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金生 書藝 硏究

        이미경(Lee, Mi-gyeong) 한국서예학회 2008 서예학연구 Vol.12 No.-

        金生(711-791?)은 統一新羅時代에 활동한 書藝家로서 고려의 坦然(1069-1158), 崔瑀(?-1249), 柳伸(1104-?)과 더불어 神品四賢으로 일컬어진다. 그의 생애는 오로지 書藝를 위한 한평생이었으며, 각 서체를 두루 섭렵하여 중국인들도 경탄하는 서품을 이루었으므로 海東의 書聖으로 불리어진다. 1200여년이 지난 지금 김생에 대한 문헌이나 자료는 극히 적다. 따라서 그의 생애나 서품에 대하여 논급한 것 또한 희소하다. 다만 그에 대한 書藝觀이나 그의 人格, 그리고 서품에 대해서 객관적인 자료나 추측에 의하여 다소 硏究되고 있을 뿐이다. 그러므로 김생에 대해 깊이 연구한다는 것은 무리일 수밖에 없다. 이에 그동안 발굴된 자료와 선행연구자들의 연구실적을 바탕으로 개략적으로 짚어 보았다. 우리나라는 三國時代를 거치면서 점진적인 중국문화의 영향을 받아왔다. 통일신라시대를 맞이하여 唐의 文化가 여과 없이 받아 들여졌으며, 서예에 있어서도 例外가 아니었다. 통일 초기로부터 당의 서풍이 대거 밀려들면서 당시 유행했던 歐陽 詢, 褚遂良등의 楷書와 그리고 南北朝時代이래로 유행했던 王羲之의 行書․ 草書가 성행했다. 이러한 시대적 ․ 사회적 배경에서 탄생된 김생서예의 연원과 형성과정에서 王羲之書風의 흡수, 初唐書風의 수용, 三國書藝의 傳承이 있었음을 대비시켜 보았다. 김생의 서예는 당문화의 수용과 함께 왕희지 서풍의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그는 왕희지의 서체를 그대로 모방에 그치지 않고, 자신의 개성을 충분히 드러내어 우리 고유의 서풍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本硏究는 그의 서풍에서 우리 고유의 정서가 담긴 서풍, 특히 김생만의 창의적인 독특한 필법을 가려내어 우리의 土俗美와의 연관성을 지어 봄으로써 우리고유의 서풍를 찾아내는 데 있어서 조금이나마 도움이 있을 것이다. 왕희지서체와 김생의 서예에서 집자비와 필적으로 알려진 작품들을 중심으로 비교해 보면 전체적인 字形은 왕희지서체와 유사한 부분도 있었지만, 필획과 결구, 횡획 처리, 변과 방의 처리, 점획의 변화 등에서 왕희지와 차이를 보였다. 김생의 글씨에서 통일신라 이전의 서예특징들을 찾아 볼 수 있었다. 즉 김생이 시기상으로 왕희지를 배웠으나 왕희지의 틀에서 벗어나 삼국시대의 시대정신이 깃들어 있고 우리 정서에 맞는 글씨를 썼던 것이다. 김생의 서예가 지니고 있는 우리 민족의 美意識이 잠재되어, 토속적이고 평화로우면서 너그럽고 여유 있는 형태가 서풍 속에 함유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김생이 일궈놓은 민족성이 깃든 토속적인 결구 및 장법의 미는 우리민족의 고유한 미의식이 무엇인가를 제시해주는 이정표가 될 것이며, 우리 서예의 최고의 範本으로 영원히 추앙 받아야 될 것이다. Kim Saeng(金生711-791?) who acted as calligrapher in the age of unified Shilla(統一新羅), is called one of the four calligraphy masters(神品四賢) with Tan Yeon(坦然1069-1158), Choi Woo(崔瑀?-1249), and Ryu Shin(柳伸1140-?) in Koryeo(高麗). He lived for calligraphy all his life. And he learned every style of calligraphy thoroughly and made masterpieces to wonder and admiration of Chinese people. He is accordingly called the saint of calligraphy in the east of Bo Hai(渤海). 1,200 years passed since he died, but now there is a small literature or documents about him. For that reason, there is rare records on his life or reference to his masterpieces, as well. The researches into his calligraphic view or his personality, and his masterpieces are carried out by mere objective material or conjecture. So it is very difficult to study Kim Saeng deeply, but I tried to search him out prudently on the basis of materials excavated for the past time and research data of preceding researchers. Our country had influenced by Chinese culture step by step through the era of the Three Kingdoms. The culture of Tang(唐) was received without any filtering during the era of unified Shilla. There was not exception for calligraphy. From the early days of unification, the calligraphic style of Tang rushed in a great mass. In the Tang the square style(楷書) of calligrapher such as Ku Yang-soon (歐陽詢), Jeo Su-ryang (楮遂良) was widespread and the semicursive style(行書) and the grass style(草書) of Wang Heui-ji (王羲之) had been widespread since the age of Nambukjo(南北朝時代). Those styles of writing rushed into the unified Shilla and were widely prevalent. The origin of the calligraphy of Kim Saeng was born in those social environment. His calligraphy was influenced by the style of Wang Heui-ji and used the style of the early Tang, and then succeeded the calligraphy of Three Kingdoms. I tried to contrast the origin of his calligraphy with its forming process. His calligraphy was affected by the style of Wang Heui-ji with the reception of the culture of Tang. But he didn`t imitate his style as it was. As the result, he could express his own character and the calligraphic style peculiar to Korea sufficiently. I tried to help to search the calligraphic style peculiar to Korea. Especially, I tried to distinguish his creative, characteristic method with our own folk-beauty. Comparing the style of Wang Heui-ji with the style of Kim Saeng through the gravestones engraved in their collected letters and their handwritings, there was an affinity between the two styles in the shape of characters. But there were many differences in the strokes and frames of writings, handling of vertical stroke, handling of the left-side radical of characters and right-side radical(邊과 旁), and the changes 邊旁of point-strokes. Also, his writings showed the characteristics in the former times of unified Shilla. That is, he learned the style of Wang Heui-ji as compared with time, but he came out of the frame of Wang Heui-ji and expressed the spirit of the Three Kingdoms. He wrote the characters suitable to our emotion. The aesthetic sense of our nation is latent in his calligraphy, and also his calligraphic style contains folk, peace, generosity and comfort, etc. In conclusion, he cultivated the folksy frames of character and the beauty of Jangbeob(章法, How to adjust the space between lines and characters) in his own way. That's the point will be a milepost presenting what the peculiar esthetic sense of our nation is. I think his calligraphy will be admired forever as the best example of our calligraphy,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