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입학전형 영향요인 분석 : 2013년도와 2019년도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기혜 ( Yi Kihye ) 안암교육학회 2021 한국교육학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최근 대학입학전형을 둘러싼 논쟁이 격화되고 있는 현실에서 대학입학전형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교육종단연구 1-9차 자료와 2013, 2019학년도 진로진학 자료를 이용하여, 종속변수가 세 개 이상의 범주형일 때 사용하는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대학입학전형 선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부종합전형이 특정 계층에게 유리한 전형이라는 통념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과거 입학사정관전형의 적용을 받던 2013학년도 분석에서는 학교 소재지가 강남권이거나 특목고, 자사고 학생들의 정시전형을 통한 진학 가능성이 매우 유의하게 나타난 반면 2019학년도 분석결과에서는 강남권, 또는 특목고 자사고 학생들의 정시전형을 통한 진학 가능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또한 학생의 진로성숙도, 학교만족도 등은 대체로 학생부중심전형을 선택하는 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사교육비는 대학입학전형 선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대학입학전형의 개선 방향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Using the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SELS) data and its Career and Admissions data, this study explored the determining factors of college admission types focusing on family background, high school location, and high school types in 2013 and 2019. The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account for more than three categorical types of outcome variables. First, contrary to the popular belief that the Comprehensive School Report (CSR) is advantageous to students from higher family social economic status (SES), the result showed that family SE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llege admission types. Second, the study found that students from high schools located in Gang-nam, specialized elite high schools, and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s were more likely to choose the regular admission process in 2013, whereas the 2019 analysis indicated that the type and location of high school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Finally, the study showed that while career maturity and satisfaction with the school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likelihood of getting admitted to college through the CSR and Grade Point Average (GPA) system, while private education expens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college admission typ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Korean college admission system.

      • KCI등재

        서울시 고교생의 대학입학전형 영향요인 분석

        이기혜(Yi, Kihye),전하람(Jeon, Haram),최윤진(Choi, Yunjin)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7 교육과학연구 Vol.48 No.3

        After introducing the College Admission Simplification Policy, there has been debate about whether general admission or the Comprehensive School Report (CSR) admission is a better system. Specifically, some believe the CSR maintains its positive impact on enhancing public education with curricular diversity and in selecting promising students. On the contrary, others doubt its fairness and reliability and criticize this new policy for excessively burdening students and their parents with application preparations.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s of family background, educational settings,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on choosing a specific admission type. Using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SELS) data, results showed that living in an educationally privileged area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the likelihood of choosing the CSR type but household income and parental education were not significant. Next, the analysis found significance in the association betwee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college admission type choice. More proactive participation in career development activities and higher level of career maturity were related to higher likelihood to get admitted by colleges through the CSR type. Lastly, parental support for students’ educational and career development had mixed impacts on choosing admission types. Parents who spent more on private tutoring services were more likely to choose the CSR type. However, parental effort to participate in college fairs and paid consulting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admission type choice.

      • KCI등재

        대학입학전형 선발 결정요인 분석: 가정배경 및 학교 관련 요인을 중심으로

        이기혜 ( Kihye Yi ),최윤진 ( Yunjin Choi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1994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도입된 이후 다양화, 자율화, 간소화를 지향하며 수차례 대학입학전형개혁이 추진되어 왔으나 사교육 유발, 기득권층을 위한 전형, 입시경쟁교육 심화 등 비판적 여론이 지속되는 현실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1-8차 자료를 사용하여 대학입학전형을 정시 일반, 수시 일반, 입학사정관전형으로 구분하고 대학입학전형 선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정시 일반전형 대비 수시 일반전형의 비교에서 성별, 내신 등급, 논술사교육여부, 각종대회수상여부는 수시 일반전형을 통한 입학가능성에, 수능성적과 재학고교의 소재지가 특별시와 중소도시인 경우, 그리고 사교육비는 정시 일반전형을 통한 입학가능성에 유의한 효과를 발휘하였다. 둘째, 정시 일반전형 대비 입학사정관전형의 비교 결과, 내신 등급, 논술사교육여부, 동아리(임원)경험여부, 각종대회수상여부, 교사영향력은 입학사정관전형을 통한 입학가능성을 높이는 반면, 수능성적과 출신고교의 소재지가 특별시인 경우는 정시 일반전형을 통한 입학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수시 일반전형 대비 입학사정관전형의 비교에서는 대체로 학교교육경험 관련 변인이 입학사정관전형을 통한 입학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입학전형의 사회적·계층적 함의를 논의하고 입학사정관전형을 계승한 학생부종합전형을 비롯하여 대학입학전형 제도의 향후 발전 방향 등을 제언하였다. Using the 1st-8th wave data from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this study explores the factors of university admission types. The multinominal logit model was performed separately on regular admission, rolling admission, and admission officer system. First, in comparing regular admission to rolling admission, gender, high school record, participation in private essay writing tutoring, award records are significantly effective on the likelihood of university admission, using rolling admission. When regular admission was used, SAT score and graduating from high school in Seoul or micropolitan, and private education expenses were associated with likelihood of entrance. Second, when regular admission was compared with admission officer system, high school record, private essay writing tutoring, experience of club officers, award records, teacher`s influence were positively related to likelihood of entrance through admission officer system, while SAT score and graduating from high school in Seoul had positive effect on likelihood of entrance through regular admission. Lastly, when rolling admission was compared to admission officer system, it was proven that the factors related to school experience were likely to increase possibility of entering university through admission officer system, even though there were a few variables that can distinguish rolling admission from admission officer system.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 of social and class characteristics of each university admission types and ways to improve university admission system.

      • KCI등재

        생존분석을 적용한 고등학생의 최초 아르바이트 경험 시점에 대한 영향요인 검증

        이기혜(Yi, Kihye),심재휘(Shim, Jaehwee),우선영(Woo, Sunyo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한국청소년연구 Vol.27 No.1

        이 연구는 고용정보원에서 조사한 청년패널조사(YP2007) 1-4차년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고등학생의 아르바이트 참여 여부 및 시기에 대한 실태를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콕스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하여 연속시간 생존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다수의 학생들은 고등학교 재학 시기에 아르바이트를 경험하지 않고 있으며, 아르바이트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대체로 고 1~고2 시점의 여름방학에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가구소득에 따른 차이를 확인한 결과, 가구소득이 하위 25%에 해당하는 고등학생들이 보다 빠르게 아르바이트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고등학생 아르바이트 참여는 지역규모가 클수록 그 시기가 늦어졌으며, 중학교 3학년 때의 성적이 낮은 학생일수록 고등학교 입학 이후 아르바이트를 보다 빨리 경험하였다. 한편 중학교 3학년 성적이 아르바이트 참여에 미치는 영향은 전문계고 학생들보다는 일반계고 학생들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아울러 학교생활 만족도는 아르바이트 참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교우관계가 좋을수록 아르바이트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통해 교육기회나 결과에 있어 열악한 환경에 속한 학생들일수록 아르바이트 참여 가능성이 높았으며, 이는 대다수의 학생들이 학업에 열중하는 한국사회에서 아르바이트 참여 학생들의 학습결손을 심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아르바이트 환경을 개선하고, 청소년 아르바이트가 이들의 향후 진로계획에 유의미한 경험이 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1)high school students’ decisions and their participation in work experience, and 2)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decisions and the time, using the 1st-4th data of Youth Panel(YP2007) survey.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s show that 1)most high school students do not participate in part-time work during their period of attendance at school, and 2)for those who decide to participate in part-time work, the most likely time to work is the summer vacation of their freshman and junior year. Furthermore, the students from the bottom quarter of household incomes were shown to start their work earlier than the others. Coming from large regions residence tends to delay the time of the first work experience, while lower academic achievements at middle school hastened it. However, middle school achievements had greater effects on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than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hile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decision to take up part-time work, peer relationships increased the possibility of working. This implies that students from poorer backgrounds a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part-time work, and this can be critical in reducing time which could otherwise be devoted to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high school students’ working conditions need to be developed and that the working experience needs to be more be helpful for students’ career planning.

      • KCI등재

        Wee 클래스 운영이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심재휘 ( Jae-hwee Shim ),이기혜 ( Kihye Yi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2

        연구는 서울시교육연구정보원에서 조사한 서울교육종단연구 2010(SELS 2010) 3-4차년 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위학교에 설치, 운영되고 있는 Wee 클래스의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고, 여타 학교폭력 가해경험 영향요인을 확인하였다. Wee 클래스 운영 목적이 학교폭력 문제 해결이라는 전제 하에, 본 연구에서는 이전 가해경험을 비롯하여 학교 폭력 가해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투입한 로지스틱 분석을 통해 개별 학생이 Wee 클래스 운영학교에 진학하는 경향성을 추정하였다. 이후 추정된 경향점수를 이용한 매칭을 통해 선택편의를 통제한 후, OLS 회귀분석을 통해 학교폭력에 대한 Wee 클래스 운영 효과 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Wee 클래스를 운영 중인 학교는 일반학교에 비해 학생 대상 학 교폭력 예방교육을 보다 활발하게 실시하고 있었다. 고등학생의 학교폭력 가해경험 정도는 중학교 때의 가해경험의 빈도가 높을수록, 남학생일수록, 자기통제력이 낮을수록, 학교풍토를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높았다. 한편 단위학교에서 운영하는 Wee 클래스는 전체 학생에게 직접적인 효과를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이전의 학교폭력 가해경험이 현재의 가해행동에 미치 는 영향을 약화시키는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 프로그램이 향후 발전적인 방향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몇 가지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Drawing on 3rd and 4th wave of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0(SELS 2010), we examined the effects of the “Wee class” which is operated in highschool on reducing students’ school violence experience. Considering that the objective of “Wee class” is to solve school violence problems, we applied logistic regression model to estimate propensity for entering highschool which runs “Wee class” from factors associated with school violence. After that, we controlled selection bias using propensity score and applied OLS regression based on matched sample to investigate the “Wee class” effects on reducing students’ school violence experience. Our regression results exhibited that schools which run “Wee class” spend more time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than ordinary schools. Against our expectations, however, most covariates associated with school violence couldn’t predict well whether students enter “Wee class” highschool or not. Students’ school violence experience had strong relationship with it in the past, and also seems to be worse with boys than girls. self-control and positive school climate reduced the levels of student’s school violence experience. The “Wee class” effects were not significant itself, however it showed a moderate effect to weaken relationship between previous and present violence experience.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ed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progressive changes in the operation of “Wee class.”

      • KCI등재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결정요인에 대한 종단분석: 성별 및 학업 관련 특성을 중심으로

        심재휘 ( Shim Jae-hwee ),이기혜 ( Yi Kihye ) 안암교육학회 2018 한국교육학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중1패널 3-6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학업 관련 특성과 가정 및 학교 내 사회적 관계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했다. 이 과정에서 성별에 따라 삶의 만족도와 영향요인 간의 종단적 관계에 차이가 있는지도 확인하였다. 먼저 최소제곱법(OLS) 추정을 이용한 중학교 3학년 때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대한 학생 간 차이 분석 결과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주관적 학업성취 수준이 높고 수업에 잘 적응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반면 학습시간이 많은 학생의 삶의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주관적 학업성취 효과는 가정 및 학교 내 사회적 관계 변수들을 추가로 투입했을 때 통계적 유의미성을 상실하였으며, 부모, 교사, 친구와의 관계는 모두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음으로 고정효과(fixed effect) 추정을 통해 중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청소년 삶의 만족도의 종단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주관적 학업성취와 수업적응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관계가 확인되었다. 한편 중학교 3학년 때 크게 나타났던 여학생과 남학생의 삶의 만족도 격차는 고등학교 2학년 시기에 좁혀졌다. 가정 및 학교 내 사회적 관계의 효과를 보면 교우관계, 부모자녀 관계는 남녀 모두에게 정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냈으나 교사학생 관계는 여학생에게서만 정적인 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한국교육의 풍토에 대해 논의하였다. Using the 3rd to the 6th wave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we examined the effects of academic characteristics and social relations on the trajectories of the life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OLS results showed that male stud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lives than female students in the 3rd grade of middle school. As academic characteristics,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level of class adjustment improved life satisfaction but the amount of learning time spent had a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However, the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lost its statistical significance after including variables of social relations. Relationships with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had positi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The longitudinal analysis using the fixed effect estimation also showed a similar result of the associations among the variables to that in the OLS analysis. The life satisfaction gap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narrowed over time from the 3rd grade of middle school to the 2nd grade of high school. The effects of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friends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both female and male students, but the relationship with their teachers was significant only for femal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the issues of Korean education related to the life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 KCI등재

        고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 영향요인 분석-부산지역 다문화교육 및 관련 정책학교 효과를 중심으로-

        이자형 ( Lee Jahyeong ),이기혜 ( Yi Kihy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8 중등교육연구 Vol.66 No.2

        본 연구는 부산교육종단연구(BELS) 제1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해 보았다. 위계적 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ing)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생 수준에서는 여학생인 경우에, 비양친 가정인 경우에 다문화 수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독서시간이 많을수록, 자존감이 높을수록, 공감 및 배려성향이 강할수록 다문화 수용성도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무엇보다도 교내 다문화교육 경험은 고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을 제고하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도 판명 되었다. 한편 학교 수준에서는 학교평균 학업성취수준이 높은 학교일수록 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이 높아질 개연성이 확인되었으며 다문화교육 관련 정책사업 학교에 재학하는 것도 학생들의 다문화 수용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고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학교 차원에서 다문화교육이 내실 있게 진행될 수 있는 제반 여건을 조성하고 효과적인 다문화교육 정책학교의 프로그램을 공유하고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Drawing from the first wave data collected in 2016 by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this study investigates determinant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mong high school students. Results in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 analysis show that for high school students, girls show a higher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an boys, while students from single-parent family display a higher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an those from two-parent families. In addition, students with active participation in reading, a higher level of self-esteem and empathy exhibit a higher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bove all, students’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re positively related with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mong school-level factors, schools with higher mean academic achievement show a higher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schools also demonstrate that they are effective in increasing stud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Based on the above results, policy implications for enhancing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a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중학생의 성장신념 영향요인 분석: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차이를 중심으로

        임혜정(Lim, Heyjung),이기혜(Yi, Kihye) 한국교육학회 2019 敎育學硏究 Vol.57 No.4

        본 연구는 경기교육종단연구 초4 패널 4~6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중학생의 성장신념에 대한 영향요인을 구명하였다. 아울러 분석대상을 혁신학교와 일반학교로 구분하여 중학생의 성장신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혁신학교 여부에 따라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서본 연구는 패널자료 분석 방법 중 고정효과모형과 확률효과모형의 장점을 결합하여 집단 내 변화와집단 간 차이의 영향력을 동시에 파악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방법을 사용하였다. 주목할 만한 결과를중심으로 제시하면, 첫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중학생의 성장신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진로자기이해와 차별경험으로 나타났다. 둘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에서 중학생의 성장신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던 요인은 가구소득과 교사의 수업방식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혁신학교 여부에 따른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중학생의 성장신념에 상이한 영향력을 보인 요인은 학업성취도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일반학교에서 나타나는 특징으로 이들의 성장신념에는 교내 구성원과의 관계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특성에 따른 중학생의 성장신념 제고 방안, 성장신념 제고와 관련한 혁신학교 정책에 대한 평가와 보완점 등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used 4th to 6th data of the primary 4th Panel of the Study of Gyeonggi Education to exa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middle school students growth belief. In addition, we identified what factors differ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y were innovative schools. To this end, this study used a hybrid method that combines both fixed and random effect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that affect the growth belief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both innovative and general schools were understanding of self career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s. Second, the variables that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novation and general schools were changes in household income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 Third,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innovative schools and general schools, the achievement showed different influence on the belief of growth students. Finally, in general schools, their relationship with members of the school has a positive effect on their growth belief. Based on the above results, we proposed the evaluation of the policy of innovative schools and the supplementary task with policy.

      • KCI등재

        청소년의 정신건강 변화 영향요인에 관한 종단 분석: 교육경험 및 학교 요인을 중심으로

        이자형(Lee, Jahyeong),이기혜(Yi, Kihye) 한국교육행정학회 2019 敎育行政學硏究 Vol.37 No.3

        본 연구는 부산교육종단연구 1~3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우울과 불안을 중심으로 청소년의 정신건강이 어떤 양상으로 변화하고,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다층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청소년의 정신건강수준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점차 낮아지는 양상을 나타냈다. 또한 중, 고등학생 정신건강 초기치와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로는 다음과 같은 점들이 확인되었다. 첫째, 중학교 1학년 시기와 고등학교 1학년 시기 모두 여학생인 경우, 수면시간이 부족할수록, 휴대전화 사용시간이 많을수록, 반소속감이 낮을수록, 교내 차별경험이 많을수록, 시험 스트레스가 심할수록, 부모와의 관계가 덜 친밀할수록 정신건강점수가 더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외에 중학교 1학년 시기에는 취미 및 여가시간이 적을수록, 학교만족도가 낮을수록, 학업성취수준이 높을수록 정신건강이 더 취약할 가능성이 커지며 고등학교 1학년 시기에는 친구관계가 좋지 않을수록, 학교 및 학원 숙제 시간이 적을수록, 학교가 서부산에 소재하는 경우에 정신건강점수가 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간이 경과하면서 중학생의 경우에는 서부산 소재 학교에 재학하는 경우, 반소속감이 적을수록, 교내 차별경험이 많을수록, 시험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교사관계가 좋을수록 우울 및 불안이 심화되는 속도가 더 빨라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남학생인 경우에, 시험 스트레스가 심할수록 시간이 경과하면서 정신건강이 약화되는 속도가 더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교육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해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with a focus on depression and anxiety, using data from the first to third year of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BELS). The results of the multilevel growth model analysis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howed that their level of mental health gradually decreased as the grade increased. In addition, the following factors were identified as key factors influencing the initial and change rates of mental health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irstly, in both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and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mental health scores were lower when sleeping time was shorter, mobile phone usage time was longer, experience of school discrimination was higher, relationship with parents was weaker or in case of female students. Second, it was found in middle school students that the less sense of class belongings, the mor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in school, the more test stress, and the better relationship with teachers, or attending schools in a disadvantaged area, the faster the rate of depression and anxiety was increased over time. Third, in the case of high school students, the decrease in mental health over time was faster when the stress of the test was high or mal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ducational policy implications for the promotion of mental health for adolescents we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 청소년의 다문화적 태도 영향요인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김경근 ( Kim Kyung-keun ),이기혜 ( Yi Kihye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4

        본 연구에서는 SSK 문화적 다양성과 공존 연구단이 수집한 `2013 다문화사회 관련 의견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청소년의 다문화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고찰하였다. 이 과정에서 부모의 다문화적 태도가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는 한국 청소년의 다문화적 태도가 부모의 다문화적 태도 및 청소년 자신의 종족정체성으로부터 지대한 영향을 받는 것을 보여주었다. 특히 부모의 다문화적 태도는 청소년의 다문화적 태도에 직접효과를 발휘함은 물론 청소년의 종족정체성을 매개로 그들의 다문화적 태도에 간접효과도 행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청소년의 학업성취는 그들의 다문화적 태도와는 거의 무관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한편 다집단 분석 결과는 해외거주 경험이 청소년의 다문화적 태도 영향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에 조절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다문화적 태도를 함양할 수 있는 정책대안을 간략하게 논의하였다. Drawing on public opinion data on multicultural people in Korea collected in 2013 by the SSK Cultural Diversity and Coexistence Research Team, we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factors affecting multicultural attitudes among Korean adolescents focusing on the role played by parental multicultural attitudes. Results showed that parental multicultural attitudes and adolescents` ethnic identity wielded a very strong influence on adolescents` multicultural attitudes. Especially, it was proven that parental multicultural attitudes had a direct effect on adolescents` multicultural attitudes and exerted an indirect effect on them through adolescents` ethnic identity as well. However,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had little to do with their multicultural attitudes. Meanwhile, results from multi-group analysis exhibited that adolescents` experiences of living abroad tende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factors affecting their multicultural attitudes. We discussed briefly based on the major findings policy suggestions that can help adolescents embrace cultural diversity and tolerance towards immigr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