평균 기온이 작년에 비하여 1.3℃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리산도 2014년과 비교하여 2~3월 1~1.8℃까지 낮아졌으며, 이는 3개 산지 중 가장 큰 폭으로 나타났다. 수리산역시 8월에 평균기온이 1.2℃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달은 2014년과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주요 산지의 강우량 수치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으나 주기상장치의 잦은 고장과 데이터 오류 현상으로 인하여 기상청자료를 토대로 비교 분석해보았다. 수원관측소와 양평관측소 자료를 보면 2014년에 총 강우량이 수원 1,029㎜, 양평790㎜ 으로 나타났으며, 2015년의 경우 11월까지의 총 강우량이 수원 701㎜, 양평 771㎜로 나타났다. 양평의 경우 약20㎜ 정도로 큰 차이가 없었지만, 수원의 경우 약 300㎜강우량이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6~8월 강수량이 수원의 경우 2014년에 623㎜, 양평 461㎜였으며, 2015년의 경우 수원 327㎜, 양평 377㎜로 작년과 비교하여 큰폭으로 낮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11월엔 잦은 강우로 인하여 2014년 11월 강우량이 수원 44.2㎜, 양평 36.2㎜의 수치로 나타났고, 2015년 11월 강우량은 수원 115㎜,양평 126.5㎜ 로 2배 이상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개화와 개엽시기의 차이는 다양한 인자들에 의해 결정되지만, 개화와 개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봄철기온(2∼4월)이라는 Chmielewskiet al. (2004) ; 조현길 등(2008)의 연구결과처럼 주요 요인인봄철 기온(2~4월)이 작년에 비하여 1~1.8℃까지 낮아져 개화, 개엽 시기는 작년에 비하여 평균 5일~10일 가까이 늦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낙엽과, 열매 성숙에 크게 관여하는 늦여름과 초가을 기온이 평년과 비슷하고 오히려 소폭상승하여 낙엽이나, 열매성숙시기는 작년과 비슷하거나 빨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평년 강우량 수치가 작년에 비하여 현저히 줄어들었으나(6~8월 기준), 오히려 11월엔 잦은 강우로 인하여 생리적 스트레스(오승환 등, 2011)를 이중으로 받아 열매성숙시기가 매우 늦어지거나 조기 낙과 또는 미성숙으로 인한 열매 부식 및 초본류의 고사가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5년 동안의 기후변화 취약 산림식물종 모니터링 연구를 수행하면서 조사된 자료를 토대로 경기도 주요지역 자생식물의 생물계절성 연구 자료를 살펴보면, 동아파열 및 개엽,개화 시기 수치가 조금씩 빨라지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서 사면, 해발고, 모니터링 가지의 방향뿐 아니라 미기후 및 광량 환경 등 새로운 조사 항목에 대한 보완이 이루어진다면 기후변화 취약종을 모델로 한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식물종 보전전략 등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웰다잉의 구성요소와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

        임효남(HyoNam Lim),이서희(Seo-Hui Lee),김광환(Kwang-Hwa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5

        본 연구는 한국인이 생각하는 웰다잉 인식의 구성요소와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층화 비례배분 방식으로 추출하였고, 전국 17개 시와 도의 만 19세 이상 만 75세 미만의 성인 1,000명으로 선정하였다. 설문구성은 일반적 특성 2문항, 삶의 질 척도 26문항, 웰다잉 인식 척도 57문항이었다. 통계 검정법으로는 빈도 분석, 독립표본 t-검정,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삶의 질은 사회적인 삶의 질이 가장 높았으며, 가족 죽음의 경험유무에 따라 가족의 죽음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가족의 죽음 경험이 없는 대상자에 비해, 신체적, 심리적, 환경적, 사회적 영역의 삶의 질이 모두 통계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웰다잉 인식 중에서는 죽음 준비의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그 중에서도 심리·경제적 부담 경감의 점수가 가장 높았다. 연구대상자의 삶의 질은 웰다잉 인식의 모든 영역인 신체적 증상과 통제, 죽음준비, 죽음환경, 가족 및 사회관계, 병원치료, 심리 존엄 영성 부분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중년층을 대상으로 한 다른 연구에서는 노후를 위해 죽음을 받아들이는 자세가 우선적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한 경우와, 죽음준비교육에 참여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가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상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죽음준비 및 웰다잉 교육에 웰다잉 인식의 각 영역을 프로그램으로 계획하여 교육한다면 삶의 질을 높이는 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dying with dignity and the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opinions of the Korean populations.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using a stratified proportional allocation method and 1,000 adults aged between 19 and 74 years from 17 municipalities and provinces in Korea.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2 demographic items; 26 items on the quality of life scale; and 57 items on the perception of dying with dignity.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included frequency analyses, independent sample t-tests, and correlation analys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quality of life was highest for the social life quality item, and that the participants who had experienced a death in the family were more likely to have statistically lower quality of life in physical, psychological, environmental, and social areas. In terms of the participants’ perception on dying with dignity, the score for death preparation was the highest; specifically, the score for psychological/economic burden reduction was the highest. The quality of life of the participan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in all aspects of the perception of dying with dignity: physical symptoms and control, death preparation, death environment, family and social relations, hospital treatment, psychological dignity, and spirituality. Other studies conducted with middle-aged populations showed that their quality of life was higher when they perceived the acceptance of death is important and were willing to participate in death preparation education.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articipants, educational programs on death preparation and dying with dignity considering all the areas of the perception of dying with dignity should be provided.

      • KCI등재

        행복 인식에 따른 호스피스 준비의 관심에 관한 연구

        장경희(Kyung-Hee Chang),이서희(Seo-Hui Lee),김광환(Kwang-Hwa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5

        본 연구는 일반인들 가운데에서 죽음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느냐에 따라 삶의 태도나 방식이 달라지기 때문에 행복에 따른 죽음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행복지수가 높은 그룹과 행복지수가 낮은 그룹간의 호스피스 관심이 차이가 있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2017년 4월 22일 D 광역시에서 열린 걷기대회 행사에 참가한 20세 이상 성인 남녀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구성은 일반적 특성이 성별, 연령, 학력, 직업, 결혼상태, 가족 동거여부, 종교, 건강상태 8항목이었다. 행복에 관한문항은 총 29항목, 죽음 인식은 9항목으로 구성하였다. 통계 검정법으로는 설문지의 항목에 대하여 행복지수를 기준으로 카이제곱 검정, 독립표본 t-검정, 상관분석,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임종하기 적합한 장소에 관한 문항에서 행복지수가 낮은 그룹은 “의료기관”이 46.3%로 가장 높았으며, 행복지수가 높은 그룹에서는 “살던 집”이 59.4%로 가장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병원에서 임종하는 경우가 훨씬 많은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환자들이 원하는 편안하고 익숙한 장소인 집에서 임종을 맞이할 수 있는 방법인 가정형 호스피스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도록 전문 인력의 확보 및 교육 등 관리체계를 보완해야 할 것이라고 보여 진다. 그리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고려한 개별적이고 다양한 접근을 통하여 죽음인식을 높이고 호스피스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death based on happiness (since attitude or way of life differs among the general public, depending on the perception of death),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interest in hospices between a group with a high happiness index and a group with a low happiness index. A survey was conducted on 200 men and women aged over 20 who participated in a walking event held in a metropolitan city on April 22, 2017. The survey consisted of eight demographic items: gender, age, education, occupation, marital status, family cohabitation, religion, and health status. It included 29 questions regarding happiness and nine questions regarding the perception of death. For the statistical tests, a chi-square test, an independent sample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items of the survey based on a happiness index.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for a suitable place for death, medical institutions was the highest score (46.3%) for the group with a low happiness index, and own house was highest (59.4%) for the group with a high happiness index. This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t is thought that management systems should be supplemented by professional manpower, educating people so a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rates of home-based hospice as a way for patients to die in a comfortable and familiar place because, for Korea, death is much more common in hospitals. It is also necessary to increase the awareness of death and to make effective use of hospices through individual and various other approaches, considering the demographics of the subjects.

      • KCI등재

        노인의 웰다잉 교육 요구도에 관한 예비조사연구

        김두리(Doo Ree Kim),이서희(Seo-Hui Lee),안상윤(Sang-Yoon Ahn),김용하(Yong-Ha Kim),이종형(Chong Hyung Lee),김광환(Kwang-Hwa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9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가족의 죽음 경험 유무에 따라 원하는 웰다잉 교육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한 예비조사, 서술연구이다. 본 연구 결과 가족의 죽음 경험 유무와 상관없이 모두 웰다잉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웰다잉 교육경험에 대해서는 가족의 죽음 경험이 있는 그룹이 71.8%, 없는 그룹이 40.0%로 나타났다. 또한 웰다잉 교육내용에 있어서 두 그룹 모두 ‘죽음의 의미와 삶의 가치’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 외에 가족 죽음의 경험이 있는 그룹은 ‘가족 및 친구의 죽음 시 슬픔을 극복하는 방법’, ‘장기 혹은 시신 기증 절차에 관한 정보’ 가 교육내용에 포함되었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있었으나, 가족 죽음 경험이 없는 그룹에서는 이와 관련된 교육내용에 대한 요구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웰다잉 교육기간 또한 두 그룹 모두 1주일이 적절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웰다잉 교육 방법에 있어서는 두 그룹 모두 강의 및 토의가 가장 높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웰다잉 교육을 진행시에는 일회성이 아닌 지속가능한 교육이 필요하며, 노인 뿐 아니라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is a preliminary survey to determine the desired demanding well-dying education requirements for subjects aged 65 years or older according to their family"s death exper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report that all subjects needed well-dying education regardless of their family"s death experience. In addition, 71.8% of those who had experienced family deaths said they needed education. On the other hand, 40% of those with no family deaths said that education was needed. Both groups responded as needing well-dying education based on the meaning of death and value of life. Groups with family death experiences hoped to include "how to overcome sadness related to the death of family and friends" and "information about organ or body donation procedures". Both groups responded that 1 week was appropriate for the duration of well-dying education, and that the lectures and discussions were appropriate for the education method. In the future, well-dying education will require sustainable education, not one-offs, and education for the family as well as the elderly.

      • KCI등재

        증례 : 감염 ; 진균과 세균 복합 감염의 척추체-추간판염 1예

        조미옥 ( Mi Ok Cho ),송영구 ( Young Goo Song ),이서희 ( Seo Hui Lee ),조세희 ( Se Hee Jo ),최아란 ( Ah Ran Choi ),은나래 ( Na Lae Eun ),진성준 ( Sung Joon Jin ) 대한내과학회 2015 대한내과학회지 Vol.88 No.4

        내원 3개월 전 척추 수술을 시행 받았던 66세 여자 환자가 요통 및 하지 동통으로 내원하였다. Magnetic resonance image상 척추체-추간판염 소견이 보였으며 조직 검사를 통한 세균 배양 검사에서 Enterococcus faecium과 Candida parapsilosis가 동정되어 진균과 세균의 복합 감염으로 확인되었다. 저자는 적극적인 조직 배양 검사를 통해 진균과 세균의 복합 감염을 정확히 진단함으로써 이에 따른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또한 본 사례를 통해 진단율을 높이는 적극적인 조직 검사를 독려하고자 한다. A 66-year-old female who had undergone surgery for a herniated disc at the L5-S1 level at another hospital 3 months earlier was admitted with persistent back and leg pain. She was diagnosed with spondylodiscitis at the L5-S1 level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 A biopsy was performed, and Candida parapsilosis and Enterococcus faecium were isolated from the excised material. We report herein a case of successful treatment of polymicrobial spondylodiscitis in accordance with accurate microbiological diagnosis. Based on this case, we hope to encourage physicians to perform biopsies more aggressively or repeatedly to improve the diagnostic yield.

      • KCI등재

        대학생들의 죽음 교육 전과 후의 웰다잉 인식과 결정에 관한 연구

        송현동(Hyeon-Dong Song),안상윤(Sang-Yoon Ahn),김용하(Yong-Ha Kim),황혜정(Hye-Jeong Hwang),이서희(Seo-Hui Lee),김광환(Kwang-Hwa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1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죽음학 강좌 수강 이전과 이후 웰다잉 인식과 결정이 어떻게 변화되었는가를 비교 연구하고자 한다. 대전광역시 소재 일개 대학교에서 죽음학 관련 교양강좌를 2016년 8월부터 12월까지 15주 동안 수강한 대학생 교육전 93명, 교육 후 117명 대상으로 연구 참여 희망자에 한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구성은 일반적인 특성은 성별, 연령, 학년, 전공, 결혼상태, 종교, 가족 동거여부, 건강상태 8항목이었다. 죽음의 인식 측면에 관한 4항목, 죽음의 수용 측면 5항목, 죽음의 결정 측면 7항목, 죽음 교육의 관심도와 중요도 12항목을 리커트 척도로 구성하였다. 통계 검정법으로는 카이제곱 검정, 독립표본 t-검정,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의사결정나무 토대로 종합해보면, 죽음 준비 시기가 죽음에 직면한 시기(암환자, 말기환자 등)와 노인(65세 이상)에서 교육 전이 66.7%로 나타났으나, 교육 후에는 성인과 중·고등학교, 초등학교 이하, 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 후가 65.3%로 나타났으며 이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죽음교육의 효과성과 죽음교육의 시기와 내용 등을 어떻게 구체화 시킬 것인가에 대한 방향 제시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초·중·고등학교, 대학교에서의 죽음교육 실시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과 우려를 해소하고 죽음 교육이 학생들의 삶에 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hange of Well-Dying awareness and decision of university student before and after taking the course of death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university students 93 before education, 117 after education who participated in the Death Studies related lectures at Daejeon Metropolitan City for 15 weeks from August to December 2016.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vey are gender, age. grade, major, marriage condition, religion, family member living together and health status. Four items on the perception aspect of death, five items on the aspect of acceptance of death, seven items of death decision and twelve items for death education’s interest and importance were configured as a reference scale. The statistical method carried out the chi-square test,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the decision tree analysis. Based on the decision tree, At the time of preparation for death(cancer patient, terminal patient, etc.) and the elderly(65 years old or older), the education transition rate was 66.7%. But After education, 65.3% of the respondents were in adult, middle and high school, under elementary school,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refore we are looking for death education’s effectiveness and setting directions for education’s period and contents. the negative viewpoints and worrie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death education 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are resolved and the death education will positively affect the change of attitude of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