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전주이씨 장천군파(長川君派)의 잡과 진출

        이남희(Lee, Nam Hee)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7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6 No.2

        전주이씨 하면 일반적으로 조선의 왕실, 그리고 핵심적인 양반 성관(姓貫)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성씨만 보고서 양반으로 분류해버리는 것은 심각한 오류에 빠질 수 있다. 전주이씨 가계 가운데서도, 구체적으로 사료를 검토해보면 일반적으로 중인들이 응시했던 잡과에도 응시해 합격자들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전주이씨 가계의 잡과 합격 현황을 살펴본 다음, 잡과에 진출한 전주이씨 집안에 대하여 주목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사례로서 제2대 임금 정종(定宗)의 제13남 장천군파(長川君派) 이택기 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잡과에 합격했다는 것은 기술관으로서의 입지를 보장해줄 뿐만 아니라, 고위직 기술관으로 진출할 수 있는 관직의 길을 담보해주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이 같은 검토를 통해서, 같은 성관이라 할지라도 파(派)를 달리하면 그 후손들의 신분과 위상이 미묘하게 달라지게 되었다는 것, 그리고 그것이 왕실의 후손들 가문에서 잡과에 진출해 잡과중인 가계를 형성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는 것을 밝혀낼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잡과중인 형성 과정에서 전주이씨 가계가 어떤 비중과 위상을 차지하고 있었는지, 그리고 조선 왕실 후손들이 잡과시험을 통해 잡과중인 집안으로 변모하여 생존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조선시대, 특히 후기의 경우, 성관만으로 신분, 양반과 중인 등을 단정지울 수는 없는 것이다. 같은 성관이라 하더라도 파(派)에 따라서 후손들의 신분과 위상이 미묘하게 달라지기도 했기 때문이다. 임진왜란 이후의 사회적 신분과 사회변동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사례 연구와 더불어 다양한 측면에서 입체적으로 분석,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Jeonju LEE is known as the surname of the royal family and a prominent Yangban class of the Choson Dynasty. However, not all Jeonju Lee’s were Yangbans. After careful examination of historical literature, this report was able identify that even within the in Jeonju LEE family, there were Chungin’s(中人) who successfully passed the Chapkwa(雜科)-proving that it is erroneous to conclude one’s social status with one’s surname. This paper focuses on the Jeonju Lee family that took the Chapkwa. Specifically, this paper investigates Lee Taeg-ki, the 13th son of the King Jung-jong, and his family. Lee Taeg-ki was an official Chinese translator adalso Jangcheongun-pa(長川君派). Passing Chapkwa guarantees not only a position as a government techno-official, but also the route for a high ranking official. This study proves that even family members with the same surname had different social standing and status. Additionally, this paper found the status and importance of Jeonju Lee family in the process of forming Chapkwa-Chungin(雜科中人) and how they survived by becoming a Chapkwa-Chungin family. It is impossible to assume/conclude one’s class(Yangban, Chungin) by one’s surname in the late Choson Dynasty, because social status and social standing of descendants were differentiated by Pa(派). Therefore, in order to truly understand the social standing and social change in late Choson Dynasty, one needs to conduct specific case studies in diverse angles and spectrums.

      • KCI등재

        고차 다항식 변환 기반 카메라 캘리브레이션을 이용한 웨이퍼 Pre-Alignment 시스템

        이남희,조태훈,Lee, Nam-Hee,Cho, Tai-Hoon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 2010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Vol.9 No.1

        Wafer Pre-Alignment is to find the center and the orientation of a wafer and to move the wafer to the desired position and orientation. In this paper, an area camera based pre-aligning method is presented that captures 8 wafer images regularly during 360 degrees rotation. From the images, wafer edge positions are extracted and used to estimate the wafer's center and orientation using least squares circle fitting. These data are utilized for the proper alignment of the wafer. For accurate alignments, camera calibration methods using high order polynomials are used for converting pixel coordinates into real-world coordinates. A complete pre-alignment system was constructed using mechanical and optical components and teste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alignment of wafer center and orientation can be done with the standard deviation of 0.002 mm and 0.028 degree, respectively.

      • KCI등재

        이산화티탄이 코팅된 알루미나 볼에서 광촉매 반응에 의한 기상벤젠의 분해

        이남희,정상철,선일식,조덕호,신승한,김선재,Lee Nam-Hee,Jung Sang-Chul,Sun Il-Sik,Cho Duk-Ho,Shin Seung-han,Kim Sun-Jae 한국재료학회 2004 한국재료학회지 Vol.14 No.6

        Photo decomposition of gas phase benzene by $TiO_2$ thin films chemically deposited on alumina balls were investigated under UV irradiation. Photo decomposition rates were measured in real time during the reaction using a photo ionization detector, which ionizes C-H bonding of benzene molecules and then converts into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concentrations. From the measuring results, the VOCs concentration increased instantly when IN irradiated because C-H bonds of benzene molecules strongly absorbed on the surface of $TiO_2$ films before the IN irradiation was destroyed by photo decomposition. After that, the VOCs concentration decreased with increasing surface area of $TiO_2$ and reaction time under the IN irradiation. At the optimal conditions for the photo decomposition of gas phase benzene, the reaction rate of the photo decomposition for high concentrations (over 60 ppm) was slow but that of relatively low concentration (under 60 ppm) was fast, due to limited surface area of $TiO_2$ thin films for the reaction. Thus, it is concluded that the photo decomposition rate was mainly affected by the surface area of $TiO_2$ or absorption reac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세종시대 『소학』의 보급·장려와 그 역사적 함의

        이남희(Lee, Nam-hee)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9 No.2

        이 글에서는 세종시대 『소학』의 보급과 유행이 어떠한 역사적 함의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서 검토하고 있다. 『소학』은 신유학(Neo Confucianism), 특히 『대학』과 더불어 짝을 이루고 있다. 고려 말에서 조선 건국에 걸치는 시기, 주자학의 보급과 더불어 보급되기 시작했다. 특히 세종은 『소학』을 널리 보급하고 장려했다. 그것은 무엇보다 삼국 및 고려시대에 유행한 불교(와 도교적인) 문화를 넘어서 주자학적인 사회 질서와 윤리를 구축하고자 한 것과 관련되어 있었다. 불교적인 세계관에서 주자학적인 세계관으로의 거대한 문명의 전환이라 할 수 있겠다. 하지만 남녀관계 내지 젠더론 입장에서 본다면, 『소학』에서는 남녀칠세부동석(男女七歲不同席)으로 요약되는 남녀 구분, 처(妻)·첩(妾)의 구분을 말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은 어려서는 아버지, 결혼한 후에는 남편, 그리고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의 뜻을 따라야 한다는 삼종지도(三從之道), 부부 사이에서도 아내와 이혼할 수 있는 일곱 가지 악덕(惡德)으로서의 칠거지악(七去之惡) 같은 명제가 등장한다. 세종시대부터 그 같은 남녀차별 인식이 아이들에게 공공연하게 교육되기 시작했다. 나아가 이는 남성 중심의 사회구조, 남성의 가부장적인 지배가 제도적인 뒷받침과 더불어 한층 더 심화되기 시작했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This paper reviews the ideological implication of Sohak during the King Sejong period. Sohak began to spread with the diffusion of Neo-Confucianism during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The ideology especially flourished during the Joseon Dynasty as King Sejong encouraged its dissemination. He wanted to build the “Neo-Confucian social order and ethic” beyond the Buddhist (and Taoist) culture popular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and Goryeo Dynasty. Thus, the Joseon Dynasty experienced a paradigm shift from a Buddhist to a Neo-Confucian world view. However, in the case of gender theory (or relationships between men and women), Sohak focuses on the strict classification between the genders, as well as wife and concubine. This is summarized in the maxim: “A boy and a girl should not sit together after they have reached the age of seven”(男女七歲不同席). Furthermore, in Sohak, there are propositions referred to as “the way of three obediences”(三從之道), stipulating that women must follow their fathers when young; their husbands after marriage; and their sons in widowhood. There is also “the seven valid causes for divorce”(七去之惡). Such perceptions of sexual discrimination were taught to children from the period of King Sejong. This implies that the male-centered social order and patriarchal domination were entrenched with institutional support.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현종비 명성왕후(明聖王后) 언간의 특성과 의미

        이남희 ( Lee Nam Hee ) 영주어문학회 2017 영주어문 Vol.35 No.-

        현종의 비 명성왕후가 남긴 언문 편지를 토대로 왕실 여성의 사적인 측면과 공적인 측면에 대해서 검토하고 있다. 명성왕후가 남긴 언간에는 생활세계와 관련된 일반적인 성격을 띤 것 외에도 공적인 측면과 연계된 정치적인 성격을 지닌 것도 남아 있기 때문이다. 조선사회에서 한문과는 달리 언문은 상대적으로 그 가치가 부수적이며, 또한 부녀자들의 그것으로 여겨지고는 했다. 여성들은 언문을 활발하고 쓰고 있었으며, 왕실 여성들 역시 예외는 아니었다. 왕후는 언문으로 쓴 교서를 내리기도 했는데 그것은 공식적인 성격을 갖는 것이었다. 명성왕후는 셋째 딸 명안공주에게 언간을 보냈다. 명안공주는 명성왕후와 현종, 그리고 숙종의 사랑을 듬뿍 받았다. 어머니는 물론이고 아버지, 오라버니 역시 그녀에게 언문으로 쓴 편지를 보낼 정도였다. 이를 통해서 가족 간의 사랑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인간적인 사랑은 왕실이라 해서 특별히 다르지 않았다. 주목할 만한 사실은 명성왕후가 송시열에게도 중요한 내용을 담은 언문 편지를 보냈다는 점이다. 송시열을 조정으로 불러 들여 그와 서인세력을 왕의 지지 세력으로 삼고자 했다. 정치적인 의도가 있었다. 정쟁에 휘말려 조정을 떠나 있던 송시열로서도 마다할 이유는 없었다. 명성왕후는 송시열에 대해서 유학자의 종주(宗主)라 칭했으며, 송시열은 명성왕후를 가리켜 여중요순(女中堯舜), 즉 여인 중의 요, 순 임금이라 화답했다. 일종의 정치적 연대가 이루어진 셈이다. 명성왕후는 언문을 통해서 개인적이고 일상적인 생활세계를 충분히 영위하고 있었다. 인간의 본연적인 감정과 자식 사랑 등을 여실히 표현하고 또 전달하고 있었다. 하지만 언문의 위력과 효용은 거기에 머물러 있지는 않았다. 명성왕후는 당시 대표적인 양반사대부에게 자신의 깊은 뜻을 전달하기도 했다. 말하자면 언문을 통해서 고도의 정치적인 행위까지도 구사하고 있었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private and public aspects of women of royal family, based on Eongan (Hangul letter) from Queen Myeongseong, the queen of King Hyeonjong. Her letters had the political character related to the public side, in addition to the general aspects associated with the personal life. Unlike Chinese texts, Hangul was relatively evaluated as incidental and even regarded as the language of women in the Joseon dynasty. In reality, women of Joseon society were actively using Hangul and those of royal family were no exception. The Queen also wrote Eongyo(諺敎), which had an official character. Queen Myeongseong used to send the Eongan to her third daughter, princess Myungahn. The princess was much loved by Queen Myeongseong, King Hyeonjong, and her older brother, King Sukjong. She also received the letters written in Hangul from her father and brother, as well as her mother. It reveals that they could confirm the love between family members by writing letters, just like ordinary people. Notable fact is that Queen Myeongseong sent a letter in Hangul with important content to Song Si-yeol. To expand the political influence of King Hyeonjong, she asked Song and his political force, Seoin, to support the King. Song had no reason to reject it, because he was leaving the palace after the political struggle at the time. Queen Myeongseong called Song as the Master of Confucianism, and Song responded that she deserved to be called as `Yeo-jung-Yo-Sun(女中堯舜)`, which means a wise queen. It was a kind of political solidarity. As above, Queen Myeongseong fully managed not only her personal life, but also political life, using Hangul. She expressed the human nature like love for children, etc, and even communicated to the most typical nobleman(Song) with highly political intention by writing in Hangul. In other words, Queen Myeongseong used Hangul as the powerful and effective language.

      • KCI등재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마거릿 생어와 통제의 개념

        이남희 ( Lee Nam-hee ) 한국여성사학회 2019 여성과 역사 Vol.0 No.30

        이 글은 미국의 산아제한 운동(Birth Control Movement)의 선구로 평가 받는 마거릿 생어(Margaret Sanger)의 출산 통제에 관한 생각을 ‘통제’라는 개념을 통해 고찰한다. 피임문제를 여성의 주요한 문제로 인식하게 하는데 일조한 인물로 평가받는 생어는 여러 가지 논쟁의 중심에 선 인물이기도 하였다. 이에 이 글에서는 생어의 다소 모순적으로 보이는 행보를 개인적 통제의 열망이 사회적 통제로, 그리고 자유를 향한 통제로 진화해가는 과정으로 인식하고 생어의 ‘출산 통제(birth control)’ 속의 통제개념의 본질이 무엇이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생어가 규정한 개념은 출산 권력의 이성적 통제에 가장 가까웠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 논문에서는 ‘통제’라는 개념을 이제까지 영미권의 사회학자들이 다루었던 사회적 통제나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개념보다 포괄적으로 규정하고자 한다. 정신분석학적 분석방식과 이해를 근거로 개인이 인식하지 못하는 개인의 통제 열망(A desire for control)도 표면상으로 드러나는 통제의 추동력 중 하나로 포함한다. 이를 통해 생어의 산아제한 운동에서의 ‘통제’의 개념과 그 전개 과정을 더욱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examines Margaret Sanger’s ideas on reproductive control through the concept of ‘control’ during the early twentieth century. Sanger who contributed to raising the issue of conception as a social concern during the early twentieth century was a controversial figure because of her radical actions and eugenic perspective. Sanger was criticized for her immense influence on undermining the birth control movement despite her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feminist rhetoric and strategies. However, contrary to existing belief that her actions and ideas were contradictory, Sanger’s idea of ‘control’ was consistent throughout her development. Considering this context, this paper tries to comprehend how Sanger’s individual desire to control developed into a form of social and political control by looking into Sanger’s concept of control in the birth control movement.

      • KCI우수등재

        행복추구의 조건 -2차 세계대전과 건강한 시민 만들기-

        이남희 ( Lee Nam-hee ) 한국서양사학회 2020 西洋史論 Vol.0 No.145

        이 글은 2차 세계대전을 전후하여 미국 정신의학(psychiatry)에서 규정한 안전한 사회를 구축하기 위한 건강한 시민 개념에 관한 연구이다. 20세기 초반까지도 정신의학은 의학 분과 내부에서 애매한 위치에 있었다. 당시 과학적이라고 믿어지던 의학적 연구나 치료 방식―실험이나 수술 등―과는 다소 거리가 먼 개인적 증상의 호전에 진료방식이 집중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2차 세계대전을 기점으로 미국정신의학은 국민의 정신건강을 책임지는 학문으로 거듭나게 된다. 이는 2차 세계대전 중 참전의 자격을 결정하고, 전투 중 발생한 이상 증세를 통제하고, 전후 참전 병사를 무사히 일상으로 복귀시키는 데에 점차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되면서 가능해진 일이었다. 또한, 1946년 미 의회를 통과한 전국 정신보건법(National Mental Health Act)은 미국 사회에서 규정하는 건강한 구성원의 개념에 정신의학적 혹은 심리학적 고려가 중요한 요소가 되었음을 의미하였다.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규정된 각각의 공동체에 적합한 구성원은 정신의학이 규정하는 정신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는 사람들이었다. 하지만 ‘적합한’ 일원에 관한 규정은 전쟁을 준비하는 과정, 전시, 그리고 전쟁 이후에 각각 현저하게 다른―때로는 모순적인―기준이 적용되었다. 이는 군 정신의학 영역에 민간 정신의학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전혀 다른 기준이 적용된 탓이기도 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참전했던 병사들에게는 상황에 따라 정상과 비정상의 영역을 넘나드는 진단이 내려졌다. 전에 없이 끔찍했던 전쟁은 참전 병사들에게는 지울 수 없는 기억과 정신적 상처를 남겼으며 이것은 전시에 적합한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참전하였으나 전후 평화로운 시기에 위협이 되는 존재로 취급받는 아이러니한 상황을 낳았다. 따라서 정신의학이 규정한 건강한 시민 개념에 대한 고찰은 20세기 중반 심리학적 측면이 강화된 미국문화의 단면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좋은 예가 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how psychiatry defined and developed the concept of “a sound citizen” before, during, and after World War II. Through this examination, it seeks to capture the paradoxical aspects of the psychiatric definition of the state of mental health in the 20th century America. Psychiatry, once perceived as less scientific because of a lack of comprehensive statistical data and the limitation of visible or physical evidence among medical specialties, rose to prominence during World War II. Since American military experiences of war neuroses in World War I could not be worse than any other extremity, at the outset of World War II, military preparation included psychiatric and psychological consideration for military manpower policy. Because of this, psychiatric specialists on dut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defining the sound member of the due community, military and civilian, participating in the screening process of prospective soldiers and advising how returning veterans could adjust to their previous life. Through these activities, psychiatric specialists wittingly or unwittingly provided the meaning of a sound citizen for each case. When selecting proper military community members, they highlighted that mentally healthy people functioned well as an effective member. However, during actual warfare, an effective soldier should be courageous or indifferent―or immune to anxiety―and compliant. And their definition of a good citizen transformed again to a well-adjusted civilian in a democratic society. By probing into the meaning of these contradictory definitions and conditions, this paper demonstrates a profound understanding of the mid-20th century America defined from a psychiatric perspective.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nhlee79@gmail.com)

      • KCI등재후보

        조선 후기의 '女士'와 '女中君子' 개념 고찰 : 지식인 여성 연구를 위한 시론적 접근

        이남희(Lee Nam-Hee) 역사실학회 2012 역사와실학 Vol.47 No.-

        This paper focuses on the women intellectuals who could read and write in Chinese letters, and had a certain degree of Confucian knowledge beyond the ability of writing Chinese poems in later Chosun Dynasty. In addition, they have married and managed the family life successfully as a normal woman. We can categorize them as unique women, and understand them through the concept of Woman SeonBi[女士] and Woman Nobleman(女中君子). The term of Woman SeonBi had been used from long ago. They were regarded as women sho had the behavior of SeonBi[士]. We can see the term in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and The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Choson Dynasty, but there are considerable gaps between them is spite of some common factors. Therefore we can divide intellectual women into a category of narrow meaning of Woman SeonBi. In the same way, Woman Nobleman, or Nobleman as woman was possible. We can see that term and usages in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and personal anthology, the collections of works. Woman Nobleman, or Nobleman as woman was the greatest honor to the women who had lived moral life and behavior under the Confucian World View. Certainly there was a subtle and dynamic change of views on the women and the women intellectuals in the later Chosun Dynasty. Of course, basically it was a change of thinking under the Confucian World View. It seemed that the women could become Woman SeonBi through Confucian study, moral behavior, and self-cultivation. In the end, woman could be Nobleman, namely an ideal of human being. It also predicted an existence of self consciousness of a free human being liberated from various feudal bond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