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농업환경보전을 위한 친환경인증농가 토양 화학성 조사

        이미나(Mina Lee),이금아(Keum-ah Lee),Chaw su Lwin,이남희(Namhee Lee),김권래(Kwon-rae Kim)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최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속가능한 농업확산을 위해 ‘제5차 친환경농업 육성 5개년 계획’을 발표하였다.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해서는 화학제품 사용량을 줄이고 토양침식을 방지하는 등 농업환경을 개선하고 이를 보전해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경남 의령군에서는 농업환경보전 프로그램을 추진 중이다. 이에 대한 기본 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2020년 4월과 10월 두 번에 걸쳐 농경지 토양환경을 조사하였다. 조사대상 농경지 대부분은 친환경인증농가로 월동기간 녹비를 재배하고 우렁이 농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들 농경지는 관행농법으로 재배하는 농경지와 그 특성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친환경 인증농가 10가구를 대상으로 1가구당 3개의 논필지에서 토양을 채취하여 pH, EC, 유기물, 유효인산, 치환성양이온(K, Ca, Mg)을 분석하였다. 관행농가와 비교하기 위하여 비슷한 위치의 관행농가 2가구를 선택하여 1가구당 3개의 논필지에서도 토양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화학성 변화 추이를 보기 위해 토양환경정보시스템인 흙토람에서 동일 필지에 대해 2015-2019년 데이터를 발췌하여 연도별 화학성 변화추위를 분석하였다. .토양 분석 결과, 유기물, 유효인산, 치환성 K, Ca 함량은 모두 농촌진흥청에서 추천하는 적정 수준보다 높았다. 유기물은 34-60 g kg<SUP>-1</SUP>로(적정수준 30 g kg<SUP>-1</SUP>) 이는 월동기간 동안 재배하는 사료작물의 뿌리 등 일부가 농경지에 환원되고 또한 우분을 농경지에 많이 처리하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유효인산 함량은 167-425 mg kg<SUP>-1</SUP>로(적정수준 120 mg kg<SUP>-1</SUP>) 가축분과 인산질 비료의 사용량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토양 화학성은 친환경농가와 관행농가 간 차이보다는 각 농가별 영농방법에 따라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한 항목이 높게 나타난 농가는 다른 항목에서도 모두 높은 결과를 나타냈고 이는 그 농가가 비료 등 농자재를 많이 투입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연도별 화학성 추이 분석에서는 유기물과 유효인산 함량이 최근 연도에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지속가능한 농업 및 농업환경보전을 위해서는 가축분과 인산질 비료 사용량을 줄일 필요가 있다.

      • 2021년 경북지역 산업단지 인근 농경지 중금속 오염도 조사

        이미나(Mina Lee),Chaw su Lwin,이금아(Keum-ah Lee),이남희(Namhee Lee),김권래(Kwon-rae Kim)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1960년대 이후 산업화가 급격하게 진행되면서 환경오염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도 높다. 농경지 토양으로 침투한 오염물질은 그 토양에서 생산되는 농산물로 전이될 우려가 높아 농산물 안전성을 위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1990년대부터 안전한 먹거리를 생산하고 친환경농업을 육성하기 위한 여러 정책이 시행 중이다.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농업환경자원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며, 특히 공업단지 인근과 같은 취약 지역에 대한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1999년 이후 산업단지 인근 취약 농경지에 대해 유해물질 변동 모니터링이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 조사에 포함되지 않았던 공단 중 경북지역에 위치하는 10개 공단을 대상으로 인근 농경지의 중금속 오염도를 평가하였다. 각 공단 경계에서 500 m 이내에 위치하는 농경지 5곳, 500-1000 m 이내에 위치하는 농경지 5곳에서 표토를 채취하여 토양오염공정시험방법의 토양중 중금속 전함량 분석법에 따라 중금속 8종(As, Cd, Cr, Cr, Hg, Ni, Pb, Zn)을 분석하였다. 또한 오염도 평가를 위해 논토양 평균 중금속 함량을 기준으로 공단별, 거리별 Integrated Pollution Index (IPI)를 계산하였다. 분석 결과, 공단에서 0-500 m 떨어진 농경지의 평균함량은 As 4.46, Cd 0.31, Cr 24.27, Cu 21.10, Hg 0.03, Ni 12.78, Pb 14.07, Zn 57.51이며 500-1000 m에 위치하는 농경지의 평균함량은 As 4.07, Cd 0.29, Cr 25.30, Cu 17.44, Hg 0.03, Ni 13.26, Pb 13.44, Zn 57.36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농경지 중 중금속 함량이 토양오염 우려기준을 초과하는 곳은 없었다. 하지만 논토양 평균 중금속 함량을 기준으로 IPI를 계산한 결과 10개 공단 중 7개 공단에서 IPI 수치가 1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 농경지와 비교했을 때 공단 인근 농경지의 중금속 오염부하가 더 높음을 뜻한다. 조사대상 농경지의 오염수준이 토양오염 우려기준을 초과하지는 않았지만 공단의 영향으로 오염부하가 계속 증가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천안함 침몰’ 사건의 보도 경향과 이데올로기적 의미

        백선기(Seon-Gi Baek),이금아(Keum-Ah Lee)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1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5 No.1

        본 연구는 미디어 보도가 지니는 담론 형성과 그에 따른 이데올로기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미디어 보도는 수용자가 사회적 현실을 인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정 담론과 이데올로기적 의미를 생성한다. 이는 대부분의 수용자들이 미디어 보도를 통해 사안을 인식함을 의미한다. 특히 남북관계나 안보와 관련한 사안은 직접적으로 얻을 수 있는 정보의 양이 매우 적기 때문에, 수용자들은 미디어를 통한 간접적인 정보에 따라 사안을 인식하게 된다. 바로 이러한 점에서 남북관련 사안에 대한 미디어 보도는 중요한 역할과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2010년 3월 발생한 ‘천안함’ 침몰 사건에 대한 우리 언론의 보도경향과 그에 따라 생성되는 담론 형성에 주목하였고, 그에 따른 이데올로기적 의미에 대해 숙고하였다. 분석대상으로 조선일보와 경향신문을 선정하였고, ‘천안함’ 침몰이 발생한 3월 26일부터 최종보고서가 발간된 9월 13일까지의 이들 신문들의 기사들을 수집하였다. 이들 기사들에 대해 백선기가 최근에 창안한 기호네트워크분석(Semiotic Network Analysis)과 담론구조분석(Discourse Structure Analysis)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각 언론사는 자사의 이념적 스펙트럼에 따라 우호적인 기호들을 사용하였고, 이들의 특정 네트워크를 구성하였음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이들 기호네트워크 구조들을 근간으로 각기 서로 다른 담론들이 생성되었음도 발견되었다. 이는 ‘천안함 침몰’ 사건에 대해 신문별로 서로 다른 성격의 사건으로 규정하였고, 서로 다른 해석과 해결 방안들을 제시하였음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우리 사회는 천안함 침몰에 대해 전혀 다른 대립적 시각들이 존재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사회는 이데올로기적으로 명료하게 분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edia coverage patterns on the sinking of “Cheonan warship” and their ideological implications. On March 26, 2010 the warship was sunk suddenly by unidentified causes so that 46 crew members should be dead. in Korean society, it happened to occur many discourses about this incident through media coverage. Various rumors and suspicious arguments about its causes and means were suggested without any kinds of clarifications. The most controversial issue was whether it was caused by sea-missile assaults of North Korean forces’ or not. The society was severely divided into two groups on the basis of belief or doubt on it. The authors were interested in why this kind of split could happen to occur in Korean society, how much such kind of social phenomenon would be connected to media coverage, and what it would imply in Korean society. In order to solve these interests as well as research questions, they collected news items of two high circulative newspapers from March 26, 2010 to September 13, 2010. As one newspaper was conservative and anti-North Korea oriented, the other was progressive and pro-North Korea oriented. Each of news items was analyzed with a Semiotic Network Analysis (SNA) and a Discursive Structure Analysis (DSA) which were recently created by Seon-Gi Baek. As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irstly found that each of media tended to select specific signs and narratives to define the incident from its basic ideology and North Korea policy. The conservative newspaper tended to define it as ‘incident of North Korean attack’ and ask for ‘official sorry of North Korean leaders’, while the progressive newpaper defined it ‘unfortune accident’ and ask for ‘South Korean governmental responsibility’. Secondly, the former described such dead crew members as ‘war heroes’ because it assumed that they would be dead in the middle of battle, as the latter represented them as just ‘victims’ because they would be dead by uncertain causes. Thirdly, the former produced many discourses about ‘critic against the North Korean leaders’, ‘revenge against the North Korea’, ‘counter attack against the North Korea’, ‘reinforcement for the national security’, etc.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took initiatives to suggest another discourses about ‘critic against irresponsibility of South Korean government’, ‘doubt against the final report on the incident’, ‘warning against the reinforcement of national security’, etc. In conclusion, it could be argued that such kind of dividence in Korean society would happened to occur by the dichotomous coverage pattern between the conservative media and the progressive ones.

      • KCI등재

        주요 가로수 묘목의 오존노출에 따른 대기오염내성지수 비교

        조수빈 ( Su Bin Cho ),이형섭 ( Hyung Sup Lee ),이종규 ( Jong Kyu Lee ),박상희 ( Sang Hee Park ),김한동 ( Han Dong Kim ),곽명자 ( Myeong Ja Kwak ),이금아 ( Keum Ah Lee ),임예지 ( Yea Ji Lim ),우수영 ( Su Young Woo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2020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9 No.1

        가로수는 도시 생활에서 중요한 녹지의 한 부분이고 대기오염을 극복하기 위해서 건전한 생장을 하는 수종을 선정, 식재, 관리 하는 것이 필요하다. 오존은 수목에 활성산소를 만들어 생리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생태적인 피해를 유발한다. 본 연구는 국내 주요 가로수종인 왕벚나무(Prunus yedoensis), 느티나무(Zelkova serrata), 이팝나무(Chionanthus retusus), 그리고 소나무(Pinus densiflora.)의 묘목을 오존에 노출하여 실험하였다. 2년생 묘목을 Phytotron에서 100 nL·L-1 (ppb)의 농도로 약 4주간 실험하였다. 묘목이 생장하는 동안 오존에 대한 생화학적 반응 및 대기오염내성지수(APTI)를 비교하여 오존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였다. 아스코르브산 함량, 총 엽록소 함량, pH, 상대수분함량의 수치를 바탕으로 대기오염내성지수를 계산했을 때 왕벚나무와 느티나무는 오존 처리구와 대조구간에 APTI의 변화가 통계적인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고, 이팝나무는 오존처리구에서 증가했으며 소나무는 다른 수종에 비해서 감소했다. 본 실험을 통해, APTI를 산출하는 요소에 대한 수종별 반응이 다른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종과 도시 내 대기 환경에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대기오염물질인 오존에 따른 도시 내 수종 선별에 대해서 예측할 수 있다. Street trees are very important to urban environments as they can alleviate air pollution. However, when ozone is absorbed through the stomata, it can induce the formation of free radicals inside the tree, negatively affecting the vegetation.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Air Pollution Tolerance Index (APTI) of four major street tree species: Prunus yedoensis, Zelkova serrata, Chionanthus retusus, and Pinus densiflora. Two-year-old seedlings were placed in a phytotron and fumigated with 100 nL·L-1 (ppb) ozone for 4 weeks, following which the ascorbic acid contents, chlorophyll contents, leaf pHs, and relative water contents were measur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PTI of Prunus yedoensis and Zelkova serrata between the ozone and control treatments. By contrast, the ozone treatment caused the APTI of Chionanthus retusus to increase and that of Pinus densiflora to decrease compared with the respective contro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PTI of these tree species exhibit very different responses to ozone. Therefore, more detailed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a range of species in the future.

      • KCI등재SCOPUS

        고형 클로렐라 시비에 대한 딸기유묘의 생육 반응

        김영남 ( Young-nam Kim ),최준혁 ( Jun Hyeok Choi ),최현지 ( Hyeonji Choe ),이금아 ( Keum-ah Lee ),윤영은 ( Young-eun Yoon ),( Vimalraj Kantharaj ),이용복 ( Yong Bok Lee ) 한국환경농학회 2023 한국환경농학회지 Vol.42 No.4

        A liquid-type chlorella (LC) produced by self-cultivation is used for strawberry cultivation by farmers in Korea.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seedling growth in two strawberry cultivars ‘Soraya’ and ‘Haruhi’ after applying solid-type chlorella (SC) in the greenhouse for 30 d. The treatments were as follows: Control, LC (0.2% of 1.0 × 10<sup>7</sup> cells/mL), ¼ SC (12.5 g/m<sup>2</sup>), ½ SC (25 g/m<sup>2</sup>), and SC (50 g/m<sup>2</sup>). Compared to the control, in the ½ SC treatment, dry weight of the seedlings increased at 30 days after treatment (DAT). Phosphorus content in the leaves of ‘Soraya’ seedlings of the SC treatment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At 10 and 30 DAT, photosynthetic pigments including chlorophylls and carotenoids in the seedlings of both cultivars increased with the ½ SC treatm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pplication of SC improved the growth of strawberry seedlings and could replace L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