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금기와 터부 그리고 사진 - 현대 사진예술에 나타난 금기의 재현

        이경률 ( Lee Kyung-ryul ) 한국기호학회 2017 기호학연구 Vol.51 No.-

        금기의 재현은 회화의 역사만큼이나 오래되었다. 역사적으로 억압된 욕구를 드러내는 금기와 터부는 일부 위대한 화가들에 의해 재현되었는데 대부분 우회적인 방식으로 은밀히 드러나지만 여전히 감시의 그늘에 있었다. 그러나 18세기 인간 본성에 관한 내적 탐구가 시작되는 근대 미술에 와서 억압된 욕구는 감시와 통제의 울타리를 넘어 점진적으로 드러난다. 특히 19세기 사진발명 이후 사진의 대중화는 단순한 현실의 복제를 넘어 과거와는 다른 방식으로 금기의 재현을 가속화시켰다. 왜냐하면 무한 복제가 가능한 사진은 응시자에게 반박할 수 없는 장면의 신빙성(ca a ete)을 주면서 오랫동안 대중들이 볼 수 없었던 은밀한 장면을 전파의 형태로 무더기로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래서 대중과 소통하는 금기의 재현은 사실상 이때부터라고 할 수 있다. 현대 사진예술에서 금기의 재현은 가장 중요한 예술적 담론들 중 하나가 되었고, 특히 포스트모더니즘 계열에 속하는 많은 작가들은 실제 사진을 가장 중요한 매체로 활용한다. 왜냐하면 사진은 단순히 이미지의 결과가 아니라 상황설정, 역사적 구성, 미장센, 퍼포먼스 등 작품의 제작과정에서 실행자가 되기 때문이다. 현대 사진예술에서 나타나는 금기의 재현은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나타난다. 우선 정치 이데올로기 영역에서 금기가 집단 사회의 공공연한 비밀이나 역사적 퇴행으로 나타날 때, 사회적인 금기는 대부분 대중의 알 권리보다 다수의 행복을 위한 윤리적 문제와 선정성에 관계된다. 집단 공동체의 생존과 존속을 위해 가장 오래된 금기는 종교와 성에 관계하는데, 작가들이 재현하는 종교적 금기는 동성애, 낙태, 성적 결정권, 인종 문제 등 교회의 절대 권위와 복종 그리고 교리에 대한 맹목적인 믿음에 항거하는 예술적 제스처로 이해된다. 끝으로 현대 조형사진가들이 사진을 활용해 노골적으로 드러내는 성적 금기의 재현은 집단 사회의 상품화된 성과 경직된 성교육 게다가 성에 대한 자기 결정권까지 박탈하는 오늘날 왜곡되고 억압된 성에 대한 숙고이기도 하다. The representation of ban has been long enough to be the history of painting. The prohibition and taboo, which reveal the historically repressed desires, were revived by some great painters. It is mostly exposed secretly as a roundabout method, but was still put in the shadow of surveillance. However, with entering the modern art that is begun an internal inquiry into human nature in the 18th century, the repressed desire is gradually unveiled beyond the fence of surveillance and control. Especially following the invention of photograph, the popularization of photograph accelerated the reappearance of ban with a different method from the past beyond the simple duplication of reality. That is because the photograph available for infinite replication shows private scenes in a pile, which couldn`t be seen by the public for a long time, in the form of propagation, while giving credibility(ca a ete) in the irrefutable scene to starers. Thus, the revival of ban, which communicates with the public, can be considered to be from this time in fact. The representation of ban in contemporary photograph art became one of the most important artistic discourses. In particular, many artists who belong to the postmodernism series actually utilize photograph as the most important medium. That is because a photograph is not merely an outcome of image, but becomes a practician in the process of making a work such as situation posing, historical composition, mise-en-scene, performance, etc. The representation of ban, which is shown in contemporary photograph art, appears largely with four types. Above all, when the ban in the sphere of political ideology is indicated as an open secret or historical regression in group society, the social ban is mainly related to ethical issue and sensationalism for the happiness of majority rather than a right to know in the general public. The oldest ban for survival and persistiveness in group community is relevant to religion and sex. The religious ban, which is revived by artists, is understood as artistic gesture that fights against the absolute authority and obedience of a church such as homosexuality, abortion, sexual decision, racial issue and against a blind faith in religious dogma. Finally, the representation of sexual ban that the contemporarily modeling photographers plainly disclose through utilizing a photo is also the deliberation on the distorted and suppressed sex of the day that deprives even the self-determination of sex on top of the commercialized sex and the inflexible sex education in group society.

      • KCI등재

        총살 장면의 역사적 기록과 사진

        이경률 ( Lee Kyung-ryul ) 한국기호학회 2016 기호학연구 Vol.48 No.-

        사형수를 죽이는 처형 장면은 원래 그림으로 재현되어 왔고 화가들은 그것을 상상으로 재구성했다. 그러나 18세기 이후 근대 산업이 발전하고 제국주의가 팽창하는 시기에 전쟁에서 소총이 보편화되면서 죄인의 처형은 교수형에서 총살형으로 바뀌게 된다. 그런데 참수형이나 교수형과는 달리 총살형은 특별히 사진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그 이유는 19세기 과학의 발전과 산업혁명 그리고 대중매체의 발전과 함께 역사적 사건을 기록하는 방식이 점진적으로 데생 화가의 손에서 대량 이미지 복제가 가능한 사진으로 이동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진의 역사에서 사형수가 총살되는 사진은 의외로 드물게 나타난다. 그 이유로 우선 총살 장면을 사진으로 기록하는 기술적인 문제 특히 오랫동안 순간포착이 불가능했던 기술적인 한계를 들 수 있다. 역사적 사건을 현장에서 카메라로 순간 포착한다는 것은 1925년 라이카 소형 카메라의 출현 이전까지 지나치게 큰 사진판과 무거운 카메라로 인해 거의 불가능했다. 그래서 19세기에 나타난 총살 장면의 역사적 기록은 총살의 순간포착이 아니라 연속 시퀀스 방식으로 총살의 집행 과정과 그 흔적만 보여준다. 총살 장면이 흔하지 않는 또 다른 이유는 비록 공개 총살이라 할지라도 총살을 기록한 사진은 정권 유지와 프로파간다 선전을 위해 언제나 정치적 검열과 조작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포토저널리즘에서 총살되는 순간을 그대로 촬영하여 전파하는 것은 예견치 않은 장면의 선정성 문제를 야기한다. 왜냐하면 인간의 죽음을 생중계하듯이 총탄에 피를 흘리는 참혹한 장면이나 총을 맞고 꼬꾸라지는 순간포착은 아무리 대중의 알 권리가 우선이라 할지라도 장면의 지나친 묘사에서 윤리적인 비난을 받기 때문이다. 끝으로 포토저널리즘에서 나타나는 총살 장면들은 대부분의 경우 현장에서 우연히 포착된 결정적 순간이다. 이럴 경우 촬영자는 어떠한 정치적인 선입견도 없이 자신이 목격한 현장을 군중의 입장에서 기록하는 `관찰자적인 관점`을 가진다. 특히 잔혹한 총살 집행에서 불법으로 개입된 카메라의 눈은 집행자들의 입장이 아니라 인본주의적 시각과 인류학적 관점을 가진다. 그러나 관찰자적인 관점은 촬영된 장면이 대중에게 알려지고 난 후 흔히 현장에서 촬영자의 방관이나 무책임에 대한 암묵적인 비평이 따르기도 한다. The execution scene of killing condemned criminal has been originally reproduced in the picture and painters have reconfigured scene of execution with their imagination. As rifle was universalized in the war in the age when modern industry was developed and imperialism was expanded after the 18th century, however, the execution of offender was changed from hanging to execute by firing squad. Unlike decapitation or hanging, execute by firing squad is closely related to photograph, because the method to record historic case has gradually moved from the hand of dessin painters to photograph which can reproduce image in large quantity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19th century and the development of mass media. However, the photo which describes condemned criminal killed by firing squad is rare in the history of photograph, because of the technical problem in recording the scene of execute by firing squad, especially technical limit, the impossibility of instantaneous capture for long time. It was nearly impossible to instantaneously capture historic case until small camera of Leica appeared in 1925, because the photo plate was too large and camera was quite heavy. Thus, the historic record of execute by firing squad in the 19th century showed only the process of execution and its trace by sequence mode instead of instantaneous capture of execute by firing squad. Another reason why the scene of execute by firing squad is rare is that even in the case of open execute by firing squad, the photo recording execute by firing squad. is always exposed to politic censorship and manipulation for maintenance of politic regime and propaganda. Further, photographing and broadcasting the scene of execute by firing squad through photo journalism causes the issue of sensationalism of unexpected scene. This is because instantaneous capture of horrible scene of condemned criminal bleeding by bullet & falling down like telecasting human death is subject to ethical denunciation in the light of excessive description of scene, no matter how prevalent public`s right to know may be. Finally, the scene of execute by firing squad shown in photo journalism generally shows the critical moment fortuitously captured at the site. In this case, photographer keeps observational viewpoint where he records the scene he witnessed in the position of public without any politic prejudice. Especially, the eyes of camera which illegally intervened in the cruel execute by firing squad keep humanistic vision and anthropologic viewpoint instead of position of executors. However, observational viewpoint is usually subject to implicit criticism for the photographer`s onlooking or irresponsibility at the site after the photographed scene is open to public.

      • KCI등재

        사진 이미지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과 가능성 -유아교육 현장에서 사진의 교육적 효과를 중심으로-

        이경률 ( Kyung Ryul Lee ),공주희 ( Ju Hee Kong ) 한국사진학회 2010 AURA Vol.0 No.23

        Today`s modern information society has various communication structures unlike the letter-based information society in the past which had just one communication structure. And as visual language plays an important part of communication, the society needs to have skills of proper interpretation and use of imag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inquires into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photographic image literacy education with the focus being put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 effective approach and understanding of visual images can only be obtained through systematic education. More specifically speaking, the literacy education is not just for children to repeat what they know., but it will be an excellent education which helps them develop realistic cognitive abilities and to improve concentration and to consider new ideas. Because photographic image literacy maximizes the effect of expression and reading of visual languages and leads to imaginative reconstruction by which children can make analogical inferences. This self-oriented education is the most important in practical and open education. That is why teaching methodolog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hanged from written language-based one to visual language-based one. However, our education has yet to catch up with rapidly-changing environment. We have to adapt ourselves to ever-developing technical society through media associated with the photos and education. Fortunately, photo education is being actively discussed recently and teachers become more interested in photos as a medium of education. In addition, photographic image literacy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in various areas.

      • KCI등재

        사진의 결정적 순간에 관한 오해와 진실 -앙리 카르티에-브레송의 <생-라자르 역>을 중심으로-

        이경률 ( Kyung Ryul Lee ) 한국기호학회 2011 기호학연구 Vol.30 No.-

        C`est "le moment decisif" qui est le plus courant dans la communaute de la photographie et tout en reprenant immediatement Henri Cartier-Bresson ce mot devient sans doute un axiome pour l`acte photographique. Mais le mot moment n`etait pas son origine de la premiere edition 『L`image a la sauvett』ou se trouve l`instant decisif marque par la main de l`auteur. Tandis que le momont se comprend comme une coupure dans l`espace du temps, le concept de l`instant est en fait ce qui est mental non plus visible dans le temps dure, une certaine maniere de la sympathie pour ce qui se forme a l`interieur de soi. L`instant decisif veut dire la capture de cette impression mentale. Trois lois definissent une bonne image selon Cartier-Bresson, La premiere, impregnee de surrealisme, est de se laisser guider par le hasard dans le "tourbillon du vivant", de "se laisser prendre par la photo et non de la prendre", de capter des instantanes sur le vif. La deuxieme est de retenir le moment le plus intense d`une realite fugace, son "instant decisif", ce qui implique une disponibilite totale du corps et de l`esprit. enfin, la photographie doit ?tre harmonieusement construite, selon des regles picturales et geometriques - respect du nombre d`or -, au point qu`il est possible de la regarder a l`envers sans qu`elle perde de son attrait. Cependant le moment decisif est mal compris un peu longtemps comme d`un trait une coupure de gest ou d`action corporelle qui se compose la scene photographique comme <Gare de Saint-Lazare> ou un homme saute une flaque d`eau. Cette image est pourtant devenue un symbole du moment decisif dans l`art de Henri Cartier-Bresson, mais la verite de ce mot se trouve a l`interieur de sujet-operateur, c`est-a-dire singularite, bizarre, evenement, simulacre, non-sens, dans l`invisible en philiosophie.

      • KCI등재

        한국 최초의 사진에 관한 실증적 고찰 - 현존하는 1860년대 한국사진을 중심으로 -

        이경률 ( Lee Kyung-ryul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9 비교문화연구 Vol.56 No.-

        동아시아에서 사진의 전래와 수용은 크게 세 단계로 진행된다. 우선 사진의 원리가 문헌으로 알려지는 단계와 1839년 사진발명 이후 외국인에 의해 촬영된 사진의 실체가 기록으로 남아있는 단계 그리고 자국민에 의해 기술적 수용이 이루어지는 단계로 나눌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한 나라 최초의 사진은 사진의 실체가 기록으로 알려지는 두 번째 단계를 말하며 오늘날 증거로서 최초의 사진이 존재할 때 ‘현존하는 최초의 사진’이라고 한다. 한국사진의 수용은 중국이나 일본의 경우처럼 외국과의 통상과정에서 사진이 전래되거나 서양 제국주의의 강제 통상조약에 의해 사진이 들어오지 않고 예견치 않은 사건으로부터 이루어진다. 한국 최초의 사진수용은 중국의 사진수용에 비해 20년이나 늦은 1860년대 가능하게 되는데 그 원인들 중 가장 큰 이유는 중국 아편전쟁 이후 더욱 강경해진 천주교 박해와 외국 문물에 대한 쇄국정책 때문이다. 최근 발견된 초기 한국사진들은 조선인이 피사체가 되어 외국인에 의해 촬영되고 소장된 것들로 대부분 1860년대 사진들이다. 그래서 오랫동안 한국사진의 역사에서 다게레오타입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정설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단언은 당시의 쇄국정책으로 기록으로 남아 있지 않을 뿐 한국 최초의 사진은 1860년대 이전으로 올라갈 수 있다. 이를 위해 몇 가지 가설을 놓는다면 우선문호개방과 교역을 목적으로 조선에 온 이양선에서 조선과 조선인을 촬영한 사진들의 존재 가능성을 들 수 있다. 특히 군사용 해도작성을 위해 조선의 지형을 촬영한 사진이라면 서구의 많은 동양 박물관, 군사 박물관, 해양 박물관, 지도 박물관, 인류 박물관 등지에서 아직도 아카이브 자료실에 잠들어 있을지 모른다. 또한 한국사진의 수용연대를 앞 당겨주는 또 다른 가능성은 한국 천주교의 사진아카이브 연구를 통해서다. 왜냐하면 한국 천주교의 수난의 역사가 남긴 사진은 정치적 사건이 아닌 예견치 못한 사적 공간에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진들의 발굴은 해외 소장자들의 자발적인 기증과 소유권을 둘러싼 다층적인 이해를 통해 가능할 것이다. The introduction and acceptance of photographs in East Asia largely progressed in three: a stage where the principle of photograph was known through literature; a stage where the entity and experience of photography was known through records maintained by foreigners, since photograph was invented in 1839; and the stage where photography was technically accepted by fellow countrymen. By the way, generally speaking, the first photograph of one country refers to the second stage, where photography is known through records. When the first photograph of a country exists as evidence of that country, it is called the first photograph that still exists. The acceptance of photography in Korea did not simply originate with the introduction of photography through commercial trade with foreign countries or forced commercial agreements with Occidental imperialism. In Korea, photography was accepted through historic or unexpected cases. The first photograph of Korea is officially that of the Lee Ui-ik envoy group, taken in 1863. Such acceptance is later than that in China by more than 20 years, mainly because of Chosun's persecution of Catholicism and national isolation policy against foreign culture which was further enhanced following the Opium War in China. Photographs of Korea shot and kept by foreigners in which Koreans were subject were recently found. Most of them were shot after 1860s'. Thus, the established theory is that no daguerreotype exists in the history of photography in Korea. However, such affirmation only remains as a record of the national isolation policy at the time. The first photograph of Korea may retroact to the time before 1860s'. Suggesting some hypotheses on this matter, the first possibility is the existence of photographs in which Chosun & Chosun people were shot from a Western vessel that arrived in Chosun for opening doors and trade. In particular, if a photograph had been taken by them to prepare a nautical chart, they may have still been kept in the archives of many museums of the Orient, military articles, maritime museums, map museums, and anthropological museums of Western countries. Meanwhile, the acceptance year of the first photograph in Korea can be further retroacted by studying the archive of photographs of Korean Catholicism, because the trace of historic ordeal of Korean Catholicism left in photographs may be found in unexpected private spaces instead of politic cases. Such photographs can be found through the passion and dedication of researchers as well as voluntary donations from overseas hoarders.

      • KCI등재

        사진사 연구 방법론으로서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의 도입 연구 - 초기 사진 출현의 다층적 네트워크 번역을 중심으로 -

        이경률 ( Lee¸ Kyung Ryul ),공주희 ( Kong¸ Ju H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4

        오늘날 사진과 카메라, 그리고 이와 관련된 기술은 우리 사회 다양한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COVID-19 상황은 사진과 카메라의 전방위적 확산을 더욱 가속화 하였다. 현재 매우 복합적이고 심층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사진 네트워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인간 혹은 기술 중심의 사진사의 틀을 넘어선 새로운 이해의 방법론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을 초기 사진사 연구에 도입하여 사진 출현 네트워크의 다층적이고 관계적인 이해를 도모하였다. 연구자는 ANT의 다양한 개념 중에서도 사진사에 유의미하게 적용 가능한 ‘비인간 행위자’, ‘관계적 존재론’, ‘하이브리드’, ‘일반화된 대칭성’, ‘블랙박스’, ‘번역’ 등에 주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존 사진사의 대표적인 확산모델인 다게르와 다게레오타입의 발명 신화를 분석해 보았다. 이와 더불어 초기 사진 출현 네트워크를 크게 세 층위로 구분하여 기존의 사진사에서 부가적인 요소로 취급하거나 별도로 다루어 왔던 카메라 옵스큐라와 사진제판 기술의 역사를 사진이미지 정착의 역사와 대칭적인 네트워크로 그려보았다. 연구자는 기존의 단선적이고 인간 중심적인 사진 발명의 역사 인식에 문제를 제기하며 초기 사진 출현 네트워크가 구축한 시스템적 기반들을 입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사진의 ‘발명’과 ‘발견’이란 용어 대신 ‘출현’이라는 용어를 제시하고, 초기 사진 역사의 이해 범위를 사진제판으로까지 확장할 것을 제언하고 있다. 본 논문의 이러한 시도가 현재 실천되고 있는 사진 연구들과 다양한 관계를 유발하고, 새로운 출현을 독려하며, 무엇보다 현재 진행 중인 다양한 사진 창발 현상들의 이해에 유용한 방법론적 모듈이 될 수 있길 희망한다. Today, photography, cameras, and related technologies are actively used in various fields of our society. The COVID-19 situation further accelerated the omnidirectional spread of photographs and camera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ly complex and in-depth photographic network, a new methodology of understanding is needed beyond the framework of existing human or technology-oriented photographic history. Therefore, in this paper, we have introduced the Actor-Network Theory(ANT), which has recently been actively discussed in various fields, into early photographic history studies to promote a multilayered and relational understanding of photographic emergence networks. Among ANT's various concepts, researchers noted that “non-human actors”, “relational ontology”, “hybrid”, “generalized symmetry”, “black box”, and “translation” are significantly applicable to photographic history. Based on this, we analyzed the invention myth of Daguerre and Daguerreotype, the representative diffusion models of existing photographic history. In addition, the early photographic appearance network was divided into three layers, depicting the history of camera obscura and photomecanical reproduction technology, which had been treated as additional elements or separately by existing photographic history, as a history of photographic image settlement and a symmetrical network. The researchers wanted to examine the systematic foundations established by the early photographic emergence network, raising questions about the historical perception of the existing single-line and human-centered photographic invention. As a result, this paper suggests that instead of the terms ‘invention’ and ‘discovery’ of photography, the term ‘emergence’ and extending the understanding of early photographic history to photomedical reproduction. We hope that these attempts in this paper will lead to various relationships with the current photographic studies, encourage new emergence, and, above all, be a useful methodological module for understanding the various ongoing photographic phenomena.

      • KCI등재

        정물사진의 비선형적 재현과 역사

        이경률 ( Lee Kyung-ryul ) 한국기호학회 2021 기호학연구 Vol.66 No.-

        오랫동안 우리는 재현예술에서 모더니즘의 형식주의 즉 예술 작품의 공통된 형태와 양식 그리고 그 보편적인 메시지에 익숙해 왔다. 특히 전통적인 그림에서 인물, 풍경, 정물 등의 장르가 만들어 놓은 정형화된 메시지는 누구에게나 소통되고 쉽게 해석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모든 예술 작품이 이러한 선형적 구조를 가지지는 않는다. 특히 탈-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계열에 속하는 작품에서 예견치 못하는 비선형적인 특징을 가진다. 비선형적인 메시지는 사진으로 제작된 정물에서 분명히 드러나는데 그 이유는 우선 정물사진은 다양한 번역이 가능한 그림의 경우와는 달리 해석 불가능한 사진의 지표적인 속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역사적으로 정물사진의 예측할 수 없는 비선형적 특징은 사진발명 이후 19세기 실험사진가들이 남긴 해석 불가능한 사적인 정물에서 잘 드러난다. 이러한 비선형적 특징은 또한 20세기 초 으젠 앗제의 정물 같은 사진과 오브제를 응시자의 상상을 유도하는 자극-신호로 활용한 초현실주의자들의 정물사진에서 더욱 심화되어 나타난다. 현대 정물사진에 나타나는 비선형적 특징은 포스터모더니즘이 보편화되는 1980년대 이후 탈-구조, 탈-형식주의, 탈-장르와 함께 개념적인 일탈로 나타난다. 정물사진은 이때 전통 정물화에서 분명히 드러나는 의미의 충만과 메시지의 명료함은 점진적으로 사라지고, ‘비평을 위한 조형적 도구’로 활용된다. 또한 정물사진은 모더니즘 미학의 해석학적 상징을 넘어 사진의 본원적 기능인 기록과 증거를 활용하여 그림의 형태로 나타난다. 이럴 경우 사진은 더 이상 장르 혹은 전통 매체로서의 사진이 아니라 개념적인 측면에서 의미의 혼동을 야기하면서 궁극적으로 비선형적인 예술적 전략을 위한 포스트모더니즘의 실행자 역할을 한다. For long time, we have been accustomed with the formalism of modernism in representation art, namely, the common form, style and universal message of artistic work. Especially, the stereotyped message made by genres such as person, landscape, still life, etc in traditional picture has structure that can be communicated to and easily interpreted by all. However, all artistic works do not have such linear structure. Especially, works belonging to anti-modernism and postmodernism have unpredicted nonlinear characteristics. Nonlinear message is obviously seen in still life produced in photo, as unlike picture that can be diversely translated, still photo has uninterpretable index attributes of photo. Historically, the unpredictable nonlinear characteristics of still photo is well seen in the uninterpretable private still life left by the experimental photographers in the 19<sup>th</sup> century after the invention of photograph. Such nonlinear characteristics are further intensified in the still photo of surrealists who utilized the photo and objet of still life of Eugene Atget at the beginning of the 20<sup>th</sup> century as stimulation-signal which induced the imagination of starer. Nonlinear characteristics seen in contemporary still photo has emerged as conceptual deviation with anti-structure, anti-formalism, anti-genre since 1980s when postmodernism was universalized. The fullness of meaning and perspicuity of message which are clearly seen in traditional still picture are gradually disappearing and used as ‘formative tool for criticism.’ Further, still photo has taken the form of picture by utilizing record and evidence, the original function of photo, transcending the interpretative symbol of modernism aesthetics. In this case, photo is no longer genre or traditional media, but ultimately plays the role of postmodernism for artistic strategy, causing confusion of meaning in the conceptual aspect.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사진의 역사에 나타난 조작사진과 그 유형학적 연구

        이경률(LEE Kyung-Ryul)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0

        모든 사진은 진실한가? 이러한 질문의 답은 언제나 모호하다. 왜냐하면 특히 기록의 형태로 나타나는 사진은 역사의 조작과 왜곡을 보여줄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사라지는 기억의 진실을 내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사진을 만드는 과정에서 합성, 삭제, 수정, 이중인화 등의 기술적 조작은 역사를 왜곡하는 물리적 도구로 이해될 수 있다. 사진으로 역사를 이해하는데 있어 가장 어려운 것은 진실로 위장된 사진에 대한 맹목적인 믿음(ça a été)이다. 한국사진의 역사에 나타난 조작사진들 예컨대 이태리인 카를로스 로제티(Carlo Rossetti)에 의해 조작된 명성황후 사진, 누군가의 의해 합성 조작된 고종황제의 가족사진, 윤봉길 의사 가짜 사진의 의혹, 일본 사진엽서에 나타난 모호한 안중근 의사의 사진, 아직도 친일파 논쟁을 야기하는 손기정의 일장기 말소사진 등은 한국 근대사의 중요한 인물이나 사건에 관계되지만 촬영자는 대부분 익명으로 아직도 밝혀지지 않고 있다. 왜냐하면 조작사진들은 오랫동안 비공개 사진이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조작은 여러 장의 사진을 겹쳐 하나의 장면을 만들거나 내용을 삭제하고 수정하는 초보적인 방식으로 실행되었고 일부 정치적 비평을 암시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사적 영역에서 그리고 개인적인 이유에서 다양한 유형으로 이루어졌다. A photograph that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record not only shows the fabrication and perversion of history but also implies the truth of disappearing memory. The technical fabrication such as synthesis, deletion, revision, dual development, etc., is understood as a physical tool that perverts history. In this case, the greatest difficulty in understanding history through a photograph is blind belief (ça a été) in a photograph that disguises the truth. Although fabricated photographs appearing in the history of Korean photographs are related to significant persons or incidents in modern Korean history, most photographers are still unknown as they used pseudonyms because fabricated photographs were undisclosed for a long time. Their fabrication was rudimentary, overlapping several photographs to make a scene or deleting and revising contents. In most cases, it was done in private for personal reasons instead of political criticism. The photograph of Myungsunghwanghu, fabricated by an Italian Carlo Rossetti, has been known to be a photograph of Myungsunghwanghu for a long t ime, while i t was actually a synthesized photograph of court ladies and palatial garment. However, triggered only by his affection and curiosity over Chosun, which was seen by him, his intention was far from political. To the contrary, it was utilized as visual information to inform the empress of Chosun about European journals and publications. Further, although the family photograph of Emperor Gojong, synthetically fabricated by someone, still leaves many questions unanswered, it may be a pity for the family of Emperor Gojong to guess the intention of the fabrication. To the contrary, it may cause rage toward the Japanophile royal family, which took an opportunistic attitude in the trend of crisis of the last extremity. Finally, many persons conjecture that the photograph of patriot Ahn Jung Keun on his card was a fake photograph fabricated by Japanese imperialists. Needless to say, this may be a plausible conjecture, considering the dignity and firm integrity of patriot Ahn Jung Keun, which has been engraved in our minds for a long time. However, no evidence explaining such fact has been found yet. Although this photograph shows the shabby appearance of a homeless person, which is far from the image of a learned hero those days, it is apparent that a Japanese imperialist intentionally made and distributed the postcard to people to emphasize the image of a criminal who killed Ito Hirobumi through mass media. Notwithstanding, we cannot still confirm whether the person in the photograph is the patriot Ahn Jung Keu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