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후 우울증에 대한 예측 및 임신 중 우울증의 회복 요인에 대한 연구

        조현주 ( Hyun Ju Cho ),최규연 ( Kyu Yeon Choi ),이정재 ( Jeong Jae Lee ),이임순 ( Im Soon Lee ),박문일 ( Mun Il Park ),나중열 ( Jung Yeol Na ),이근영 ( Kun Yeong Lee ),이종민 ( Jong Min Lee ),권정혜 ( Jung Hye Kwon ) 대한주산의학회 2004 Perinatology Vol.15 No.3

        목적 : 산후 우울증의 위험 요인을 밝히고 또 임신 중 우울증의 유발 요인과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임신 중 우울증으로부터 회복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 1차에서 임신부 310명을 조사하였고 이들을 산후에 추적 조사하여 총 5명의 자료를 얻었다. 산후 우울증을 예측하고 또 임신 중 우울증으로부터의 회복 요인을 밝히기 위해 종단적인 연구방법을 실시하였으며 통계분석은 위계적 중다회귀 분석과 다변량 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산후 우울증(BDI 16점 이상)은 일반 임신의 22.7%이었고, 임신 우울은 11.5%이었다. 산후 우울증과 임신 중 우울증과 관련 있는 심리적 위험 요인간에는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산후 우울증은 임신 중에 측정한 심리적 변인들 중 임신 중 우울증에 의해서만 33%나 높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신 중 우울하였으나 산후 우울하지 않은 집단의 회복 요인으로 자존감의 상승, 배우자의 지지와 결혼 만족도의 호전과 관련되었다. 산후 우울증은 임신 우울증에 비해 두 배나 높은 비율을 보이며 우울증 정도에서도 심각성이 높았다. 결론 : 산후 우울증은 배우자의 지지 부족과 관련되며 또 배우자의 지지는 임신 중 우울증으로부터 회복하는 데에도 중요한 변인임이 밝혀졌다. 또한 불안정 애착이 우울증에 취약하기는 하지만 불안정 애착을 가지는 사람들도 부부 관계의 질이 좋아지면 우울증으로부터 회복될 수 있으며, 불안정 애착이 아니더라도 배우자의 지지가 떨어지면 우울증에 취약해 질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Objective : To discover the risk factor of postpartum depression and whether this is different from the induced factor of prepartum depression and to clarify what is the recovery factor from prepartum depression. Methods : In the first test stage, 310 pregnant women were examined and with their postpartum follow-up survey, materials from 85 people in total were retrieved. In order to predict the postpartum depression and find out the recovery factor from prepartum depression, longitudinal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MANOVA were used. Results : Postpartum depression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score of 16 or greater) was prevalent amongst 22.4% of pregnant women and prepartum depression was experienced by 10.5% in pregnant women. There were no significant on psychological variable factor of prepartum and postpartum depression. Only preatum depression redicted 33% for postaprtum depression. In the case of depressed during pregnancy but not depressed after pregnancy, recovery factor is related to increase in self-esteem, husband support and improvement in marital satisfaction. Postpartum depression showed twice higher depression ration than prepartum depression and it was serious in terms of degree of depression. Conclusion : Postpartum depression is related with lack of husband support that is recovery factor from prepartum depression. Also, unstable attachment is vulnerable to depression but even people with unstable attachment can be recovered from depression with better marriage relationship. Even people without unstable attachment if husband support is reduced then it is suggested that can be subject to vulnerability in dep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