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욕기 출혈의 경도관 동맥색전술의 유용성

        고기영,성규보,윤현기,Go, Gi-Yeong,Seong, Gyu-Bo,Yun, Hyeon-Gi 대한영상의학회 2003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8 No.6

        목적: 산욕기 출혈을 치료하는 데 있어서 동맥색전술의 효용성과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고식적 치료로 지혈되지 않는 500 ml 이상의 산후 출혈로 인하여 동맥색전술을 시행받은 25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우측 대퇴동맥을 천자하여 양측 내장골동맥 조영술을 시행하여 출혈동맥을 색전한 후 측부혈류에 의한 재출혈을 방지하기 위하여 반대측 내장골동맥의 전방구역 또는 자궁동맥을 추가로 색전하였다. 출혈동맥이 보이지 않은 경우에도 제왕절개술 후의 출혈인 경우 양측 내장골동맥의 전방구역을, 그 외의 경우에는 양측 자궁동맥을 색전하였다. 사용한 색전물질은 코일, 젤폼 또는 폴리비닐알콜 입자 등이었다. 시술 후 질 출혈의 지속 여부,합병증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혈관조영술 상 출혈 부위가 확인된 경우는 13예(52%)였으며, 출혈 동맥은 일측 (n=10) 또는 양측 (n=2)자궁동맥, 일측 질동맥 (n=1)이었다. 색전술 후 12명(92%)은 질 출혈이 소실되고 회복되었으나, 1명은 질 출혈이 지속되어 자궁적출술을 시행받았다. 혈관조영술 상 출혈 부위를 찾을 수 없었던 경우는 12예(48%)였으며 색전술 후 11명(92%)은 회복되었으나, 1명은 패혈증이 악화되어 사망하였다.2명에서는 각각 색전술 12, 13일 후 재출혈이 발생하여 자궁절제술을 시행받았다. 결론: 동맥색전술은 고식적 치료로서 지혈되지 않는 산욕기 출혈의 치료방법으로서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방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assess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for the treatment of massive postpartum bleeding. Materials and Methods: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was attempted in 25 patients with massive postpartum bleeding. After identification at bilateral internal iliac arteriography, the bleeding artery was embolized using gelfoam, polyvinyl alcohol particles or microcoils, and to prevent rebleeding through collateral pathways, the contralateral uterine artery or anterior division of the internal iliac artery was also embolized. Clinical success and complications were retrospectively assessed and documented. Results: Active bleeding foci were detected in 13 patients (52%), and involved the unilateral (n=10) or bilateral (n=2) uterine artery and unilateral vaginal artery (n=1). Twelve (92%) of the 13 patients recovered completely following embolization, but one underwent hysterectomy due to persistent bleeding. The focus of bleeding was not detected in 12 patients (48%), but 11 (92%) of these also recovered following embolization of the bilateral uterine or internal iliac arteries. One patient, however, died due to sepsis. Two of the 12 patients underwent hysterectomy due to rebleeding on the 12th and 13th day, respectively, after embolization. Conclusion: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is relatively safe and effective for the treatment massive postpartum bleeding.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