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인식적 정당화와 의무론적 규범성

        이병덕(Byeong Deok Lee) 한국철학회 2010 철학 Vol.0 No.102

        인식적 정당화의 의무론적 견해에 따르면, 우리는 인식적으로 정당화되는 것을 믿어야 하고, 인식적으로 정당화되지 않는 것을 믿어서는 안 된다. 그리고 정당화에 관련된 규범성은 적절성의 규범성이 아니라 의무론적 규범성이다. 그런데 의무론적 견해는 해결해야 할 두 가지 심각한 난점이 있다. 첫 번째 난점은, 대부분의 믿음들이 비의지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러한 믿음들에 인식적 의무를 적용할 수 없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이다. 두 번째 난점은, 인식적으로 정당화되는 믿음은 진리-개연적이어야 하는데 의무론적으로 정당화되는 믿음이 진리-개연적이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의무론적 견해의 한 버전을 옹호한다. 우리의 정당화 개념은 정당화를 요구하고 이에 응답하는 우리의 사회실천을 배경으로 발전해 온 간주관적 개념이다. 정당화의 사회실천은 ‘진리-개연적이라고 판정되는 믿음은 받아들여야 한다’, ‘증거에 부합하는 인식태도를 취해야 한다’와 같은 것들을 인식규범으로 요구한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의무론적 견해에 대해 제기된 두 난점은 정당화 개념을 정당화의 사회실천이라는 간주관적 모형을 통해 이해하는 필자의 의무론적 견해에 문제가 되지 않음을 주장한다. According to the deontological view of epistemic justification, we ought to believe what is truth-conducive, and we ought not to believe what is not truth-conducive; and “ought” here is not the propriety “ought” but the deontological “ought”. The deontological view faces two serious problems. In the first place, it seems that most of our beliefs can't be subjected to epistemic duty because we have them involuntarily. In the second place, justified beliefs must all be truth-conducive, but one may be deontologically justified in a belief without forming the belief in a truth-conducive way. In this paper, I defend a version of epistemic deontologism. Our concept of justification has been developed on the basis of our social practice of demanding justification and responding to such demands. And our social practice of justification includes epistemic norms such as 'we ought to believe what is truth-conducive' and 'we ought to believe as the evidence we have dictates'. In this paper, I argue that the aforementioned two objections do not pose serious problems to my version of epistemic deontologism, according to which the notion of epistemic justification is to be understood in terms of such intersubjective epistemic norms, which are enforced upon us in the context of our social practice of justification.

      • 가뭄 수요대응 관정연계이용을 위한 지하수 최적 배분 연구

        이병선(Byungsun Lee),명우호(Wooho Myoung),정찬(Chanduck Jeong),이규상(Gyusang Lee) 대한지질학회 2021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0

        상습가뭄지역의 가뭄 수요대응 방안으로, 기설 관정을 연계 이용하여 지하수 공급 극대화를 도모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기설 관정 연계 이용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해당 농업가뭄 발생지역의 정확한 수요량에 대한 분석이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연계 가능한 관정을 수리지질학적 분석을 토대로 지정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충청남도 홍성군의 대표적인 상습 가뭄지역에 대하여 가뭄 수요 대응 상시 지하수 공급체계를 수립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지역은 총 1,164필지(면적 약 289 ha)로 구성되며, 지하수 공공관정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53%) 편이다. 농경지는 537필지(약 46 ha)이며 총면적(약 289 ha)의 약 16% 이고, 논이 약 11%(약 33 ha), 밭이 약 5%(약 13 ha)에 해당한다. 논에 대한 관개용수 수요량의 경우 논(297필지) 면적변화를 기반으로 HOMWR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밭에 대한 관개용수 수요량은 밭(240개 필지)의 재배작물에 대하여 작물별 증발산량이 밭작물의 관개용수 수요량과 동일하다는 가정 하에 산정하였다. 이 결과, 최근 10년간(2010-2019) 연구지역 관개용수 수요량은 평균 377천 ㎥/년으로 추정되었다. 논은 밭에 비해 약 6배 관개 용수 수요량이 많았고, 상세하게는, 논의 관개용수 수요량은 평균 321천 ㎥/년이었고, 반면 밭의 관개용수 수요량은 평균 56천 ㎥/년으로 산정되었다. 이 후, 양수시험 자료(양수정과 주변 관측공의 수위변동 자료)를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지하수가 풍부한 수계와 그렇지 못한 수계의 대수층의 이방성을 확인하였고, 수리전도도의 공간적 분포를 분석하였으며,각 수계별 이방성에 따른 연계대상 관정을 지정하여 상습가뭄 발생지역의 최적 지하수 공급을 도모하였다.

      • KCI등재

        인식적 분석성에 의한 선험적 정당화

        이병덕(Byeong Deok Lee) 한국분석철학회 2010 철학적 분석 Vol.0 No.21

        마이클 데빗은 콰인의 입증 전체론에 호소하여 선험적 정당화를 부정한다. 그는 전체론적으로 경험적인 방법과 그렇지 않은 방법을 원리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근거가 없고, 또한 통상적으로 선험적으로 정당화되는 지식으로 간주되는 논리학, 수학 등의 지식들도, 비록 직접적으로 경험적인 방식은 아니지만 전체론적 방식으로, 즉 간접적으로 경험적인 방식으로 정당화된다고 주장한다. 이 논문은 폴 보고시안이 제시한 ‘인식적 분석성’ 개념을 이용하여 선험성에 대한 분석적 설명을 옹호한다. 특히, 언어규칙을 규정하는 메타언어 문장과 경험적 사실을 기술하는 대상언어 문장은 범주적으로 다른 것이기 때문에 선험적 정당화와 후험적 정당화 사이에 원리적 구분이 있음을 주장한다. Michael Devitt denies a priori justification on the basis of the Quinean confirmation holism. He claims that there is no principled basis on which to draw a line between what can be known in the holistic empirical way and what cannot be so known. He also claims that what is normally taken to be justified a priori, such as our knowledge of mathematics and logic, is justified in the indirect empirical way within this holistic picture. In this paper I defend the analytic explanation of the a priori on the basis of what Paul Boghossian calls 'epistemic analyticity'. I argue, in particular, that we can draw a principled distinction between a priori justification and a posteriori justification on the basis of the categorical distinction between what is justified by virtue of language rules and what is justified by virtue of empirical facts.

      • KCI등재

        약한 인식적 의무론과 믿음의 비의지성 문제

        이병덕(Byeong-Deok Lee) 한국철학회 2013 철학 Vol.0 No.114

        임일환 교수는 그의 최근 논문 『인식적 정당성에 대한 두 가지 의무론적 이해와 비의지성 반론』에서 인식적 의무론을 약한 의무론과 강한 의무론으로 구분하고, 이 중에서 약한 의무론을 옹호한다. 특히 인식적 의무론에 대해 제기된 이른바 ‘믿음의 비의지성 문제’를 약한 의무론적 정당성의 개념을 이용해 보다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인식적 의무론의 대표적인 난점인 믿음의 비의지성 문제에 따르면 우리가 내성과 지각을 통해 형성하는 내성믿음들과 지각믿음들은 비의지적으로 형성되는 것들이기 때문에 이러한 믿음들에 인식의무를 적용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약한 의무론과 강한 의무론이 임 교수가 의도하는 인식론적 함축이 있는 적절한 구분이 아님을 주장한다. 또한 약한 의무론을 이용해 믿음의 비의지성 문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주장이 성공적이지 않음을 주장한다. 특히, 약한 의무론은 비의지적 믿음들 중 정당화되지 않는 믿음들에 관련하여 반직관적 함축을 갖는데 이와 같은 난점을 약한 비의지성 개념에 호소하여 해결하려는 임 교수의 시도는 성공적이지 않다. 끝으로 칸트원리를 받아들이는 한 필자의 입장이 총체적 회의론에 빠질 수밖에 없다는 임 교수의 비판은 필자의 견해를 잘못 이해한 것이다. In his recent paper “Two Types of Deontological Conception of Epistemic Justification and Involuntariness Objection”, Professor Il-Hwan Rim divides epistemic deontologism into the strong form and the weak form, and defends the latter. In particular, he argues that weak deontologism can deal with the problem of doxastic involuntariness raised against epistemic deontologism more effectively than strong deontologism. According to the problem of doxastic deonologism, which is the most important objection against epistemic deontologism, most of our introspective and perceptual beliefs can"t be subject to epistemic duty, because these beliefs are formed involuntarily. In this paper, I argue that Professor Rim"s distinction between weak and strong epistemic deontologism is not a proper distinction which has such epistemic implications that he intends. In addition, he fails to provide a successful argument for his claim that weak deontologism can handle the problem of doxastic involuntariness effectively. In particular, weak deontologism has a counter-intuitive implication with regard to unjustified beliefs among involuntary beliefs, and Professor Rim"s attempt to handle this difficulty is implausible. Finally, Professor Rim"s criticism that my view falls into a total skepticism insofar as I accept Kant"s principle is due to his misunderstanding of my view.

      • KCI등재

        슈메이커 , 이차믿음 그리고 자기기만

        이병덕(Byeong Deok Lee) 철학연구회 1999 哲學硏究 Vol.47 No.-

        믿음은 인식론의 가장 중요한 개념이며, 이차믿음은 자신의 심리상태에 대한 일인칭적 권위와 자기기만의 문제들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슈메이커는 그의 최근 논문에서 자신의 심리 상태에 대한 일인칭적 권위와 자기기만 사이의 충돌을 해소하기 위한 한 가지 매력적인 제안을 제시한다. 슈메이커에 의하면, 자신의 심리 상태에 대한 일인칭적 권위는 긍정적 이차믿음은 항상 옳다는 주장으로 설명할 수 있고, 자기기만은 부정적인 이차믿음에 의해 설명할 수 있다. 그에 의하면, 부정적인 이차믿음은 항상 옳은 것이 아니다. 이 제안은, 만일 성공적이라면, 매우 흥미로운 것이다. 본 논문은 슈메이커의 제안이 설득력이 없음을 주장한다. 특히 그의 제안은 부적절한 자기기만의 개념에 의존되어 있으며, 그의 주장과는 달리, 긍정적 이차믿음과 부정적 이차믿음사이에는 근본적인 차이가 없음을 주장한다.

      • KCI등재

        Ag첨가 마그네슘 합금의 이중열처리에 따른 미세조직 및 기계적 특성변화

        이병덕 ( Byeong Deok Lee ),백의현 ( Ui Hyun Baek ),장경수 ( Kyoung Soo Jang ),한정환 ( Jeong Whan Han ),손현택 ( Hyeon Taek Son ) 대한금속재료학회(구 대한금속학회) 2011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49 No.6

        To improv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Mg alloys at high temperature, we investigated the mechanical properties at high temperature and the change of microstructure of Mg-6 wt%Zn-0.4 wt%Mn and Mg-6 wt%Zn-0.4 wt%Mn-1 wt%Ag alloys on age treatment that have a stable MgZn phase at high temperature and AgMg4 improving yield stress. In order to predict thermodynamic data of Mg alloys, a phase diagram and precipitation phase were calculated using a thermodynamic program,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gZn and AgMg4 phase existed as main precipitation in this alloys. The experimental data examined using DSC and XRD were comparable with the calculated data for reliability. In order to analysis the microstructure and precipitate phase during aging treatment, it was measured by SEM/EDS and TEM. Lastly,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MgZn and AgMg4 phase were measured by a tensile test at high temperature.

      • KCI등재

        공학인을 위한 윤리적 정당화의 논리

        이병덕(Byeong Deok Lee) 한국분석철학회 2010 철학적 분석 Vol.0 No.21

        이 논문에서 필자는 공학인을 위한 윤리적 정당화의 논리를 제시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필자는 크게 네 가지를 논증한다. 첫째, 윤리적 논증의 타당성은 도구적 원리에 토대를 둔다. 둘째, 도구적 원리는 단지 목적과 수단 사이의 관계에 관한 원리이기 때문에 윤리적 정당화는 절대적으로 합당한 윤리적 목적에 의존한다. 셋째, 절대적으로 합당한 윤리적 목적은 인류 공동체의 존속과 번영이다. 끝으로, 필자가 제시하는 윤리적 정당화의 논리는 동기주의 윤리학과 결과주의 윤리학의 통찰을 정합적으로 통합할 수 있다. In this paper, I offer the logic of ethical justification for engineers. For this purpose, I argue four things. First of all, the validity of ethical argument is based on the instrumental principle. Secondly, since the instrumental principle is concerned with the means-ends relation, the ultimate ethical justification depends on the categorically reasonable ethical goal. Thirdly, the categorically reasonable ethical goal is the continuation and general welfare of the human community. Finally, my logic of ethical justification can accommodate the key intuitions of motivational ethics and those of consequentialist ethics simultaneously.

      • KCI등재

        소사의 동물 지식 이론과 인식적 규범성

        이병덕(Byeong Deok Lee) 철학연구회 2015 哲學硏究 Vol.0 No.108

        Sosa argues for animal knowledge as distinct from reflective knowledge, which only humans posses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ize Sosa’s view. Humans are logic-using representational systems, whereas non-human animals are pre-logical representational systems. In addition, humans can have propositional representations, whereas non-human animals can have only featural representations. Due to these fundamental differences between human representational systems and animal representational systems, there are three important reasons why we should not attribute knowledge to non-human animals. First, the alleged animal representations do not satisfy the truth condition. For the alleged animal representations are neither propositional representations nor normative responses. Second, the alleged animal representations do not satisfy the belief condition. The content of a belief has a holistic character, whereas animal representations lack this character. In addition, non-human animals cannot make a doxastic commitment to their representations. Third, animal representations cannot serve as reasons for performing behavior. Due to these reasons, Sosa owes us an explanation as to why we should take the alleged animal representations as a species of genuine knowled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