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HCCI 수소기관에서 탄소계 배기성분 첨가에 의한 수소 EGR 특성분석

        이건식(Keonsik Lee),변창희(Changhee Byun),이종구(Jonggoo Lee),양 취엔 조우(Yang Chuanzhou),이종태(Jongtai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15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5 No.5

        In a HCCI engine with hydrogen, NOx increases and operating region decreases by increasing rate of pressure rise due to high compression ratio. EGR in a HCCI-hydrogen engine can decrease NOx and increase operating region by decreasing rate of pressure rise. However, like the case of using diesel or gasoline engine with EGR, when carbon exhaust composition is applied to a HCCI-hydrogen engine with EGR, the characteristics of hydrogen-EGR are uncertain. In this research, engine performance is analysed with EGR and CO₂ rate including compression ratio in HCCI-hydrogen research engine for evaluating adaptability carbon exhaust composition for a HCCI-hydrogen engine with EGR. When comparing with a HCCI-hydrogen engine with normal EGR, application of carbon exhaust composition for a HCCI-hydrogen engine with EGR has a little positive effects such as increasing operating region, decreasing knock frequency and NOx.

      • KCI등재

        한국 고유한자(固有漢字) 판단의 오류 사례와 한국 고유한자 근거의 탐구

        이건식 ( Lee-keonsik ) 구결학회 2021 구결연구 Vol.47 No.-

        이 연구는 한국 고유한자 판단의 오류 사례 몇 가지와 다섯 가지 측면에서 한국 고유한자의 근거를 탐구하였다. 한국 고유한자에 대한 그 동안의 연구에서 고유한자로 다루었던 ‘㴹, 椗, 䭜, 碶, 楦’ 등이 한자인 근거를 제시하였다. ‘물 자맥질’을 뜻하는 㴹의 경우에는 元나라 劉瑾의 『詩經通釋』에서 사용된 용례를 제시했으며, ‘닻’을 뜻하는 椗의 경우에는 『漢語大詞典』에 동일한 의미의 椗이 수록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허기를 달래다’를 뜻하는 䭜의 경우에는 宋나라 孫觀의 『鴻慶居士集』과 宋나라 蘇軾의 『宋大家蘇文忠公文抄』에서 사용된 용례를 제시하였으며, ‘물문’을 뜻하는 碶의 경우에는 『漢語大詞典』에 동일한 의미의 碶이 수록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문설주’나 ‘신골’을 뜻하는 楦의 경우에는 『漢語大詞典』에 동일하거나 유사한 의미의 楦이 수록된 것을 확인하였다. 한국 고유한자 근거의 첫 번째 탐구로 ‘펄’을 뜻하는 한국 고유한자 浌이 고유어 음차 표기자에 기반한 형성의 한국 고유한자임을 밝혔다. 浌이 사용된 용례로 ‘海浌, 泥浌, 浦浌’ 등을 근거 자료로 하였다. 한국 고유한자 근거의 두 번째 탐구로 ‘들보’를 뜻하는 椺와 ‘물살을 가로지르는 둑’을 뜻하는 湺가 차용어 음차 표기자에 기반한 형성의 한국 고유한자임을 밝혔다. ‘들보’의 ‘보’가 후기 중세국어에서는 ‘보ㅎ’의 어형인 점과 지명의 이표기 ‘中保坪/中湺坪, 大三保坪/大三湺坪’ 등의 이표기를 근거로 하였다. 한국 고유한자 근거의 세 번째 탐구로 ‘수납장’을 뜻하는 欌과 ‘작은 이불, 끈이 달린 포대기, 머리에 쓰는 두개’ 등을 뜻하는 이 한자에 기반한 형성의 한국 고유한자임을 밝혔다. 欌의 경우에는 ‘冊藏/冊藏, 壁藏/壁藏, 神藏/神藏’ 등의 이표기를 근거로 하였으며, 의 경우에는 ‘薦衣/衣’의 이표기를 근거로 하였다. 한국 고유한자 근거의 네 번째 탐구로 ‘붉은 돌이 쌓인 것’을 뜻하는 硳에 대하여 硳이 이러한 의미를 가지게 된 근거를 보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순창군의 赤城面에서 赤城 표기가 ‘磧城, 硳城, 赤城’ 등의 표기 변화가 있었음에 주목하여 ‘磧城, 硳城, 赤城’ 등의 표기 변화는 해당 지역이 紅柱石의 산출지인 사실을 반영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硳의 음이 ‘적’이라는 점에 근거하여 硳을 ‘회의 겸 형성’의 한국 고유한자로 파악하였다. 한국 고유한자 근거의 다섯 번째 탐구로 ‘보막이’의 ‘보’를 뜻하는 洑와 ‘가장 자리’를 뜻하는 縇이 偏을 교체한 형성의 한국 고유한자임을 밝혔다. 洑의 경우에는 ‘들보’를 의미하는 椺에서 木 偏을 水 偏으로 교체하여 洑의 자형을 형성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縇의 경우에는 ‘모형’의 의미를 가지는 楦에 木 偏을 糸 偏으로 교체하여 縇의 자형을 형성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洑와 縇에 보이는 偏의 교체는 한국보다는 중국에서 발생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추정하여 縇이 한국에 인접한 중국 지역에서 발생하여 한국에 차용되었을 가능성도 열어 두었다. This study explored some cases of judgement errors abut Korean indigenous Chinese Characters and the base of Korean indigenous Chinese Characters in five ways. The previous studies of Korean indigenous Chinese Characters have suggested the base that ‘㴹, 椗, 䭜, 碶, 楦’ are Chinese characters. The usage from 『詩經通釋』 by Liu Geun (劉瑾) from the Yuan Dynasty identified the case of ‘㴹’ which means ‘diving’. The case of ‘椗’ meaning ‘anchor’ was confirmed by the record that 『漢語大詞典』 includes ‘椗’ with the same meaning. The case of ‘䭜’ meaning ‘alleviate one’s hunger’ was verified by the usages from 『鴻慶居士集』 by Son Gwan (孫觀) from the Song Dynasty and 『宋大家蘇文忠公文抄』 by So Sik (蘇軾) from the Song Dynasty. The case of ‘碶’ meaning ‘flood gate’ was confirmed in the record that ‘碶’ with the same meaning is included in 『漢語大詞典』. Finally, ‘楦’ meaning ‘a doorpost’ or ‘a shoe stretcher’ was verified from 『漢語大詞典』 which includes ‘楦’ with the same or analogous meaning. The first exploration about Korean indigenous Chinese Characters identified that ‘浌’ meaning ‘peol’ is a Korean indigenous Chinese Character formed on the basis of the sound difference marker. The usages such as ‘海浌, 泥浌, 浦浌’ presented the base of ‘浌’ The second exploration about Korean indigenous Chinese Characters disclosed that ‘椺’ meaning ‘a crossbeam’ and ‘湺’ meaning ‘a bank blocking current of water’ are Korean indigenous Chinese Characters formed on the basis of the sound difference marker of loanwords. ‘Bo (beam)’ of ‘deulbo’ was based on the different transcription of ‘中 保坪/中湺坪’ and ‘大三保坪/大三湺坪’. They are different transcriptions about a dot and a place name originated from a word form of ‘boh (보ㅎ)’ of the late middle Korean. The third exploration revealed that ‘欌’ meaning ‘a storage closet’ and ‘’ meaning ‘a small blanket, a strappy carrier blanket, a hairnet’ are Korean indigenous Chinese Characters formed on the basis of the Chinese characters. In the case of ‘欌’, the different transcriptions of ‘冊藏/冊藏, 壁藏/壁藏, 神藏/神藏’ were the bases. It was based on the different transcriptions of ‘薦衣/衣’. Fourthly, ‘硳’ meaning ‘piles of red stones’ was explored and supplemented the base about how ‘硳’ had got this meaning. In this study, it was focused that the transcription of ‘赤城’ of ‘赤城面’ in Sunchang-gun, Jeollabuk-do has changed into ‘磧城, 硳城, 赤城’. From this viewpoint, the transcriptions of ‘磧城, 硳城, 赤城’ were presumed as the reflection of the fact that the relevant area is the producing place of ‘紅柱石’. On the basis that the sound of ‘硳’ is ‘jeok’, ‘硳’ was identified as a Korean indigenous Chinese Character to gather meaning and form a character. The final exploration verified that ‘洑’ meaning ‘bo (paddy)’ of ‘bomaki (a banking up a paddy)’ and ‘縇’ meaning ‘gajangjari (border)’ is a Korean indigenous Chinese Character formed by replacing ‘偏’ In the case of ‘洑’, it was figured out that the character of ‘洑’ was formed by replacing ‘木 偏’ with ‘水 偏’ in the case of ‘椺’ meaning ‘a crossbeam’. In the case of ‘縇’ meaning ‘a model’, its character was formed by replacing ‘木 偏’ with ‘糸 偏’. This study presumed that the replacement of ‘偏’ seen in ‘洑’ and ‘縇’ was more likely to occur in China than in Korea. On the basis of this presumption, this study left open the possibility that ‘縇’ was likely to appear in the Chinese areas neighboring Korean areas and was borrowed in Korean.

      • KCI등재

        고대(古代)·중세(中世) 일본(日本)과 한국(韓國)의 지식(知識) 문화(文化) 교류(交流)를 통해 본 공통(共通) 한자(漢字)와 한자어(漢字語)

        이건식 ( Lee-keonsik ) 구결학회 2021 구결연구 Vol.46 No.-

        이 글은 고대ㆍ중세 일본과 한국의 공통 한자와 한자어, 그리고 일본 국자 및 한국 고유한자에 대해 논의하였다. 고대 일본과 한국 자료에 나타나는 烟戶의 烟이 ‘실제로 운영되는’의 의미임을 밝혔다. 고대ㆍ중세 일본과 한국의 공통 한자어로 ‘典曹人/典事人, 小半, 學語, 譯語, 通事’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관장하다’의 의미를 가지는 典을 공통적으로 사용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고대 한국의 목간 자료에 나오는 甲을 小半으로 판독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學語, 譯語, 通事’ 등의 한자어가 고대 일본과 고대 한국에서 사용되었음을 논의하였다. 고대ㆍ중세 일본과 한국의 공통 약체자 및 이체자로 ‘卩, 鎰, 鹵’ 등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소개하였다. 공통적인 일본 國字와 한국 固有漢字인 椋에 대한 기존 논의를 소개하였고, 일본의 국자 畠과 한국의 고유한자 畓의 배타적 생성 기반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일본 辭書에 남겨진 ‘獤, [金瓮], 閪, 栍, 㵛’ 등에 대한 기존 연구의 논의 내용을 소개하였다. This paper discussed common Chinese character and Korean-Chinese word of Japan and Korea in ancient and medieval times. It was disclosed that Yeon (烟) of Yeonho (烟戶) in the Japanese and Korean ancient data has the meaning, ‘being run in practice’. This paper discussed ‘jeonjoin (典曹人)/jeonsain (典事人), soban (小半), hakeo (學語), yeokeo (譯語) and tongsa (通事)’ which are the common Chinese characters of ancient and medieval Japan and Korea. In addition, it was discussed that jeon (典) which means ‘control’ is commonly used. Gap (甲) in Korean ancient wooden tablets should be decoded as soban (小半). The Chinese characters, which are ‘hakeo (學語), yeokeo (譯語), tongsa (通事),’ were used in ancient Japan and Korea. This was discussed as well. The existing discussions were presented regarding ‘jeol (卩), yil (鎰) and ro (鹵)’ with ancient Japanese and Korean simplified forms and variant forms. This paper reviewed the existing discussion of ryang (椋) which is the common Japanese native characters and Korean native Chinese characters. Moreover, it was discussed that jeon (畠) of Japanese native characters and dap (畓) of Korean native Chinese characters were on the exclusive generation base. Finally, the exsiting discussions regarding ‘don (獤), [geumong (金瓮)], seo (閪), saeng (栍) and seon (㵛) were introduced.

      • KCI등재

        論山 皇華山城 出土 瓦銘文에 나타난 지명 표기 ‘葛那城, 笠乃, 立乃’ 등의 국어사적 의의 - 漢字 지식 문화의 수용 과정과 관련하여 -

        이건식(Lee Keonsik) 한국목간학회 2023 목간과 문자 Vol.- No.31

        이 글은 論山 皇華山城에서 出土된 기와 銘文에 나타난 ‘葛那城, 笠乃, 立乃’ 등의 지명 표기와 ‘백제의 縣名인 加知奈縣과 加乙乃’ 등의 이표기 관계에 주목하여 이들 이표기 또는 유관된 표기가 시사해 주는 국어사적 의의를 연구하였다. ‘葛那城丁巳瓦’ 명문의 丁巳가 532년으로 추정된다는 사실은 ‘加知奈縣, 加乙乃, 葛那城, 笠乃, 立乃’ 등의 이표기 또는 유관된 표기 관계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加知’는 ‘*가디’를 표기한 것인데 ‘加乙乃, 葛那’ 등은 ‘*갈’을 표기한 것이다. 이를 근거로 532년 무렵인 백제 말기에 ‘ㄷ>ㄹ’의 변화가 발생했고, 어말 모음의 탈락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갈’을 음차 표기한 ‘加乙乃, 葛那’ 등은 笠乃의 笠이 訓讀 표기일 가능성을 열어주고, ‘加知/*가지, 加乙/*갈, 葛/*갈’ 등이 ‘갓[冠]’의 뜻임을 시사해 준다. 그리고 笠乃가 통일 신라 시대의 표기임을 확인해 준다. ‘加知奈, 市津, 薪浦’ 등은 하천명이다. 이들은 이표기 관계에 있는 것이 아니라 별칭 관계에 있음을 언급하였다. 加知奈의 유관된 표기인 仁川이 상류 지역 하천명에 유지된 것에 근거한 것이었다. ’加知奈, 葛那, 加乙乃, 笠乃, 立乃, 仁川’ 등의 이표기 또는 유관된 표기를 근거로 지명을 차자 표기하는 방식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지명의 차자 표기에서 지명 구성소의 두 번째 요소인 유형 명칭 표기는 音假 표기에서 訓讀 표기로 변화하였으며 첫 번째 요소인 속성 명칭 표기는 ‘音假 표기- 통합적 音假 표기 - 분석적 音假 표기 - 訓讀 표기 - 讀字의 音假 표기 - 音假 표기’ 등의 단계를 거쳤음을 확인하였다. 백제 현명인 加知奈의 이표기 또는 유관된 표기인 ‘葛那, 加乙乃, 笠乃, 立乃, 仁川’ 등을 통하여 加知奈에 속한 加知의 의미를 ‘갓/冠’으로 파악하였으며, 백제 시대의 ‘‘갓/冠’은 ‘무더기’의 뜻인 ‘가리’의 의미까지 포함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또 ‘*가디>*가리>*갈’의 변화가 일어난 것을 근거로 백제 시기 말엽에 ‘ㄷ>ㄹ’의 발음 변화, 어말 모음의 탈락이 발생했음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studied the significance of the Korean language history implied by these notation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lace names such as ‘Galnaseong(葛那城), Ipnae(笠乃), Ipnae(立乃)’ on the the Myeongmun(銘文) of roof tiles and ‘Gajinaehyeon(加知奈縣) and Gaeulnae(加乙乃) in Hyeonmyeong(縣名) of Baeje.’ Geongsa(丁巳) of Myeongmun in ‘Galnaseongjeongsawa(葛那城丁巳瓦)’ is estimated to be 532 years old. This fact helps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tations of ‘Gajinaehyeon(加知奈縣), Gaeulnae(加乙乃), Galnaseong(葛那城), Ipnae(笠乃), Ipnae(立乃).’ ‘Gaji(加知)’ was notated to the degree of ‘*Gadi’ and ‘Gaeulnae(加乙乃), Galna(葛那)’ to the degree of ‘*Gal’. On the bases of these, it can be seen that a change of ‘ㄷ>ㄹ’ occurred at the end of Baekje, around 532, and the drop of the final vowel. ‘Gaeulnae(加乙乃) and Galna(葛那)’ which notated to the degree of ‘*Gal’ open up the possibility that Ip(笠) of Ipnae(笠乃) might be a notation based on the meaning(Hundok(訓讀)). This also represents that ‘Gaji(加知)/*Gaji, Gaeul(加乙)/*Gal, Gal(葛)/*Gal’ mean ‘Gat[冠].’ In addition, it could be confirmed that Ipnae(笠乃) is a notation of the Unified Silla. It was mentioned that ‘Gajinae(加知奈), Sijin(市津), Sinpo(薪浦)’, and etc. are not in a relationship of different notations, but in a relationship of byname notations as the name of the river. This suggestion is based on the fact that Incheon(仁川) which is a different name of Gajinae(加知奈) was maintained as the upper stream name. On the bases of the different notations in ’Gajinae(加知奈), Galna(葛那), Gaeulnae(加乙乃), Ipnae(笠乃), Ipnae(立乃), Incheon(仁川)’,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was a change in borrowed notations of place names. In borrowed notations of place names, the second element consisting of a place name was notated with the ideographic notation(訓讀) different from phonetic notation(音假).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first element about feature names went through the following steps: ‘phonetic notation(音假)- integrated phonetic notation – analytic phonetic notation – ideographic notation(訓讀) - borrowed phonetic notation(讀字의 音假) - phonetic notation(音假).’ It was identified that through the different names of Gajinae(加知奈) which are ‘Galna(葛那), Gaeulnae(加乙乃), Ipnae(笠乃), Ipnae(立乃), Incheon(仁川),’ which are town names in Baekje, the meaning in ‘Gaji(加知)’ of Gajinae(加知奈) could be identified as ‘Got(갓/冠).’ In the Baeje era, ‘‘Got(갓/冠)’ included the meaning of ‘Gari(가리)’ which means ‘Mudeogi(무더기:mound)’ and on the bases of the change shown in ‘*Gadi(가디)>*Gari(가리)>*Gal(갈)’, this paper could identify that the pronunciation change of ‘ㄷ>ㄹ’ and the drop of final vowel occurred at the end of the Baekje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