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흥천사 극락보전의 재건역(再建役)과 장엄(莊嚴)에 관한 연구

        이강근 ( Lee Kang Kun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21 강좌미술사 Vol.57 No.-

        흥천사에는 대웅전 중창 이전 두 시기에 걸쳐 각기 다른 법당이 세워져 있었다는 사실이 2016년 극락보전을 수리할 때 나온 3건의 지본 상량문으로 확인되었다. 현 흥천사(興天寺) 극락보전(極樂寶殿)은 1853년(철종 4) 3월에 완공되었는데, 1854년 4월에 단청을 하고 나서 적은 상량문에는 ‘신흥사대웅전(新興寺大雄殿)’이라고 적혀 있다. 또 1885년(고종 22)에 건물 내부를 중수할 때에는 ‘흥천사 극락보전’으로 기록하였다. 신흥사가 흥천사로 바뀐 때는 1865년(고종 2), ‘대웅전’이 ‘극락보전’으로 바뀐 때는 아미타불회도를 봉안한 1867년인 듯하다. 그런데 사명(寺名)과 전호(殿號)는 그 뒤에도 지속적으로 혼용되었다. 현재 극락보전 내부에는 1867년에 조성된 불단에 삼존상, 후불벽에 아미타불회도, 좌우 측벽과 불단 우측 뒷벽에 여러 불화들이 가득 봉안되어 있다. 이들 가운데 우협시보살상은 사중에 전래되어 온 것이나, 본존상과 좌협시보살상은 다른 사찰에서 옮겨온 것이다. 후불벽에 봉안된 아미타불회도와 좌우 측벽과 불단 향우측벽에 봉안된 여러 불화들은 대방을 중창한 지 2년 뒤인 1867년(고종 4)에 조성하여 봉안한 것이다. 천개는 1900년에 단청을 중수할 때 새로 만들어 올린 것이다. 현재 극락보전의 내외 장엄, 구조와 장식, 형식과 양식에 커다란 변화가 일어날만한 계기는 없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흥천사 극락보전은 19세기 중엽을 대표하는 불전 건물로 보아도 무리는 없을 것이다. 19세기 후반에 50년 가까이 진행된 불사를 거치면서 크게 중흥된 흥천사에는 지금도 놀라울 만큼 많은 기록물들이 문서와 현판의 형태로 남아있다. 그러나 아직 완벽하게 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한 부분이 남아 있다. The fact that different Buddhist Main Halls were built in Heungcheonsa Monastery over two periods before the reconstruction of Daeungjeon Hall was confirmed by three Sangryangmun made of paper that came out when Geungnakbojeon Hall was repaired in 2016. The current Heungcheonsa Geungnakbojeon Hall was completed in March 1853 (King the 4th year of Cheoljong's reign), and the Sangryangmun, which was written after painting dancheong in April 1854, reads "Shinheungsa Daeungjeon." In addition, when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was remodeled in 1885 (the 22nd year of King Gojong's reign), it was recorded as Heungcheonsa Geungnakbojeon. Sinheungsa was changed to Heungcheonsa in 1865, and Daeungjeon was changed to Geungnakbojeon in 1867, when the Amitābha Buddhist Painting was enshrined. However, even after the name of the temple and the name of main Buddhist Hall were changed, they were continuously used interchangeably. Currently, the inside of Geungnakbojeon Hall is almost filled with Main Buddha statue of the altar, Amitābha Buddhist Painting on the back wall and various Buddhist paintings on the left and right sidewalls. Among them, the statue of Right Attendant Bodhisattva was handed down to this monastery, but the statue of Main Buddha Statue and the statue of Left Attendant Bodhisattva were moved from other temples. The Amitābha Buddhist Painting enshrined on the back wall and various Buddhist paintings enshrined on the left and right sidewalls and on the right sidewalls of the altar were painted and enshrined in 1867 (the 4th year of King Gojong's reign), two years after the construction of Daebang. The Canopy was newly built when Dancheong was repainted in 1900. Currently, it is judged that there was no opportunity for major changes to the internal and external structure and decoration, form and style. Therefore, the Geungnakbojeon Hall of Heungcheonsa Monastery is a representative Buddhist monasyery building in the mid-19th century. Heungcheonsa Monastery, which was greatly revived after nearly 50 years of Buddhist reconstruction in the late 19th century, still has surprisingly many records in the form of documents and signboards. However, there are still record data that have not been fully investigated.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근대기(近代期) 창덕궁(昌德宮) 건축의 변천에 대한 연구

        이강근 ( Kang Kun Lee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4 강좌미술사 Vol.42 No.-

        현존하는 창덕궁은 태종 5 년(1405) 이래 600 여 년 동안 끊임없이 변화를 겪으며 오늘에 이르렀기에 역사의 여러 층위를 담고 있다. 조선전기의 창덕궁은 1592 년 임진왜란 당시 왜군의 방화로 소실되어 흔적도 없이 사라졌기 때문에 건물과 시설이 전혀 남아있지 않아서 그 모습을 알 수 없다. 광해군 1 년(1608 년)에 재건된 창덕궁은 260 년간 조선후기 왕조의 정궁 역할을 하면서 이궁인 경희궁과 함께 조선후기 왕조사의 중심 무대로 발전하였다. 1833 년의 대화재로 내전 일곽이 전소되기는 하였지만 곧이은 복구공사로 대부분 회복되었다. 1867 년에 경복궁 중건이 완료되고 高宗이 경복궁으로 이어하면서, 정궁으로서의 역할은 없어졌지만, 1896 년 아관파천으로 경운궁이 새로운 왕궁으로 활용되기 전까지는 경복궁과 더불어 이궁으로서 양궐체재의 한 축을 이루며 운영되었다. 임오군란, 갑신정변, 동학혁명 등 국내적 혼란과 청일전쟁으로 대표되는 대외적 혼란 사이에서 왕궁의 정상적인 운영은 점점 어려워져 갔다. 이런 와중에 연경당이 새롭게 지어지고 함녕전으로 개칭된 수정전의 일곽에 동, 남, 북 세 별당이 세워지는 등 새로운 모색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그와 더불어 창덕궁의 중희당과 집옥재를 경복궁으로 이건해야 하는 일도 벌어졌다. 그렇지만 1903 년의 수리계획 문서를 보면 그때까지 창덕궁은 대체로 제 모습을 유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1907 년에 순종이 즉위하고 나서 순종의 이어처로 결정되면서, 창덕궁은 일제 통감부의 치밀한 계획 아래 일본인의 손으로 철거, 훼손, 개조되었으며, 궁역 가운데 창경궁과 후원은 모두 일반에게 개방되는 동물원·식물원·박물원과 공원으로 전락하였다. 나라를 잏은 황제는 나인 6 명의 보살핌을 받는 나약한 존재로 전락하였으며, 그가 독차지할 수 있는 영역 또한 창덕궁내의 지극히 좁은 영역으로 한정되었다. 인정전 영역은 알현소로 개조되어 정치적 역할을 완전히 잃은 사적 공간으로 변질되었으며, 인정전 둘레의 행각은 왕실의 행사장으로 사용하기 좋도록 완전히 다시 지어졌다. 인정전과 편전인 선정전 사이의 연결은 더 이상 필요 없게 되었으며, 오로지 침전과의 연결을 위하여 일본식 편복도가 첨설되었다. 정치를 보좌하던 궐내각사는 모두 헐리고 그 대신에 궁내부청사가 세워져 순종 황실의 사무를 처리하였다. 1907 년부터 1910 년 사이에 벌어진 끔찍한 변화의 모습은 아직도 치유되지 않은 채로 창덕궁 곳곳에 남아 있다. 이러한 흔적을 지우지 않고는 창덕궁의 온전한 회복을 말할 수 없다. In this essay, I study about the architectural change of Changdeokgung Palace in the 2nd latter part of Late Joseon Dynasty, 1834~1910(from the King Heonjong to King Sunjong) There are three main texts in studying Changdeokgung Palace. The first text is Dongkwoldo(東闕圖) pictured in 1928-1930, the second text is Gungkwolji(宮闕志) written in 1834-1846, the last one is Dongkwoldohyung(東闕圖形) drawn in 1907-1910. We don`t know about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day, 1846-1907 because of lack of documents. This treatise is firstly focusing on the question why and when the architectural complex of Changdeokgung Palace was intermittently or continuously changed. Second, this treatise is elucidating the cause of change in architectural composition of Changdeokgung Palace in Sunjo`s reign, 1907-1910. The Nakseonjae, Seokbokheon was built by King Heonjong and Sukangjae was remolded by Him. This Nakseonjae comlex was a bedroom of King and his royal family. The Yeongyeongdang built by King Cheoljong or King Gojong is a Korean gentry`s house which totaled 99kan. King Gojong shifted Jungheedang and Jipokjae from Changdeokgung Palace to Gyungbokgung Palace in 1891. Jipokjae was a library collecting Chinese Books which has two stories. In 1896, King Gojong moved from Gyungbokgung Palace to Gyungungung Palace because of Japanese threat of death. But in 1903-1904 he hope moving from Gyungungung Palace to Changdeokgung Palace and made a detailed plans to repair all buildings and palace walls. In 1907 before King Sunjong`s moving from Gyungungung Palace, Changdeokgung Palace was remodeled and demolished by the Japanese Resident-General.

      • KCI등재

        토함산 석굴에 대한 건축사적 해석

        이강근 ( Kang Kun Lee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6 강좌미술사 Vol.46 No.-

        경주 토함산 석굴이 한국예술사에서 차지하는 높은 위상에 대해서는 누구도 부인하지 않는다. 석굴 내부에 모셔져 있는 불상의 완벽한 아름다움과 조화로운 구성, 그것을 둘러싼 내부공간의 장엄한 분위기 등은 많은 이들로 하여금 그 비밀의 해석에 열중하도록 만들었다. 그리하여 그 위치설정이 동 해 대왕암(문무왕의 수중릉)과 유관하다는 점, 석굴의 평면과 입면이 본존불의 크기를 기준단위로 하여 조화로운 비례를 이루도록 설계되었다는 점 등이 역설되었다. 여기에 더하여 한국건축사상 의 의는 전무후무한 새로운 구조 즉 도움(Dome)으로 설계되었다는 사실이다. 원형 평면과 이를 둘러 싼 원형 벽체에 원형 도움 천정을 얹음으로써 완성된 새로운 건축은 완벽한 불세계를 지향하던 당시 불교계에 이상적인 석굴사원으로 제시되었다. 당시에는 석조건축의 천정을 해결하기 위해서 주로 말각조정식(모서리내쌓기) 축조법을 사용하였다. 돌방무덤은 물론 서역의 축조식 석굴사원에서도 크게 이 천정이 널리 유행하였다. 따라서 석 굴암처럼 원형 평면에 입체적인 반구형 천정을 쌓아올린 도움 구조는 실험적인 시도의 결과였다. 그러나 천정의 정점부에 덮개돌을 얹는 순간 붕괴 사고가 일어났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별히 고안된 방법이 쐐깃돌을 천정의 여러 곳과 덮개돌 둘레에 설치하는 것이었다. 못처럼 생긴 쐐깃돌을 고안하여 못 머리 부분은 천정 아래로 향한 채 천정돌을 받치게 하고, 못 뿌리 부분은 천정 속에서 큰 돌에 눌린 채 천정 돌을 치켜 올리는 역할을 하도록 고안함으로써 거대한 석조 도움 지붕을 성공적으로 쌓아올릴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이 도움 구조는 신라건축은 물론 고구려 건축, 백제 건축에서도 과거에 사용된 적이 없기 때문에, 학계에서는 외국인 건축가나 외국 건축기술의 결과로 설명하려는 경향이 있어 왔다. 그러나 건축기술 특히 구조기술은 사전 준비 없이 단기간에 유입되거나 적용할 수 있는 게 아니다. 석굴암은 원형 벽체, 벽체 상부 받침돌 위에 틀어 올린 도움 구조물과 도움 천정 정상부의 거대한 덮개돌 등이 구조적으로 문제없이 축조되었기 때문에 붕괴되지 않고 버틸 수 있었던 것이다. 구조물 아래로부터 각 축조 단계에 적합한 축조 기술이 적용되었을 것이고, 이 기술은 신라건축기술의 발전과정에서 이 미 개발되고 적용되어 온 일반기술이지 석굴암에만 적용된 특수기술은 아니었을 것이다. 8 세기 후반에 석굴암을 굴착식 석굴이 아니라 조적식 건축으로 축조할 수 있었던 데는, 신라 석 조건축의 사적 전개 과정에서 발전된 다양한 건축술이 성공적으로 적용되었기 때문이다. 아울러 건 축의 아름다움을 실현하는 데 바탕이 되었던 비례이론이 나정 유적 평면, 망덕사지 목탑 평면의 구성을 거치면서 더욱 발전된 형태로 석굴암의 평면 구성과 입면 구성에 조화롭게 적용될 수 있었다. 또 고구려 석실분의 천정 축조 과정에서 보이는 기술의 발전이 마침내 천왕지신총에 이르러 목조와 석조건축을 결합한 ``3 단 도움`` 형식으로 개화되었던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신라의 석조건축술은 삼국통일을 계기로 백제와 고구려의 석조건축술과 결합하여 한 단계 높은 건축술로 도약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리하여 신라 동궁과 월지의 조성, 감은사 석탑 건립, 월정교 축 조를 계기로 다져진 석조건축술이 8 세기 후반에 석굴암과 불국사 건설에 훌륭한 밑거름이 되었던 것이다. 즉, 석굴암은 외래 건축가와 건축기술의 도입으로 단 한 번만 이룰 수 있었던 신비로운 건축이 아니라, 신라 건축술의 창의적인 디자인이 가능케 했던 새로운 석조건축인 것이다. Architectural history has evolved with the progress of construction technology. Modern architecture in the West, in particular, has been developed on the basi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that resulted from the Industrial Revolution. Developing an architectural structure of a new style can be successfully conducted only after obtaining complete technological knowledge via experiences. The birth of new architecture takes place only after a matrix has formed via experimentation with new technologies. However, no one can say that experimental effort always results in success. Good fortune may bring success in one``s first attempt, but that does not guarantee that it will bring the same results in actual works. That is why we sometimes witness an unexpected catastrophe in construction projects. Even today, it is not uncommon for Korean architects to invite experts from overseas to prevent such misfortune when they attempt new construction works. The status of Seokguram in Korean architecture is unique, and many art historians argue that it is one of the finest architectural achievements in the world; the perfect Buddha image enshrined at the center of the hall, the layout of the stone deities surrounding the Buddha, and the structural grandiosity that creates a solemn religious atmosphere are among the elements the building is praised for. Some add that the perfect location, particularly in connection with Daewangam ("Rock of a Great King") which is known as the "underwater tomb" of King Munmu, and the proportion and balance between the principal Buddha image and the spatial dimension of the hall are also worthy of praise. One might argue that the most striking feature of this man-made grotto is the vaulted roof of its main hall, since Korea had no precedent of such construction until then. Art historians believe that the new architectural structure consisting of a circular plane with its matching dome was suggested to the Silla people as an ideal grotto temple for representing the world of Buddha. If that was the case, what difficulty did they have in the course of materializing their vision of the perfect Buddhist temple? Was the construction of the temple actually completed in just one attempt thanks to one architectural genius as it was recorded and as an ancient history book outlines?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Samguk Yusa) had this to say about Seokguram: "[He] built Bulguksa ("Temple of Buddhist Land") for the parents of this world, and Seokbulsa ("Temple of Stone Buddha") for the parents of the other world "When he was carving a large stone canopy to enshrine a stone Buddha, the stone suddenly split into three parts. Dae-seong Kim was vexed at this and then fell into a deep sleep. At that time a heavenly deity descended and completed it before returning." Seokbulsa in this record means today``s Seokguram at Tohamsan Mountain. Then, we can surmise that the builders of the grotto incurred a major accident in constructing the vaulted roof (the canopy in the record). What is interesting here is that the dome was completed in a single night, not by Dae-seong Kim who was in charge of the construction, but by a deity sent from the Buddhist paradise. The ceiling of today``s grotto has its lotus-shaped capstone divided into three parts. This tells us that the record is not very far from the truth, although one can plausibly argue that the mention of the heavenly being was fabricated for religious purposes. What is certain here is that the builders had a difficult time in the construction of the dome. The typical ceiling of stone structures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was the corbelled vaulted ceiling, a style that had widely spread from the grotto temples in the Near East to the stone-chamber tombs of Goguryeo. However, building a hemispheric ceiling with stones over a circular floor plane was surely a new venture at the time. We can then infer from the record that the accident, in which a large stone fell from a 9m height and split into three parts, took place at the very moment when the builders were attempting to top the vaulted ceiling with a single capstone. Then, how were they able to complete the building after the accident? The size of the capstone (2.47m in diameter at the lower part, 3m in diameter at the upper part, and 1m in thickness) tells us that it must have weighed about 20 tons. That it still retains the three-part split reveals that they must have used the same stone they had dropped in the earlier effort. Topping the ceiling with a split capstone should have been a far more difficult task than using a new, unimpaired stone. But they succeeded in using the old stone. How did they accomplish this? The builders under the leadership of Dae-seong Kim thought that a solution may lie in using wedge-shaped stones. Hence, they put a number of "wedge stones" all over the ceiling including at both ends of the capstone. Carved in the shape of a nail, these stones were designed to support the capstone by being squeezed between other stones forming the ceiling. The result was so incredible that they thought it was achieved not by their concepts and efforts, but by the intervention of some heavenly deity. Gradually, their success became legendary to later generations who believed by the time the history book was written that it was a work of a heavenly being rather than human beings. For today``s art historians, the builders who invented a new principle of structural dynamics are the ones that should be praised. It was a triumph achieved through the unyielding spirit of great architects.

      • KCI등재

        城東洞 殿廊址의 성격에 대한 再照明

        이강근(Lee Kang Kun) 한국고대학회 2013 先史와 古代 Vol.38 No.-

        경주시 성동동에는 사적 제88호로 지정되어 있는 ‘성동동전랑지’라는 유적이 있다. 1937년 일본인 사이토오 타다시가 기초 발굴을 한 이래 문화재로 지정․보호받아 왔는데, 1993년 이전까지는 추가 발굴조사도 유적의 성격을 밝혀줄 연구도 진행되지 않았다. 발굴책임자인 사이토오만이 1973년과 1978년에 각각 저서를 출간하면서 재록하거나 재론하였을 뿐이다. 그러던 중 1993년에 이 유적지 서편에 도로개설계획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그 전제 조건으로 발굴조사가 진행되었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의 9개월에 걸친 조사는 이 유적에 대한 최초의 본격적 발굴조사이어서, 1937년 기초 발굴의 내용을 크게 보완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1937년에 확인된 유적지 규모는 동서 180m, 남북 100m였는데, 1993년에 그 서편에 동서 45m, 남북 130m 규모의 터를 더 발굴, 새롭게 유구를 확인함으로써 유적의 범위는 사방으로 더 확대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나아가 전체 유구의 평면이 5개의 중정을 동서로 병렬한 좌우대칭적 형식이며, 3칸×3칸 평면의 정사각형 건물지가 그 한 복판에 배치되어 있다는 사실이 새삼 확인되었다. 중정을 남북으로 병치시켜 구성하는 것이 동아시아 궁궐 건축의 전통적 속성이라면, 그 중심에 높은 토단을 쌓고 세운 정방형 건물의 구실은 과연 무엇이었을까. 만일 이 건물지의 성격을 알 수 있다면 유적 전체의 성격 구명에 한 걸음 다가설 수 있을 것이다. 이 논고는 그러한 문제를 다루었다. In this essay, I study about a historic site named "Sungdongdong Jeolrangji(城東洞殿廊址)" in Gyeongju protected as Historic Site 88 under the name of "Old Building Site in Seongdong-dong, Gyeongju." by the law of the Government of Korea. In 1937 when the maintenance work of the bank of Bukcheon was done, the vestiges of a dirt platform was found, which made historians guess that a temple stood there long ago. A Japanese excavator "Saito Tadashi(齋藤 忠)" excavated this site in part and wrote a brief report. As a result of first excavation, the site of six halls, the site of six long corridors, the site of two doors and the site of three fences were found and besides site of two draining facilities made of earth and tile and site of one well were ascertained. The excavated relics were tiles and bowls. Judging from the relics and the site of building it seemed to had been a government office or the mansion of the noble of the Unified Silla Era. After excavation this site soon has designated as a 'historic site'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No one went through additional excavation, moreover no studies and no researches were carried out untill 1993. Only one man 'Saito Tadashi' just written about this site in his book that is recorded and republished. In 1993, the additional excavation had started, as a reason of pre-inspection before establishing the road in the west side of put royal courts at. The research that led by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 was a great opportunity to supplement the previous research since it was the first genuine excavation. According to the excavation in 1937, the scale of this site was 180m from east and west, 100m from south and north. In 1993, the researchers discovered more space, 45m from east and north and 130m from south and north. This investigation has shown that the whole scale of the historical site could be expanded dramatically. Moreover, the whole plan is composed of 5 longitudinal courts with bilateral symmetry and there is a 3×3 building called 'Myung-dang' at the center of the layout, As a rule the traditional plan of East-Asian palaces was to put royal courts at north-south direction axis around the central main hall. And now in "Sungdongdong Jeolrangji" what was the square building that was placed at the center of cenrral court? If we can figure out what was the square building for, we can easily get close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ngdongdong Jeolrangji." I asserted that this site is the Royal Palace of Unified Silla Period and the central square building seemd to be "Ming T'ang(明堂)." And yet I can not mention how Ming T'ang actually administered and managed in Unified Silla Era because of lack of documents.

      • KCI등재

        대한제국 이전 고종 재위기 궁궐내 외교장소와 접견의례의 변화

        이강근(Lee, Kang-Kun)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18 서울학연구 Vol.- No.72

        이 硏究의 目的은 朝鮮王朝 高宗 在位期의 宮闕內 外交場所의 變化 樣相과 그 原因을 밝히는 데 있다. 高宗 在位期 가운데 大韓帝國 以前 時期인 1863년~1895년에 限定하여, 相互條約을 맺고 漢城에 外交 公館을 설치한 駐在國 外交官을 對象으로 宮闕內 어느 場所에서 어떤 儀禮가 進行되었는지를 고찰하였다. 外交活動의 質的 變化가 일어나는 1880년을 境界로 두 時期로 나누어 고찰하되, 1863년~1879년까지를 前半期, 1880년~1895년을 後半期로 명명하였다. 즉 前半期에는 淸나라에서 온 使臣으로부터 勅書를 받고 接見하는 儀禮가 國王이 臨御한 宮闕의 正殿에서 거행되었으며, 昌德宮 仁政殿, 景福宮 勤政殿, 慶熙宮 崇政殿, 昌慶宮 明政殿 등이 그곳이다. 그러나 後半期에는 1876년 日本과의 修好條約을 契機로 各國의 外交公館이 漢城府 안에 設置되었고, 1880년 11월 昌德宮 重熙堂에서 日本公使를 接見한 것을 信號彈으로 하여 駐在國 公使나 領事를 國王이 宮闕 안 建物에서 接見하는 일이 잦아지게 되었다. 그런데 國王이 昌德宮에 臨御한 時期에는 주로 昌德宮 便殿, 重熙堂, 熙政堂 등이 接見場所로 活用되었지만, 國王이 景福宮으로 移御한 1885년부터는 景福宮內 峨嵋山 以北의 大妃 寢殿, 王大妃 寢殿, 大王大妃 寢殿등이 29回나 接見 場所로 활용되었다. 또 1890년 以後부터 1895년 俄館播遷으로 景福宮을 비우기 前까지는 再建이 完了된 康寧殿, 交泰殿 領域에서 10餘 回의 接見이 擧行되었고, 香遠池 周邊의 乾淸宮과 長安堂, 集玉齋와 寶賢堂, 集慶堂과 咸和堂 등 大內 別堂에서 40여 回의 接見이 이루어졌다. 이렇듯 朝鮮의 首都 漢城에 設置한 公館에 駐在하는 外交官이 朝鮮의 國王을 陛見하는 外交 節次와 儀禮는 1880년 11월 이후에 새롭게 시작된 것이며, 조선시대 交隣 外交의 節次와 儀禮를 參酌해 만들어진 것이었다. 그러나 國王이 西洋 여러 나라의 儀禮에 關心을 表明하고 이를 反映하는 過程에서 점차 拜禮를 廢止하고 손 인사와 서서 하는 揖禮로 간소화하였다. 接見儀禮의 簡素化로 接見場所를 便殿이나 便殿 性格의 건물에서 해야 할 必然性은 줄어들었으며, 大內의 別堂에서도 얼마든지 거행할 수 있는 의례로 변경되었다. 昌德宮에서 景福宮으로 移御했을 때에는 便殿이나 寢殿 영역이 燒失되어 있는 상태였기 때문에, 國王 高宗이 接見場所로 선택할 수 있었던 곳은 외교장소로는 한번도 사용한 적이 없었던 大內의 寢殿이나 別堂이었다. 물론 大內의 寢殿이나 別堂을 고루 外交活動의 舞臺로 사용한 것은 완전히 새로운 宮闕 運用方式이었다. 大內 깊숙이 外臣의 발길조차 허용하지 않던 곳에 外國의 外交官이 자주 드나들면서 景福宮 全體가 政治的인 空間으로 탈바꿈되었고, 傳統的인 宮室制度의 二分法은 그 意義를 喪失하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hanges of the diplomatic places in the Royal Palaces that occurred during the reign of King Gojong of the Joseon Dynasty prior to the Daehan Empire. And it was limited to the period from 1863 to 1895 to examine the ceremonies of meeting the diplomats of the foreign countries who established mutual treaties and established diplomatic missions in Hanseongbu District. On the basis of 1880, when the qualitative changes in diplomatic activities took place, the period was divided into two periods, from 1863 to 1879 in the first half, and from 1880 to 1895 in the latter half. In the first half, a diplomatic ceremony was held at the main hall of the Royal Palace, where the king received an imperial rescript from the envoy from the Qing Dynasty. It is here such as Injeongjeon in Changdeokgung, Geunjeongjeon in Gyeongbokgung, Myungjeongjeon in Changgyeonggung, Sungjeongjeon in Gyeonghuigung. In the second half of the year, however, diplomatic missions of each country were established in the Hanseong District after signing the Korea-Japan treaty of 1876. And in November 1880, Joonghuidang in Changdeok Palace was firstly used as the place of an official meeting with foreign minister. During the period when the King Gojong was in Changdeok Palace, Pyunjeon, Joonghuidang and Huijeongdang were used as the places of official ceremonies with diplomatic missions. However, from 1885 when the King Gojong moved from Changdeok Palace to Gyeongbok Palace, until 1890, Hungbokjeon and Mangyeongjeon were used as an official meeting place 28 times. From 1890 onwards, until 1895, over ten formal interviews were held in the Kangnyeongjeon and Gyotaejeon. And over forty formal ceremonies were held in Geoncheonggung, Changandang, Jibokjae, Bohyundang, Jibgyeongdang and Hamhwadang. The diplomatic process and ceremony was newly started after November 1880 and was made based on the procedures and rituals of the Joseon diplomacy. However, in the process of expressing interest and reflecting the ceremonies of the western countries, the King gradually reduced the traditional process of ceremony and reflect the ceremonies of Western countries. As a process of an official ceremony has simplified, the conditions which the place or building for ceremony are reduced. So an official ceremony can be held at some buildings in Royal Palace. Of course, it was a completely new palace management system. As a foreign diplomat frequently come in and out the Royal Palace, which did not even allow a loyal subject to go inside, the whole of Gyeongbok Palace was transformed into a political and diplomatic space and the traditional archaic layout -the front the public or political space, the rear the private or residential space- lost its signific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