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변 여과 취수 지역 퇴적물의 철 화학종 추출 특성

        현성필 ( Sung Pil Hyun ),문희선 ( Hee Sun Moon ),윤필선 ( Pil Sun Yoon ),김보아 ( Bo A Kim ),하규철 ( Kyoo Chui Ha ) 한국광물학회 2013 광물과 암석 (J.Miner.Soc.Korea) Vol.26 No.2

        최근 들어 안정된 수자원 확보를 위해 하천수를 강변의 충적층을 통과시켜 취소하는 강변 여과수 개발이 각광을 받고 있다. 지표수 및 지하수와 반응하는 주변 충적층 퇴적물에 존재하는 철은 강변 여과 후 양수정을 통해 얻어지는 지하수의 수질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퇴적물-지하수-지표수의 상호 작용에 의한 철 화학종의 존재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창원시 대산면 낙동강변의 강변여과 부지에서 채취한 대수층 퇴적물 내에 존재하는 철 함유량을 퇴적물 심도 및 입자 크기에 따라 다양한 화학적 철 추출법을 통해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는 전체적으로 지표로부터 20m 부근까지는 2가철 및 총 철 함량이 전체적으로 감소하다 20m 깊이 이하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육안으로 관찰되는 퇴적물 색깔이 지시하는 산화/환원 환경 특성과도 일치하였다. 한편. 퇴적물의 모래 부분보다 미사/점토 부분에서 추출법에 따라 2∼10배의 철이 추출되었다. 그리고, 다양한 추출법 중 DCB 용액에 의해 가장 많은 철이 추출되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철 분 석법으로 추출되는 철 햠량 특성은 퇴적물 내에서 철의 용해 및 침전을 결정짓는 심도에 따른 산화/환원 조건의 좋은 지시자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River bank filtration has been considered as a promising alternative water management scheme, in which groundwater is extracted from an aquifer near a river after infiltration of the river water in to the aquifer, thereby improving and maintaining the quality of water recovered. Iron, Fe, associated with sediment in contact with groundwater and infiltrating surface water i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quality of water recovered from the pumping wells in river bank filtration. This study reports the results of Fe speciation in the aquifer sediment samples collected from different depths at the river bank filtration site in Changwon, studied using four different chemical extraction methods, namely, ferrozine, oxalate, HCI, and DCB methods. Overall, the results show that Fe, II, as well as the total Fe content decreases with depth down to ∼20 m and then increases further below. This trend is consistent with the redox characteristics suggested by visual observation. The silt/clay size fraction, 0<62.5㎛ has up to 2∼10times more Fe compared with the sand size fraction, 62.5㎛<0<2mm, depending on the extraction method. Of the four extraction methods, DCB solution. extracted the most Fe from the sediment samples. The amounts of Fe extracted by the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can be a good indicator of the redox conditions along the depth of the aquifer.

      • KCI등재

        논문 : 청원-충주지역 수막재배용 지하수 사용량 및 배출량 분석

        문상호 ( Sang Ho Moon ),하규철 ( Kyoo Chul Ha ),김용철 ( Yong Cheol Kim ),윤필선 ( Pil Sun Yoon ) 대한지질공학회 2012 지질공학 Vol.22 No.4

        국내 수막재배지는 시설 증대로 인한 지하수 취수량 감소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연구는 이들 지역 중 청원-충주지역을 대상으로 지하수 이용량 및 배출량을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 수막재배지에서의 지하수 이용량을 추정하였다. 대표 관정들의 모터사양과 1일 지하수 토출 능력과의 관계, 1일 최저 기온0℃ 이하의 기록 일수, 최저 기온 변화에 따른 모터 가동 상황 등을 토대로 하여, 청원지역에서 2011~2012년 겨울철 수막재배에 이용된 지하수 이용량을 추정하면 1ha 당 53,138m3이 된다. 이에 의한 면적 대비 국내 수막재배지 (10,746ha)의 지하수 이용 총량은 약 5.7억 m3이며, 이는 국내 농업용수 지하수 이용량 16.9억 m3 33.7%에 해당된다. 2012년 2월 9일부터 22일까지 면적 4ha의 청원지역 배수로에서 측정한 1일 지하수 배출량은 2,079~2,628 m3범위(평균 2,341 m3)로서, 수막재배 면적 1ha 당 1일 평균 지하수 배출량이 585m3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막재배 일수 94일을 적용하면, 청원지역에서 2011년~2012년 겨울철에 수막재배에 이용된 지하수 이용량은 54,990m3/ha이다. 이에 의한 면적 대비 국내 수막재배지의 지하수 이용 총량은 약 5.9억 m3이며, 이는 전체 농업용수 지하수 이용량의 약 34.9%에 해당된다. 충주지역에서는 수막재배지 1ha 당 1일 지하수 배출량이 805 m3 미만일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 지역에서의 2011년~2012년 겨울철 수막재배 일수 108일을 적용하면, 면적 대비 국내 수막재배지의 지하수 이용량은 전체 농업용수 지하수 이용량의 55% 미만일 것으로 추정된다. Korean agricultural areas that employ water curtain cultivation (WCC) have recently suffered extensive groundwater short-ages due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facilities. The primary focus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daily groundwater use and discharge rates in the Cheongweon and Chungju pilot areas, while the second focus is to estimate the total amount of groundwater used in WCC areas nationwide in Korea. Taking inwo consideration several factors, including motor type, out-flow abilities of wells, records of daily minimum temperatures below 0℃, and the number of running wells accrding to weather variations, we estimated that 53,138m3/ha of groundwater had been used in the 4-hectare Cheongweon pilt area during the winter period of late 2011 through early 2012. On a prorated areal basis, we can calculate that the total ground-water used nationwide was 0.57 billion m3 in WCC areas of 10,746m2. This value is equivalent to 33.7% of the total agri-cultural groundwater use (1.69 billion m3) in Korea. During 9-22 February 2012, the daily water discharge rate in the 4-ha Cheongweon pilot area raged from 2,079 to 2,628m3, averaging 2,341m3. Combining this value with meteorological records for 94 days with a daily minimum temperature below 0℃ results in an estimated groundwater volume of 54,990m3/ha for the pilot area during the 2011-2012 winter period. The total amount of groundwater used nationwide in WCC areas would then be 0.59 billion m3, equivalent to 34.9% of the total agricultural groundwater use in Korea. In the Chungju area, the groundwater discharge rate was estimated to be less than 805m3/ha. This value, combined with weather data for 108 days with a daily minimum temperature below 0℃ in this area, can be applied to infer that the total groundwater vol-ume used in WCC areas nationwide is no more than 55% of the total agricultural groundwater use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