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위 경골 골간단부 골절의 치료에서 최소 침습적 금속판 내고정과 교합성 골수정 내고정의 비교

        이광철 ( Gwang Chul Lee ),이준영 ( Jun Young Lee ),하상호 ( Sang Ho Ha ),손홍문 ( Hong Moon Sohn ),박이규 ( Yi Kyu Park ) 대한골절학회 2012 대한골절학회지 Vol.25 No.1

        목적: 원위 경골 골간단부 골절에서 관절 주위 금속판을 이용한 최소 침습 금속판 골유합술과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을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술 후 결과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2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원위 경골 골간단부 골절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6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최소 침습금속판 골유합술을 시행한 환자 30예를 A군,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을 시행한 환자 31예를 B군으로 나누었다. 결과: A군과 B군의 골유합 시기는 평균 16.4주와 17.2주, 수술시간은 평균 45분과 48분, 방사선 피폭 시간은 4.2분과 7.5분이었다. VAS점수는 평균 0.7점과 0.5점이었고 A군에서 금속판 주변의 피부를 압박하였을 때의 통증 정도는 VAS 점수상 1.7점이었다. Olerud and Molander Ankle Score는 평균 87.4점과 86.3점이었다. 술 후 합병증은 A군에서 표재성 창상 감염 1예가, B군에서 표재성 창상감염 1예와, 5도 이상의 각 변형이 2예에서 발생하였다. 결론: 원위 경골 골간단부 골절의 수술적 치료에서 관절 주위 금속판을 이용한 최소 침습 금속판 골유합술과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에서 골유합 시기 및 임상적 기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술 후 합병증으로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이 술 후 각 변형의 발생율이 더 높아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Purpose: To compare results between minimally invasive plate osteosynthesis using a periarticular plate and intramedullary nailing in distal tibial metaphyseal fractures in two treatment groups. Materials and Methods: Sixty-one cases of distal tibial metaphyseal fractures from December 2008 to December 2009 were evaluated. The minimal follow-up period was 12 months. Thirty patients treated by minimally invasive plate osteosynthesis using a periarticular plate were Group A; 31 patients treated by intramedullary nailing were Group B.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each group by radiological and clinical assessments. Results: The mean bony union time was 16.4 weeks in Group A and 17.2 weeks in Group B. The mean operation time was 45 minutes in Group A and 48 minutes in Group B. The mean radiation exposure times were 4.2 minutes and 4.8 minutes, respectively. VAS scores were 0.7 points and 0.5 points in each respective group. In Group A, the VAS score was 1.7 points when we applied pressure on the skin around the plate. The mean Olerud and Molander Ankle Score was 87.4 points and 86.3 points, respectively. A superficial wound infection occurred in 1 case in each group, and angular deformities more than 5 degrees occurred in 2 Group B cases. Conclusion: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ult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a higher incidence of angular deformity was seen in the intramedullary nailing group. Therefore, we must be careful during surgery.

      • KCI등재

        후외방 도달법에 의한 족관절 삼과골절의 수술적 치료 후 최소 2년 추시 결과

        이광철 ( Gwang Chul Lee ),이준영 ( Jun Young Lee ),하상호 ( Sang Ho Ha ),유재원 ( Jae Won You ),이상홍 ( Sang Hong Lee ),손홍문 ( Hong Moon Sohn ),남기영 ( Ki Young Nam ),서광효 ( Kwang Hyo Seo ) 대한골절학회 2011 대한골절학회지 Vol.24 No.4

        목적: 족관절 삼과 골절에서 후과 골절편의 크기가 관절면의 25%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에 대하여 후외방 도달법에 의한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술로 치료하여 2년 이상 장기 추시 후 그 결과를 분석하고, 그 치료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5월부터 2008년 4월까지 족관절 삼과 골절로서 본원에서 수술한 34명 중 후외방 도달법을 이용하고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0예를 대상으로 하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34개월 (24~58)이었다. 모든 예에서 술전 후과 골절편이 관절면의 25% 이상을 침범하였고, 11예에서 2 mm 이상의 전위를 보였다. 후외측 도달법을 이용하여 후과 골절편과 외과를 고정한 후, 방사선학적 양상에 대하여 분석하였고, AOFAS 점수를 통하여 기능 및 통증에 대한 평가를 하였으며, 합병증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모든 환자에서 골유합을 얻었으며, 골유합까지의 기간은 평균 13.1주였다. 합병증으로 피부조직의 구축으로 인한 관절 운동제한 2예 (10%), 외상 후 관절염이 1예 (5%)에서 관찰되었고, 17예 (85%)에서 AOFAS 점수상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족관절 삼과 골절의 수술적 치료에 있어서 후외방 도달법을 이용한 방법은 족관절 외과 골절의 정복 및 고정 시 후과 골절편에 대하여 동시에 정복 및 고정이 가능하고, 장기 추시상에서도 좋은 결과를 보여 매우 유용한 접근법 중의 하나로 생각한다. Purpose: To analyze the long term follow up results of treatment with posterolateral approach and to investigate its usefulness in the patients of trimalleolar fracture with posterior fragment which is above 25% of articular involvement. Materials and Methods: There were 34 cases of trimalleolar fracture in our hospital from May 2004 to April 2008. We investigated 20 patients who underwent operation with the posterolateral approach and over-2 years follow up cases.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34 (24~58) months. Preoperative posterior malleolar fragment involved above 25% of articular surface in all cases and displaced more than 2 mm in 11 cases. We analyzed the radiologic type of posterior malleolar fragments and evaluated the function and pain through AOFAS score and complications. Results: All cases showed primary union at mean 13.1 weeks. The complications are that partial ankylosis result of soft tissue contracture is seen in 2 cases (10%) and post-traumatic arthritis is seen in 1 cases (5%) and 17 cases (85%) of all patients are showed excellent AOFAS score. Conclusion: The posterolateral approach is a valuable method because that it enables us to easily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the posterior malleolus and lateral malleolus at one time and the results are satisfied for a long time follow up.

      • KCI등재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Tranexamic Acid의 관절 내 도포 및 정맥 투여 방법에 따른 실혈량에 대한 비교

        이광철(Gwang Chul Lee),김동휘(Dong Hwi Kim),이정우(Jung Woo Lee),강신욱(Sin Wook Kang),조성원(Sung Won Cho)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2

        목적: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후 실혈을 줄이기 위해 tranexamic acid (TXA)를 정맥 주사하는 것과 배액관을 통한 관절 내 투여 방법에 따른 실혈량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3년 10월부터 2016년 3월까지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은 환자 18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TXA의 투여 방법은 2015년 8월 이전에는 정맥 주사하였고, 그 이후에는 관절 내 봉합 후 관절 내로 배액관을 통해 도포하였다. 정맥 주사 편측군(intravenous unilateral, IVU), 양측군(intravenous bilateral, IVB), 관절강내 편측군(intraarticular unilateral, IAU), 양측군(intraarticular bilateral, IAB) 각각 4군으로 나눠 혈색소 및 적혈구 용적률 수치, 배액량, 수혈 빈도, 평균 수혈량 및 실혈량과 합병증 발생 여부를 비교하였다. 결과: 배액량은 IVU에서 558.08±296.29 ml, IAU에서 498.39±199.70 ml로 IAU에서 적었으나 유의하지는 않았고, IVB에서 1,110.39±396.23 ml, IAB에서 827.14±282.47 ml로 IAB에서 유의하게 적었다. 수혈 빈도는 IVU에서 5/50명(10.0%), IAU에서 2/44명(4.5%)으로 IAU가 적었으나 유의하지는 않았고, IVB에서 16/54명(29.6%), IAB에서 1/35명(2.9%)으로 IAB에서 유의하게 적었다. 평균 수혈량은 IVU에서 44.80±144.71 ml, IAU에서 21.80±106.86 ml로 IAU가 적었으나 유의하지 않았고, IVB에서 177.80± 321.00 ml, IAB에서 18.30±108.18 ml로 IAB에서 유의하게 적었다. 실혈량은 IVU에서 1,318.70±724.20 ml, IAU에서 963.28±454.03 ml로, IAU에서 유의하게 감소했고, IVB에서 1,837.40±699.70 ml, IAB에서 1,337.60±382.20 ml로 IAB에서 유의하게 감소했다. 합병증으로 심부 정맥 혈전증이 IVU에서 1예 발생하였다. 결론: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시행 시 TXA의 관절 내 도포는 정맥 주사보다 실혈량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특히 양측 인공관절 치환술시 수혈 빈도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었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blood loss between two injection methods, intravenous (IV) and intra-articular (IA) methods via drain tube.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83 patients who underwent total knee arthroplasty between October 2013 and March 2016 were included. The method of tranexamic acid (TXA) administration was intravenously injected before August 2015, and it was applied thereafter to the joint through a drainage tube post intra-articular suture. Our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groups: The intravenous unilateral (IVU), intravenous bilateral (IVB), intra-articular unilateral (IAU), and intra-articular bilateral (IAB) groups. Hemoglobin and hematocrit, drainage amount, transfusion frequency, mean transfusion volume, and blood loss, as well as complications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s. Results: Drainage amount was 558.08±296.29 ml in IVU, and 498.39±199.70 ml in IAU; there was less drainage in IAU than in IVU, but without significance (p=0.262). Moreover, the drainage amount was 1,110.39±396.23 ml in IVB and 827.14±282.47 ml in IAB,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in IAB (p=0.000). Transfusion frequency was 5 patients (10.0%) in IVU and 2 patients (4.5%) in IAU, but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p=0.442). Moreover, the frequency was 16 patients (29.6%) in IVB and 1 patient (2.9%) in IAB,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IAB group (p=0.002). Mean transfusion volume was 44.80±144.71 ml in IVU and 21.80±106.86 ml in IAU, but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p=0.389); the volume was 177.80±321.00 ml in IVB and 18.30±108.18 ml in IAB,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01). Blood loss was 1,318.70±724.20 ml in IVU and 963.28±454.03 ml in IAU,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IAU (p=0.006); blood loss was 1,837.40±699.70 ml in IVB, and 1,337.60±382.20 ml in IAB and it was significantly lower in IAB (p=0.000). Complications included deep vein thrombosis in one case in IVU. Conclusion: In TKA, IA injection of TXA significantly reduced blood loss compared with IV injection, especially in bilateral TKA.

      • SLAP 병변의 진단 및 치료

        문영래,이광철,Moon, Young-Lae,Lee, Gwang-Chul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10 No.1

        어떠한 술전 검사도 SLAP 병변을 확일 할 수 없으며, 관절경 검사 만이 진단적 가치가 있다. 저자들은 환자의 증상, 평가 및 치료 방식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No imaging test accurately defined the superior labral pathology preoperatively. Diagnostic ability is enhanced by the ultimate diagnostic test, arthroscopy. We review the presenta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modalities of superior labrum anterior and posterior lesions.

      • 전방십자인대 파열에 동반된 반월상 연골판 손상의 관절경 수술 소견과 수술 전 자기공명영상 검사와의 비교

        손홍문,이광철,김동휘,박상수,Sohn, Hong Moon,Lee, Gwang Chul,Kim, Dong Hwi,Park, Sang Soo 대한관절경학회 2012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6 No.2

        목적: 전방십자인대 파열과 동반되는 반월상 연골판 손상에 대해 수술 전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검사 소견과 수술 후 관절경 소견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2월부터 2010년 11월까지 전방십자인대 파열로 본원에서 관절경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받은 22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관절경 소견상 반월상 연골판 파열은 154예였다. 반월상 연골판 파열은 수술 전 자기공명영상 검사 판독 결과와 관절경 소견을 비교하여 위치 및 모양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이에 따른 자기공명영상 검사의 민감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수술 전 자기공명영상 검사상 전방십자인대와 동반된 내측 반월상 연골판 손상 진단의 민감도는 0.88이었고, 전방십자인대와 동반된 외측 반월상 연골판 손상 진단의 민감도는 0.69였다. 또한 전방십자인대 파열과 동반된 외측 반월상 연골판 손상에서는 후각 및 변연부 파열 시 자기공명영상 검사의 민감도가 가장 낮았으며 내측 반월상 연골판 손상에서는 전각 및 판상 파열 시 민감도가 낮았다. 결론: 전방십자인대 파열 시 동반된 반월상 연골판 손상에서 수술 전 자기공명영상 검사상 진단하기 어려운 외측 반월상 연골판 후각 및 변연부 파열에 대해서는 관절경 수술 시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겠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reoperative magnetic resonance image (MRI) findings with postoperative arthroscopic findings on meniscus injury with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rupture.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MRI images and arthroscopic findings of 225 patients treated by ACL reconstruction due to rupture, from February 2001 to November 2010. There were 154 cases of meniscus tear in arthroscopic findings. We examined the sensitivity for detecting meniscal tears varied with the presence of a rupture of the ACL, with the location of the tear within the meniscus, and among configurations of meniscal tears. Results: In the presence of a rupture of the ACL, the sensitivity of MRI was 0.88 for medial meniscal tears and 0.69 for lateral meniscal tears. And sensitivity of MRI was lowest in posterior horn and peripheral portion tears in lateral meniscus injury accompanying ACL rupture, sensitivity was low in anterior horn and flap shape tears in medial meniscus injury accompanying ACL rupture. Conclusion: In Meniscus injury with ACL rupture, a special attention shoulder given to the posterior horn and peripheral portion injury in lateral meniscus during arthroscopic surgery due to difficulty in detecting on MRI.

      • KCI등재

        경골 고평부 골절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관절강 내 정복술 및 내고정술

        김동휘 ( Dong Hwi Kim ),이광철 ( Gwang Chul Lee ),최귀연 ( Kwi Youn Choi ),조성원 ( Sung Won Cho ),하상호 ( Sang Ho Ha ) 대한골절학회 2013 대한골절학회지 Vol.26 No.3

        목 적: 경골 고평부 골절 시 관절경하 골절부를 조작하여 별도의 피질골 창을 내지 않고 골이식술 없이 내고정술 후과를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3월부터 2009년 3월까지 3차원 컴퓨터 단층 촬영(computed tomography, CT)상 관절면의 함몰 및 전위가 5 mm 이상인 경골 고평부 골절에 대해 관절경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을 시행한 1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경골 피질 에 별도의 창을 내지 않고 골막거상기를 이용하여 감입되어 있는 골편을 정복하거나 제거하여 관절면 정복을 얻은 후 유관 나사를 용하여 내고정을 시행하였고, 전예에서 골 이식은 하지 않았다. 임상적, 방사선학적인 결과 평가로 Rasmussen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 과: 유합 기간은 평균 9주(7-12주)였으며 Rasmussen 기준에 따라 임상적 결과로 우수 8예, 양호 3예, 보통 1예였고 방사선학적 결과로 우수 7예, 양호 5예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결 론: 경골 고평부 골절에서 정복을 방해하는 골편을 별도의 창을 내지 않고 관절경을 이용하여 제거 또는 관절강 서 정복하는 술기는 추가적인 골이식 없이 임상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한다. Purpose: We evaluated the results of arthroscopic intra-articular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tibial plateau fractures without cortical window along with any additional bone grafts.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2006 to March 2009, twelve patients with arthroscopic intra-articular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tibial plateau fractures over 5 mm in depression and displacement on the articular surface in computed tomography (CT) were enrolled in this study. We reduced or removed the depressed fracture fragment using freer without making a cortical window. Then, we accomplished internal fixation by a cannulated screw. All cases have not received bone graft. Both the postoperativ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were evaluated by the Rasmussen system. Results: The fractures were healed completely in an average of 9 (range from 7 to 12) weeks. According to Rasmussen classification, we obtained satisfactory clinical results as excellent in 8 cases, good in 3 cases, and fair in 1 case; and radiological results were excellent in 7 cases and good in 5 cases. Conclusion: We consider that arthroscopic intra-articular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tibial plateau fractures without cortical window and any additional bone grafts is are a useful methods for attaining satisfactory results.

      • KCI등재

        대전자부 삽입점을 이용한 대퇴 간부 골절의 골수강 내 금속정 삽입 시 발생한 의인성 근위 대퇴부 골절

        손홍문(Hong Moon Sohn),이광철(Gwang Chul Lee),임채원(Chae Won L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9 No.4

        목적: 대퇴 간부 골절에서 대전자부 삽입점을 통한 골수강 내 금속정 삽입 시 발생한 의인성 근위 대퇴부 골절의 원인을 분석하고 예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월 1일에서 2011년 1월 31일까지 대퇴 간부 골절에 대해 대전자부 삽입 골수강 내 금속정(Sirus nail; Zimmer)을 이용하여 치료한 160예 중 술 중 근위 대퇴부 골절이 발생한 18예(제1군)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골절이 발생하지 않은 18 예를 대조군(제2군)으로 설정하여 골절의 양상 및 삽입점의 위치, 사용한 금속정의 크기 등을 비교, 분석하고 합병증에 대해 조사하 였다. 결과: 원발성 골절의 분포는 근위 간부 골절 8예, 중간부 골절 9예, 원위 간부 골절 1예였다. 의인성 골절은 내측부 골절이 9예로 가 장 많았으며 외측부 골절 5예, 전방부 골절 4예였다. 삽입부는 제1군에서 전후면 방사선 검사상 외측으로 평균 1.82 mm에, 측면 방 사선 검사상 전방으로 평균 5 mm에 위치하였고 전방으로 치우친 경우 통계적으로 의의가 있었다. 결론: 삽입부가 외측, 전방에 위치할 때 골절 빈도가 높아지고, 의인성 골절을 방지하기 위해서 술 전 방사선 검사를 통해 대퇴골의 해부적 굴곡양상을 정확히 측정하여 삽입점을 선정하는 것이 의인성 골절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Purpose: We attempted to determine the cause of iatrogenic fractures and to prevent their occurrence during nailing using lateral entry portal on femur shaft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of 160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with nailing using a lateral entry portal for femur shaft fractures. We compared 18 patients (group 1) with iatrogenic fractures on the femur proximal portion with 18 patients (group 2) who had no fracture, and then surveyed and analyzed the characters of the fracture, position of the portal, nail size, and complications. Results: In distribution of primary femur shaft fractures, there were eight cases of proximal portion, nine cases of mid-portion, and one case of distal portion. In that of iatrogenic fractures, there were nine cases of medial fractures, five cases of lateral fractures, four cases of anterior fractures. In the entry portal of group 1, mean 1.82 mm leaned to the lateral side in antero-posteriorview, mean 5 mm leaned to the anterior side in lateral view. Anterior leaning of the entry porta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iatrogenic fracture. Conclusion: The more the entry portal leaned to the lateral and anterior side, the greater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iatrogenic fractures. To prevent iatrognic fracture, through preoperative X-ray, we must have a precise understanding and measure anatomical bowing and variance of the femur, and must pay attention to operative procedures during the operation.

      • KCI등재

        일시적 K-강선 및 재건상 골수정을 이용한 동측 대퇴골 경부 및 간부 동시골절의 치료

        이상준 ( Sang Joon Lee ),이상홍 ( Sang Hong Lee ),하상호 ( Sang Ho Ha ),이광철 ( Gwang Chul Lee ) 대한골절학회 2015 대한골절학회지 Vol.28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sults of operative treatment using a reconstruction nail after temporary K-wire fixation of the femoral neck for ipsilateral femoral neck and shaft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1 cases were treated, which were followed-up for more than two years, between August 2007 and July 2012. The average age was 51 years (29-69 years) and men were dominant counting eight cases. All cases were operated with a reconstruction nail after temporary K-wire fixation of the femoral neck. Bone union periods, alignment, etc. were evaluated by radiological methods and accompanying damage and complications were also investigated. Functional evaluation wa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Friedman and Wyman criteria at the last follow-up. Results: The average time for union of the femoral shaft was 22.5 weeks (12-32 weeks), and femoral neck was 13.1 weeks (8-20 weeks). There was no nonunion, and four femoral shaft fractures resulted in delayed union. There was one case of leg length discrepancy more than 2 cm long, but malalignment of more than 10 degrees was not observed. Avascular necrosis of the femoral head did not occur. Functional results were good in eight cases, fair in two cases, and poor in Conclusion: Treatment with reconstruction nailing after temporary K-wire fixation of the femoral neck is thought to be a good method which prevents neck displacement and has low complication rates.

      • KCI등재

        축구화의 스터드 형태와 제5 중족골 근위부 스트레스 골절과의 연관성

        이준영 ( Jun Young Lee ),이광철 ( Gwang Chul Lee ),이영관 ( Young Kwan Lee ),박이규 ( Yi Kyu Park ),박상수 ( Sang Soo Park ),송준섭 ( Jun Seob Song ) 대한스포츠의학회 2012 대한스포츠의학회지 Vol.30 No.1

        This research sets out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 morphology of soccer shoes and 5th metatarsal proximal stress fractures on soccer players by comparison and analysis. After the pre-survey of 132 soccer players in Gwangju, 107 players who seem to have a 5th metatarsal fracture were selected. We investigated the shape of the studs and asked whether they had ever had a 5th metatarsal proximal stress fracture. We also asked them some questions on factors, which cause stress fracture, such as what position they play, how long they have been playing soccer as athletes and average playing time. And we analyzed correlation between these several factors and whether they had ever had stress fracture using chi-square (x2)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 concluded that soccer players who wore bar type studs shoes had a much greater possibility of stress fracture than soccer players who wore the round type. Also we learned that soccer players who play mid-fielder have a much greater possibility of stress fracture than soccer players who play other positions. And the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relevance between soccer shoes stud morphology and stress fracture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odd ratio, 6.840.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morphology of the soccer shoes stud has relevance to the occurrence of stress fracture. Therefor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soccer shoes with the round shape are more helpful in preventing 5th metatarsal proximal stress fracture than soccer shoes with the bar shape.

      • KCI등재

        항회전 근위 대퇴 골수정을 이용한 대퇴골 전자하 골절의 치료

        박치형 ( Chi Hyoung Pak ),이상홍 ( Sang Hong Lee ),하상호 ( Sang Ho Ha ),이광철 ( Gwang Chul Lee ),송경철 ( Kyoung Chul Song ) 대한골절학회 2013 대한골절학회지 Vol.26 No.4

        목적: 대퇴 전자하 골절에 대해 항회전 근위 대퇴 골수정을 이용하여 치료한 결과를 분석하여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최소 12개월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25예를 대상으로 하였고, 남자가 17명, 여자가 8명으로 평균 연령은 53.4세였다. Seinsheimer 분류상 IIA형 2예, IIB형 9예, IIIA형 2예, IV형 3예, V형 9예였다. 폐쇄적 도수 정복은 16예, 최소 절개를 시행한 경우는 9예였으며 Cleveland index, tip apex distance (TAD), 대퇴 경간각 변화, 골유합 시기 및 골수정 활강 정도 그리고 합병증 등을 평가하였다. 결과: 23예에서 골유합을 얻었으며 골유합 기간은 약 17주였다. Blade의 골두 내 위치는 Cleveland index상 5, 6, 8, 9영역이 80%였고, TAD는 평균 19.6 mm였으며 골수정 활강은 평균 4.4 mm, 대퇴 경간각 변화는 3도였다. 합병증으로 지연유합 3예, 불유합 2예 발생했다. 결론: 비교적 빠른 골유합 기간과 조기 보행 및 재활, 합병증의 감소를 보여 유용한 치료로 생각되며 폐쇄적 정복으로 해부학적 정복이 어려운 경우 최소 절개법을 이용한 정복 및 부가적 고정이 더 유용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ults of treating subtrochanteric femoral fractures with proximal femoral nail antirotation (PFNA).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five consecutive patients diagnosed with subtrochanteric femoral fractures underwent intramedullary fixation using PFNA and followed-up for over 12 months. According to the Seinsheimer`s classification, there were 2 type IIA, 9 type IIB, 2 type IIIA, 3 type IV and 9 type V. According to the AO classification, there were 10 type A, 9 type B and 6 type C. There were 16 cases of closed reduction group and 9 cases of limited open reduction group. Retrospectively, radiological outcomes were assessed at the union period, change of neck shaft angle, tip-apex distance, Cleveland index, sliding of lag screw and complication. Results: Union was achieved in 23 of 25 cases, over an average of 17 weeks. Limb length shortening below 2 cm occurred in 7 patients. The Cleveland index was shown in 80% of 5, 6, 8 and 9 zone; the tip apex distance was 19.6 mm; the mean sliding distance was 4.4 mm; and the mean change of femur neck and shaft angle was varus 3 degree at the final follow-up. Complications included 3 cases of delayed union and 2 cases of nonunion. Conclusion: With its early bony union, ambulation, rehabilitation and low complication, PFNA is a useful and reliable choice for the treatment of subtrochanteric fractures of the femur. Limited open reduction and additional fixation such as cable grip are recommended if it is difficult to obtain anatomical reduction by closed red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