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복부의 T2강조 영상에서 지방소거기법의최적의 평가

        이다희,구은회,Lee, Da-Hee,Goo, Eun-Hoe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 2012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논문지 Vol.14 No.1

        To test the real image quality of a spectral attenuated inversion-recovery (SPAIR) fat-suppression (FS) techniquein clinical abdominal MRI by comparison to turbo spin echo inversion-recovery (TSEIR) fat-suppression (FS) technique. 3.0T MRI studies of the abdomen were performed in 30 patients with liver lesions (hemangiomas n: 15; HCC n: 15). T2W sequences were acquired using SPAIR TSEIR. Measurements included retroperitoneal and mesenteric fat signal-to-noise (SNR) to evaluate FS; liver lesion contrast-to-noise (CNR) to evaluate bulk water signal recovery effects; and bowel wall delineation to evaluate susceptibility and physiological motion effects. SPAIR-TSEIR images produce significantly improved FS and liver lesion CNR. The mean SNR of the retroperitoneal and mesenteric fat for SPAIR were 20.5, 10.2 and TSEIR were 43.2, 24.1 (P<0.05). SPAIR-TSEIR images produced higher CNR for both hemangiomas CNR 164.88 vs 126.83 (P<0.05) and metastasis CNR 75.27 vs 53.19 (P<0.05). Bowel wall visualizat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using in both SPAIR-TSEIR (P< 0.05). The real image quality of SPAIR was better than over conventional TSEIR FS on clinical abdominal MRI scans.

      • KCI등재

        논문 : 스마트워치 사용 환경에 관한 알림 연구

        이다희(주저자) ( Da Hee Lee ),김성우(교신저자) ( Sung Woo Kim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4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에서 스마트워치는 현재 많은 관심을 받고 있지만 그에 비해 소비자들의 반응은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그 원인으로 스마트폰이나 스마트TV와는 다른 발전 배경을 가진 새로운 스마트 기기인 스마트워치가 사람들에게 이질감을 느끼게 한다는 주장이 있다. 그러므로 스마트워치의 환경을 고려한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의 발전이 필요한 상황이다. 스마트워치는 물리적으로 바깥쪽을 향하는 시계화면, 기능적으로 스마트폰보다 개인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기기로서 개인정보 노출로 인한 프라이버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워치에서 스마트폰과 동일한 알림체계가 아닌 스마트워치의 사용환경을 고려한 알림체계의 필요성을 느껴 스마트폰과 차별화된 스마트워치의 환경을 고려한 알림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스마트폰과 스마트워치의 사용환경을 분석하고 각각의 분석한 사용환경에서의 기기들의 알림들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각 디바이스들의 알림들을 재구성한 알림 시각화모델에 적용하여 각 사용 환경에서의 알림특성을 분석하였다. 두 기기의 알림 시각화모델은 분명한 차이를 보였고, 그 차이점을 통해 스마트워치의 알림 방향성을 제안한다. Among wearable devices, smartwatches receive much attention today, but consumer reaction to them falls short of the expectations. For this reason, its development in the aspect of user experiences in consideration of smartwatch environment is needed. In the aspect of user experiences, a smartwatch can cause privacy problems arising from personal information exposure on the physically outward watch display and on the device that performs functionally more personal roles than smartphones. Accordingly,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a notice structure that considers the user environment of smartwatch, this research attempts to propose the direction of the notice structure in consideration of the smartwatch environment that is differentiated from that of smartphones. The user environment of the smartphone and the smartwatch was analyzed, and the notice structure of the smartphone and the smartwatch was composed in the respective, analyzed, user environment. And the notice structures of each device was applied to the redesigned notice visualized model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tice structures in the respective user environmentwere analyzed. The notice visualized models of the two devices clearly showed differences, and through these differences, the notice direction of the smartwatch is proposed.

      • 전통 첨가제의 종류와 농도가 재사벽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

        이다희(Lee, Da-Hee),황종국(Hwang, Jong-Kook),권양희(Kwon, Yang-Hee) 대한건축학회 2021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4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lime-clay mortars, as a function of type and concentration of traditional additives. The mortars wer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standard for repairing architectural heritage in Korea. As traditional additives, sticky rice, starch, and seaweed pastes were prepar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4.4%, 8.5% and 12.2%.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mortar, experiments on flowability, surface quality, length change and compressive strength were performed. As the concentration of the additives increased, the mortar strength increased, but the flowability decreased. Moreover, the surface quality was degraded because of drying shrinkage at an early age.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use additives with concentrations of less than 4.4%.

      • KCI등재

        범주형 전환문항을 포함하는 항목 무응답 대체 방법 비교

        이다희(Da Hee Lee),안형진(Hyonggin An) 한국자료분석학회 202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5 No.1

        사회조사에서는 항목 무응답이 발생했을 때 무응답으로 인한 정보의 손실을 줄이는 하나의 기법으로 범주형 전환문항(unfolding bracket question)을 사용한다. 범주형 전환문항을 포함한 항목무응답은 구간중도절단된 생존자료와 구조가 유사한데, 범주형 전환문항을 포함한 항목 무응답을 처리하는 대체 방법과 관련한 연구는 제한적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범주형 전환문항을 이용한 대체와 이용하지 않은 대체 성능을 살펴보았고 범주형 전환문항을 이용하는 세 가지 대체 결과를 비교하였다. 첫 번째는 선형회귀 기반의 최근접이웃 핫덱대체이고 두 번째는 개체별로 범주구간 내에서 동일한 확률로 대체값을 선택하는 균일분포를 이용한 대체이며 세 번째는 비모수적 최대가능도 추정법으로 추정한 생존함수를 이용하는 대체 방법이다. 범주형 전환문항을 이용하지 않은 대체는 핫덱대체를 고려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된 세 대체 방법들의 성능을 평가하였고 고령화연구패널조사 3차조사 예제를 통해 실제 자료에 대한 적용방법을 설명하였다. 범주형 전환문항을 이용한 대체가 범주형 전환문항을 이용하지 않은 대체보다 성능이 좋았다. 범주형 전환문항을 이용한 대체의 경우 무응답률이 비교적 낮을 때 비모수적 최대가능도 추정법으로 추정한 생존함수를 이용하는 대체 방법의 성능이 좋았다. 무응답률이 클 때 평균 편향 측면에서는 선형회귀 기반의 최근접이웃 핫덱대체 방법이, 평균제곱근오차 측면에서는 비모수적 최대가능도 추정법으로 추정한 생존함수를 이용하는 대체 방법이 더 나은 결과를 보였다. In social surveys, unfolding bracket questions are used as a technique to reduce the loss of information due to nonresponse when item nonresponses occur. Item nonresponse, including unfolding bracket questions, has a similar structure to interval censored survival data. However, imputation methods to handle item nonresponses including unfolding bracket questions are limited. In this study, we examine performance of imputation with and without unfolding bracket questions. Also we compare three imputation methods to handle unfolding bracket questions. The First method is a linear regression-based nearest neighbor hotdeck imputation. Secondly, it is possible to consider a uniform distribution that selects a value with the same probability within the section for each individual. The third is an imputation method using the survival function estimated by the nonparametric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ethod. Hotdeck imputation was considered as an imputation for not using unfolding bracket questions. The performance of these imputation methods was evaluated through simulation and the KLoSA study is used to provide examples of the application of these methods to real data. Imputation methods using unfolding bracket questions showed better performance than the method without unfolding bracket questions. The performance of the imputation method using the survival function estimated by the nonparametric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ethod was better when the nonresponse rate was low and when the nonresponse rate is large in terms of root mean square error. When the non-response rate is large, the linear regression-based nearest neighbor hotdeck imputation method showed better results in terms of mean bias.

      • KCI등재

        학사경고자 및 학사경고 위험군 대학생의 학습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D대학의 3단계 학습 특별관리시스템 기반의 학습지원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다희(Lee Da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2

        목적 본 연구는 학사경고자 및 학사경고 위험군 대학생을 지원하기 위해 전담 교수를 배정하여 일대일 맞춤형 3단계 학습 특별관리시스템(학습 상담, 학습 코칭, 학습 관리)을 기반으로 한 학습지원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함으로써, 향후 실효성 있는 관련 프로그램을 설계 및 운영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해당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에 대한 편파성을 상쇄하고 타당도를 높이고자 혼합 연구 방법(mixed-methods)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과 첫째, 해당 학생들이 자기주도학습을 실천하도록 돕는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함께 학점 향상으로도 연결되는 측면을 확인하였다. 둘째, 대부분 학생들이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의 학습 스타일에 맞는 공부 방법을 코칭 받음으로써, 맞춤 전략 습득뿐만 아니라 실행 과정상 문제점 점검을 통해 학습 실행력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왔다. 셋째, 학습전략 특강이 단발성 형태로 종료되지 않고 학생들의 학습 실행 과정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는 역할이 가능했다. 넷째, 학사경고자 또는 학사경고 위험군 그룹별로 프로그램을 참여하기 전과 후의 자기조절학습전략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항목이 존재했다. 다섯째, 전담 교수 및 관리 담당 선생님을 배정함으로써, 학생들이 학업에 대한 의지력이 떨어지거나 포기하고 싶은 순간들을 극복하고 학습을 지속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었다. 여섯째, 학교 시스템 내에서 해당 학생들을 대상으로 장학금 혜택을 부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설계 및 운영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 결론 본 연구는 학사경고자 및 학사경고 위험군 학생들을 대상으로 단발성이 아닌 장기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한 결과, 향후 해당 학생들 대상의 학습지원 프로그램이 보다 실효성을 거둘 수 있도록 프로그램 설계 및 운영 방향성에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었다. Objectives In this study, a dedicated professor was assigned to support college students on academic probation and groups likely to receive academic probation, and developed and operated a one-on-one customized 3-step learning special management system(learning counseling, learning coaching, learning management), and we inte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designing and operating related programs in the future to achieve effectiveness. Methods In order to offset the bias in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program and increase the validity,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mixed research method and the following results can be drawn. Results First, as students participated in a program that practiced self-directed learning, it led to a positive percep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improved grades. Second, most of the students were coached on the study method that fits their learning style, so not only learning customized strategies but also improved learning execution ability. Third, the special lecture on learning strategy did not end in a single-shot form, and it was possible to directly help the students learning execution process. Fourth, there were item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Fifth, by assigning a dedicated professor and a teacher in charge of management, it was possible to help students overcome moments when they lose their willingness for learning or want to give up. Sixth,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he design and operation of programs that can grant scholarship benefits to the students within the school system. Conclusions This study developed and applied a program that can be operated for a long-term, not a single occurrence, for college students on academic probation and groups likely to receive academic probation.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provide some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program design and operation in which the learning support program for the students in question could be more effective in the future.

      • KCI등재

        SNS기반 여중생 그림모임 “유기농팸” 활동의 교육적 의미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이다희(Da-Hee Lee),김미남(Mi-Nam Kim)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8 미술과 교육 Vol.19 No.2

        본 연구는 학교 밖 온라인 공간에서 자발적인 미술학습경험을 이어가고 있는 청소년들의 미술활동에 대한 심층적 이해가 필요하며, 이 이해를 바탕으로 학교 미술교육의 변화가 모색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여중생들의 SNS기반 온라인 그림모임인 “유기농팸”의 활동을 질적사례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심층적으로 탐구하였다. 연구결과 “유기농팸”이라는 자발적 온라인 그림모임이 참여 여중생들에게 “자유로운 의사소통의 장”과 “자기주도적 미술학습의 장”으로서 기능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자유로운 의사소통의 장”으로서 이 온라인 미술모임 내 활동들은 청소년들이 “자유로운 소통을 기반으로 할 때 보다 더 성장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결과보다는 과정이 공유되는 관계”를 희망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 온라인 미술모임은 멤버들 스스로가 “창작과 재창작”을 순환하는 방식을 통해, “폰그림”의 장점을 적극적으로 취하는 방식으로 그리고 적극적 “또래 교수-학습”을 통해 자기주도적으로 미술학습을 진행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학교미술교육에서의 교수-학습 방법과 관련한 중요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eenagers used digital media actively and moved their main activity space to online. However, many schools still teach art in the existing traditional way. Therefore, we started with our research interest in young people who are continuing their art learning experiences using digital technologies online. This study is designed as a qualitative case study aiming at exploring educational meanings and functions of middle school girls’ interactions online. The results of study shows two categories and five groups of themes about the art activities conducted in the middle school girls’ SNS-Based online drawing group, “Yuginong Fam,’ as follows: the first category is “Yuginong Fam’ as a space of free communication among members and the second one is as a space of self-directed learning. The first category is consisted of two groups of themes such as (1) relationships that allow free communication is the foundation of growth and (2) relationships in which processes are shared. The second category is consisted of three groups of thems such as (1) creation and re-creation, (2) what smart mobile phone make us possible, and (3) peer teaching-learning. This study let art educators know what teenager girls who seems to lose their interest in art want to do and learn through art. They still have passion to explore their identity drawing their self-characters and to develop their expressive skills with others. This study makes us realize what we have forgotten in school art education.

      • KCI등재

        조선후기 단자(單子) 연구 - 탄원서를 중심으로 -

        이다희 ( Lee Da-hee ) 한국고문서학회 2018 古文書硏究 Vol.53 No.-

        조선시대 백성들은 억울하고 원통한 일이 있어 하소연하거나 청원하고자 할 때 所志라는 문서를 사용하여 관부에 글을 올렸다. 소지는 백성·서리·천민이 관부에 올리는 訴狀·請願書·陳情書로서 관부의 판결과 도움이 필요할 때 올리는 문서인데, 이러한 목적으로 올리는 문서를 탄원서라고 한다. 그 속에는 所志, 單子, 上書, 原情, 議送 등 다양한 문서들이 포함된다. 그 가운데 본고에서는 ‘대개 사대부가 친히 官司(守令·方伯)에 올리는 訴狀·請願書’로 정의되는 單子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현전하는 단자의 구성요소, 즉 始面, 作成者, 起頭語, 結辭 등을 시기별로 정리하여 각각 기재방식에 대한 설명과 변화양상을 비교하였고, 조선후기에 편찬된 公私文書 서식집 『儒胥必知』에 실린 所志類 단자 서식과 현존하는 단자의 서식을 비교하였다. 또한 사대부에 한정되어 사용되었다는 단자의 특징을 밝히기 위해 단자의 작성자를 모두 분류하여 각각의 직역 및 신분용어가 사족에 해당하는지 밝히고 실제 사족들만이 단자를 작성하였다는 사실에 대해 규명하였다. 마지막으로 한 사람이 한 가지 사건에 대해 각기 다른 탄원서를 연이어 올린 사례를 찾아 서식과 기재방식 등을 살피고 문서별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고찰하였다. 그 결과 내용적인 면보다는 서식과 이두의 사용 및 종이의 크기 등과 같은 형식적인 면에서만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단자의 서식을 분석하고, 작성자에 관해 증명함으로써 그동안 밝혀지지 않았던 단자에 대해 주목해 볼 수 있었다. When people in the Joseon Dynasty intended to make an appeal or a petition due to their unfair and regrettable affairs, they submitted writings about the affairs to the authorities by using the document called Soji(所志). Soji, which means the petition(Sojang(訴狀)·Cheongwonseo(請願書)· Jinjeongseo(陳情書)), was submitted by people, petty officials and low-class people to the authorities, when they demanded the authorities’ judgement or help. The document submitted to it for such a goal is called a petition. It included a variety of documents such as Soji(所志), Danja(單子), Sangseo(上書), Wonjeong(原情), Uisong(議送), Sojang(訴狀) and Cheongwonseo(請願書). Among them, this study intensively studies Danja(單子) defined as ‘Sojang(訴狀)·Cheongwonseo(請願書)’, which was usually submitted by men of noble family to the authorities (Suryeong(守令)·Bangbaek (方伯)). The existing Danja’s elements such as Simyeon(始面), Writer(作成者), Gidueo(起頭語) Gyeolsa(結辭) are arranged by each period, to compare explanations and transformation of how to describe them, and actual forms of Danja and other forms of them included in Yuseopilji(儒胥必知) the formulary of public and private documents(公私文書) which were compil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addition, all writers of Danja were categorized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Danja which might be only used by the nobility(士族). Then,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each of the range management of their work and status terms was corresponds to the nobility and whether only the nobility really wrote Danja. Finally, it finds some cases in which one person successively submitted different petitions for only one affair, examined forms of them and how to describe them, and considered what differences they had. The finding shows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formal factors such as size of papers and use of Idu rather than in contents. This paper focuses on some facts of Danja, which have not been cleared, (This paper focuses on some undisclosed/unrevealed/unexplored facts of Danja) by analyzing forms of Danja its forms and verifying information of writers.

      • 딥러닝 기반의 감성 분석을 위한 대용량 학습 데이터 자동 구축 및 환류 시스템

        이다희(Da-Hee Lee),이원민(Won-Min Lee),조준영(Jun-Young Jo),온병원(Byung-Won On) 한국정보기술학회 2020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0 No.10

        감성 분석(Sentiment Analysis)이란 특정 대상에 대한 의견을 수집하고 감성에 따라 분류하는 과정으로 최근 딥러닝을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딥러닝이란 머신러닝 방법 중 하나로 인간의 신경망 원리를 따라 만든 것이다. 딥러닝 모델의 성능은 보통 학습 데이터가 많을수록 높아지는데 감성 분석을 위한 학습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딥러닝을 이용한 학습 데이터 구축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딥러닝 모델의 성능에 따라 학습 데이터의 품질이 좌우된다. 본 논문에서는 감성 분석 모델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감성 인식 워드 임베딩을 사용하고, 딥러닝 기반의 감성 분석 모델로 대용량 학습 데이터를 자동 구축한다. 또한 구축된 학습 데이터를 사용자들이 평가하고 이를 환류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Sentiment Analysis is a process of collecting opinions on a specific object and classifying them according to their sentiments. Recently, research using deep learning has been actively conducted. Deep learning is one of the machine learning methods that is made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human neural networks. The performance of a deep learning model usually increases as there are more train set, but it is not easy to collect train set for sentiment analysis. To solve this problem, studies on building train set using deep learning have been conducted, but the quality of train set depends on the performance of the deep learning model. In this paper,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sentiment analysis model, we use the sentiment-aware word embedding and automatically construct a large-scale train set with the sentiment analysis model based on deep learning. In addition, we propose a system for users to evaluate the built-up train set and feedback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