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파종시기에 따른 콩 품종별 품질 및 이화학 특성

        이지혜(Ji Hae Lee),김현주(Hyun-Joo Kim),이병원(Byong Won Lee),이유영(Yu Young Lee),전용희(Yong Hee Jeon),이병규(Byoung Kyu Lee),이유영(Yu Young Lee),전용희(Yong Hee Jeon),이병규(Byoung Kyu Lee),우관식(Koan Sik Wo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7 No.8

        콩의 품질기준 설정의 일환으로 중북부지역에서 생산된 콩의 품종 및 파종시기에 따른 일반성분, 품질 및 항산화 특성을 검토하였다. 콩의 수분, 조회분, 조지방, 조단백질, 탄수화물 등 일반성분 함량은 품종 및 파종시기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콩의 명도는 품종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파종시기에 따라 청두1호와 청미인 품종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적색도는 품종 및 파종시기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황색도는 품종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파종시기에 따라 진품콩과 검정5호를 제외하고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콩의 수분결합력과 팽윤력은 품종 및 파종시기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용해도는 품종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파종시기에 따라 미소를 제외한 품종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콩의 페놀 성분 함량과 라디칼 소거 활성은 품종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단백 품종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보통기보다 만기재배 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종피색이 검정색인 검정5호와 청자3호 품종이 다른 품종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미소, 새단백, 청미인, 청자3호 품종이 보통기보다 만기 재배 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대원콩, 진품콩, 청두1호, 검정5호 품종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파종시기에 따라 진품콩을 제외하고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콩의 수분 특성은 조회분, 조지방, 조단백질 함량과 상관관계가 있었고,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등 항산화 성분 함량과 라디칼 소거 활성은 조지방, 조단백질, 명도, 황색도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품종 및 파종시기에 따라 페놀 성분 함량과 라디칼 소거 활성이 달라지므로 재배지역의 환경을 고려하여 파종시기를 결정할 필요가 있고 농업 지대에 따른 품종별 파종시기 설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roximate compositions, qual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ybean of different variety and two different seeding periods were evaluated. The proximate compositions of soybean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variety and two seeding period. Additionally, the L-, a-, and b-values of soybean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varieties. Water binding capacity and swelling power of soybea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varieties and seeding periods. Water solubility index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varieties, as well as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seeding periods except for Miso.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soybea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varieties.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differed significantly with varieties and with seeding periods except for Miso.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seeding periods except for Jinpumkong. Phenol content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differed depending on varieties and seeding period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proper variety and seeding time considering the environment of cultivation area.

      • KCI등재

        전문변호사제도에 관한 연구

        이병규(Lee Byoung-Kyu)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법학연구 Vol.50 No.1

        로스쿨의 출범과 법률시장 개방 등의 법조환경 변화로 인해 이제 변호사업계의 전문화는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요청인바, 이를 위해서 전문변호사제도를 도입하자는 논의가 수년전부터 있었고, 드디어 2009. 9. 14. 대한변호사협회는 ?변호사 전문분야 등록에 관한 규정?(규정 제80호)를 제정하여 사실상 전문변호사제도를 도입하였다. 그러나, 변협의 이 제도는 (1) 변호사법에 관련 근거 규정이 없이 변협 규정으로만 실시되고 있는점, (2) 전문분야가 지나치게 세분화되어 있다는 점, (3) 가장 중요한 전문분야 심사기준이 구체적이지 않다는 점, (4) 등록갱신 요건이 부적절하다는 점 등이 큰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따라서, 현행 전문변호사제도는 변호사법 개정 등을 통해서 법적 근거가 마련되어야 하고, 전문분야를 통폐합하여 정리할 필요가 있으며, 심사기준 역시 현재의 법조인 양성 시스템과 결부되도록 보다 구체적으로 정해져야 하고, 등록갱신 요건 역시 재검토가 필요하다. 더 나아가 이 제도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광고 등에 전문분야 표시를 허용하는 이외에도 추가적인 각종 인센티브의 부여를 고려해 보아야 한다. In the advent of the new law school system and the opening of the legal market, the specialization of the attorneys has been an impending issue in the Korean legal society. There have been some discussions on this issue for years and finally the Korean Bar Association (KBA) made a new regulation on the registration of the specialty areas (Regulation No. 80) on September 14, 2009. However, it has several serious problems such as lack of legislative basis, extreme itemization of the specialized area, vagueness of the registration standard and inadequacy of the renewal requirement. Hence, the Attorney's Act should be amended to include this new system. Also, the regulation should be revised in order to simplify the specialized area, specify the registration standard, and reform the renewal requirement. Moreover, some incentives should be considered to activate the system.

      • KCI등재

        인공지능(AI) 법률서비스에 대한 변호사법 제109조 제1호 적용 여부에 관한 고찰

        이병규(Lee, Byoung Kyu) 한국법학회 2018 법학연구 Vol.70 No.-

        인간의 정신능력을 인공적으로 구현한 기계를 일컫는 인공지능(AI)은 이제 법률서비스 분야에도 활발히 적용되어 국내외적으로 많은 연구 ·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고, 해외는 물론 국내에서도 일부 대형로펌에서 이를 도입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인공지능 법률서비스는 비변호사의 법률사무 취급을 일반적으로 금지하는 변호사법 제109조 제1호가 적용될 가능성이 있는바, 이는 결국 인공지능의 법률시장 진출을 제한하는 진입장벽으로 작용할 것이다. 이에 인공지능시장을 넓히고 관련 산업을 진흥하고자 위 조항에 대한 위헌론 또는 개정론을 제기하려는 시도가 예상되지만, 변호사제도의 공공성을 유지하고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지키기 위해서 위 조항은 존치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intelligence demonstrated by machines. Recently it has been applied to legal service and hired by some law firms in the U.S. and Korea. However, AI legal service raises issue of Attorney Act, which prohibits legal service by non-attorneys. Pursuant to Article 109 (1), a person, not an attorney-at-law, who receives or promises to receive money, valuables, entertainment or other benefits or who provides or promises to provide such things to a third party, in compensation for providing or arranging legal services, such as examination, representation, arbitration, settlement, solicitation, legal consultation, drafting of legal documents, etc. concerning legal cases, shall be punished by imprisonment with labor for not longer than seven years or by a fine not exceeding 50 million won. In order to expand their market, AI legal service providers are likely to try to amend Article 109 (1) of Attorney Act by arguing that it is either an unconstitutional provision or an unreasonable entry barrier to new AI industry. However, in terms of public aspects of attorney system and for protection of humanity, the provision should be maintained as it is in the future.

      • KCI등재

        株主議決權制限의 違憲性 硏究

        이병규(Lee, Byoung Kyu),최준선(Choi, June Sun)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성균관법학 Vol.21 No.3

        For a corporation, the voting rights of shareholders refer to shareholders' rights to participate in shareholders' meeting to contribute to the decision-making process. Voting rights are basic rights to participate in the management to secure their status as property right holders. Shareholders' voting rights are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as a part of property rights and must be guaranteed under any circumstances. In certain cases, however, these rights are restricted. Because shareholders with multiple voting rights are highly likely to abuse their authority as dominating shareholders, they could violate the benefits of minor shareholders. The Business Law of Korea currently limits the voting rights of shareholders in certain cases where the law of one voting right per share is not applied. Generally, limiting the voting rights is unconstitutional when the purpose of legislation is clearly against the needs of the public or when the measure of limitation violates the needs or rationality of the purpose of limitation. When applied to limiting the voting rights of shareholder, this means that it is unlawful to limit the voting rights of shareholders solely because they possess more than a certain ratio of shares and unreasonable restriction of voting rights could violate the property rights of shareholders that are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This study examined the constitutional validity of limiting the voting rights of co-owned shares, special interested parties, and in case of exclusion from concentrated vote system by discussing relevant issues and arguments. Also, it suggested amendments to improve the current voting right system to conclude that voting rights shall be limited at the minimum or complimented by post-limitation measures as the current system is unconstitutional.

      • KCI등재

        상표 희석화에 관한 미국 판례의 동향과 시사점

        이병규(Lee Byoung Kyu) 한국법학회 2023 법학연구 Vol.89 No.-

        1927년 Frank Schechter의 논문에서 시작된 미국에서의 상표 희석화 법리는 1995년 연방법(FTDA)에 관련 조항이 입법된 후 2006년에 한차례 개정(TDRA)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FTDA 시절에는 실제적 희석화의 입증이 필요한지 아니면 희석화 가능성의 입증만으로 충분한지가 주로 쟁점이 되었는바, 실제적 희석화설을 취하는 Ringling 판결(제4항소법원)과 희석화 가능성설을 취하는 Nabisco 판결(제2항소법원)의 입장이 대립하자, 연방대법원에서 Victoria’s Secret 판결을 통해서 실제적 희석화설로 이 문제를 정리하였다. 이에 연방의회가 희석화 가능성설을 취하는 법개정(TDRA)을 통해서 Victoria’s Secret 판결을 폐기하였으나, Starbucks 판결의 예에서 보듯이 미국 법원은 여전히 희석화 조항의 해석과 적용에 있어서 엄격하고 신중한 태도를 견지하고 있다. 미국 법원의 판례들은 부정경쟁방지법과 상표법에 희석화 조항을 두고 있는 우리 법의 해석과 적용에도 많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는데, 희석화 조항은 그 규정의 모호성과 적용범위의 광범위성 및 표현의 자유 침해가능성이라는 문제점을 안고 있고, 그 보호법익에 있어서도 소비자 보호와는 관계없이 지나치게 상표권 보호에 치중한 조항이라는 점을 항상 고민해야 한다. 미국 판례들은 희석화 조항의 남용을 막기 위해서 희석화 적용시 엄격한 유사성 판단과 고려 요소들 사이의 신중한 형량이라는 방법을 사용하는바, 이는 우리 법의 운용에 있어서도 큰 참고가 될 것이다. Since Frank Schechter’s first publication on trademark dilution in 1927, the Federal Trademark Dilution Act (FTDA) was legislated in 1995 to codify dilution cause of action into federal statute and the Trademark Dilution Revision Act (TDRA) was enacted in 2006 in order to amend some provisions of FTDA. This article examines major U.S. case laws on trademark dilution such as Ringling case (4th Circuit), Nabisco case (2nd Circuit), Victoria’s Secret case (U.S. Supreme Court) and Starbucks case (2nd Circuit). The U.S. case laws hav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Korean dilution provisions which were codified in both the Unfair Competition Act and the Trademark Act. Paying attention to the problems and goals of dilution doctrine, the U.S. federal courts have been trying to confine the scope of dilution by blurring by means of their strict interpretation of the similarity between the senior mark and the junior mark and their balancing of six relevant factors in TDRA. Those efforts are important lessons from the the U.S. case laws on trademark dilution that the Korean courts should keep in mind in their practice.

      • 저작권관리업법 제정의 쟁점과 입법론적 제언

        이병규(Byoung Kyu Lee) 세창출판사 2009 창작과 권리 Vol.- No.54

        Recently, the legislation of the Copyright Management Business Act is now under way and several versions of the drafts are under review. The Copyright Management Business Act intends to regulate the copyright collective management system and thus is very important for the promotion of culture and contents industry. However, there are strong criticism and concerns on the draft especially with regard to the unification of the copyright trust and agency/brokage system. It still tries to maintain the permission system for the copyright collective management business so as to continue the monopoly of the existing copyright societies. In order to promote the competition among copyright societies and to induce the better service for the copyright holders and the users, the permission system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hould be abolished and the draft of the Act should be revised accordingly.

      • KCI등재

        인터넷 검색광고의 법적 제문제

        이병규(Byoung kyu Lee)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성균관법학 Vol.28 No.3

        인터넷이 발달함에 따라, 이를 중심으로 한 비즈니스 환경도 다각도로 변화하고 있다. 전 세계 주요 인터넷 기업들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서비스를 출시하여 기존 산업군의 수익을 상회하는 수익을 기록함과 동시에 그들 스스로의 기업 가치를 높여가고 있다. 검색광고는 이러한 IT 비즈니스에 있어 가장 혁신적이고, 합리적인 비즈니스 모델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법적 정의는 물론, 정책입안자들의 이해도도 높지 않은 상황이다. 인터넷광고 시장이 급격하게 성장하여 법과 제도가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는 하나, 우리나라에 도입된 지 십수 년이 지났고, 우리 일상생활의 깊숙이 자리 잡은 광고기법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고 일률적인 규제의 잣대만을 들이대는 것은 적절치 않을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검색광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차원에서 법률적 논의들을 개략적으로 살펴보고, 인터넷광고 산업계와 이용자가 상호 만족할 수 있는 규제방향을 제시와 더불어 향후 연구과제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이 논문에서 제안하는 검색광고와 관련한 규제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율규제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검색광고 규제 체계의 수립이 필요하다. 둘째, 검색광고의 정의 등을 명시한 분쟁해결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검색광고 규제 부처의 전문성 확보 방안 등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한편, 검색광고를 둘러싼 여러 법적 문제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법률적 쟁점들은 어떤 문제는 정책적으로 풀어나갈 수 있고, 어떤 문제는 자율규제의 방식으로 풀어나갈 수 있으며, 또 어떤 문제는 법률적 규제 근거가 마련되어야 해결할 수 있는 문제라 할 수 있다. 이를 도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방향을 제시한다. 첫째, 검색광고와 관련한 여러 법적 개념들의 통일성을 갖추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검색광고를 둘러싼 부정적 요인들의 해결방안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검색광고 이해관계자들의 위치를 재정립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검색광고를 둘러싼 법적 제문제들이 정리 된다면, 국내 검색광고에 있어서의 규제 혼란은 사라질 것이며,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시장의 재편 등을 기대해 볼 수 있다. 이는 국내 검색광고 시장의 성장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것이며, 국내 검색광고 기업과 글로벌 검색광고 기업 간의 공정경쟁 등의 기반을 마련해줄 수 있을 것이다. With the advancement of the internet, a business environment centered-on the internet is also changing in various perspectives. Key internet companies throughout the world are elevating their own corporate values along with recording of the values that exceed the profits of the existing industries by launching a diverse range of services on the basis of new business models. Search advertisements are the most innovative and rational business model among such IT businesses. However, there still is no legal definition and relatively low level of understanding by the policy makers. Although the situation is that the law and system is not keeping pace with the rapid growth of the internet advertisement market, it would be quite inappropriate to apply a uniform criteria of regulations without sufficiently understanding the technique of advertisement that has been introduced several decades ago and deeply rooted in our daily lives in Korea. Therefore, this thesis aims to briefly examine the legal discussions in order to elevate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internet advertisements, in particular, search advertisements, and to deduce future research tasks along with the presentation of the direction of regulations that both the internet advertisement industry and users can be satisfied with. The means of improvement of the regulations related to search advertisements proposed in this thesi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is a need for the establishment of a new regulation system for search advertisements on the basis of self-control. Secondly,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standards for the resolution of disputes that stipulates the definition of searchadvertisement, etc. Thirdly, there is a need for an assertive review on unification of the government authorities tasked with the regulation of search advertisements. Currently, there exists a diverse range of government authorities for regulation, thereby inducing the possibility of the problems in consistent regulation or equity in regulation.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seek the means of unifying the government authorities for regulation of the search advertisements that are sporadically scattered into a single professional authority, if possible. Meanwhile, there exit various legal issues surrounding search advertisements. Some of such legal controversial issues can be resolved through policy means while some others can be solved through the format of self-control. Moreover, some are issues that can be resolved only if legal grounds for regulation is established. In order to deduce such means and grounds, the following research direction is presented. Firstly,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the unification of various legal concepts related to search advertisements. Secondly,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for the means of solving the negative factors surrounding search advertisements. Thirdly, research for the re-establishment of status of the interested parties of search advertisements is necessary.

      • 산업재산권 분쟁조정제도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

        이병규(Lee Byoung Kyu) 세창출판사 2011 창작과 권리 Vol.- No.65

        With the enactment of the Basic Act on Intellectual Property, it is expected that the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ADR) will be used more frequently in the field of intellectual property law. Pursuant to the Invention Promotion Act, the Industrial Property Mediation Committee was established under the auspices of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KIPO), but the mediation remains very inert due to the limited scope of the subject matter, lack of a standing member of the committee and weak publicity. Therefore, in order to activate the mediation, the scope of the subject matter of it on should be broadened to include some administrative dispute (e.g., invalidation case). Also, a standing member of the committee and on-line mediation should be introduced into that system. Arbitration could be considered as a part of the Committee's ADR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