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공적인 한국 기업집단의 경영체제 특성과 미래 방향 모색

        이경묵(Kyungmook Lee),홍길표(Kil-Pyo Hong) 한국인사조직학회 2014 인사조직연구 Vol.22 No.1

        본 논문에서는 세계적인 경쟁력을 가진 한국 기업집단의 경영체제를 분석함으로써, 경영체제상의 한국 기업의 성공요인을 찾아내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기업의 경영체제가 지향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기업의 경영체제 특성을 연구하기 위한 핵심주제와 그 현상특성에 대해 개관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사례연구의 분석관점을 구성했다. 사례연구는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한국 기업집단인 삼성그룹, 현대기아차그룹, 포스코그룹을 대상으로 수행했다.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한국의 대표적 기업집단이 세계적인 기업집단으로 도약하는데 기여한 경영체제상의 세 가지 특성을 도출하였다. 첫째, 세계적인 기업을 만들겠다는 원대한 비전과 강렬한 의지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동시에 주력사업의 핵심성공요소를 잘 이해한 뛰어난 그룹 최고결정권자가 존재했다는 점, 둘째, 이들이 장기간 기업을 이끌면서 막강한 권한을 행사할 수 있도록 지배기반을 제공한 계열사간 복합적인 소유구조와 계열사간 관계를 유지할 수 있었다는 점, 셋째, 그룹 최고결정권자의 리더십 및 소유구조 특성에 적합한 그룹경영시스템을 구축하여 그룹 임직원들의 역량을 결집해 나갔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사례가 다른 한국기업에 던지는 시사점으로 본 연구에서는 주력사업의 핵심성공요소를 잘 이해하면서도 세계 일류기업을 만들겠다는 강한 의지를 가진 최고결정권자의 육성과 검증,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비전경영, 조직의 각 부문과 임직원들이 그룹 최고결정권자의 강한 의지에 맞게 행동하도록 하는 그룹경영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success factors in the governance systems of Korean corporate groups and suggests the future directions of the governance systems of Korean firms by analyzing three successful Korean corporate groups: Samsung, Hyundai-Kia Motors, and POSCO. In order to analyze their governance structures, we developed a two-by-two matrix framework to identify their key governance system characteristics. In one dimension, we distinguish non-Chaebol corporate groups from Chaebol type. In the other dimension, we identify vertically-integrated corporate groups with a single core business from diversified corporate groups with multiple core businesses. Samsung group is a Chaebol type corporate group with multiple core businesses, while Hyundai-Kia Motors group is a Chaebol type corporate group with a single core business. POSCO group is a non-Chaebol corporate group with a single core business. Then, we describe the governance systems of each corporate group in detail. We collected data mainly by interviewing multiple executives of those groups. Samsung group is the largest and most successful Korean corporate group so far. It has grown very fast and has become a world-class corporate group under the leadership of group Chairman Kun-Hee Lee. Key characteristics of Samsung’s governance system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ole of Chairman Lee has been critical in Samsung’s success in the global market. He had a very strong will to transform Samsung into a world-class corporate group, provided an audacious vision to organizational members of the Samsung group, and suggested basic direction to transform the group by using his business insight. He directed the group with a long-term vision and deep understanding of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of Samsung’s major businesses. Chairman Lee’s vision has been implemented by a very powerful group headquarters and by professional managers. The group headquarters coordinates and integrates decisions of affiliate companies to pursue group level optimization. The headquarters exerts a strong influence on nominating directors and executives of affiliate companies, and is involved in major investment decisions of the affiliates. Executives of affiliate companies are nominated on the basis of their own performance as well as of the performance of the organizational unit they work for. Monetary compensa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is very tightly linked with business performance and thus the incentives of stockholders, executives, and the rank-and-file are tightly aligned. This tight incentive alignment helps Samsung concentrate efforts of its employees to achieve the vision of Chairman Lee. The Hyundai-Kia Motors group has emerged as a major player in world automobile industry under the leadership of Chairman Mong-Ku Chung. Similar to Samsung’s Chairman Lee, Chairman Chung had a very strong will to build up a world-class automobile corporate group, provided an audacious vision, and dictated the quality improvement as the most important success factor in the automobile industry. While Chairman Lee delegates most of his decisions to professional managers in Samsung, Chairman Chung remains involved in major decisions of his affiliate companies. Chairman Chung has practiced “management by wandering around.” He has frequently visited major places of his concern and checks whether his vision is being properly implemented. Group headquarters does not play a major role in group-level governance in this group but provide decision support services to Chairman Chung and the CEOs of affiliate companies. While a very large portion of executives in affiliate companies of Samsung group are trained in managerial functions such as finance, accounting, human resources management, and auditing, the majority of executives in the Hyundai-Kia Motors group are trained in assembly, quality control, sales and marketing, and R&D.

      • KCI등재

        주민참여와 역량강화의 역설을 망각하기: 자카르타 북부 빈민촌의 ‘실패한’ 프로젝트는 어떻게 ‘모범’ 사례가 되는가?

        이경묵(Lee, Kyungmook)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9 비교문화연구 Vol.25 No.1

        현재 진행 중인 국가나 NGO들의 반-빈곤 사업에서 참여와 역량강화는 이상이자 원칙이다. 본 논문은 주민참여와 역량강화가 본성상 역설적 성격을 지닌다는 점을 출발점으로 삼고 자카르타 북부의 빈민촌의 사례를 통해 어떻게 그 역설이 망각되는지를 추적하였다. 참여와 역량강화의 역설이란, 참여는 동원의 반대말로 간주되지만 실상 ‘어떤’ 동원이 아닌 것임과 동시에 ‘또 다른 형태의’ 동원이며, 역량강화를 위한 정책의 대상인 한, 빈민은 항상 역량을 결여한 상태로 간주된다는 점을 가리킨다. 깨끗한 물 부족과 매년 반복되는 홍수에 시달리고 있고 빈곤퇴치를 위한 정책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왔던 자카르타 북부의 빈민촌 P마을은 상수도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늘리고 홍수를 근절시킨다는 기준에서 볼 때는 성공사례가 될 수 없지만 주민참여와 역량강화라는 기준에서 볼 때는 성공사례가 되었다. 본문에서 분석한 쓰레기 은행 사례와 주민 지킴이의 존재는 주민참여와 역량강화가 품고 있는 역설을 제거하지는 못하나 망각하도록 한다. 쓰레기 은행은 직접적인 결과와 앞으로 기대되는 효과 사이의 간극을 지우는 미래완료형의 논리를 보여준다. 또한 이전에 외부의 전문가들이 맡았던 역할을 떠맡은 지킴이 주민의 존재는 외부 전문가 vs. 빈민 사이의 구분이 〈코디네이터 ≒ 지킴이〉로 이동하여 보이지 않게 되었음을 뜻한다. 주민참여와 역랑강화가 목표이면서 동시에 실행원칙이 되었다는 사실은 그것이 자기충족적인 기준이 되었음을 의미하며, 이로 인해 프로젝트의 당장의 결과와 기대효과 사이의 간극이 있다는 점 그리고 참여/동원, 내부/외부라는 구분선이 여전히 남아 있다는 점이 망각된다. 국가/NGO의 상부조직-마을에서 활동하는 NGO 활동가(코디네이터)-지킴이 주민-일반 주민 사이에서 대표와 재현의 정당성이 크게 위협받지 않고 유지되고 있는 한, P마을은 주민자치와 역량강화의 모범사례로 남을 것이다. Local participation and empowerment have become crucial goals in anti-poverty projects and these values also work as guiding principles in individual projects. In this article, I examine how these ideals and principles operate and perform in various water management programs in a local community of Northern Jakarta. I explore what I call the irony of participation and empowerment, which include the following two characteristics. First, both concepts of participation and mobilization assume the distinction between those who plan and make designs and those who only have to follow them. Secondly, the target group of empowerment is always delineated and defined as a group of people who lack something important, such as independent agency. The community water management projects in Village P in North Jakarta have aimed to connect the poor to the urban water distribution network in the recent decades, but have invariably resulted in failures. The village, however, has become a good example in terms of local participation and empowerment. Through the analysis of project cases such as the “waste bank” and “village guarders,” I highlight the change of meaning of the ideals of residents" participation and empowerment. In this process, what I call “a form of future perfect tense” in local discourses conceals that immediate results of the project cannot solve the water problem, especially seasonal floods. On the other hand, the “guarders” in the local community participate in activities which had been designed and directed by experts and intellectuals from the outside of “the poor” community. In this context, the existence of the “guarders” themselves becomes a token of participatory development and local empowerment, although their positions and roles are still based on the distinction between residents who participate and those who do not.

      • KCI등재

        통일과 삶의 관계 그리고 통일-하위문화

        이경묵(Lee, Kyungmook)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2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41 No.1

        현재 통일담론의 당위성이 약화됨으로써 삶에 밀착한 통일 담론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통일과 삶의 사이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양자의 ‘연결방식’이 변형되고 증식하는 양상을 검토하기 위해 통일-하위문화 개념을 제안하였다. 하위문화란 한 사회에서 권위적·정통적·전통적인 위상을 지닌 문화에 대해, 그 사회의 일부 집단에 한정된 위상과 의미를 지니는 부분-문화이다. 통일-하위문화는 통일(담론) 전체를 대표하지는 않지만 여전히 주류 문화와의 관계에서 하위(sub)에 놓여 있기에 일반적인 통일(담론)과 동떨어져 존재하는 것도 아니다. 이 글에서 검토할 통일-하위문화영역의 예는 북한이탈 주민, 남북한 접촉지대, 이북5도청이다. 각각의 예에서 공식적인 통일 담론과 정책에 큰 영향을 받지만 그것을 전용하여 또 다른 의미가 생산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미 존재하고 작동 중인 통일-하위문화는 정치체제 중심에 놓는 통일담론과 삶 중심 혹은 생활담론을 포함한 통일 담론을 그 내부에서 종합한다. 각각의 통일-하위문화는 통일에 대한 전제, 정의, 실현방안 등을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정의하며 이에 기대어 또 다른 통일담론을 만들어낼 수 있다. As the justification of the discourse of unification is weakened, the need for a discourse of unification close to life is being raised. This article proposes the concept of unification-subculture in order to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fication and life. Unfication-subcultures do not represent the whole unification discourse as subculture has a limited status and meaning to some groups in that society. Using the concept of sub-culture I review three examples of unification-subculture: North Korean defectors, contact zones of two Koreas, and the five northern korea province. In each example, it is greatly influenced by formal unification discourse and policy, aach unification-subculture defines and realizes a scheme for unification in different ways, and provides clues to create another discourse on unification.

      • KCI등재

        물건의 힘과 작동-망(work-net)의 상상력

        이경묵(Lee, Kyung Mook)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6 비교문화연구 Vol.22 No.1

        본 논문에서 작동-망은 행위소의 매개와 번역에 의해 구축되는 행위-연쇄를 의미하며, 행위소는 비인간 행위자를 의인화와 수동적이라는 성격규정을 통해 평가절하는 방식에 대해 반대하여 인간이든 비인간이든 영향력을 지니며 번역/매개하는 모든 것을 칭한다. 물건의 힘을 다루어왔던 주요한 입장들: 물신주의에 대한 비판, 사물의 사회적 삶, 양도불가능성, 연루, 매개와 번역 등을 정리함으로써 이 글은 첫째 행위자-연망 이론이 등장하기 훨씬 이전부터 모스, 아파두라이, 겔, 문 등의 인류학자들에 의해 비인간 행위자의 역할과 위상에 대한 연구가 진척되었으며, 둘째, 인간 비인간 행위자의 행위자성을 작동-망 속의 행위소라는 틀 속에서 이해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물건의 힘은 인간 행위자의 의도적 행위의 결과도, 물건 자체의 의지의 결과도 아니며 인간/비인간 행위자의 능동적/수동적 속성이 뒤섞여 구축되는 작동-망의 결과이다. 행위소의 매개와 변역에 주목하는 작동-망의 상상력이라는 도구를 통해 인간과 사물 사이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연결의 출현 즉 사회의 재구축을 추적할 수 있을 것이다. The distinction between things and human actor is based on a moral judgment on things that they do not truly influence or transform human or other things as human being do. Things, however, possess their own forces, which are not only independent of human beings but also influence on human beings" practice. In this paper, I utilize the notion of actant and work-net in order to bring the force of things into social analysis of ‘relatedness" of human/non-human actors. The notion of actant covers a person,creature, or object playing any of a set of active roles in a given work-net which are composed of heterogeneous assemblages of diverse objects acting and reacting to one another. In conclusion, I suggest the force of things stems not form human beings who use or engage with the things but from the work-net, an assemblage of mediation/trantstlation consists of the various actants.

      • 가상 공동체와 사회적 자본

        이경묵(Lee Kyungmook),유수영(Rvu Su-Young),백윤정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03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 No.-

        본 연구는 가상 공동체 활동의 특성 변인이 공동체 참여자의 사회 연결망 확대와 사회적 자본의 획득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의 대표적인 포탈 사이트인 다음(daum) 과 프리챌(freechal) 에서 가상 공동체의 일원으로 활동중인 직장인들 94명으로부터 얻은 설문조사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참여하는 가상 공동체의 수와 다양성, 몰입정도, 물리적 공간에서의 추가적인 접촉이 가상 공동체 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네트워크 효과, 즉 사회적 연결망의 확대와 사회적 자본의 획득-필요한 정보의 획득 및 업무에 도움을 얻을 수 있는 제 3 자를 소개받은 경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virtual community participation of individuals on the expansion of their social networks and social capital. For this goal. 94 data were gathered and analyzed from people who participate in virtual communities based on the daum.net and the freechal.com. The main results show the number of participating virtual communities, the diversity of the virtual communities, the degree of commitment of virtual communities and the participation at the real world meetings are important components to enlarge and obtain one’s social networks and social capital.

      • KCI등재

        가상공동체와 사회적 자본

        이경묵(Lee, Kyungmook),류수영(Ryu, Su Young) 한국인사관리학회 2010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4 No.1

        본 연구는 가상공동체 활동이 공동체 참여자의 사회연결망의 확대와 사회적 자본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의 대표적인 포탈사이트인 다음(daum)과 프리챌(freechal)에서 일반직장인과 전문직 종사자들로 구성된 실무자 공동체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수집된 94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활동 중인 가상공동체의 다양성, 공동체에 대한 몰입정도, 물리적 공간에서의 추가적인 접촉이 사회연결망의 확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가상공동체에 대한 몰입정도와 가상공동체 활동을 통해 회득된 사회연결망의 확대가 사회적 자본의 효과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This study aims to test the effects of the virtual community activities on the expansion of social networks and getting job related assistance.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he participants of virtual communities of practices established in the daum.net and the freechal.com in December 2002. Data from 94 respondents were analyzed. Results show that (1) the diversity of virtual communities that respondent participated, (2) the degree of commitment on enrolled virtual communities, and (3) the frequencies of face to face interaction enlarge respondents' social networks. In addition, the degree of commitment and the enlargement of the social networks through virtual community activities help the respondents get job-related assistance.

      • KCI등재

        인사ㆍ조직연구의 발전과 미래 과제 - 인사ㆍ조직연구 게재논문과 한국인사ㆍ조직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이경묵(Kyungmook Lee) 한국인사조직학회 2008 인사조직연구 Vol.16 No.3

          본 논문은 1990년 창립된 한국인사?조직학회의 학술지인 인사ㆍ조직연구가 한국 인사조직 연구 분야의 발전에 공헌한 점을 평가하고, 앞으로 한국 인사조직 분야의 추가적인 발전을 위해 수행해야 할 미래 과제를 도출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인사?조직연구의 창간호부터 2007년 12월에 출간된 제15권 제4호까지 게재된 218편의 논문과 한국인사ㆍ조직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에 수록된 478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분석결과를 “한국인 사조직연구의 현황과 과제”라는 주제로 1993년 인사ㆍ조직연구 특집호에 게재된 4편의 논문에서 분석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비교결과를 바탕으로 앞의 4편의 논문에서 제시한 한국 인사조직 분야 연구의 문제점 해결에 인사ㆍ조직연구가 지금까지 어떤 공헌을 해 왔는지를 평가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인사ㆍ조직연구가 수행해야 할 미래 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at evaluating the contribution of the Korean Jounal of Management and providing future directions of the journal. The Korean Academy of Mangement were established in 1990 to encourage rigorous reseach in management area, which emcompass organizational behavior, human resource management, industrial relations, and strategic management. The academy began to publish its flagship journal-the Korean Journal of Management-in 1992. In 1993, the journal published four papers that investigated major trends in management research, identified major problems, and provid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is study compared three sets of papers : (1) papers analysed by the above mentioned four papars, (2) 218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and (3) 478 papers presented in the conferences of the Korean Academy of Management.<BR>  Articles in the journal and papers presented in the conferences are classified by several criteria. First, the fields of research are divided into 6 categories : micro organizational behavior, macro organizational theory, human resource management, industrial relations, strategic management, and research method. Second, I classify the major research topic of the articles in each fields of research. Third, conceptual papers are differentiated from empirical ones. Fourth, major research designs are separated into 5 categories : literature review, case research method, survey data method, experimental design, and others. Fifth, data and methods that were used by empirical papers are classified by several criteria : (1) cross?sectional data vs. longitudinal data, (2) data collection methods : survey questionnaire, interview/observation, experiment, secondary data source, and others, (3) level of analysis : individual, group or team, organization, population, and cross level analysis, and (4) sources of data from single organization, multiple organizations from the single industry, and multiple organizations from multiple industries. The fifth criteria are not applied to classify 478 papers presented in the conferences.<BR>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the journal has substantially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quality research papers in management fields. The journal has maintained its highest level of standards among Korean journals in management reseach field in screening papers. To be published, papers should have strong theoretical argument and/or rigorous research method. The journal contributes to enhance the quality of management research conducted by Korean management researchers. Second, the journal failed to encourage the development of creative new theories or the emergence of theories applicable to Korean situations. Though the four 1993 papers asked for these kinds of papers, there are few articles in the journal that can be classified as those kinds of papers. Third, the journal has only limited contribution in encouraging research on diverse topics. The research topics investigated by the articles in the journal have been diversified. However, it cannot be solely attributed to the journal since researchers could have naturally responded to the changes in hot research topics caused by major changes in business environment. Fourth, the journal has not contributed in encouraging research papers that utilize case research method, experiment, or longitudinal data. Since the journal has pursued methodological rigor, a very large portion of articles have used multivariate analysis with large survery data.<BR>  Based on the findings, possible new directions of the journal are discussed. First, the journal should deal with an issue about how to accommodate conceptual papers, papers investigating new research topics, and papers developing theories that can help Korean companies. If the journal sticks to the methodological rigor, it cannot accommodate those papers. One solution can be using special issue to publ

      • KCI등재

        정치적 및 상징적 효율성이 관리혁신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에 대한 조절요인에 대한 연구

        이경묵(Kyungmook Lee),박미혜(Mihye Park)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09 인사조직연구 Vol.17 No.2

        본 연구에서는 제도이론의 관점을 활용하여 관리혁신의 속성인 정치적 효율성과 상징적 효율성이 관리혁신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였다. 첫째, 정치적 효율성을 논의하면서 관리혁신의 확산을 추진하는 주체가 행사하는 영향력이 크 고 확산을 강제하는 정도가 강할수록, 그리고 혁신이 조직 내부 권력연합의 권력기반을 강화해줄수록 빠르게 확산될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하였다. 둘째, 상징적 효율성을 논의하면서 사회적 지위가 높은 조직에서 고안하여 활용한 혁신, 권위있는 전문기관에서 추천하는 혁신, 사회진보와 정의구현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인정되는 혁신, 기존 제도들과의 적합성이 높은 혁신, 재발명된 혁신이 빠르게 확산될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하였다. 셋째, 정치적 효율성과 상징적 효율성이 확산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요인들을 탐색하였다. 관리혁신이 정치적 효율성과 상징적 효율성이 높다고 해서 항상 빠르게 확산되지는 않는다. 다수의 조직과 조직내부의 권력 연합에게 큰 희생을 요구하는 혁신의 경우에는, 채택여부를 고민하는 의사결정자들이 혁신을 채택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정치적 정당성의 확보와 상징적 평판의 고양을 포기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혁신채택에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비용과 희생이 작을수록 정치적 및 상징적 효율성이 확산에 미치는 영향이 강해질 것이다. 이런 조절요인으로 본 연구에서는 채택 여부의 가시성, 혁신의 독자성, 상징적 채택의 용이성을 검토하였다. 또 다른 조절요인으로 혁신의 채택이 근본적인 조직변화를 요구하는지의 여부, 핵심부 인력의 변화를 요구하는지의 여부를 검토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도이론에 대한 잠재적 공헌, 연구의 한계, 그리고 미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proposes empirically testable hypotheses regarding the effects of the attributes of innovation on its diffusion. Based on the review of extant literature, this study suggests that “politically efficient,” and “symbolically efficient” innovations will have high diffusion rates. First, politically efficient innovation is defined to be one that satisfies interest of strong external stakeholders or interest of inside power coalition of an organization. We hypothesize that when the external stakeholder promoting the diffusion of an innovation shields a greater power on organizations and a strong will to coerce its adoption to those organizations, the innovation will diffuse faster. Also, we propose that an innovation strengthening the power basis of extant power coalition will diffuse faster than the innovation weakening it. Second, symbolically efficient innovation is defined to be one that enhances reputation and modern image of adopting organizations. We propose that an innovation designed and used by organizations with high social status, an innovation recommended by prestigious professional association, or an innovation contributing social progress and justice will diffuse faster. We also suggest that an innovation closely related to existing practices or an innovation that was reinvented from existing dominant practices will exhibit higher diffusion rates. Third, this study investigates additional innovation attributes that moderate the effect of political and symbolic efficiency of an innovation on its diffusion. When the adoption and implementation of an innovation incurs a great deal of cost, organizations can give up its adoption even though the innovation is politically and symbolically efficient and thus the effects of political and symbolic efficiencies on innovation diffusion will become weaker. Specifically, we discuss the moderating effect of visibility of innovation adoption, easiness of decoupling innovation adoption from its implementation, and independence of an innovation from extant practices. Moreover, we suggest that adoption of an innovation that demands radical organizational change, or affects core organizational members will be costly. Thus, we propose the moderating effects of those attributes in innovation diffusion process. As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 suggest that future research can explore generalized diffusion model that can explain diffusion of both organizational innovation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s. Empirical research that can test hypotheses proposed in this paper will be valuable. Meta-analysis on extant diffusion literature can be the first step to empirically test those hypotheses. Other option is to collect diffusion data of diverse organizational innovations that exhibit varying diffusion rates and analyze the data by using innovation itself as a unit of analysis.

      • KCI등재

        전환기의 한국 인사조직연구

        이경묵(Kyungmook Lee) 한국인사조직학회 2009 인사조직연구 Vol.17 No.2

        이 논문은 한국인사ㆍ조직학회에서 연구사업으로 추진한 “전환기의 인사조직연구”의 결과물로 출간하는 이번 특별호와 관련하여 논의할 필요가 있는 네 가지 사항에 대해 기술하였다. 첫째, 특별호가 추진된 경과, 특별호 출간을 위한 심사과정에 대해 소개하였다. 둘째, 한국 인사조직 분야에서의 이론개발의 필요성을 한국인사ㆍ조직학회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논문과 인사ㆍ조직연구에 게재된 논문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제시하였다. 셋째, 인사조직분야 연구자들이 새로운 이론을 개발하는데 참조할 수 있는 이론의 정의와 역할, 이론개발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넷째, 본 호에 게재된 논문들의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하고 이 논문들이 미래 이론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바를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토론과 결론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discusses four issues regarding this special issue. First, the process through which this special issue was planned and published is described. Second, to emphasize the need for theory building in the community of Korean management scholars, paper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or presented in the conferences of the Korean Academy of Management are analyzed. The analysis shows the lack of theory building in the community. Third, definition and roles of theory, and directions for theory building in the community are discussed. Fourth, papers published in this special issue are summarized and compared. Lastly, contents of this paper are summar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