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승무 좌우치기 동작 시 숙련도와 류파에 따른 손목의 각도, 각속도 및 근활성도의 비교 분석

        홍경아(Hong Kyung-A),김현숙(Kim Hyun-Sook),이만균(Lee Man-Gyoon) 한국체육과학회 2011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joint angle, angular velocity, and EMG activity of wrist during ‘Joa-u-chigi’ according to skill level and style of ‘Seungmu’. Ten skilled dancers and ten collegiat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dance participated in the study. Dependent variables were measured and compared according to skill level as well as between skilled dances of both styles.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angular velocity and muscle activity between skilled and unskilled of ‘Mae-Bang Lee’ style. However, the timing of the snap was different according to skill level. 2) Angular velocity and muscle activity was higher in skilled than unskilled of ‘Young-Sook Han’ style. 3) The range of changes in angle of wrist during ‘Joa-u-chigi’ was similar between ‘Mae-Bang Lee’ style and ‘Young-Soak Han’ style; however, the timing when the changes occurred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dance style. Angular velocity and muscle activity during ‘Joa-u-chigi’ were higher in skilled of ‘Young-Soak Han’ style than skilled of ‘Mae-Bang Lee’ style. It was concluded that the movement of wrist during ‘Joa-u-chigi’ was performed with better timing as well as in smoother and stronger fashion in skilled than unskilled in both styles.

      • KCI등재

        승무 좌우치기 동작 중 숙련도와 류파에 따른 어깨 각도, 각속도 및 근활성도의 비교

        홍경아(Hong, Kyung-A),김현숙(Kim, Hyun-Sook),이만균(Lee, Man-Gyoon) 한국체육과학회 2013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2 No.6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joint angle, angular velocity, and EMG activity of shoulder during "Joa-u-chigi" according to skill level and style of "Seungmu". Ten skilled and ten unskilled Korean danc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Dependent variables were compared according to skill level as well as between skilled dances of both styles.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Mae-Bang Lee" style, the amount of changes in angle and angular velocity were greater in skilled than unskilled. In addition, EMG activity of trapezius was greater at P1 and P3 in skilled than unskilled. 2) In "Young-Sook Han" style, angle and angular velocity of shoulder were not changed from middle of P1 to end of P2 in unskilled, indicating that their shoulder was not moved properly. 3) The movement of "Young-Sook Han" style started with greater angle of shoulder than "Mae-Bang Lee" style. Range of changes in angular velocity of "Young-Sook Han" style was greater than "Mae-Bang Lee" style throughout the movement. Conclusion was that the movement of shoulder during "Joa-u-chigi" was performed with more balanced manner as well as in smoother and stronger fashion in skilled than unskilled in both styles. These results would be expected to be applied well in the field of education as a very meaningful information.

      • KCI등재

        태권도 경기간 회복 방법이 남자 대학 태권도 선수의 피로관련 혈액변인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

        유덕수 ( D. S. You ),박훈영 ( H. Y. Park ),이만균 ( M. G. Lee )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1 운동과학 Vol.20 No.3

        유덕수, 박훈영, 이만균. 태권도 경기간 회복 방법이 남자 대학 태권도 선수의 피로관련 혈액변인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20권 제3호, 261-272, 2011. 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경기 간에 실시한 마사지처치, 냉처치, 그리고 비처치가 1경기 시작 전, 3경기 후, 그리고 6경기 후의 피로관련 혈액성분(젖산, CPK, LDH, 암모니아)과 체력(무산소성 파워, 순발력, 민첩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남자 대학교 태권도 선수 8명이 마사지처치 실험, 냉처치 실험, 그리고 비처치 실험에 반복적으로 참가하였다. 하루의 처치 실험에서 2분 3회전 경기를 여섯 경기 실시하였고, 경기 간에 20분씩 마사지처치, 냉처치 또는 비처치를 실시하였다. 마사지처치와 냉처치의 안정 시 심박수가 2~6경기에 걸쳐 비처치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혈중 젖산농도는 6경기 후에는 마사지처치가 비처치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LDH는 3경기 후 마사지처치가 냉처치와 비처치에 유의하게 낮았고, 6경기 후에는 마사지처치와 냉처치가 비처치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암모니아는 3경기와 6경기 후 마사지처치와 냉처치가 비처치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산소성 파워는 3경기 후 냉처치가 유의하게 높았고, 6경기 후 마사지처치와 냉처치 모두에서 비처치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민첩성은 6경기 후 세 처치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냉처치, 마사지처치, 그리고 비처치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하루에 많은 경기를 치르는 태권도 선수의 경우 경기 간에 실시하는 마사지 처치가 피로 회복에 도움이 되고, 냉처치가 체력의 저하를 예방하는데 효과적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ype of recovery treatment (massage, cryotherapy, and no treatment) performed between games on fatigue-related blood variables (lactate, CPK, LDH, ammonia) and physical fitness (anaerobic power, muscular power, agility) before the 1st game (PRE), after 3rd game (MID), and after 6th game (POST), while six games were performed in one day. Eight male collegiate taekwondo players participated in massage trial, cryotherapy trial, and control trial repeatedly. Six games of three 2-min round were performed in a day of trial, and appropriate treatment was applied for 20 minutes between games in each trial. Resting HR in massage and cryotherapy trial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 trial from 2nd game to 6th game. Blood lactate at POST in massage trial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 trial. LDH at MID in massage trial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ryotherapy and control trial, and LDH at POST in massage and cryotherapy trial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 trial. Concentrations of ammonia at MID and POST in massage and cryotherapy trial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 trial. Anaerobic power at MID in cryotherapy tria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trials and anaerobic power at POST in massage and cryotherapy tria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trial. Agility at POST was the highest in cryotherapy trial, whereas the lowest in control trial. It was concluded that massage was beneficial for recovery from fatigue between games and that cryotherapy was effective to maintain physical fitness level, while six games were performed in a day.

      • KCI등재

        12주간의 저항성운동 트레이닝이 비만 남성의 기초대사량과 adipocytokine에 미치는 영향

        이만균 ( Man Gyoon Lee ),성순창 ( Soon Chang Sung ),이신언 ( Shin Eon Lee ),정원상 ( Won Sang Jung )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1 운동과학 Vol.20 No.4

        이만균, 성순창, 이신언, 정원상. 12주간의 저항성운동 트레이닝이 비만 남성의 기초대사량과 adipocytokine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20권 제4호, 405-416, 2011. 본 연구의 목적은 12주간의 저항성운동 트레이닝이 20대 비만 남성의 기초대사량과 adipocytokine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체지방률 25% 이상의 남성 28명으로서, 이들을 저항성 트레이닝 집단(n=14)과 통제 집단(n=14)으로 구분하였다. 저항성 트레이닝 집단의 대상자는 12주간, 주당 3~4회, 회당 40~60분씩, 8 RM의 강도로 2~3 세트씩 저항성운동 트레이닝을 실시한 반면, 통제 집단의 대상자는 같은 기간 동안 평소 생활 습관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BMI와 체지방률에서 검사의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두 집단 모두 체지방률의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2) 1-RM과 관련된 모든 변인은 저항성 트레이닝 집단에서만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3) RMR은 단위와 상관없이 모든 변인이 저항성 트레이닝 집단에서 유의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난 반면, 통제 집단의 경우 RMR(KJ·kg-1 FW·h-1)에서만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4) TT4와 norepinephrine에서 검사의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저항성 트레이닝 집단과 통제 집단 두 집단 모두의 경우 norepinephrine에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5) Adiponectin과 IL-6에서 검사의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두 집단 모두에서 adiponectin과 IL-6가 유의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12주간의 저항성운동 트레이닝은 안정 시 대사율을 증가시켜 장기적인 체중 관리에 효과적일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또한 저항성운동이 안정 시 대사율을 증가시키는 기전을 밝히기 위하여 TT4, FFA, 그리고 norepinephrine 이외의 변인을 연구해 볼 필요가 있으며, 저항성운동이 adipocytokine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명확히 규명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요청된다. Lee, M. G., Sung, S. C., Lee, S. E., Jung, W. S. Effects of 12 weeks of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on resting metabolic rate (RMR), and adipocytokines in obese men of 20s. Exercise Science, 20(4): 405-416. 2011. Twenty-eight obese men, aged 23.7±1.18 yr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i.e.,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group (TR: n=14) and control group (CON: n=14). Participants in TR performed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40~60 min/session, 3~4 sessions/week, for 12 weeks, whereas participants in CON were asked to maintain their normal life pattern during same intervention period. Resistance exercise included bench press, shoulder press, biceps curl, triceps extension, lat pull down, leg press, leg curl, leg extension, sit up, standing calf raise, and squat, and performed at 8 RM for 2~3 sets. Mai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Percent body fat decreased significantly in TR (p<.01) and CON (p<0.05). 2) All variables regarding 1-RM increased significantly in TR. 3) RMR increased significantly in TR, regardless of unit expressing the RMR. 4) No significant changes were found in TT4 and FFA, whereas NOR decreased significantly in TR (p<.001) and CON (p<.01). 5) Adiponectin and IL-6 decreased significantly in TR (p<.01) and CON (p<.01), whereas no significant change was found in TNF-α. Leptin was unaltered in TR, but increased significantly in CON. It was concluded that 12 weeks of resistance exercise would be beneficial for long-term body weight management by enhancing metabolic rate in resting state. Research investigating the mechanism explaining the enhancement, besides to TT4, FFA, and NOR, would be needed. Investigation elucidating the effects of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on adipocytokines would be also warranted.

      • KCI등재

        생활체육 동호인과 일반인의 건강체력연령 비교,분석

        이만균 ( Man Gyoon Lee ),김형돈 ( Hyung Don Kim ),송종국 ( Jong Kook Song ),공성아 ( Sung A Kong ),성순창 ( Soon Chang Sung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5 체육과학연구 Vol.16 No.3

        지금까지 국가적인 차원에서 생활체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상당한 투자를 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생활체육 동호인 조직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의 효과를 과학적으로 입증한 자료가 매우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년 이상 활동해 온 생활체육 마라톤 동호인과 최근 2년간 규칙적인 운동에 참여하지 않은 일반인의 건강체력연령(vital age)을 산출하여 실제 연령과의 차이를 두 집단 간에 비교하고자 하였다. 생활체육 동호인 30명과 일반인 20명을 선정하여 Tanaka et al. (1990, 1993)이 개발한 건강체력연령 산출 공식에 의거하여 필요한 요소를 측정하였다. 남자의 경우 견갑골 하부 피부두께, 수축기 혈압,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젖산역치 수준에서의 산소섭취량, 젖산역치 수준에서의 심박수, 사이드 스텝, 눈감고 외발서기, 그리고 1초 강제 호기량을 측정하였고, 여자의 경우 복부 둘레, 수축기 혈압, 젖산역치 수준에서의 산소섭취량, 젖산역치 수준에서의 심박수, 총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헤마토크리트, 사이드 스텝, 눈감고 외발서기, 1초 강제 호기량을 측정하였다. 이 요소들을 공식에 대입하여 건강체력연령을 산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생활체육 동호인과 일반인의 건강체력연령과 실제 연령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실제 연령과 건강체력연령의 차이가 남자의 경우 생활체육 동호인이 -20.64±6.1세, 일반인이 +1.85±12.6세, 여자의 경우 생활체육 동호인이 -13.13±4.87세, 일반인이 -0.1677±5.1세로 나타나 생활체육 동호인의 건강체력연령이 실제 연령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지속적으로 생활체육에 참여하고 있는 생활체육 동호인의 건강체력 수준이 일반인에 비하여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나타난 명확한 생활체육의 효과를 범국가적으로 홍보함으로써 일반 국민들이 생활체육에 참여하도록 적극적으로 유도하는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lthough a great deal of investments have been put for the enhancement of the Sports for all by the government, the scientific data of effectiveness of sports club activities have been very limited in Korea.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vital age and chronological age in sports club participants (SCP) and general individuals (GI) who have not participated in systematic exercise training. 30 SCP and 20 GI were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s subjects. The equations for the vital age developed by Tnanka et al. (1990, 1993) were utilized in this study. The components for the equation were measured for all subjects. Subscapular thickness, systolic blood pressur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VO2LT, HR LT, side step, one leg standing with eyes closed, and FEV1.0 were measured for men, abdominal circumference, systolic blood pressure, VO2LT, HR LT, total cholesterol, LDL-C, triglyceride, hematocrit, side step, one leg standing with eyes closed, and FEV1.0 were measured for women The differences between vital age and chronological age of SCP and GI were compa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differences between vital age and chronological age were -20.64±6.10yrs for male SCP, -13.13±4.87yrs for female SCP, +1.85±12.60yrs for male GI, and -0.17±5.10yrs for female GI, indicating that the vital age of SCP were lower than chronological age of SCP. It was concluded that the vital age of SCP was lower comparing to the results of GI. The results supporting the effectiveness of sports club activities would be published to the people in national-wide.

      • Discrepancies and standardization of experimental design in studies examining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on thermic effects of a meal

        Lee Man-Gyoon(이만균),Sung Soon-Chang(성순창) 경희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원 2006 체육학논문집 Vol.34 No.-

          음식의 열량효과(thermic effects of a meal: TEM)는 음식의 섭취 후 기초대사량 이상으로 소비되는 에너지량으로서, 음식의 흡수, 소화, 대사, 그리고 저장에 필요한 에너지 분분을 말한다. TEM을 일일 에너지 소비량의 약 10%를 차지하며 비만인의 경우 전체 에너지 소비량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부분인 것으로 밝혀져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장기간의 운동 트레이닝을 통하여 TEM이 어떠한 변화를 일으키는지 규명하고자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확실한 결론을 도출하지 못하고 상반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다른 결과가 나타나는 것은 그 동안 수행되어 온 연구들이 연구설계상 차이점을 보여 왔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첫째, TEM을 측정하는 시간이 연구마다 상이하였다. 둘째, 실험 중 섭취하는 음식의 양이 표준화되어 있지 못하였다. 셋째, 피검자의 체력수준이 연구마다 달라 다른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선행 연구 결과, TEM은 일정한 수준까지는 체력의 향상에 따라 증가되지만 일정 수준이후 부터는 체력이 증가하면서 감소되는 역 U자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운동 트레이닝이 TEM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연구에서는 이상에서 기술한 세 가지 점이 표준화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아울러, TEM이 운동 트레이닝에 의하여 TEM이 변화하는 기전에 대한 보다 심도깊은 연구가 요청된다.

      •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on resting metabolic rate - discrepancies and standardization of experimental design -

        Lee Man-Gyoon(이만균),Park Chan-Ho(박찬호) 경희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원 2001 체육학논문집 Vol.29 No.-

          Resting metabolic rate (RMR) is the minimum energy expenditure necessary for maintenance of critical body function. Although many scientists have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on RMR, these studies have produced contradictory results. Several methodological discrepancies, which may account for the contradictory results, were found among these studi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methodological discrepancies and to suggest the standard research design in this area. The cross-sectional studies were limited by several confounding variables such as: 1) within subject variability due to preceding nutritional status and dietary practices, and 2) failure to control the physical training regimen priorto RMR measurements. Additionally, the cross-sectional studies, which examine the RMR of individuals who have various levels of VO2max and consider the difference in RMR as a result of exercise training, need to account or control for other factors, e.g., genetic variations. Several methodological discrepancies which have been suggested frequently in the prospective studies include 1) elapsed time between the last exercise session and the measurement of RMR; 2) methodological errors in indirect calorimetry measurements; 3) insufficient sample size; 4) inconsistency in the units of expressing RMR; 5) differences in age of subjects; 6) initial fitness level of subjects; and 7) training mode. In adddition, the mechanism(s) for the change in RMR with exercise training were not investigated in many studies. To standardize the research design and/or experimental procedures, the followings can be suggested: 1) Prospective studies including control group should be designed; 2) At least 24 ? 36 hours should elapse from the last exercise session to RMR measurement and the RMR should be measured longer than 45 min; 3) Inter-test and inter-technician reliability of the indirect calorimetry should be confirmed; 4) A power analysis should be conducted to include sufficient number of subjects; 5) The results of RMR should be expressed in various units for the purpose of comparison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6) Intensity of exercise training should be high enough to induce a chronic elevation in RMR; 7) The mechanisms for the change in RMR with the exercise training should be investigated in integrated manner.

      • Effects of age, exercise, and exercise training on immune function in the elderly

        Lee Man-Gyoon(이만균),Sung Soon-Chang(성순창) 경희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원 2004 체육학논문집 Vol.32 No.-

          본 연구는 노화에 면역기능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운동과 운동 트레이닝이 면역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며, 앞으로 연구되어져야 할 부분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면역 시스템에는 두 가지 기능을 나눠 구성되며, 선천적 면역 기능은 감염 항원에 대항하는 방어기전을 만들고 적응하는 것이며, 특이한 반응을 생산하며 활동할 때, 각 감염 항원을 면역학적으로 기억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선천적 면역 시스템은 갓 태어나서는 바이러스에 비 특이적 반응 하지만, 연령이 증가할수록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것으로는 여겨지지 않는다. 대조적으로, 후천성 면역 시스템은 항원에 특이한 반응을 보이는데, 태어날 당시에는 반응을 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사춘기까지는 점차적으로 발달하는 것으로 보여지며, 연령의 증가에 따라 감소한다. 연령에 따른 감소는 T-cell의 기능에서 대부분 나타나며, 흉선의 퇴화와 직접적으로 관련되다. 운동이 면역기능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개인적인 트레이닝 기간과 운동 강도 등 여려가지 변수들이 독립적으로 작용된다.<BR>  선행 연구에서는 면역 시스템의 지구력 트레이닝의 영향을 논의한 연구들이 있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젊은 대상자들을 중심으로 연구되었으나, 노인을 대상으로 동일한 트레이닝을 수행해 본 결과 동일한 영향이 나타났다. 앞으로 연구에서는 노인을 대상으로 장기간 운동 트레이닝을 통해 면역 반응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스포츠 클라이밍 동호회 활동이 중년 여성의 체력, 낙상관련 변인 및 심혈관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만균(Lee, Man-Gyoon),이지은(Lee, Jee-Eun),강창균(Kang, Chang-Kyun) 한국체육과학회 2013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2 No.3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ports climbing club activity on physical fitness, falling injury-related variables, and cardiovascular function in middle-aged women. Physical fitness, isokinetic function of ankle, static and dynamic balance, and cardiovascular function were measured in 14 sports climbing cllub participants (SC) and 13 general individuals (GEN). Main results obtained by comparing all variables between SC and GEN were as follows: 1) Left and right first finger joint-grip strength, left general grip strength, back strength, push up, and side step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C than GEN. 2) Most variables regarding isokinetic strength and endurance for plantar flex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C than GEN,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isokinetic strength and endurance for dorsiflexion between SC and GEN. 3) Sways for static and dynamic balance test were significantly lower in SC than GEN. 4) Regarding cardiovascular function, SC showed significantly higher VO₂max than GEN. DBP and most variables regarding vascular elasticity tended to be better in SC than GEN. It was concluded that physical fitness, falling injury-related variables, and cardiovascular function were improved by sport climbing club activity, indicating that sport climbing would be beneficial for health promotion in middle-aged wo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