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상의 또 다른 얼굴, 이데올로기 : 이데올로기의 우상화와 우상적 기능에 대한 비판

        윤형철 ( Yoon¸ Hyung Chul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20 생명과 말씀 Vol.28 No.3

        나무와 돌로 만들어진 우상이 사라진 현대에서 우상은 이데올로기의 가면을 뒤집어쓴다. 본래 이데올로기는 마르크스주의와 구조주의 철학에서‘인간과 사회를 그릇된 방향으로 규정하고 제약하는 이념’을 가리키는 용어였다. 알튀세르는 사람이 특정한 세계에 참여하는 한 지배당하고 포섭될 수밖에 없는‘이데올로기적 국가기구’의 존재를 지적한 바 있다. 20세기에 사회적, 정치적 이론의 도구로 등장했던 이데올로기는 전통적 종교의 영향력이 약해진 틈을 타 종교가 담당했던 세계관의 기능을 탈취하였다. 유사종교화된 이데올로기는 그 아래 포섭된 사람들을 허구와 위선 속에 가두고 욕망과 추구의 대상, 즉 우상으로 등극하였다. 종교화된 이데올로기는 다음 세 가지 방식으로 우상의 힘을 발휘한다. 첫째, 이데올로기는 자기지시적, 자증적, 자기변호적, 자기확신적 신비화 과정을 통해 역사적이고 상대적인 것을 초역사적이고 초월적인 것으로 절대화한다. 물신화된 자본주의나 나치의 국가주의 우상은 이런 과정을 거쳐 태동했다. 둘째, 이데올로기는 그 안에 포섭된 사람에게 현실에 대한 허상을 심어 현실 인식을 왜곡시키고, 더 나아가 해석학적 왜곡을 합리화하게 만든다. 이데올로기에 의해 인식과 해석과 성향이 왜곡된 사람은 이데올로기의 의지와 자신의 의지를 동일화하여 이데올로기를 맹목적으로 추종하고 열성적으로 실행한다. 셋째, 이데올로기는 인간의 모방성향과 형상화 특성을 오용하여 인간의 기질과 습관과 행위를 그릇된 방향으로 형성한다. 현대의 사상가들이 밝혀냈듯이 인간은 자신 바깥의 중개를 통해서 모방하고 욕망하고 추구하면서 그것을 반영하고 닮아간다. 교회와 그리스도인은 복음의 메시지와 신앙고백이 이데올로기적 표명으로 변질하지 않기 위해 현대의 우상인 이데올로기를 분별하고 대항해야 한다. In modern times when idols made of wood and stone disappeared, another face of the idol appears as ideology. Ideology was a term used in Marxism and structuralist philosophy to refer to the idea of defining and constraining humans and society in the wrong direction. Althusser pointed out the inevitability of“ideological state organization”that would rule and subsidize a person as long as he/she may participate in a particular world. Ideology, which emerged as a tool of social and political theory in the twentieth century, seized the function of the worldview held by religion through the weakening of the influence of traditional religion. The quasi-religious ideology is the confinement of those subordinated in fiction and hypocrisy to the object of desire and pursuit. There are three ways in which religious ideology exerts the power of idols. First, ideology would absolutize the historical and relative into a historic and transcendental through the process of self-referential, self-authenticating and self-affirming mystification. Fetish capitalism or Nazi nationalist idols were born this way. Second, ideology distorts reality perception by injecting illusions about reality into those who are embedded in it, further justifying hermeneutic distortion. A person whose perception, interpretation, and disposition is distorted by ideology, identifies the will of his ideology and his will, blindly follows ideology and executes it enthusiastically. Third, ideology misuses human imitation tendencies and shaping traits to form human temperaments, habits, and actions in the wrong direction. As modern thinkers reveal, human beings imitate, desire and pursue something through mediation outside of them to reflect and resemble it. Churches and Christians who practice true godliness must discern and oppose ideology, the modern idol, in order that the gospel message and confession of faith will not turn into ideological manifestations.

      • 청정 암모니아 생산 현황 및 전망

        윤형철(Hyung Chul Yoon) 한국에너지기후변화학회 2021 한국에너지기후변화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1

        암모니아는 최근 탄소중립을 위한 무탄소 연료 및 해외 그린수소 도입을 위한 수소 캐리어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암모니아(NH3)는 17.6 wt%의 수소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온 10bar 또는 -33oC 상압에서 액체이고, 동일 부피의 액체수소 (-253 oC) 보다 1.7배 더 많은 수소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암모니아는 HHV 기준 22.5 MJ/kg의 발열량을 가지고 있다. (메탄올:23 MJ/kg, 역청탄: 32.6 MJkg). 암모니아는 현재 연간 1.8억 톤 이상 생산되고 있으며, 해상으로 연간 2천만 톤 이상이 운송되고 있어 암모니아 육상 및 해상운송 인프라는 이미 갖춰져 있다. 현재 암모니아는 천연가스에서 생산한 수소와 공기 중에서 분리한 질소를 고압 (150 ~ 300 bar)및 고온 (400 ~ 500oC)에서 반응하여 1,000 ~ 3,000 ton/day 규모로 상업적으로 생산하고 있다. 현재의 그레이(브라운) 암모니아는 천연가스를 수소의 원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다량의 온실가스인 CO2 (연간 3억톤 이상, 1.8억톤 현 생산 기준) 배출하고 있으며, 평균 30 GJ/ton-NH3 이상의 에너지를 사용하고 있어 세계에너지 생산량의 1% 이상을 소비하고 있다. 따라서 탄소 중립을 위해 암모니아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탄소 배출없이 저에너지·저비용으로 암모니아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현재 세계적으로 수전해 연계하여 그린 암모니아를 생산하고 운송하여 수소 캐리어, 조선해운, 발전, 제철, 정유산업 등의 탈탄소를 위한 수소 공급 및 무탄소 직접 연료 활용 기술 개발 및 실증이 진행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탄소 중립을 위한 암모니아 가치사슬 중 청정 암모니아 생산 기술 현황 및 전망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성경권위에 대한 해석학적 고찰: 해석학의 삼중적 과업을 활용하여

        윤형철 ( Hyung Chul Yoon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3 성경과신학 Vol.67 No.-

        개혁주의 관점에서 볼 때, 성경은 살아있는 하나님의 말씀으로서 그 권위를 지닌다. 이는 개혁주의 성경권위담론에서 궁극적인 질문이 ‘어떻게 살아있는 하나님의 말씀을 더욱더 신실하게 경청하고 지금 여기의 삶에서 살아낼수 있는가’여야 함을 상기시켜준다. 성경권위에 대한 진정한 인식과 고백은 결국 ‘어떻게 하면 성경이 스스로 말하게 하고 우리의 가장 깊은 내면이 성경을 통해 듣는 하나님의 말씀에 의해 도전받고 재형성되고 변혁되게 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이러한 인식은 해석학적 차원이 성경권위담론의 핵심적이고 결정적인 구성요소여야 한다는 주장으로 이어진다. 현대의 철학적 해석학의 분야에서 성경권위담론을 위해 매우 적절하고 가치 있는 목소리들이 나타나고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통찰들은 해석학의 삼중적 과업, 즉 ‘해석적 우상 제거하기,’ ‘삶과의 지속적 연관성을 촉진하기,’ 그리고 ‘타자의 소리를 경청하기’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해석적 우상을 제거하는 해석학의 기술은 성경을 우리 자신의 이익과 욕망과 이해를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조작하는 것을 막고, 성경을 통해 말씀하시는 성령의 임재를 분별하게 해준다. 둘째, 해석학은 성경읽기의 우선적 목표가 무엇보다도 독자의 성품과 사고방식과 삶을 형성하고 변혁하는 것임을 강조함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구체적 삶 속에서 성경을 체현하도록 돕는다. 셋째, 해석학은 타자로서의 하나님의 말씀에 자신을 개방하여 성경의 다양성과 통일성을 존중하고, 결국에는 궁극적인 초월적 타자이신 하나님의 음성에 귀 기울이도록 돕는다. 우리가 성경을 읽고 성경의 권위를 고백하는 데 있어서, 성령은 성경뿐만 아니라 기독교 전통과도 깊이 공명되는 이러한 해석학적 통찰을 사용하여 독자로 하여금 성경 안에서 하나님이 실제로 말씀하시는 바를 깨닫게 하고, 더 나아가 성경의 실천과 실행이 그 해석에 굳게 결합하게 하신다. 따라서 현대 철학적 해석학의 중요한 통찰들을 비판적으로 활용하여 우리는 살아있는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성경의 권위를 다시금 선언하고 고백할수 있다. 이 논문을 통하여, 필자는 성경권위와 성경읽기 사이의 해석학적역동성이 회복되어야 하는 필요성을 강조하고 더 나아가 해석학적 차원이 성경권위 담론에 재통합되어야 함을 역설하고자 한다. From a Reformed point of view, Scripture claims its authority as the living Word of God. It means that a crucial question in the talk of scriptural authority should be ‘how to hear more faithfully the living Word of God and furthermore to live it here and now.’ Acknowledging and confessing authentically Scripture`s authority relates to the matter of how to let Scripture speak for itself and how to let our innermost challenged, reshaped, and transformed by the living Word of God we hear through Scripture. Upon this, we can draw a conclusion that the hermeneutical dimension must be thought of as a constitutive and critical part of the talk of scriptural authority. In the area of contemporary philosophical hermeneutics, we can recognize some relevant and valuable voices for the talk of scriptural authority. These voices and insights can be summed up as the threefold task of hermeneutics, that is, ‘removing interpretive idols,’ ‘facilitating ongoing life-engagement with Scripture,’ and ‘listening to other voices.’ Firstly, a hermeneutical art of removing interpretive idols prevents us from using Scripture as a manipulating tool to legitimate our own interests, desires, and understanding, and thus helps us to discern the presence of the Spirit speaking through Scripture. Secondly, hermeneutics emphasizes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our character, habits of thought, and life as the primary aim of reading Scripture, and by so doing facilitates the embodiment of Scripture in our concrete life. Thirdly, hermeneutics would render us open towards the Word of God as otherness and enable us to respect the plurality and unity of Scripture and eventually to listen to the viva vox Dei, the voice of the ultimate transcendent Other. For the Christian practice of reading Scripture and confessing Scripture`s authority, the Holy Spirit uses those hermeneutical insights, which seem to resonate deeply with the theological resources found in the Bible and the Christian tradition, not only in leading our interpretation to what God is really saying in and through Scripture, but also in wedding our performance of Scripture as closely as possible to our interpretation. Therefore, critically appreciating contemporary hermeneutical insights, we can reclaim and confess the authority of Scripture as the living word of God. In this study, I intend to stress the need to retrieve the dynamic hermeneutical relation between the authority of Scripture and the reading of Scripture and hence the need to reintegrate the hermeneutical dimension into the talk of scriptural authority.

      • KCI등재

        칼빈 신학을 통해 본 성경 권위와 해석의 상호관계에서 성령의 중심성

        윤형철 ( Hyung Chul Yoon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5 성경과신학 Vol.73 No.-

        후근대의 인식론적 위기 속에서 성경의 권위를 온전히 인식하고 그에 따른 신실한 해석적 삶을 살고자 애쓰는 복음주의자들에게 칼빈은 어떠한 유용성을 지니는가? 이 질문에 대한 하나의 답변으로서 본 논문은 칼빈 신학에서 성경의 권위를 어떻게 재정립하고, 성경의 권위와 해석을 어떻게 상관적으로 통합시키는지, 그리고 더 나아가 그러한 상관관계에서 성령의 핵심적 역할을 어떻게 강조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칼빈에게 성경은 죄로 인해 봉착한 인간의 인식론적 혼돈과 무능을 타개하고 하나님을 아는 지식을 가능케 한 구원경륜에서의 언약의 책이다. 성경은 무엇보다도 살아계신 하나님의 말씀이기에 신적 권위를 교회나 인간의 이성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입증(자증)한다. 하지만, 칼빈의 신학에서 성경의 자증적 권위는 성령의 내적 증거(testimonium Spiritus sancti)와 분리되지 않는다. 성령은 신자로 하여금 성경의 가르침을 하나님의 진리로 믿게 하고 구원의 확신을 갖게 한다. 마찬가지로 칼빈의 신학에서 성경의 권위와 해석은 밀접하게 연관되어서 서로로부터 떼어서 말할 수 없다. 성경의 권위는 성경의 신적 저자이자 참된 해석자이신 성령의 조명으로 그 내용을 깨달음으로써 더욱 확고히 고백될 수 있다. 칼빈이 계승한 종교개혁의 해석학적 원칙인 성경 자해석과 성경의 명료성은 성경해석에 있어서 성령의 중심성을 상기시켜준다. 성경 자해석의 원칙은 결국 하나님이 스스로 맞추어 주시는 말씀을 통해서 하나님을 뜻을 소통시키시는 성령의 해석을 가리킨다. 마찬가지로 성경의 명료성은 믿음 공동체의 해석학적 미성숙함과 연약함에도 불구하고 성경 안에서 살아있는 하나님의 말씀을 듣게 하는 성령의 능력으로만 가능한 것이라는 종교개혁자들의 확신이다. 이러한 주장을 통해서 칼빈은 성령을 교회라는 형식적 기관에 내재화하고 순치시킨 로마교회의 신학적 주장을 반박하고 바로 잡으려 하였다. 칼빈은 성령의 임재와 역사가 자신을 굳게 결속시킨 외재적인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을 통하여 이루어진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What is the relevance of Calvin to evangelical Christians, who try to chart the way beyond the postmodern epistemological crisis, for a full acknowledgement of Scripture`s authority and accordingly a more faithful hermeneutical life? As an answer to that question, in this paper I look into Calvin`s thoughts on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the authority of Scripture and its interpretation, and particularly his insight of the pivotal role of the Holy Spirit. For Calvin, Scripture is the book of covenant in the trinitarian economy of redemption, which can undo human being`s epistemological impotency by the corruption of sin and bring the actual possibility of genuine knowledge of God. Scripture is above all the Word of God. Scripture does not derive its divine authority from outside such as the church or the reason, but from itself, and thus ‘self-authenticating’. In Calvin`s thought, however, the self-authentication of Scripture is never isolated from the internal testimony of the Holy Spirit, who makes us believe the teachings of Scripture as the truth of God and leads us the trust and assurance of salvation. According to Calvin, the authority and the content of Scripture are so interrelated closely as to confirm its authority by its content illuminated by the Holy Spirit, who is the divine Author and the authentic Interpreter of Scripture. The Reformation`s hermeneutical principles of the self-interpretation and clarity of Scripture also remind us of Calvin`s emphasis on the pivotal work of the Holy Spirit. The self-interpretation of Scripture is none other than the interpretation of the Holy Spirit, through whom God`s self-accommodating Word can serve God`s self-communication. Likewise, Scripture can be clear only due to the work of the Holy Spirit, who makes it possible for the faith community to hear the living Word of God in Scripture, in spite of its hermeneutical immaturity and vulnerability. By all these, Calvin sought to rebuff and correct Roman Catholic position to domesticate and internalize the Holy Spirit within the formal institution of the church. Instead, Calvin insisted that the Holy Spirit wills to be conjoined with Scripture by an indissoluble bond, the external Word of God, and, by means of that Word, wills to make His presence and to work for the salvation of believers.

      • KCI등재후보

        칼빈의 교회직분개혁을 통해 본 기독교적 형성

        윤형철 ( Hyung Chul Yoon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9 조직신학연구 Vol.32 No.-

        이 논문의 목적은 칼빈의 교회직분개혁을 ‘기독교적 형성’(Christian formation)이란 해석학적 관점에서 재해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회직분개혁에서 드러난 칼빈의 교회론적 사고를 교회의 본질, 유형적인 구조 그리고 타자지향적 섬김의 세 가지 국면으로 고찰한다. 첫째, 칼빈에게 교회는 무엇보다 ‘하나님이 자신의 백성을 위해 세우신 신적 제도’이다. 교회의 주된 목적은 한 사람의 사고와 욕망, 습관과 기질, 성품과 행동을 하나님의 말씀에 따라 참된 그리스도인으로 형성시키는, 소위 ‘기독교적 형성(Christian formation)’을 수행하는 것이다. 둘째, 칼빈의 직분개혁은 가시적이며 공적이고 인간적이면서 사회적인 구조를 지닌 교회가 믿음공동체에 체현된 하나님의 구속이야기를 그 직분과 질서에 결합시킨 ‘기독교적 형성을 위한 예전적 몸’이라는 사실을 말해준다. 교회는 개인과 사회의 변혁을 위한 매개적 기구이기 때문에 개인과 사회의 삶이 토대로 삼는 법적, 정치적, 문화적, 윤리적 구조를 유지해야 한다. 셋째, 칼빈의 직분개혁은 교회의 유일한 머리가 그리스도시기 때문에 교회의 직분과 질서는 몸의 다양한 지체처럼 성령이 주시는 은사를 받아 위계적이지 않고 평등한 기능과 직분으로 분화되어야 함을 제시한다. 개혁된 교회에서 직분은 공적으로 검증된 은사와 결합되어야 하며, 은사공동체로서 교회는 타자지향적 본질과 세상을 위한 선교적 사명을 회복해야 한다. 이와 같이 칼빈이 단행한 제네바 교회의 직분개혁은 참된 교회의 본질과 구조와 활동에 대한 신학적이고 실천적으로 균형 잡힌 접근을 통해 ‘기독교적 형성’이라는 교회의 주된 목적에 대한 깊은 이해와 도전적인 통찰을 제공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interpret Calvin’s reform of church office from the hermeneutical viewpoint of ‘Christian formation’. To this end, Calvin’s ecclesiological thought revealed in church office reform is examined in three aspects of the church’s nature, tangible structure and other-oriented service. First, for Calvin, the church is, first and foremost, ‘a divine institution established by God for his people.’ The main purpose of the church is to carry out the so-called ‘Christian formation,’ in which one’s thoughts, desires, habits, temperament, character, and actions are formed into a true Christian according to God’s Word. Second, Calvin’s office reform tells us that a church with a visible, public, human, and social structure is a ‘liturgical body for Christian formation’ that combines the redemption story of God embodied in the faith community with its office and order. As the church is an intermediary institution for the transformation of individuals and societies,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legal, political, cultural, and ethical structure upon which personal and social life is based. Third, Calvin’s reform of office suggests that the office and order of the church, like the various members of the body, receive the gift of the Holy Spirit and that it should be differentiated into non-hierarchical, equal functions and offices, since the only head of the church is Christ. In the Reformed church, offices should be combined with publicly verified gifts, and as a community of gifts, the church must restore its other-oriented nature and its mission for the world. In this way, Calvin’s reform of the office of the Geneva church might provide a profound understanding and challenging insight into the main purpose of the church as ‘Christian formation’ through a theological and practical balanced approach to the nature, structure, and activity of the true church.

      • KCI등재후보

        성경권위담론을 위한 인식론적, 교리적, 해석학적 차원의 통합적 고려

        윤형철 ( Hyung Chul Yoon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0 조직신학연구 Vol.36 No.-

        이 논문은 성경권위에 관한 논의가 역동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담론장을 위한 조건이 무엇인지 따져서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난 세기 동안, 보수복음주의 신학의 표준이었던 구(舊)프린스턴 학파의 성경담론은, 진리를 위해서 인식론적 확실성을 요구하는 데카르트의 인식론적 토대주의에 대한 대응이었다. 특히 벤자민 워필드는 성경의 완전축자영감과 무오성 교리를 중심으로 삼은 성경담론을 통해서 ‘궁극적 진리로서 성경의 인식론적 지위’를 확보하고 성경의 외적이고 객관적인 권위를 확고히 하려고 노력했다. 구(舊)프린스턴의 성경론은 근대주의에 대한 필연적 대응이었고 인식론의 위기 속에서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성경 권위를 방어했다는 신학적 공헌을 인정받아 마땅하다. 그럼에도 인식론적 토대주의에 기반한 성경담론은 ‘인식론적 환원주의’, ‘객관주의와 주관주의의 이분법’, ‘다른 기독교 교리들로부터 분리’라는 구조적인 한계성을 지니고 있었다. 이 한계들은 성경담론을 기독교 신학의 전체 생태계에서 갈라파고스처럼 고립되는 결과를 낳았다. 근대에서 포스트모던으로의 전환적 상황을 맞이한 우리 시대의 성경 권위담론은 새로운 형식을 필요로 한다. 새로운 형식은 (1) 진리의 인식론적 토대로서의 성경본문(Text), (2) 성경을 통해 말씀하시는 신적 저자인 하나님 (Speaker), 그리고 (3)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에 귀 기울이고 신실하게 응답하는 해석적 공동체 (Hearer)를 통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삼원적 구조의 성경권위담론이 ‘성경의 권위와 해석에서 일하시는 성령의 역사’와 ‘믿음 공동체를 향한 해석과 실천으로의 부르심’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조건이 갖춰져야 한다. 첫째, 조직신학의 전 체계에서 성경담론은 고립된 서론적 위치에서 벗어나 상호적 중심지로 재배치될 필요가 있다. 성경론이 포괄적인 기독교 교리의 구조로 통합될 때 성경담론의 다양한 주제들, 즉 존재와 기능, 권위와 해석, 의미와 실천이 유기적으로 논의될 수 있다. 둘째, 새로운 형식의 성경권위담론은 근대 인식론적 토대주의가 상호 배타적으로 갈라놓은 인식론과 해석학의 관계를 회복해야 한다. 여기서 고려해야 할 해석학은 인간을 해석적 주체로 격상하여 자신의 말을 합리화하는 것이 아니라, 성경에서 하나님의 음성을 제대로 듣고자 하는 ‘말씀의 해석학’이어야 한다. 새로운 담론장에서, 참된 진리로서 성경의 인식론적 지위에 대한 신뢰가 회복되고, 성경이 말하는 삼위하나님의 구원경륜이 풍성하게 드러나며, 해석 공동체의 정체성과 기독교적 삶의 형성을 위해 말씀의 해석학이 지닌 중요성이 부각될 것이다. 그렇게 형성된 역장 위에서, 성경을 읽는 그리스도인들은 자신을 흔들어 깨우고 변화시키는 신적 담화와 수행을 경험할 수 있다. This thesis aims to present the conditions for a discourse in which discussion on biblical authority can take place dynamically. For the past century, the old Princeton School’s biblical discourse, the standard of conservative evangelical theology, was a response to Descartes’ epistemological foundationalism, which demanded epistemological certainty for truth. In particular, Benjamin Warfield tried to secure ‘the epistemological status of the Bible as the ultimate truth’ and to establish the external and objective authority of the Bible through biblical discourse centered on the notion of the plenary verbal inspiration and inerrancy of Scripture. The old Princeton’s biblical discourse was an inevitable response to modernism and thus deserves recognition for its theological contributions in defending Scripture’s authority amid an epistemological crisis. Nevertheless, the biblical discourse based on epistemological foundationalism has structural limitations such as ‘epistemological reductionism’, ‘dichotomy between objectivism and subjectivism’, and ‘separation from other Christian doctrines’. These limitations resulted in the Galapagos-like isolation of biblical discourse from the entire ecosystem of Christian theology. The discourse of biblical authority in our time, facing a transitional situation from modern to postmodern, requires a new form. The new format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following three factors integrally: (1) the text of the Bible as an epistemological foundation of truth (Text), (2) the divine author who speaks through the Bible (Speaker), and (3) an interpretative community that listens to and faithfully responds to God’s Word (Hearer). Two conditions must be met in order for the triadic discourse of Scripture’s authority to secure space for ‘the work of the Holy Spirit in the authority and interpretation of Scripture’ and ‘the call to interpretation and practice toward the faith community’. First, in the whole system of systematic theology, biblical discourse needs to be relocated to a mutual center out of an isolated introductory position. When biblical discourse is integrated into the structure of a comprehensive Christian doctrine, various themes of biblical discourse, that is, ontology and function, authority and interpretation, meaning and practice can be organically discussed. Second, the new form of discourse on biblical authority must rest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pistemology and hermeneutics, which are mutually exclusively divided by modern epistemological foundationalism. The hermeneutics to be considered here should not be to rationalize one’s own words by elevating human beings as an interpretive subject, but rather to be ‘hermeneutics of the Word’ to properly hear the voice of God speaking through Scripture. In a new discourse, trust in the epistemological position of Scripture as truth would be restored, the economy of the triune God’s salvation spoken in Scripture would be revealed abundantly, and the importance of ‘the hermeneutics of the Word’ for the formation of the identity of the interpretive community and the Christian life would be highlighted. On the force field thus formed, Christians reading the Bible can experience divine discourse and practice that shakes and transforms themselves.

      • KCI등재후보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인간됨과 인간다움의 조건에 관한 단상: 포스트휴머니즘 인간론에 대한 기독교 신학의 답변

        윤형철 ( Hyung Chul Yoon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1 조직신학연구 Vol.37 No.-

        이 글은 포스트휴머니즘의 대안적 인간론을 비판하고 기독교 신학의 답변을 제시함으로써 코로나 팬데믹 이후 회복될 교회와 세계를 위해 ‘참된 인간됨의 본질과 인간다운 삶의 조건’을 재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코로나의 세계적 대유행은 인간성에 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면서 세계관적 전환을 예고하고 있다. 특히 4차 산업혁명론자들은 과학기술이 전염병 상시화 시대의 돌파구라고 주장하며 코로나 팬데믹을 세계사적 전환의 ‘위대한 리셋’으로 삼자고 말한다. 4차 산업혁명론의 배후에는 ‘시간과 공간의 소멸’을 통해 인간의 생물학적 삶의 토대를 해체하고 인간과 기계의 융합을 통한 기술진화론적 재구성을 도모하는 포스트휴머니즘이 있다. 포스트휴머니즘은 인간과 기계 사이의 경계를 지우고 물리적 세계에 거하는 인간의 생물학적 생명을 안드로이드, 사이보그, 클론 등의 기계와 융합을 통해 기계적 생명으로 진화시키려 한다. 포스트휴머니즘에게 시간과 공간과 몸은 인간의 확장을 방해하는 요소이고 영혼은 인간과 기계의 융합에 어울리지 않는 개념이다. 이 낯선 세계관은 인간을 메커니즘으로 보고 인간의 영혼을 알고리즘으로 이해하며, 인간의 삶이 가상현실이나 증강현실을 통해서 연장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포스트휴머니즘은 우리 시대가 빚은 기술유토피아적 이데올로기이자 반기독교적 우상이다. 이에 반해, 기독교 신학의 인간론은 초월적 준거점인 창조주 하나님께 인간의 본질과 인간다운 삶이 무엇인지를 묻는다. 시간과 공간, 생물학적 몸, 그리고 물리적 세계는 인간이 그 안에서 살아가야 하는, 하나님의 선물로서 ‘주어진’ 조건이다. 하나님의 형상으로서 인간의 빛이 반영되고 비춰야 하는 곳은 바로 시간과 공간과 관계라는 언약적 질서이다. 인간다운 삶은 시간 속에서 실현되고, 공간을 오가며 맺는 관계 속에서 이뤄진다. 하나님의 형상으로서 인간은 하나님과 동료 인간과 세계와 맺는 삼중적 관계 속에서 살아가는 공동체적 인간(homo relationis) 이다. 시간과 공간의 순례자(homo viator )로서 그리스도인은 종말론적 시간과 하나님 나라를 산다. 구속의 시간과 거룩한 공동체적 관계 속에서 우리는 인간이 되고 그리스도인이 된다. 시간(時間)과 공간(空間), 그리고 그 안에서 살아가는 인간(人間)을 하나님은 소멸시키지 않고 구속하실 것이다. 결론적으로, 포스트휴머니즘의 허망한 세계관에 맞서, 기독교 신학은 시간과 공간과 관계의 장(場)이 참된 인간됨과 인간다운 삶을 위한 하나님의 언약적 질서로서 환원 불가능한 조건임을 힘주어 말해야 한다. The article aims to reaffirm ‘the essence of true humanity and the conditions of human life’ for the church and the world to be restored after the corona pandemic by criticizing the alternative anthropology of posthumanism and presenting answers from Christian theology. The global pandemic of Corona is predicting a worldview shift by asking fundamental questions about humanity. In particula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ists argue that science and technology is a breakthrough in the era of constant epidemic disease, and say that the corona pandemic will be ‘The Great Reset’ of the transformation of world history. Behi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ory is posthumanism, which dismantles the foundation of human biological life through ‘the disappearance of time and space’ and promotes technological evolutionary reconstruction through the fusion of humans and machines. Posthumanism erases the boundary between man and machine and tries to evolve human biological life in the physical world into mechanical life through fusion with machines such as androids, cyborgs, and clones. For posthumanism, time, space, and body are elements that hinder human expansion, and the soul is a concept unsuitable for the fusion of humans and machines. This unfamiliar worldview sees humans as mechanisms and understands human souls as algorithms, and argues that human life can be extended through VR(virtual reality) or AR(augmented reality). Posthumanism is a technological-utopianism ideology and an anti-Christian idol invented by our time. On the other hand, the anthropology of Christian theology asks the Creator God, the transcendent reference point, what human nature and human life are. Time and space, the biological body, and the physical world are the ‘given’ conditions as a gift from God through which humans must live. It is the covenant order of time, space, and relationship that human light should be reflected and illuminated as the image of God. Human life is realized in time and in a relationship that goes back and forth between spaces. As Imago Dei, human is a homo relationis, living in a threefold relationship between God, his/her fellow human, and the world. As a pilgrim of time and space(homo viator), Christians live eschatological time and the kingdom of God. In the time of redemption and holy communal relationship, we become human and Christian. God will redeem time, space, and humans living in it without extinguishing it. In conclusion, against the vain worldview of posthumanism, Christian theology must emphasize that the field of time, space, and relationship is an irreducible condition as God’s covenant order for true humanity and human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