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간 사용자 경험 디자인 특성이 적용된 브랜드 스페이스 사례 연구

        이민아 ( Mi Na Lee ),이정교 ( Jung Kyo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1

        소비자는 사용 대상을 통해서 과거의 관점과 달리 물리적 장소성과 더불어 심리적 가치 만족을 요구한다. 이러한 소비 환경 시대에 브랜드 스페이스는 소비자에게 브랜드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여 커뮤니케이션 하고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공간디자인 영역에서 사용자의 시각적·물리적·심리적인 복합적 경험으로 니즈를 충족시키는 공간 사용자 경험 디자인(SUXD) 특성을 적용한 브랜드 스페이스 사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와 문헌자료 분석을 통한 이론적 고찰과 이를 배경으로 구조화한 브랜드 스페이스 SUXD 분석 매트릭스를 통하여 마케팅 유형별 사례 공간을 분석하였다. 브랜드 스페이스에서 공간 사용자 경험 디자인은 시각적 경험과 물리적, 심리적 경험 순으로 연결 구성되어 기업·브랜드 전략 환경을 구성하고 있다. 특히,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 구축을 위한 능동적인 참여 프로그램을 필요로 하였다. 앞으로 브랜드 스페이스를 계획하는데 공간 사용자 경험 디자인의 적극적인 적용이 요구되며, 기업과 브랜드의 이미지를 제고시키는데 시너지 효과를 가져 올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Consumers dem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with physical sense of place through the target of their use, unlike in the past. In this consumption environment era, brand spa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building brand identity and in communicating by providing consumers with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brand. Therefore this research sought to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user experience design(SUXD) that satisfy customer needs with the users` composite visual, physical and psychological experiences in the spatial design. Space case studies per type of marketing form was analyzed by carrying out theoretical examin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existing studies and literature and by applying the brand space SUXD analysis matrix that structured this. Spatial user experience design in the brand space formed corporate and brand strategic environment since it is comprised by linking from the visual experience to physical and psychological experiences. Especially program for active participation was needed to build communication with customer. Active application of spatial user experience design for the planning of brand space is required, and is expected to bring about synergy effect for increasing the images of companies and brands.

      • KCI등재

        방문자의 자아 구성, 자아 존중감, 성별이 개인 웹사이트에 드러난 자기 제시(self-presentation)에 대한 평가에 미치는 영향

        이윤미(Yun-Mi Lee),양혜영(Hye-Young Yang),이민아(Mi-Na Lee),김주환(Joo-Han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06 한국언론정보학보 Vol.36 No.-

        본 연구는 흔히 미니 홈피로 불리는 개인 웹사이트(personal website)의 자기 제시(self-presentation)에 대한 평가가 어떠한 요인들에 의해 영향 받는지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성별, 자아 구성, 자아 존중감, 자기제시 방식을 주요 설명변인으로 놓고 개인 웹사이트 주인에 대한 호감도와 유능감을 종속변인으로 한 구조방정식모형(SEM)을 검증해 보았다. 또한 잠재평균분석(LMA)을 통해서 구인된 변인들 간에 남녀 집단에서 차이가 존재하는지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여성이 남성에 비해 상호의존적 자아구성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녀 모두 동성보다는 이성의 자기 제시에 대해 높은 호감도를 보였고, 동성의 과시형 자기 제시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호감도를 보였다. 한편, 지각된 유능감 측면에서도 남녀 모두 이성의 자기 제시에 대해 보다 유능하다는 평가를 하고, 여성의 경우에는 과시형 자기 제시를 한 남성에 대해 더욱 유능하다고 평가한 것으로 나타나, 자기제시자의 성별에 따라 평가가 크게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자아구성과 자아존중감은 성별의 효과에 비해 일관적이지도 않고 상대적으로 약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오프라인에서의 자기제시에 대한 기존의 많은 연구와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 결과다. 이러한 차이가 웹사이트라는 특성에 기인한 것인지의 여부에 답하기 위해서는 다른 조건들을 동일하게 놓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자기제시 효과를 비교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방문자에게 호감을 주는 개인 웹사이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방문자의 특성(특히 성별)을 고려한 자기 제시 유형을 전략적으로 활용해야 함을 암시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how visitors of personal web sites evaluate self presentation styles. We hypothesized that visitors' gender, self construals, and self esteem would influence the evaluation (likeability and perceived competence) of the self presentation styles (bragging or positive presentation). The hypothesized models were test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ender differences among the constructs were also examined through latent mean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females tended to have higher interdependent self construal than males. And the male and the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likeability toward the self presentations of the other gender. Regarding perceived competence, women and men perceived the other gender more competent, and especially, women perceived men's bragging presentation more competent. Self construals and self esteem, however,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effects, which were in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conducted with off line self presentation styles. One of the main implications of this study is that visitors' gender, among other things, is the most infueltial factor in perceiving and evaluating others' self presentation through personal web site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