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실습을 위한 교수매체 제작 및 활용에 대한 현황과 실습지도 교사의 요구

        이문옥(Lee, Moon-Ok),황인주(Hwang, In-Joo)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2 교육연구 Vol.53 No.-

        본 연구는 유아교육실습을 위한 교수매체 제작 및 활용에 대한 현황과 실습지도 교사의 요구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지역의 실습지도 경험이 있는 유치원 교사 1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에 응한 교사 중 9명을 선정하여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습생들의 교수매체 제작 및 활용 현황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실습지도 교사들은 실습생들에게 교육활동에 따라 적합한 교수매체를 직접 제작하여 활용하도록 하였으며, 실습생들이 제작한 교수매체의 개수는 그들이 수행한 교육활동의 수보다는 적었다. 둘째, 실습생의 교수매체 제작에 대한 개선점에 대하여 실습지도 교사들은 실습생들이 유아의 발달과 교육적 목적을 고려하여 안전하고 견고한 교수매체를 제작할 뿐만 아니라 창의적이고 융통성 있는 활용을 할 수 있기를 원하였다. 실습지도 교사들은 실습 전에 준비해야 할 점으로 교수매체 제작과 자료수집에 대해 좀 더 적극적인 태도로 임하기를 원하였고, 교수매체 제작을 위한 다양한 자료를 미리 준비하기를 원하였다. 또한 교수매체의 적절한 활용을 위하여 유아 발달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상호작용에 대한 준비를 할 것을 요구하였다. 대학교육에서 교수매체 제작 및 활용을 위해 보충해야 할 점으로는 계획안 지도와 유치원의 상황을 고려한 모의수업, 교수매체 제작 및 활용에 대한 다양한 평가 등을 요구하였으며, 특히 창의적인 교수매체 제작을 위해 기존 교구의 장⋅단점 분석, 제한된 재료를 활용한 창의적인 교구 제작 및 분석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operating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nd requests on student teachers' production and application of instructional media in practice teaching. For the study, 101 cooperating kindergarten teachers were surveyed on the issues and 9 of them were interviewed for further investig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cooperating kindergarten teachers urged the student teachers to make and use their own instructional media in practice teaching. The number of instructional media the student teachers used was smaller than the number of instructional media the student teachers made. Second, the cooperating kindergarten teachers made some suggestions to improve student teachers' production and application of instructional media for practice teaching. They suggested that student teachers needed to consider the purpose of education, safeness, durability, creativeness, and flexibility of application when they made or chose instructional media. The teachers also made some suggestions for the prepar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y wanted universities or colleges to have more practical experiences in producing and applying instructional media which have more connection between theory and practice. They also wanted more thorough assessment and feedback on students' use of instructional media.

      • KCI등재

        생물 기르기 활동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이문옥(Lee Moon-Ok),성은지(Sung Eun-Ji)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8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5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06년까지 유아들을 대상으로 생물 기르기 활동을 실시한 현장연구이다. 유아들과 2년 동안 지속적으로 다양한 생물을 길러보고 그 성장과정을 관찰하면서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과학적 탐구능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장수풍뎅이, 누에, 명주잠자리 등을 키우면서 통합적 교육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생물 기르기 활동은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유아의 연령증가에 따른 탐구능력의 변화과정을 분석해 본 결과 유아의 연령 증가에 따라 관찰력이 좀 더 세밀해지고 관찰을 통한 비교하기, 예측하기 등의 과학적 탐구능력이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by performing integrated activities for raising animate creatures. 30 4-year-old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 2 years. They raised various animate creatures including beetles, silkworms, and ant lions. Children performed various integrated activities around the creatures, such as language, math, science, art, and physical activities. The study result revealed that children became more interested in raising living things and showed higher levels of scientific ability, verbal expression, and creative thinking skills. As time passed by, the children paid more attention to details while they observe and their verbal and graphic expression was based on their factual knowledge and became more sophisticated.

      • KCI등재

        부모-유아의 책읽기와 유아의 읽기발달에 관한 고찰

        이문옥(Moon Ok Lee)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1999 교육연구 Vol.33 No.-

        본고에서는 부모와 유아의 책읽기와 유아의 읽기발달에 관계되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부모-유아간의 책읽기와 책의 유형, 유아의 연령과 읽기능력 등에 따라 어떻게 다르며, 책읽기가 유아의 읽기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여 보고, 부모-유아의 책읽기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부모와의 책읽기와 유아의 읽기발달, 책을 매개로 한 부모-유아간의 상호작용, 유아와의 책읽기 활동을 위해 고려할 점 등을 살펴보기로 한다. Reading is a developmental task which develops gradually over time. Many factors influence children's reading ability, and reading to children is one of them. Studies suggest that reading to children is important and has significant impacts on children's development of reading. This study reviews a body of literature to look 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orybook reading and children's reading development. Reading to children is related to children's vocabulary, language development, reading readiness, reading comprehension, understanding of story structure, and motivation to read. In addition, it is also related to understanding of many aspects of reading, such as how handle books, the directionality of written language, and the functions of print in books. Reading to children has long-term effects as well. Several factors influence parents' reading to their children. Parents regulate their reading according to their social background, types of books, age of the child, and parental beliefs. Parents' reading changes over time and their children's reading evolves accordingly. Parents' reading to their children seems to provide opportunities to teach and interact with their children in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Since many studies reveal the positive effects of reading to children, it is important to educate parents about the significance of reading to their children. Although many parents do read to their children, majority of parents still do not realize the importance of early reading experiences. Reading to children at kindergarten is also important. By reading children regularly at home and at kindergarten, both parents and teachers can help children learn to read naturally and enjoy reading throughout their lives.

      • KCI등재

        예비부모의 자녀출산 및 양육관, 예비부모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이문옥(Lee Moon-ok),심미영(Sim Mi-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예비부모를 대상으로 자녀출산 및 양육관, 예비부모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해 보고자 결혼 후 현재 자녀가 없는 예비부모 1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중 13명의 예비부모에게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부모의 자녀출산의지는 출산 계획이 있다는 의견이 대다수를 차지하였고,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자녀의 수는 2~3명이라고 응답하였다. 둘째, 예비부모의 양육관에 대해 조사한 결과 애정적 태도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자율적 태도, 거부적 태도, 통제적 태도의 순으로 나타났다. 심층면접에서 예비부모들은 자녀가 자율적으로 꿈을 발견하고 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친구와 같은 부모가 되고 싶다고 하였다. 셋째, 예비부모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부분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교육 참여시 반드시 예비부모가 함께 참여할 것이라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급변하는 사회에서 바람직한 부모가 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예비부모들의 특성과 상황에 따른 맞춤형 교육이 요구되어 지며, 예비부모교육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적극적인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rospective parents’ perception of childbirth, childrearing attitude, and parent education for prospective parents. 176 prospective parents who were married but currently did not have any child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were surveyed on the above mentioned topics and 13 of them were interviewed for further investigation.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prospective parents had a high level of will for childbirth. Most of them planned to have their children and many wanted to have two children regardless of their sex. Most prospective parents were in favor of having dual income even after childbirth. For childrearing attitude, many of them had affectionate attitude followed by autonomous attitude, rejecting attitude, and controlling attitude. Most prospective parent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parent education for prospective parents and were eager to participate in a parent education program if they were given a chance. They felt that they did not have enough education or knowledge to be a parent.

      • KCI등재

        The School Culture and Personal Teaching Efficacy

        Lee, Moon-Ok(이문옥)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1995 교육연구 Vol.29 No.-

        이 연구에서는 교사의 교수효능감(personal teaching efficacy)이란 학생의 동기와 학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사 자신의 능력에 대한 확신이라고 정의한다. 많은 연구들은 이러한 확신의 중요성을 교사의 확신이 교육과정 개혁의 성공적인 수행과 학생들의 동기와 학업성취와 갖는 높은 관련성에서 보여준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초등학교 교사와 중학교 교사간에 차이가 있다는 선행연구들의 제안에 따라 학교문화의 어떠한 특성이 교사의 교수효능감을 조사하기 위한 연구 대상으로 미국의 초등학교 교사와 중학교 교사 117명이 참여하였따. 교사들은 자신의 개인적인 교수효능감과 학교문화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는 설문지에 응답하였다. 교사들의 설문지 결과에 의하면 초등학교 교사들이 중학교 교사에 비하여 학습지도에 대해 훨씬 더 자신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문화에 대한 인식에도 차이가 있었는데, 두 집단의 교사의 응답 결과를 비교했을 때 초등학교는 중학교 보다 성취와 탁월성을 더 강조하고 교사간의 경쟁은 덜 강조한다고 답했다. 전체 교사들을 대상으로 했을 때, 교사들은 학교조직의 성취를 강조하고, 동료간의 경쟁심보다는 대화와 협동심을 격려하며, 적정하고 공정한 피드백을 제공할 때 높은 수준의 교수효능감을 갖게된다고 답했다. 학교문화 변인들, 교사의 성, 그리고 학교유형은 교사효능감 중 22%의 변량을 설명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실습을 위한 교수매체 제작 및 활용에 대한 현황과 실습지도 교사의 요구

        이문옥(Lee, Moon-Ok),황인주(Hwang, In-Joo)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2 교육연구 Vol.54 No.-

        본 연구는 유아교육실습을 위한 교수매체 제작 및 활용에 대한 현황과 실습지도 교사의 요구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지역의 실습지도 경험이 있는 유치원 교사 1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에 응한 교사 중 9명을 선정하여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습생들의 교수매체 제작 및 활용 현황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실습지도 교사들은 실습생들에게 교육활동에 따라 적합한 교수매체를 직접 제작하여 활용하도록 하였으며, 실습생들이 제작한 교수매체의 개수는 그들이 수행한 교육활동의 수보다는 적었다. 둘째, 실습생의 교수매체 제작에 대한 개선점에 대하여 실습지도 교사들은 실습생들이 유아의 발달과 교육적 목적을 고려하여 안전하고 견고한 교수매체를 제작할 뿐만 아니라 창의적이고 융통성 있는 활용을 할 수 있기를 원하였다. 실습지도 교사들은 실습 전에 준비해야 할 점으로 교수매체 제작과 자료수집에 대해 좀 더 적극적인 태도로 임하기를 원하였고, 교수매체 제작을 위한 다양한 자료를 미리 준비하기를 원하였다. 또한 교수매체의 적절한 활용을 위하여 유아 발달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상호작용에 대한 준비를 할 것을 요구하였다. 대학교육에서 교수매체 제작 및 활용을 위해 보충해야 할 점으로는 계획안 지도와 유치원의 상황을 고려한 모의수업, 교수매체 제작 및 활용에 대한 다양한 평가 등을 요구하였으며, 특히 창의적인 교수매체 제작을 위해 기존 교구의 장·단점 분석, 제한된 재료를 활용한 창의적인 교구 제작 및 분석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operating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nd requests on student teachers' production and application of instructional media in practice teaching. For the study, 101 cooperating kindergarten teachers were surveyed on the issues and 9 of them were interviewed for further investig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cooperating kindergarten teachers urged the student teachers to make and use their own instructional media in practice teaching. The number of instructional media the student teachers used was smaller than the number of instructional media the student teachers made. Second, the cooperating kindergarten teachers made some suggestions to improve student teachers' production and application of instructional media for practice teaching. They suggested that student teachers needed to consider the purpose of education, safeness, durability, creativeness, and flexibility of application when they made or chose instructional media. The teachers also made some suggestions for the prepar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y wanted universities or colleges to have more practical experiences in producing and applying instructional media which have more connection between theory and practice. They also wanted more thorough assessment and feedback on students' use of instructional media.

      • KCI등재

        명화감상을 통한 언어활동이 유아의 어휘력 및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윤영(Lee Yoon-Young),이문옥(Lee Moon-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명화감상을 통한 언어활동이 유아의 어휘력 및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유아의 어휘력 및 언어표현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위치한 S어린이집 만 5세 두 학급을 실험집단 18명, 통제집단 18명으로 하여 8주간 주 2회씩 총 16회의 명화감상을 통한 언어활동을 실시하였다. 총 16회의 명화감상을 통한 언어활동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통제집단의 유아들에 비해 어휘력 및 언어표현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다양한 언어활동의 교수매체로 명화작품이 의미 있게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inguistic activities using famous paintings on young children's vocabulary and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and to offer the basic data to be us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aims of the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effects of linguistic activities using famous paintings on young children's vocabulary? 2. What are the effects of linguistic activities using famous paintings on young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 5-year-old children who attend S Child Care Center in Seoul. One group of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as an experimental group(18 children) and the other as a control group(18 children). Linguistic activities using famous paintings were performed 2 times a week for 8 weeks, total 16 times, from 19th of May to 9th of July, 2009.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linguistic activities using famous paintings for 50~55 minutes during free-choice activity time while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free-choice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The linguistic activities using famous paintings had positive effects on young children's linguistic ability. The experimental group had higher vocabulary and language expression score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y also had higher scores on expressive vocabulary, number of sentences and length of sentences. Such results showed that young children had many opportunities to tell their own opinions and listened to those of peers through the various linguistic activities using famous paintings and as a result their linguistic abilities had been improved.

      • KCI등재

        교육실습을 위한 교수매체 제작 및 활용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

        숙재(Lee Sook Jae),이문옥(Moon-Ok Lee),윤영(Lee Yonn young) 한국육아지원학회 2012 육아지원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교육실습을 위한 교수매체 제작 및 활용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과 요구 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의 예비유아교사 235명을 대상으로 설 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에 응한 예비교사 중 8명을 선정하여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은 교육실습 중 사진자료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 으며, 대체로 6∼8개의 교수매체를 제작하고 있었지만, 이는 기관에 따라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수매체 제작 시 인터넷을 많이 활용하였다고 하여 컴퓨터를 적극적으로 활 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예비교사들은 자신들의 교수매체 제작 및 조작능력에 대해 스스로 높 이 평가하고 있었으며, 교수매체 제작은 주로 퇴근 후에 한다고 하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 는 교수매체의 필요성 및 활용효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실습기관의 교수 매체 제작과 활용에 대한 지원과 관심은 보통수준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예비교사들은 교수매체를 제작하거나 선택할 때 교육내용의 적합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유아발달수준의 적합성, 호기심 유발가능성, 견고성과 내구성, 보관의 용이성 순으로 중요하 게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예비유아교사들은 교수매체 제작 시의 어려움에 대해 교수매체 제 작 및 준비 시간의 부족, 경비부족, 지식부족, 적절한 교수매체를 찾기 어려움, 원장 및 지도 교사의 관심 및 지원 부족으로 응답하였다. 넷째, 예비유아교사들은 교수매체의 제작 및 활용 에 대한 개선점으로 교수매체 제작을 위한 충분한 시간 제공, 경비지원, 교수매체에 대한 정보제공 등으로 응답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nd requests on production and application of instructional media in practice teaching. 235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were surveyed on the issues and 8 of them were interviewed for further investig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the following: The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used photos most frequently for their instruction. They made an average of 6-8 instructional media for their practice teaching. They searched internet sites to gather information on instructional media for certain subjects. They thought that they were capable of producing and applying instructional media in kindergarten classroom settings. They recognized the necessity and positive effects of instructional media. They considered the purpose of education, developmental appropriateness, attractiveness, durability, and easiness of storage when they prepared instructional media. The pre-service teachers had difficulties with the production and application of instructional media. The difficulties were the lack of preparation time, too much expense, insufficient knowledge, difficulty in finding appropriate instructional media, and lack of directors' or supervising teachers' support. They made som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They wanted enough time to prepare instructional media, financial support, and more information on instructional media.

      • KCI등재

        유아 교사의 교수효능감, 행복감, 유아의 기관 및 교사 선호, 또래 놀이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심미영 ( Sim Mi-young ),이문옥 ( Lee Moon-ok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교사교육연구 Vol.57 No.4

        본 연구는 유아의 또래 놀이 상호작용과 관련된 다양한 변인 중에서 유아 교사의 교수효능감, 행복감, 유아의 기관 및 교사 선호가 유아의 또래 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2014년) 데이터 중 만 6세를 담당하는 유아교육기관교사 1,203명이 응답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 교사의 교수효능감, 행복감, 유아의 기관 및 교사 선호, 또래 놀이 상호작용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변인 간에 정적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교사의 교수효능감, 행복감, 유아의 기관 및 교사 선호, 또래 놀이 상호작용 간의 구조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아 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유아의 기관 및 교사 선호는 또래 놀이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수효능감과 행복감은 유아의 기관 및 교사 선호를 매개로 또래 놀이 상호작용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 교사의 교수효능감과 행복감이 높을수록 유아의 기관 및 교사 선호가 높아지며, 이러한 유아의 기관 및 교사 선호는 또래 놀이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arly child teachers' teacher efficacy and happiness on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s which was mediated by children's preference for institute and teacher.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the 7th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 in 2014.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the frequenc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easurement model, structural model and mediating effect through the SPSS and AMOS program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lationships among teacher efficacy, teachers' happiness, children's institute and teacher preference, and peer play interactions were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eacher efficacy and children's institute and teacher preference affected peer play interactions directly. In addition, teacher efficacy and teachers' happiness affected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s indirectly through children's institute and teacher preferenc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higher the teachers' efficacy of teaching and their happiness, the higher the children's preference of institute and teacher, which in turn, positively affects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