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성취 프로그램의 비용 편익 분석

        이건남 ( Gun Nam Lee )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4 초등교과교육연구 Vol.20 No.-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validity of its business of the employment support programs to encourage motivation of job seekers and help them improve their job-seeking skills in order to prevent long-term unemployment, support decision-making of the employment by using the benefit-cost analysis. Using the human capital approach by means of The quantification method of the costs and benefits in the benefit-cost analysis. And using the net benefit, benefit cost ratio, it were to examine the validity of business. Applying social discount rate, effect of program, continually term of service a little differently, it were to conduct the sensitivity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net benefit cost ratio of achievement program was bigger than 0, which certified the validity of the business. Second, results of sensitivity analysis of achievement program, benefit cost ratio of programs were bigger than 1, which certified the validity of the business. Third, as a result of the benefit-cost analysis, it can be concluded that employment support programs provide significant benefits to society at a low cost. Thus, If necessary to revise of the program, it must be revise the program.

      • KCI등재

        잠재집단분석을 활용한 예비 교사의 학업성취도, 교육만족도, 진로발달 수준의 차이 분석

        이건남(Gun-Nam Lee) 한국실과교육학회 2023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6 No.4

        이 연구는 잠재집단분석을 통해서 교원양성대학 재학 중인 대학생들의 개인 특성, 대학입학 특성, 대학생활 특성 관련 변인에 대한 잠재집단분석을 통해서 집단을 유형화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유형화된 집단이 집단별 학업성취도, 교육만족도 진로발달 차이 분석을 통해 어떠한 특성을 갖는지 탐색적으로 파악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한 주요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3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각 집단은 ‘집단 1’ ‘학교생활에 적극적인 저학년 집단’, ‘집단 2’는 ‘낮은 진학 만족과 학교생활에 적극적이지 않은 집단’, ‘집단 3’은 임용시험을 준비하는 고학년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집단 2(낮은 진학 만족과 학교생활에 적극적이지 않은 집단)’의 학생들은 대학 진학과 관련하여 다른 집단에 비해 만족하지 못하고 대학 생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학생이 많았고, 또한 학교 내 다른 학우와의 관계에 있어서도 만족하는 학생보다 보통으로 인식하는 학생이 다른 집단에 비해 많았다. 셋째, 집단별 학업성취도, 교육만족도, 진로발달 수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집단 1(학교생활에 적극적인 저학년 집단)’은 핚업성취도가 낮은 집단으로 ‘집단 2(낮은 진학 만족과 학교생활에 적극적이지 않은 집단)’은 교육만족도와 진로발달 수준이 가장 낮은 집단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employed latent class analysis to categorize university students in a teacher training program. The analysis involved variables related to personal characteristics, university entrance characteristics, and university life characteristics. Subsequently,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groups were explored to draw implication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atent group analysis identified three groups. Cohort 1 was 'active in school life, low grade', 'Cohort 2' was ‘low satisfaction with college admission and not active in school life’, and ‘'Cohort 3’ was upper-grade students preparing for the teacher employment exam. Second, students in ‘Cohort 2 (low satisfaction with college admission and not active in school life)’ reported higher dissatisfaction and disengagement with their university experience than other cohorts. However, compared to other cohorts, they were more likely to express satisfaction with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 students on campus and perceive these relationships as average. Third, when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development by cohort, ‘Cohort 1 (active in school life, low grade)’ emerged as a group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and ‘Cohort 2 (low satisfaction with college admission and not active in school life)’ emerged as a group with the lowest levels of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development.

      • KCI등재

        양적 및 질적 분석방법을 통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특성 분석

        이건남(Lee, Gun-Nam) 한국실과교육학회 2020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3 No.4

        이 연구는 한국실과교육학회지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01년부터 2020년까지 게재된 966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양적인 분석인 내용 분석과 질적인 분석인 인용분석,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주요한 논의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실과교육학회지에 다양한 배경을 가진 연구자가 양질의 논문을 투고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한국실과교육학회지의 영향력 지수 개선을 위해 양질의 투고 논문의 발굴, 논문을 게재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개선, 적극적인 한국실과교육학회의 홍보 등에서 노력이 요구된다. 셋째, 시대의 변화와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연구되는 주제와 새롭게 출연하는 연구주제를 발굴하여 연구의 깊이와 폭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넷째, 언어 네트워크 분석의 주요 핵심어에 대한 다차원척도분석 등의 기법을 활용하여 주로 연구되는 주제와 활발하지는 않지만, 향후 잠재성이 있는 연구주제를 파악하여 미래 상황에 대비하거나 연구를 장려할 필요가 있다.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기별로 지속적인 본 학술지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학회가 현재보다 발전하기 위해서는 많은 좋은 논문이 학술지를 통해서 공유, 확산이 되고, 많은 독자들이 볼 수 있도록 학회 차원의 위원회 운영 등을 통한 노력이 요구된다. 셋째, 학회 구성원을 확대하고,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연구자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문호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966 articles published from 2001 to 2020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urnal of practical arts education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content analysis), qualitative analysis(citation analysis,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main points of discus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enable researchers with various backgrounds to submit quality papers to the journal of practical arts education. Second, efforts are required to discover high-quality submitted papers to improve the impact index of the journal of practical arts education, improve services provided to researchers who wish to publish theses, and actively promote the korean associa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depth and breadth of research by discovering the topics that are continuously studied and newly appearing research topics regardless of the changes of the times. Fourth,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future situations or encourage research by identifying the topics that are mainly researched and those that are not active but have potential by utilizing techniques such as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of the main keywords of language network analysis.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is journal continuously by period. Second, in order for the society to develop better than the present, many good papers are shared and spread through journals, and efforts are required through the operation of committees at the society level so that many readers can see them.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members of the society and expand the door so that experts and researchers in various fields can participate.

      • 중,고등학생의 진로교육에 대한 만족도: 직업심리검사 활용을 중심으로

        이건남 ( Gun Nam Lee )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3 초등교과교육연구 Vol.1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on satisfaction on the utilization of vocational psychological tests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major findings in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respondents have personal experience of vocational psychological tests, it used in a group in middle and high school.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ing school level approach for heightening the utilizability of vocational psychological tests. Third, the chart of vocational psychological tests received by students in the better part of two weeks. Fourth, it is interpreted the chart of vocational psychological tests through individual counseling. Fifth, students who experienced vocational psychological tests thought vocational psychological tests help to solve a career problem the recommendation can be established as follows : First, it is necessary to the analysis of utilization of vocational psychological tests by periods. Second, it is necessary to support of teacher training for interpreting the chart of vocational psychological tests.

      • KCI등재

        기술변화에 따른 산림 분야 종사자가 인식하는 일자리 및 업무변화

        이건남(Gun-Nam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4

        목적 이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의 기술변화에 따라 산림 분야 종사자가 인식하는 일자리 및 업무변화 정도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선행연구인 박상현(2017)이 사용한 조사도구의 일부를 활용하여 산림조합 훈련원 및 산림조합 연수원의 교육생으로 참여한 산림 분야 종사자 1,1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325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결과 산림 분야 종사자가 인식하는 기술변화에 의한 산림 분야 일자리 변화 정도로 평균 2.94로 나타나 3점(변화 없음)보다 약간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향후 산림 분야 종사자의 업무변화에 대해 평균 2.84 정도 인식하여 2점(업무가 다소 변화)보다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결론 산림 분야 종사자들은 향후 미래의 기술변화가 산림 분야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것이며, 기술변화에 의해 산림 분야 일자리가 감소할 것이고, 업무변화도 일어날 것으로 인식하였다. 대다수의 응답자는 업무변화의 시기는 향후 4-5년 정도 이후이며, 업무의 50% 정도는 대체될 것으로 인식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eforestry workers' perceptions of changes in Jobs and duties according to the technological change Methods A part of the survey used by Park(2017) was used, and 1,127 trainees of the Forestry Cooperative Training Center and Forestry Cooperative Training Center were surveyed, and data of 325 workers were used for analysis. Results The average job change in the forest sector due to technological change perceived by forestry workers was 2.94, which was slightly lower than 3 points (no change). The average level of recognition of changes in the duties of forestry workers in the future was about 2.84, which was lower than 3 (duties will change) and higher than 2 (duties will change slightly). Conclusions Forestry workers recognized that technological change that will occur in the future will affect the forest sector to some extent, and that the number of jobs in the forest sector will decrease due to technological change, and that changes in duties will also occur. On the other hand, the majority of respondents perceived that the period of change of duties are about 4-5 years after, and that about 50% of duties will be replaced.

      • KCI등재

        초등학생의 개인 및 학교 특성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건남(Lee, Gun-Nam) 한국실과교육학회 2021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4 No.4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개인 및 학교 특성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질문지법에 의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통계, t검정, 상관분석, 회귀분석 등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른 주요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개인 특성 중, 진로발달에 학년별로는 5학년의 진로발달 수준보다 6학년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거주지역별로는 도시지역 거주 학생의 진로발달 수준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한편, 성별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진로발달 수준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초등학생의 학교 특성 중, 진로발달에 대해 학교생활적응 정도, 진로교육 만족 정도, 학업성취 정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각 수준 정도가 높은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진로발달 점수가 높았다. 셋째, 회귀분석 결과, 초등학생의 개인 특성 변인보다 학교 특성 변인이 진로발달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발달 전체 점수 및 진로발달 하위영역 3개 모두에서 모형1(개인 특성 변인 투입)보다 모형2(개인 특성 변인+학교 특성 변인 투입)의 설명력이 높았다. ‘학교생활적응’, ‘진로교육 만족도’, ‘학업성취’ 등 3개의 학교 특성 변인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학교 특성 변인의 수준을 높이는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초등학생의 다양한 개인, 학교, 지역사회 변인 등을 추가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셋째, 초등학생 대상의 진로발달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개발과 관련된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sonal and school characteristics on their career development. To this end,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questionnaire method, an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main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6th grader was higher than the 5th grader by grade in career development,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residential area, the level of career development of students living in urban areas was higher than that of those who did not,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gender, female students had a higher level of career development than male students,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among the school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adaptation to school life,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career education, and the degree of academic achievement. Third,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chool characteristic variable had a greater influence on career development than the personal characteristic variabl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explanatory power of Model 2 (personal characteristic variable + school characteristic variable input) was higher than Model 1 (individual characteristic variable input) in the overall career development score and all three career development sub-domains. All three school-specific variables such as adaptation to school life , career education satisfaction ,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level of school characteristics variabl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by adding various personal, school, and community 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ools that can measure the career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초등 교사의 진로교육에 대한 교육 요구도 분석

        이건남(Lee, Gun-Nam) 한국실과교육학회 2014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7 No.2

        초등학교에서 진로교육이 강조되는 상황에서 진로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초등 교사들이 어떤 진로교육에 대한 어떠한 요구를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통하여 얻어진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교사들은 진로교육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높은 수준으로 요구하고 있다. 이는 관련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결과와 일치한다. 둘째, 향후 초등학교에서의 진로교육에 대한 기대는 높지 않았 다. 특히, 연령, 교직경력 등이 적은 집단에서 이러한 현상이 높았으며, 이렇게 인식하는 이유로 ‘관련 자료 및 시설 미비’를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셋째, 초등 교사가 원하는 진로교육 운영 형태는 ‘담임교사가 관련 연수 이수 후 운영하는 방법’이며, 진로교육 활성화를 위해 “체계적인 진로교육 연수 실시”를 요구하고 있다. 이는 초등교사는 여러 학문적 영역에 대한 동시 탐구 및 더 나아가 창의적 체험활동이나 아동들의 생활지도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지식과 기능을 학습하고, 초등교육 체제는 일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한 교사가 모든 교과를 지도하는 학급담임제를 운영되기 때문 이다. 넷째, 초등교사는 원활한 진로교육 실시를 위해 “진로교육을 위한 시간 확보”를 요구하고 있다. 이는 교육과정상에 진로교육을 위한 시수 확보가 가능하다고 하나, 현실적으로 학교 현장에서 다양한 교육 등으로 진로교육 시수확보가 어려움이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다섯째, 초등 교사가 인식하는 진로교육 영역별 교육요구도 순위 결과, ‘자아 이해’와 ‘사회적 역량 개발’ 영역에 속한 내용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자아 이해의 경우, 나를 이해하는 방법으로 직업심리검사를 활용하는데 이때, 결과 해석 등에 전문성을 요구하기 때문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진로교육 영역별로 특화된 교육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of career education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Korea. The survey included 366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in Korea. The analysis of survey results was by sex, age, teacher s experience, the in-service training experience of career education. The major findings in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 to be strengthen a higher level of career education. Seco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not high expectations of career education in the future. Third, after in-service training of career educati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 to operate career education as homeroom teacher. Four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 to be secure hours of career education for operating career education smoothly. Fif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nted competencies of self-understanding and social competency development in high level.

      • KCI등재
      • 체험환경교육의 연구동향

        이건남 ( Gun Nam Lee )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4 초등교과교육연구 Vol.20 No.-

        This Literature review provides an analysis of relevant experiential environmental education study in school. A total of 119 researches reported were analyzed to provide basic contents for experientialenvironmental educ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master``s thesis, doctor``s dissertations, and journal articles. The following seven find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⑴ Experimental study was mostly used as research methods, case study, developmental study, and qualitative study should be studied more. ⑵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studied most as the subject of study. So, preschooler, the physically handicapped, the aged should be studied more in future research. ⑶ The field of recognition and attitude were studied most as the field of study, so variable field should be studied to carry out systematic experiential environmental education. ⑷ Studies was performed to deal with environment mostly, however other field should be studied more. ⑸ Recognition and attitude were emphasized most, but recently behavior and participation are more emphasized. It means that experiential environmental education was more paid attention. ⑹ More study should be performed through doctor``s dissertations, and journal articles to improve experiential environmental education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 KCI등재후보

        대학교 4학년 학생이 인식하는 구직역량 및 교육요구도 분석

        이건남(Lee, Gun-nam)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구직을 앞둔 4학년 대학생의 구직역량을 개발을 위해 자신들이 인식하는 구직역량의 교육요구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으로 두고 있다. 이를 위해서 대학생이 인식하는 구직역량의 필요수준, 현재수준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리치(Borich) 공식을 통해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대학생들이 구직을 위해서 개발해야 하는 것과 관련하여 바꾸어야 할 인식이 어떤 것이며, 구체적으로 어떠한 구직역량을 우선순위를 두고 개발해야 하는 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4학년 대학생들이 인식한 구직역량의 현재 및 필요수준 차이를 보면, 전체, 성별, 계열별 모두에서 대체로 현재 자신이 갖추고 있는 구직역량에 비해서 앞으로 구직을 위해서 더 높은 수준의 역량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둘째, 대학생의 구직역량 신장을 위한 요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보리치(Borich) 공식을 활용하여 요구도를 계산하고 우선순위를 선정한 방식(10순위까지)으로 분석한 결과, 구직을 준비하는 대학교 4학년 학생들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신입사원 선발 단계에서 요구되는 구직지식군, 구직기술군에 속한 역량 개발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4학년 대학생의 구직역량은 기업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할 수 있다. 넷째, 연구결과로 나타난 계열별 구직역량 교육요구도 결과를 반영하여 계열별 취업지도 전략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of university senior’s employment competenc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eeds level and current level of employment competency perceived by university seniors, then analyze educational needs by using Borich’s formul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university seniors perceived needs level of employment competency than current level of employment competency. Second, the result of using Borich’s formula, university seniors wanted competencies of employment knowledge and employment skill groups required in the recruit step. Third, level of employment competency of university seniors may not be able to meet the needs of corporations. Forth, using the result of the educational needs of university senior’s employment competency, employment coaching strategies will have to be established. by depar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