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칼 뷜러의 삶과 사상

        이남석,Lee Nam-Seok 한국독어학회 2003 독어학 Vol.7 No.-

        Karl $B\"{u}hlers$ Sprachtheorie orientiert sich an der Psychologie. Das zeigt sich im zweten Teil dieser Arbeit. $Au{\ss}erdem$ haben wir da gesehen, wie $pl\"{o}tzlich$ er im deutschen Gebiet seine Wissenschaft abbrechen und so eilig nach Amerika auswandern musste. Damit konnte er sein wissenschaftliches Ziel, also allgemeine Sematologie im Sinne der Logik der $Humanit\"{a}t$, nicht erreichen. Aber trotzdem $la{\ss}t$ sich erwarten, dass wir mit seinem $unverg\"{a]nglichen$ Buch und anderen Daten wieder starten $k\"{o}nnen$. Er nennt das Sprechereignis, das unsere Sinne $r\"{u}hrt$, den ersten Gegenstand der Sprachwissenschaft. Das ist etwas Einmaliges, ein Geschehen hier und jetzt im bestimmten Zeitraum. Das anschauliche Zeigen $geh\"{o}rt$ so zum Wesen der $nat\"{u}rlichen$ Sprache wie die Abstraktion und das begriffliche Erfassen der Welt. Karl $B\"{u}hler$ spricht von dem anschaulichen Zeigen, weil er betonen wollte, dass Deixis an die Weltanschauung gebunden ist; symbolische $Ausdr\"{u}cke$ sind begrifflich andererseits, weil sie von der Sprechsituation $unabh\"{a}ngig$ sind. Die zwei Elemente, die zum vollendeten Erkenntnis $geh\"{o}ren$, sind unelinierbar in jedem $Sprachph\"{a}nomen$ enthalten. Wir mobilisieren die zwei auf jeden fall zu unserem vollendeten Erkenntnis der Welt. Ich habe die These mit der Formel S = M$\times$P beschrieben, die als Cartesisches Produkt von pragmatischen Komponent und Proposition interpretiert werden soll. Diese $Erkl\"{a}rung$ kann auch $ad\"{a}quat$ auf Zeichensinterpretation angewandt werden.

      • KCI등재

        동아세아횡혈식묘제전개(東亞細亞橫穴式墓制展開)와 무령왕릉(武寧王陵)

        이남석 ( Nam Seok Lee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2 백제문화 Vol.1 No.46

        백제 25대 무령왕릉의 고고학적 특징은 축조재료로 벽돌을 사용하였다는 점에 있으면서 묘제적으로 횡혈식의 구조를 갖추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횡혈식 묘제는 중국의 전한 중반기에 비롯된 묘제이고 이후 동아시아의 보편적 묘제로 활용된 것이다. 한반도의 경우 2세기 무렵에 전축분의 형태로 그 흔적을 드러내면서 塼·石混築墓로의 변화가 있고 그러한 묘제의 남하로 백제의 경우 4세기후반경에 횡혈식 석실묘로 등장하여 5세기대에 이르면 도읍지의 중심묘제로 자리한다. 이 묘제는 웅진천도 즈음에 백제묘제의 중심으로 정착되기에 이른다. 무령왕릉을 비롯한 백제의 전축분은 횡혈식 석실묘가 성행한 환경에서 유입된 것이다. 이 묘제가 무리없이 수용된 배경은 기왕에 백제에 유입되어 사용되었던 횡혈식 석실묘와 묘제적으로 공통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더불어 무령왕릉을 비롯한 백제 전축분의 등장에 즈음하여 나타난 이후의 백제 석실묘제의 변화는 웅진천도 후에 이룩된 왕권의 성장을 기반으로 백제의 선진문화에 대한 욕구와 선진문화 수용후의 자체적 소화력의 단면도 보여준다. King Muryeong`s tomb is a Junchukbun(a tomb built with bricks), type of the Baekje`s burial that existed in a certain area during a certain period. Junchukbun tomb like King Muryeong`s Tomb is not a traditional style of entombment, but a newly imported one from China, after Baekje relocated its capital to WungJin and stabilized their political chaos. Although Junchukbun is totally different from Baekje`s traditional burial types, it symbolically shows the political and social circumstances by the time Baekje relocated its capital to Wungjin. Thus, the tomb`s archaeological value could be reappraised in this point of view. As a burial type of Baekje, Junchukbun usually has a structure called a Corridor-Style Chamber. Originally, this type of tomb appeared in the middle of Former Han Dynasty era when people had a tradition of burying corpses in the same corridor. Yet, in accordance with the social transition, these tombs developed into a burial type, and soon dominated the burial culture in East Asia. Additionally, Corridor-Style Chamber in Korea has its origin in this burial type, as the Chinese Corridor-Style Chamber was imported into the Northeast region first and with gradual changes, spread to other areas. Baekje`s Corridor-Style Chamber assumingly started as a stone chamber tomb around the capital city, followed by Baekje`s expedition to the Northeast region in the fourth century. The stone chamber tombs with the Corridor-Style in the capital area spread to other areas because of the local society`s admiration for culture of the capital. At least around the late fifth to the early sixth century, this type dominated the entombment culture in Baekje society. The early stone chamber tombs with Corridor-Style exhibit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tombs without unity. As time went by, they started to show groining or arcform structures. During this process, a new burial type such as tunnel type appeared for the first time, and Chinese Junchukbun like King Muryeong`s tomb was accepted, a phenomenon which later served as a momentum for creation of Flat-Ceiling Style. It is clear that Baekje`s Junchukbun is a product of the cultural exchange with China, and that it developed into a burial type under a special circumstance of social change in the early sixth century. Overall, this burial type indicates Baekje`s unique social situation, since it shows dynamic exchanges with China and their effect on Baekje`s culture, especially the burial culture, which tends to firmly preserve traditional and local characteristics. Additionally, although this newly developed burial type is from China, Baekje`s burial type should be understood from an East Asian perspective. Furthermore, the appearance of Junchukbun illustrates Baekje`s active acceptance of foreign culture while its fast domination of Baekje`e entombment culture shows its ability to adapt to a new culture.

      • KCI등재

        공주지역 백제문화유적의 유산적 가치: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검토

        이남석 ( Nam Seok Lee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09 백제문화 Vol.40 No.-

        본고는 공주 부여지역 백제문화유산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위해 그 가치의 재발견과 그에 문화유산적 가치를 살펴보고자 마련한 것이다. 이를 위한 검토 유적은 백제의 웅진천도 전야와 천도 후 백제의 새로운 도약과 발전을 웅변하는 유적, 즉 수촌리 백제고분군, 공산성, 송산리 고분군과 무령왕릉, 그리고 정지산 유적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촌리 유적은 백제의 웅진천도 전에 이 지역의 지방세력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유적은 당시의 문화 내용이나 지방세력으로서 중앙과의 관계, 그리고 웅진천도의 주체세력으로 존재감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이울러 공산성은 백제의 웅진천도후에 마련된 도성으로서의 면모를 구체적으로 보여줄 뿐만 아니라 웅진도읍기에 진행된 각종 사건 사고의 역사정황을 그대로 함축하고 있다. 특히 공산성은 백제시대의 도성으로서 중간단계에 위치하여 백제 도성의 변천사에 대한 단면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또한 송산리 고분군과 무령왕릉은 백제왕릉으로서의 표지적 유산 일 뿐만 아니라 유적과 유물에서 백제문화의 우수성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유물의 내용에서 백제의 대외교류 면모라던가, 백제인의 사후세계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가를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 유산이다. 이외에 정지산 유적은 백제의 웅진도읍기 제사시설로서 구체적 면모를 간직하고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rediscover the values of Baekje`s cultural relics in Gongju and Buyeo to register them as World Heritage and to examine their values as cultural heritage. For those purposes, the investigator reviewed the relics that represent a new leap and growth of Baekje before and after it moved the capital to Woongjin. They include the Baekje Tumuli in Suchon-ri, Gongsan Fortress, Tumuli in Songsan-ri, Tomb of King Muryeong, and the relics of Mt. Jeongji. The Suchon-ri relics give out information about the local powers before Baekje moved its capital to Woongjin in addition to the culture of the tim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local powers and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powers that led the movement of moving the capital to Woongjin. Gongsan Fortress was built after moving the capital to Woongjin and tells historical stories around various events and accidents after moving the capital to Woongjin. Marking the middle stage of Baekje fortresses, it especially reflects the changing history of Baekje fortresses. Being the representative relics of Baekje`s royal tombs, the Tumuli in Songsan-ri and Tomb of King Muryeong are the epiphany of Baekje culture`s superiority. They are very important as the relics and artifacts provide crucial information about the size of Baekje`s overseas trade and Baekje people`s perception of after world. And finally the relics of Mt. Jeongji still preserves the specific aspects of a ceremony facility after Baekje moved the capital to Woongjin.

      • KCI등재

        백제 흑색마연토기의 고찰

        이남석(Nam Seok Lee) 한국고대학회 2001 先史와 古代 Vol.16 No.-

        This study is designed to take a look at the attributes and existence meanings of black burnished pots characterized by the articles of confer among the relics of Baekje tombs. In the Three-kingdoms Period, pottery was generally produced with reduction fire in the closed kiln rather than oxidizing firing. This development seems to have been attributable to the acquisition of skills capable of producing high tempa-ature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metal civilization and to the inflow of a pottery-manufacturing method from China. As the method evolved differently in the Three-kingdoms Era, pots turned out to be well known for their diversity in terms of their forms or kinds. But the conventional wisdom is that the pots produced in this period were dominated by white ones. In this context, Baekje`s black burnished pots are heterogeneous. The pots are not only tinged with the color of black but burnished with polishers. In terms of manufacture characteristics, clay was carefully selected and the walls of pots were very thin. Although make temperature is not quite high, the surface has a polished trace and apparently lacquer-applied luster. Unlike the fact that designs on the shoulder appeared, ornamental attributes are highlighted. Some surveys reveal that the luster on the surface is not characterized by the components of lacquer, confirming that a special manufacturing method was introduced to tinge the pots with black smoke. Black burnished pots are quit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kinds of pottery in the period Yet they are similar to black burnished pots of Bronze Age. The black pots in the Bronze Age is polished by means of re-burnishing the surface after a firing process, which is similar to black burnished pots in Baekje. Ye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xistence of luster on the surface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designs as well as shapes. These pots a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in Baekje, which the researcher believe are hard to have mutual bearings on each other due to a wide time gap(400 to 500 years). Materials related with black burnished pottery leave sow to be desired, simply leading us to the recognition of its existence and characteristics totally distinguished from the categories of Baekje pottery. The pots are excavated from such areas as Karak-dong Tomb, Seokchong-dong Tomb to the east of Three Chambers, Hwaseong-ni Tomb, Yongwon-ni Tomb and so on. The pots fail to have been generally used despite the ease of their manufacture. Besides, they are founded in the relics characterized by local attributes and articles of confer. It needs to be noticed that pots imitating the shape of the black burnished pots carne into existence all of a sudden. According to currently available materials, black burnished pots are hard for Baekje society to produce and seem to have been based on the influences of the outside. Those pots seem to have been possessed and buried along with the body in question according to a reverse relationship of politics and society.

      • KCI등재

        公山城出土 百濟 漆刹甲의 銘文

        李南奭(Lee Nam-seok) 한국목간학회 2012 목간과 문자 Vol.9 No.-

        2011년 公州 公山城 성안마을의 발굴조사는 백제의 熊津遷都 직후에 해당되는 유적과 이후 웅진도읍기 혹은 사비로의 천도 후에 조성된 유적을 대상으로 진행된 것이다. 발굴된 유적은 백제시대의 다양한 건물지와 함께 조사구역의 한쪽에 있는 연못이다. 그리고 연못에서 명문이 있는 옻칠 갑옷을 비롯하여 鐵刹甲과 馬甲 등의 유물도 출토되었다. 그런데 이들 연못에서 출토된 유물들은 백제 물질자료로서 전혀 예상치 못한 새로운 것이기도 하다. 특히 漆刹甲에 남겨진 銘文은 관련 고고학 자료에 생명력을 불어넣을 뿐만 아니라 그 자체의 정보력도 엄청난 것이다. 칠 갑옷은 다양한 크기의 가죽편에 두껍게 옻칠하여 제작한 찰갑으로, 찰갑편은 길이 5~18cm 내외 너비 2.8~10 cm 내외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명문은 가슴부위에 사용된 찰갑편에 있고, 찰갑 1편에 붉은색 漢字를 6자씩 배치한 것으로, 현재 7편의 옻칠 刹甲片에 기록되었던 37자 중에 25자가 확인되어있다. 이외에 전체 銘文은 그보다 2~3배 많은 것으로 판단되기도 한다. 銘文은 중국의 구양순 서체로서 찰갑편에 옻칠하는 과정에 기록한 것이다. 銘文 내용은 중국의 연호인 貞觀 銘과 사람이름, 官職으로 추정되는 것 등이 있지만, 전체 중에 일부만 수습된 관계로 본래의 문장내용을 구성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명문은 갑옷의 제작 동기나 그와 관련된 사건, 아니면 중국 당나라와의 외교적 사실을 기록한 것이 아닌가 추정된다. The subjects of excavation of Seong-an village of Kongsan Fortress in Kongju (公州 公山城) are ruins of Baekje dynasty that made in right after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Woongjin and Woongjin capital period or after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Sabi. The excavated ruins are various building place of Baekje age and pond inside the excavated area. Various armors such as those varnished with lacquer and with the inscription, steel armors and horse armors are excavated in the pond. Those artifacts in pond are new and unexpected excavation of Baekje materials. Especially the inscription in the varnished scale armor has livened up the related Archeological specimens and the data itself is also very important. The varnished scale armor has thickly varnished leather scales with lacquer and scale sizes are 5 to 18cm and 2.8~10cm. The inscription is on the chest scales and 6 Chinese characters are in one varnished scale. Currently 25 characters in 7 scales are conformed from 37 characters. Entire inscription seems 2 to 3 times larger that that. Chinese characters style of the inscription is from Ouyang Xun in China. Contents of the inscription look like era names, name of the person, government position. Not all parts are collected so it is difficult to recover original contents. But it is estimated that contents are motives of production and related events or diplomatic facts with Tang Dynasty of China.

      • KCI등재
      • KCI등재

        百濟의 冠帽 · 冠飾과 地方統治體制

        이남석(Lee Nam-seok) 고려사학회 2008 한국사학보 Vol.- No.33

        본고는 최근 증가된 백제 금동관모의 존재에 주목하여, 기왕의 관모 · 관식자료를 종합하여 이를 재질과 형태별로 구분하고 나아가 시간적 · 공간적 존재양상을 살핀 다음, 백제의 의관제 및 지방통치 양태에 적용하여 그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백제의 관모 · 관식은 금동관모와 은제관식으로 양분되고, 선 · 후적 시기구분과 힘께 분포양상에서 나름의 특이성이 포착된다. 여기에 관모 · 관식자료를 제도로 시행된 의관제와 대비할 경우 부합문제도 나타난다. 금동 관모는 한성도읍기란 시간 범위 속에서 백제의 지방사회에, 은제관식은 도읍과 지방사회란 공간 속에서 사비도읍기란 시간 범위에 서로 엄격하게 구분된 채 잔존한다. 이중에서 사비도읍기의 은제관식만이 제도로 실행된 의관제와 정확히 일치하며, 배경에 웅진도읍기의 혼란을 수습한 백제가 중앙과 지방을 일원화시킨 지배질서의 구현과 관련 있다. 관모 · 관식은 위세품으로 중앙에서 지방에 사여된 것이고, 따라서 이들은 백제의 중앙과 지방의 관계, 즉 지방의 통치방식을 대변하는 물적 자료이다. 더불어 백제의 관모 관식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내용의 변천을 드러내기도 한다. 일찍이 금동관모는 지방의 독자성이 상당히 유지된 환경에서 사여되었다가, 나중에 금동관모를 대신하여 은제관식이 중앙과 지방의 사회, 문화적 통일적 환경이 조성된 환경에서 사여됨이 그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백제의 지방통제방식의 변화와 관련 있을 것으로 여겨져 금동관모는 담로제의 범주에서, 그러고 은제관식은 방 · 군 · 성제란 지방통제방식의 범주에서 남겨진 유물로 보았다.

      • KCI등재

        橫穴式 墓制의 淵源과 展開

        이남석(Lee, Nam-Seok) 한국고대학회 2009 先史와 古代 Vol.30 No.-

        본고는 한반도 고대사회의 주묘제로 활용되었던 횡혈식(橫穴式)의 연원을 살피고자 마련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횡혈식은 어떤 묘제이고, 동아시아에서 이 묘제의 발생이 어디에서 언제 시작되며, 나아가 한반도에 시공간적으로 어떻게 전개되어 삼국의 묘제로 채택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횡혈식 묘제는 장제적으로 이전의 단장묘(單葬墓) 대신에 합장(合葬) 혹은 다장(多葬)이 전제된 묘제로, 출입시설이 마련된 것을 가장 큰 특징으로 꼽는다. 이 묘제는 묘, 장제적으로 선행묘제인 수혈식(竪穴式) 묘제와 큰 차이가 있으며, 나아가 선행묘제의 진화보다는 3세기 혹은 4세기 대에 고구려와 백제, 그리고 5세기말 혹은 6세기 무렵에 신라와 가야지역에 시간차를 두고 새롭게 등장한 묘제이다. 대체로 낙랑 대방지역을 필두로 4세기 이후로 한반도 전역으로 확산된 묘제이다. 중국의 전한(前漢) 중기에 부부합장(夫婦合葬)이란 장제의 변화에 부응하여 발생된 이 묘제는 처음에 목제 관곽(棺槨)의 사용이 기본이었으나 점차 전실분(塼室墳)으로 변화되고, 나아가 생전의 주거형상을 모방한 다실묘(多室墓)까지 발전된다. 이에 한반도 횡혈식 묘제는 중원(中原)의 횡혈식 묘제가 낙랑과 대방을 통해 유입되고 그것이 석실분(石室墳)으로 발전하였다고 보았다. 다만 고구려의 경우는 봉토석실분(封土石室憤)에서 그 시원을 구할 수 있지만, 적석총(積石塚)에 횡혈식 구조의 등장은 만주지역과 관련된 것인지, 봉토석실분의 확산에 의한 것인지의 판단은 유보된다. 반면에 백제는 서북한(西北韓) 지역에서 파급된 것이 비교적 선명하게 드러난다. 나아가 신라·가야는 고구려 혹은 백제에서의 2차 파급으로 늦게 횡혈식 묘제가 유입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rigin of tombs with a tunnel entrance that made the dominant type of tombs in the ancient society of the Korean Peninsula. For that purpose, the investigator examined what type of tombs it was, when and where it was born in East Asia, how it developed both in time and space in the Korean Peninsula, and how it's selected by the Three Kingdoms. Based on the premise of twin or multiple burials instead of single burial, tombs with a tunnel entrance are best characterized by an entrnace. They widely differ from their predecessor, which was a tomb in a vertical digging style. They were not the result of the predecessor's evolution but newly appeared in Goguryeo and Baekje in the 3rd or 4th century and Shilla and Gaya in the late 5th or 6th century. They became wide spread across the peninsula starting in Nakrang and Daebang around the 4th century. Created to respond to the conjugal burial in the middle of Former Han in China, tombs with a tunnel entrance basically had a wooden chamber in the early days but gradually moved towards a brick chamber, ultimately holding multiple chambers that mimicked the living spaces of the deceased. Thus it can be said that they were introduced from the midlands through Nakrang and Daebang and developed into stone-chamber tombs in the peninsula. In Goguryeo, their beginning can be traced back to a grave mound with a stone chamber. However, it's not for certain if the introduction of a tunnel entrance into a stone mound was related to Manchuria or was affected by the expansion of a grave mound with a stone chamber. In Baekje, its relatively clear that they were introduced from the Seobukhan area. And it's confirmed that Shilla and Gaya were late to introduce a tomb with a tunnel entrance from Goguryeo and Baekj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