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가지산도립공원 사찰숲길 방문자의 체류특성 및 이용만족도 비교

        이덕재(Lee, Dukjae)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15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19 No.1

        & & 본 논문의 목적은 가지산도립공원의 주요 사찰인 통도사, 석남사, 내원사의 사찰숲길을 이용하는 방문객의 이용특성을 파악하고 비교하며, 이에 따른 사찰숲길의 관리, 운영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설문표본은 가지산도립공원을 방문한 방문객을 대상으로 임의추출방식을 적용하여 추출하였다. 설문분석의 결과, 사찰숲길에 대한 이용만족은 전반적으로 중간보다 약간 높은 정도로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찰별로 비교해 보았을 때, 내원사 방문객이 숲길의 자연성, 상태, 길이 등의 휴양적 요소들에 있어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원사 숲길과 같이 통도사와 석남사의 경우에도 가지산도립공원 내 사찰숲길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생태관광의 견지에서 개발되고 관리되어 져야 할 것이다. 그렇기 위해서는 사찰숲길의 관리운영적 측면에서 자연환경보전, 기반시설, 재원확보, 관리운영체계 등 여러 측면이 고려되고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제안되었다. &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visitors walking through forest trails of three temples in the Kajisan Provincial Parks, to compare those of visitors, and to suggest the guidelines for managing temple forest trail. Survey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randomly implemented to visitors to the three temples i.e. Tongdosa, Seoknamsa, and Naewonsa, which were representative temples in Kajisan Provincial Park. The results showed that user satisfaction to the trail was moderately high. Naewonsa visitors revealed the highest satisfaction to nature-friendly characteristics, walking conditions, and the length of the trail. Both Tongdosa and Seoknamsa temple forests should be managed to enhance ecological tourism for outdoor recreation. Conservation of natural environment, renovation of utility facility, guarantee of monetary fund, and complementation of operational system were suggested to enhance these functions.

      • KCI등재

        자연경관 관리자로서 국립공원 관리공단 직원의 경관애착

        이덕재(Lee Dukjae),오충현(Oh Choong-Hyeon) 한국산림휴양학회 2010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1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공원 관리공단 산하 각 국립공원 사무소 현장에서 근무하는 직원에 대하여 경관애착의 정도를 파악하고 관련된 요인들을 기술함으로서 국립공원 경관관리의 지속가능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구상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국립공원 관리공단 사무소에 근무하는 공단 직원에 대하여 우편설문이 실시되어 총 137명이 응답하여 65.9%의 회수율을 보였다. 설문 측정 범주의 내적 일관성을 보여주는 크론바흐 알파(Cronbach’s alpha) 계수는 경관애착성이 0.81, 경관정체성이 0.83, 경관의존성이 0.80으로 모두 양호하게 나타났다. 국립공원 관리공단 직원의 경관애착의 정도는 대체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높은 경관정체성과 경관의존성을 보이는 집단이 보통 수준의 경관정체성을 보이는 집단보다 높은 경관애착심을 지니고 있었으며, 두 집단 모두“나는 국립공원 경관을 볼 때 편안함을 느낀다.”에 경관애착 측면의 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경관에 대해 특별한 애정을 갖고 자신과 동일시하는 경향이 강한 집단인 경우에 더 높게 경관에 대한 애착심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국립공원 경관의 기능적 측면에서도, 다른 경관과 비교하여 우수하다고 생각하는 집단인 경우 더 높은 경관에 대한 애착이 형성되어 있었다. Landscape attachme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nagerial approach to the National Par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landscape attachment of park rangers working at the National Park Authority of Korea, and to describe the factors related to the landscape attachment, which made the fundamentals for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the National Parks landscapes. A set of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park rangers by mail. Among them, 13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which made a response rate of 65.9%. Reliability test for internal consistency was examined by Cronbach’s alpha coefficient that showed good reliability of landscape attachment 0.81, landscape identity 0.83, and landscape dependence 0.80. A degree of landscape attachment was moderately high. Both the group of high landscape identity and those of high landscape dependence showed high landscape attachment. In the side of landscape attachment, both two groups were related to “I feel relaxed when I see the landscape of the NP.” The group showing identification to landscape revealed higher attachment to landscape, and the group feeling a superiority to other landscapes also revealed higher attachment to landscape of the National Park.

      • KCI등재
      • 제5분과 : 계획관리 및 서비스 ; 백두대간 자연경관 시각자원 조사 현황

        이덕재 ( Dukjae Lee ),권태호 ( Tae Ho Kwon ),조우 ( Woo Cho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4 No.1

        산림경관에 대한 국제적 관심의 증대와 더불어 국내에서도 지역활성화의 연계수단으로서 산림경관의 시각자원에 대한 인식이 중요한 위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산림경관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 지역마다 경관계획의 수립이 필수적으로 필요하게 되었고, 이를 위해서는 현장에 근거한 전반적인 시각자원의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한 절차로서 대두되었다고 할 것이다. 한편 우리나라 전통적인 산체계로서의 백두대간에 대한 중요성이 날로 부각되고 있는 시점에서 백두대간 경관 보전을 위하여 시각자원의 현황에 대한 파악과 경관변화의 관점에서 백두대간 자연경관의 시각적 민감성에 대한 판단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현지 조사를 중점적으로 실행하여백두대간 산림경관의 주요 시각자원을 조사하여 목록화하고, 백두대간 마루금 및 인근 지역에서 경관 조망점의 유형을 구분하고, 각 조망점의 유형에 따라 시각적 민감성을 파악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조사대상 지역은 산림청(2013) “백두대간 자원실태변화조사 및 관리방안 연구”의 조사범위에 해당하는 강원도 영월군에서 충북 괴산군의 백두대간 대상 구간 중에서 백두대간 보호지역을 포함 혹은 연접한 곳에 위치하는 시군 내마을(행정리) 중 전국 우수 산림경관관리 지역을 우선 대상지역으로 하였으며, 특히 산림청에서 지정한 100대 명산에 해당하여 산림경관의 시각자원이 지역활성화의 연계수단으로서 의미를 갖는 곳으로서 다음에 해당한다. - 경북 영주시 풍기읍 수철리 소백산 일대- 충북 괴산군 연풍면 원풍리 조령산 일대- 경북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희양산 일대- 경북 문경시 가은읍 완장리 대야산 일대 현지 조사는 박찬우 등(2012)이 “산림경관자원조사·경관계획”에서 제시한 국가산림경관 자원조사의 방법 등을 참고하여 산림경관 중점관리 지역의 우수 경관조망점을 선정하고 유형구분하여 목록화하였다. 다만, 시각자원 조사도구로서 장비의 이동성과 간편성에 보다 중점을 두어 파노라마 사진촬영이 가능한 휴대용 디지털카메라(Sony DSC-WX7;16. 2M pixels)를 사용하였다. 현지 조사는 대상지를 직접 이동하며 주요 경관조망점에서 시각자원을 확보하였다. GPS좌표, 조망방위, 해발고, 숲길폭, 시각적 우세목의 특성, 사진의 일련번호, 위치특성 등이 기록되었다. 조사된 경관조망점의 유형은 다음의 4가지로 분류하여 구분되었다. - 폭포, 계곡, 식생 등 우세경관자원이 잘 보이는 지점- 산봉우리 혹은 주변을 조망할 수 있는 지점- 절개지, 구조물 등 인공 경관 관찰 가능 지점- 교차로 및 갈림길 등 통행빈도가 높은 주요 결절점 등또한 백두대간 산림경관의 시각적 민감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Smardon and Apppleyard(1979)가 제시한 시각영향지수(Visual Impact Severity)를 수정하여 적용하였다. 시각영향지수는 산림경영으로 인한 잠재적 시각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점수화된 방법으로 활용가치가 높다. 내용으로는 먼저 경관구성요소를 토지, 수계, 식생, 구조물 등 물리적으로 구분하며, 시각적 특질로서 색채, 질감, 형태, 규모, 선, 공간 등으로 구분하여, 시각영향의 민감도는 이러한 경관구성요소들이 보이는 시각적 특질로서 평가한다. 조사의 결과, 경북 영주시 풍기읍 수철리의 산림경관관리중심지역은 소백산으로서 조사구역 13. 0km 구간내에서 31개의 경관조망점으로 파악되어 시각영향지수 1등급 16개포인트, 2등급 8개 포인트, 3등급 4개 포인트 등으로 조사되었다. 충북 괴산군 연풍면 원풍리의 산림경관관리 중심지역은 조령3관문으로서 조사구역 7. 3km 구간내에서 32개의 경관조망점으로 파악되어 시각영향지수 1등급 16개 포인트, 2등급 12개 포인트, 3등급 4개 포인트 등으로 조사되었다. 경북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의 산림경관관리 중심지역은 희양산으로서 조사구역 8. 4km 구간내에서 23개의 경관조망점으로 파악되어 시각영향지수 1등급 6개 포인트, 2등급8개 포인트, 3등급 7개 포인트 등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경북 문경시 가은읍 완장리의 산림경관관리 중심지역은 대야산으로서 조사구역 6. 7km 구간내에서 24개의 경관조망점으로 파악되어 시각영향지수 1등급 5개 포인트, 2등급 17개 포인트, 3등급 0개 포인트 등으로 조사되었다. 산림경관 민감도 분석을 기초로 하여 산림경관 중점관리지역의 선정을 통한 백두대간 산림경관 시각자원의 관리방안은 다음의 4가지 기본방향에 따라 진행하도록 제시되었다. - 보전 : 경관 및 생태적 가치가 우수하여 원형 그대로의보존- 복원 : 자연적 간섭 혹은 인공적 개발에 의해 산림경관의 원형이 훼손되어 이전 상태로의 복원- 조망 : 탁월한 심미적 가치를 제공하는 특정한 경관자원에 대하여 조망- 조화 : 산림경관 주변에 인공 구조물이 인접 혹은 부속되어 산림경관과의 조화

      • KCI등재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of Park Rangers in the National Parks

        Dukjae Lee(이덕재) 한국산림휴양학회 2010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of park rangers working in mountainous National Parks of Korea, as well a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job satisfaction. A total of 135 park rangers in mountain region were surveyed by mail questionnaire. When analyzing global job satisfaction, the Cronbach’s alpha of reliability for internal consistency turned out to be 0.91 with the overall mean 10.62. It was concluded that the respondents were moderately satisfied with their job. Individually, 81.2% of rangers indicate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job. The global job satisfac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lated to any of the demographic factors except age. Age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global job satisfaction. The rangers were mostly satisfied with teamwork, participation, and recognition. On the other hand, they were dissatisfied with training, promotion, and salary. The intrinsic factors in job satisfaction, i.e. participation, promotion, and recogni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However, only promotion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global job satisfaction. Extrinsic factors in job satisfaction, i.e. teamwork, training, and salary, were partially uncorrelated with each other. In conclusion, global job satisfaction showed a positive linear relationship with intrinsic satisfaction rather than with extrinsic satisfaction in spite of both low extrinsic satisfaction and intrinsic satisfa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공원 관리공단 산하 각 국립공원 현장에서 근무하는 직원에 대하여 직무의 만족을 측정하고 관련 요인을 분석하는데 있다. 산악형 국립공원에 근무하는 직원에 대하여 우편설문이 실시되어 135명이 응답하였다. 전체 직무만족의 조사결과, 설문 내재적 일관성 측정을 위한 크론바흐 알파계수는 0.91, 전체평균 10.62로서, 대체적으로 직무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개인으로는 81.2%가 직무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인구 변수들과 직무만족과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연령이 증가할수록 직무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원들은 팀웍, 참여, 인지도에 있어서는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반면에 교육훈련, 승진, 급여에 대해서는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에 있어서 내재적 요인, 즉 참여, 인지, 승진 요소들은 서로 유의하게 상관되어 있었으나, 승진은 직무만족과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외재적 요인, 즉 팀웍, 훈련, 급여 요소들은 부분적으로 상관되어 있지 않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낮은 외재적 만족과 낮은 내재적 만족에도 불구하고, 전체 직무만족은 외재적 만족보다는 내재적 만족과 정의 선형관계를 보여주었다.

      • KCI등재

        독일 하르쯔 국립공원 탐방객의 자연경관에 대한 정서적 평가

        이덕재(Lee, Dukjae)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17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1 No.1

        본 논문은 독일 하르쯔 국립공원을 방문한 탐방객들의 국립공원 경관에 대한 정서적 평가의 정도를 파악하고, 탐방객의 방문특성에 따른 정서적 평가의 차이를 탐색하는데 있다. 하르쯔 국립공원을 방문한 탐방객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지정된 7개의 트레일을 직접 방문하여 주요 경관 지점에서 국립공원 경관을 직접 감상하는 탐방객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탐방객의 정서적 평가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5점의 어의 차이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분석의 결과, 하르쯔 국립공원을 방문한 탐방객은 남녀 비율은 유사하고, 연령은 50대 이상의 높은 연령대가 주였으며, 거주지 분포도 절반 이상이 국립공원이 속한 주에 거주하고 있었으며, 방문빈도는 2~5회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평가에 있어서는 국립공원 경관에 대하여 정서적인 반응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mean=4.35). 방문특성과 관련하여 국립공원을 방문한 빈도와 정서적 평가의 정도는 상호 긍정적인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p=0.081). 다만, 국립공원을 5회 이상 자주 방문한 탐방객의 경우에 정서적 평가의 개별 항목에 대해서 유의하게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적은 방문빈도를 보이는 탐방객보다 국립공원 경관을 훨씬 즐겁고, 활동적인 경관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egree of affective appraisal on natural landscape and to explore the differences by the characteristics of visitors to Harz National Park of Germany. In order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visitors to Harz National Park, the designated 7 trails were visited and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he visitors appreciating natural landscapes at the viewpoints. Affective appraisals of visitors were also measured by 5 point semantic differential scale. It was revealed that gender distribution of visitor was almost similar, and that the age of over 50 years took highest. Half of visitors lived in the same state locating National Park. Respondents visiting 2~5 times per year took highest. Visitors showed positive reaction of affective appraisals on National Park landscapes(mean=4.35).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ffective appraisals by the visiting frequencies(p=0.081), the more visiting numbers the more affective appraisals were shown. It was also shown that respondents visiting the park over 5 times per year recognised the Harz landscape as more pleasant and more active than respondents less visitin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