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슈퍼스칼라 프로세서에서 값 예측을 이용한 모험적 실행의 전력소모 측정 및 분석

        이상정(Sang-Jeong Lee),이명근(Myoung-Kun Lee),신화정(Hwa-Jung Shin) 한국정보과학회 2003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0 No.11·12

        최근의 고성능 슈퍼스칼라 프로세서에서는 명령어 수준 병렬성(Instruction-Level Parallelism, ILP)의 장애가 되는 명령어 간의 데이타 종속관계를 극복하기 위해 명령의 결과 값을 미리 예측하여 종속명령들을 모험적으로 실행한다. 이러한 값 예측을 사용한 모험적 실행으로 성능은 향상되나 값 예측 테이블의 빈번한 참조와 갱신으로 부가적인 전력 소모를 요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값 예측으로 인한 성능향상과 부가적인 전력소모 간의 관계를 측정 분석한다. 또한 확신 카운터(confidence counter)를 사용한 값 예측 시도의 조정으로 모험적 실행의 정도를 조절하고, 예측 성공률이 높은 유용한 명령들만을 선택적으로 예측하여 성능을 유지하면서 부가 전력소모를 줄인다. 제안된 방식의 검증을 위해 사이클 수준 시뮬레이터에 전력소모 모델을 결합하여 프로세서의 기능수준 동작뿐만 아니라 프로세서의 전체 전력소모 및 사이클 당 전력소모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여 검증한다. In recent high-performance superscalar processors, the result value of an instruction is predicted to improve instruction-level parallelism by breaking data dependencies. Using those predicted values, instructions are speculatively executed and substantial performance can be gained. It, however, requires additional power consumption due to the frequent access and update of the value prediction table. In this paper, first, the trade-off between the performance improvement and the increased power consumption for value prediction is measured and analyzed. And, in order to reduce additional power consumption without performance loss, the technique of controlling speculative execution with confidence counter and predicting useful instructions is developed. Also, in order to prove the validity, a tool is developed that can simulate processor behavior at cycle-level and measure total energy consumption and power consumption per cycle.

      • 가정외보호아동의 자립준비 경험과 실태

        이상정 ( Lee Sang Jung )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구 한국복지재단) 2020 동광 Vol.115 No.-

        본 연구는 양육시설, 공동생활가정, 위탁가정에서 보호받고 있는 가정외보호아동의 자립준비 관련 프로그램 및 서비스의 이용 현황과 아동의 자립준비 실태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보호 아동의 욕구에 부합할 수 있도록 자립준비 지원 정책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정외보호아동의 자립준비 실태 조사는 양육시설, 공동생활가정 및 위탁가정에서 보호 받으며 실질적인 자립준비 연령이 되는 만 15세 이상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241개 양육시설, 493개 공동생활가정, 17개 시도별 가정위탁지원센터의 협조를 통해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최종적으로 957명(양육시설 427명, 공동생활가정 215명, 위탁가정 315명)이 응답하였다. 그 결과, 자립지원 표준화 프로그램과 자립준비를 위해 필요한 지원 서비스와 관련된 경험 및 이용률은, 보호유형에 따른 가정외보호아동의 경험 비율에 차이가 나타났다. 자립지원 표준화 프로그램 및 디딤씨앗통장을 포함하여, 자립체험관, 직업 교육 훈련, 자격증, 자립생활 멘토링, 용돈지원, 장학금, 의료, 심리 정서 상담 및 치료, 그리고 자립지원전담요원 사례관리까지 본 연구에서 조사된 모든 서비스에서 위탁가정보호 아동의 이용률이 시설보호 아동보다 낮았다. 또한 위탁가정보호 아동 중에서도 일반위탁가정보다 대리와 친인척 위탁가정 아동의 경험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립지원 표준화 프로그램과 자립관련 서비스는 가정외보호를 받고 있는 아동의 자립준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자립지원 표준화 프로그램 참여 경험과 자립 체험관, 자립생활 멘토링, 심리 정서 상담 및 치료, 자립지원던담요원 사례관리와 같은 자립관련 주요 서비스 이용 경험은 가정외보호아동의 사적 자본 영역과 사회적 자본 영역의 많은 지표들과 정적 상관성을 나타냈다.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가정외보호아동 자립준비 지원을 위한 정책 및 서비스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Youth who are aged out from out-of-home care systems undergo a lot of difficulties economically, psychologically, and socially. However, the difficulties are preventable when they are well-prepared for independent liv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xperiences of preparations for independent living and the readiness among transition-age youth in out-of-home care. The study results reveals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youth' s experiences with programs and services that are designed to help transition-age youth across types of out-of-home care: institutional care, group home, and foster care. In the other hand, youth with experiences of independent living programs and services presented better outcomes in readiness for independent living, especially in the area of human and social capitals. Based on these study findings, suggestions are made to improve independent living support system and the quality of independent living services.

      • 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 아동의 보호 만족도 비교에 관한 종단적 연구

        이상정(Lee, Sang Jung),강현아(Kang, Hyunah),노충래(Nho, Choong-Rai),우석진(Woo, Seok Jin),전종설(Chun, JongSerl),정익중(Ick Joo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7 No.4

        가정외보호 서비스는 그 유형에 따라 서비스의 질과 만족도에 많은 차이가 발생할 수 있지만, 우리나라의 대표적 가정외보호 유형인, 아동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 서비스를 비교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으로부터 보호 서비스를 받고 있는 481명의 5,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5년간 보호 만족도를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더 나아가 가정외보호 아동의 보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층모형 분석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그룹홈 아동의 보호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가정위탁, 아동양육시설 순이었으며 추후 4년 동안의 추적 조사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 친구관계, 사회적지지, 시설종사자의 관심도, 그리고 가정외보호 서비스 유형이 가정외보호 아동의 보호 만족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의 가정외보호 적응을 돕고 보호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re has been no studies that compare services of residential care centers, group homes, and foster homes although out-of-home care services differ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the types of out-of-home care. This study measured and compared care satisfaction of 481 children in residential care centers group homes, and foster homes for five years. Futhermore, factors that predict care satisfaction of the children were identified using multi-level modeling analyses. As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care satisfaction of children in group homes was the highest and children in foster homes presented higher care satisfaction than children in residential care centers. The results were the same across four year follow-ups. In addition, self-esteem, friend relationship, social support, out-of-home care practitioners’ support and types of out-of-home services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predictors of care satisfact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suggestions to help children adapt to out-of-home care and improve out-of-home care satisfaction were made.

      • KCI등재
      • 웹 GUI 기반 스마트 팩토리 공정 관리 및 공유 시스템

        이상정 ( Sang-jeong Lee ),홍석준 ( Seok-jun Hong ),정택성 ( Taek-sung Jung ),한건욱 ( Geon-uk Han ),이인혜 ( In-hye Lee ),정민교 ( Min-kyo Jeong ),민홍 ( Hong Mi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6 No.2

        최근 사물인터넷 분야에서 스마트 팩토리 부분은 많은 주목을 받고 있으며 관련된 연구도 많이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은 제품 생산 효율성을 높여 비용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센서로부터의 데이터 수집과 클라우드로의 전송, 대규모 데이터 분석을 통한 의사결정 등 자동화 부분에 집중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웹 GUI를 활용하여 응용 개발의 편의성을 높여 개발자가 아닌 공정관리자가 직접 공정을 제어할 수 있도록 했으며 유사 환경이 구축된 다른 공장에서 기존에 만들어진 공정 프로그램을 공유하고 재수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또한,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여 제안된 웹 GUI기반 스마트 팩토리 공정 관리 및 공유 시스템의 운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 아동복지시설 보호아동 자기결정권 보장 현황과 개선 과제

        이상정 ( Lee Sang Ju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4 보건복지포럼 Vol.329 No.-

        현재까지 보호아동은 보호의 대상으로만 여겨져 왔기 때문에 이들의 인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주로 의식주의 보장, 신체적·정신적 건강과 안전 등과 관련된 보호권 관점에 머물러 있었다. 그러나 일반 아동과 마찬가지로 보호아동 또한 스스로의 삶의 주체로서 아동복지시설에 거주, 생활하는 동안 자유롭게 참여하고, 의견을 표명하며 주체적인 삶을 영위할 권리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자유권에 기반한 자기결정권의 보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복지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보호아동의 자기결정권 보장 수준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보호 조치, 입소에서부터 보호종료까지 보호의 전 과정을 경험한 자립준비청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복지시설 거주 보호아동의 자기결정권 보장 수준을 높이기 위한 개선 과제를 제시하였다. As children in foster care have to date been regarded solely as objects of protection, public attention toward their human rights has remained limited mostly to their right to protection, such as the right to food, clothing, and shelter, to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to safety. However, as much as the subjects of their lives as other children are of theirs, these children, while living in foster care, must have the rights to live as the masters of their own lives, to engage in activities freely, and to express their thoughts. Ensuring these rights requires enabling the children in residential foster care to exercise their right to self-determination, which is fundamentally the right to freedom. This article presents the findings of a survey we conducted to assess the current state of safeguarding self-determination for children residing in child welfare facilities and discusses policy options for improvement. The survey involved youth in preparation for independent living who had firsthand experience with living in foster care all the way through from placement and entry into the system to exiting it.

      • KCI등재
      • 外食業從事者의 職務滿足이 移職意圖에 미치는 影響

        李相正(Lee, Sang-Jung) 청운대학교 관광산업연구소 2008 관광산업연구 Vol.2 No.2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 of food service employees' job satisfaction on the turnover intention. To accomplish the objectives of the study, the hypothesis was set up based on precedent researches, the primary preliminary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ward the hypothesis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urvey research. The data for empirical analysis are limited to workers at the outlets’ food and beverage service department and food service industry employees working at the production department of nationwide 90 stores in 31 places such as contract food service companies, family restaurants, and top class hotels in Korea. Among 700 distributed questionnaires , 680 were collected and 667 were used for an empirical analysis.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by analyzing organized path model with subjective measured variables of job satisfaction, job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employees: the job satisfaction variable of food service industry employees gives a direct influence on organization commitment variable.

      • KCI등재

        가정외보호 자립준비대상아동의 회복탄력성과 영향 요인

        이상정 ( Lee¸ Sang Jung ),김지민 ( Kim¸ Ji Mi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保健社會硏究 Vol.40 No.4

        자립준비대상아동은 원가족으로부터의 분리, 가정외보호, 그리고 보호 종료라는 다중적 위기 상황에 놓여 있다. 회복탄력성은 이들이 위기를 극복하고 성공적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하는 기재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복지법상 자립준비대상인 만15세 이상 가정외보호아동의 회복탄력성과 영향 요인을 사회생태학적 관점에서 탐색하였다. 양육시설, 공동생활가정, 위탁가정에서 보호받으며 자립을 준비하는 아동을 대상으로 보호유형별로 회복탄력성 수준의 차이가 있는지,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확인하기 위해 「가정외보호아동 자립준비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과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가정외보호 유형간 회복탄력성의 차이는 일부 하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가정외보호아동의 회복탄력성 영향 요인은 우울,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가정외보호 유형, 자립프로그램 참여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외보호 아동의 회복탄력성을 높이고 성공적인 자립을 돕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Children who are in transition from out-of-home care to adulthood are faced with multiple crises: experience of separation from their family and scheduled termination of out-of-home care services. Resilience can help these children overcome crises and successfully adapt to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silience and influence factors of children over 15 years old in out-of-home care from an social ecological perspective.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resilience levels between types of out-of-home care services and stepwise regression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resilience. The results showed that differences in resilience between types of home care servi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in some sub-regions. Depression, self-efficacy, social support, type of out-of-home care services and Independent Living Program participation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predictors of resilience of out-of-home care children. Based on the study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resilience of children in out-of-home care and help their preparation for independent liv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