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각통드로잉 제품의 모서리 재료두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해석 연구

        윤재웅,조상희,이춘규,Yun, Jae-Woong,Cho, Sang-Hee,Lee, Chun-Kyu 한국금형공학회 2020 한국금형공학회지 Vol.14 No.1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the press molding analysis program by applying six parameters such as material type change, material thickness, friction coefficient, r<sub>p</sub>, r<sub>d</sub> and blank holder pressure. As a result of CAE analysis of the soft material DC04 and the relatively hard material HX300LAD, the thickness of the punch R part of the soft material was significantly reduced. The flange portion is greatly increased in thickness in the hard material by the compression action. As a result of considering the deformation amount of 0.6mm, 1.0mm, 1.5mm according to the material thickness, the influence of the thickness is considered to be very small. In case of the material thickness of 0.6mm, the rate of change increases due to the deep drawing depth relative to the material thickness. The sizes of the punches R and die R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change in thickness of the material in drawing molding, the smaller the punch R, the thinner the edges of the product, The larger the R of the die, the greater the material thickness of the flange portion. As the coefficient of friction and the blank holder pressure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of the flange portion increases, which increases the radial force in the drawing process and increases the thickness change of the flange portion.

      • KCI등재후보

        프레스 벤딩 공정에서 플랜지부의 마찰력이 스프링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해석적 고찰

        윤재웅,오승호,최계광,이춘규,Yun, Jae-Woong,Oh, Seung-Ho,Choi, Kye-Kwang,Lee, Chun-Kyu 한국금형공학회 2021 한국금형공학회지 Vol.15 No.2

        Springback is an essential task to be solved in order to make high-precision products in sheet metal forming. In this study, materials with four different elastic regions were used. For the forming analysis, the change of springback caused by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in the flange part during hat shape forming was considered by using the AutoForm analysis program. Factors affecting frictional force were blank holder force, friction coefficient, bead R and bead height. As a result of the forming analysis, the springback increases as the material with a larger elastic region increases. In addition, as the frictional force of the flange part increased, the tensile force in the forming direction increased and the springback decreased. In particular, the blank holder force and friction coefficient had a great effect on springback in mild materials (DC04, Al6016), and the bead effectively affects all material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sidered that the springback decreased as the material with a smaller elastic region and the tensile force in the forming direction increased.

      • KCI등재

        서정주의 줄포공립보통학교 학적기록에 대한 고찰

        윤재웅(Yun Jae-Woong) 한국시학회 2010 한국시학연구 Vol.- No.27

        Jeong Joo Seo’s academic record from Jool Po elementary school was recently discovered. During the period of dynamic change of Korean history, the elementary school in a small town in Korea lost its early academic records. However, these records were found in the National Archive in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This record of Seo is a significant resource in writing his biographical literature. The records include following: young boy’s physical growth, attendance, records from prior to the elementary school, academic transcripts, etc. Therefore, the large amount of the historic record of Seo’s childhood can be restored. From 1924 to 1928, Jool Po Elementary school provided Seo with the new culture shock, training of public order and ethics, confidence of learning, and desire for writing. Seo’s excellent academic achievement became the root for him to survive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an intellect. The fact that his profound literature ability was developed at this period is crucial in study of Seo’s life. Moreover, this actual record is valuable that it supports the credibility of his autobiography.

      • KCI등재

        1941년, 정지용과 서정주, 상이한 재능의 두 국면

        윤재웅(Yun Jae-woong) 한국시학회 2005 한국시학연구 Vol.- No.14

        Comparing and examining those two talents in 1941 is a big issue enough to discuss about. These two extraordinary outstanding talents both involve their own souls that struggled with ‘the fake meaning of poem’ and ‘the dew of poem’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which was such a unique circumstance. However, because of the aesthetic characters that evidently contrast with each other, the individual characters tend to appear more clearly when we compare them. These two talents in a same era display the aesthetics of classicism and romanticism at the same time in terms of mutual relationship rather than superiority or inferiority to the other. Nevertheless, the year, ‘1941’ is actually the point that Jung Ji Yong completes and finishs his literature and Seo Jung Ju starts his. In this point of view, we can indicate and clarify the transition of two talents in our history of literature. And the fact that it is really hard to find the case like this transition also fulfill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 have exposed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aracters of two talents in a various way. The sense of aesthetic nobility and the non-deceptive customary sense are the two main pillars. Perseverance and fascination are the contrary characters of two talents and ‘Indongcha 忍冬茶’and ‘Hashish’ are the representative images for that. It is interesting analysis to say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guage of two talents imitate the figure and the music respectively. This diagnosis using Nietzsche’s intuition can be acceptable in a point of view that those two talents provide the important principle regarding to each of their formations of creative aesthetics. Besides‘picture and music’,‘sacredness and secularism’,‘soul and body’,‘culture and chaos’,‘temperance and excess’, ‘discipline and insanity’ and so on are the manifold pair of concepts that can contrast the two talents.

      • KCI등재

        서정주 문학에 나타나는 생태 에너지 순환과 윤회전생 사유의 유사성에 대한 고찰

        윤재웅(Yun, Jae-Woong) 문학과환경학회 2018 문학과 환경 Vol.17 No.3

        이 논문은 윤회에 대한 서정주의 다양한 사유체계가 그의 문학 전반에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묻혀 있던 주요 산문들이 이 논의에서 집중적으로 조명되는 점은 서정주 연구에서 산문의 가치를 새롭게 제고하리라 믿는다. 그가 10대 방랑기부터 윤회 문제에 대한 남다른 직감과 통찰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는 자료의 발굴은 주목할 만하다. 특히, 윤회에 대한 서정주의 직감과 통찰에 영감을 제공한 작품이 셰익스피어의 『햄릿』이라는 점을 밝혀낸 것은 중요하다. 그가 불교 문법에 의지해서만 윤회를 습득한 게 아니라는 점에서 윤회를 창의적으로 생각하는 태도를 엿볼 수 있다. 그는 『햄릿』의 맥락과 상관없이, 인간생명의 소멸·재생과 자연 에너지의 순환 사이의 유비관계를 찾아 낼 줄 알았다. 윤회의 개념을 활용하는 주요 시적인 오브제는 물질의 분리와 결합 양상이 잘 드러나는 피와 물이다. 생명체의 상징인 피는 빛과 물의 결합이라는 것. 한 생명이 끝나면 빛과 물이 이별한다는 것. 피의 붉은 색소는 빛의 세계로 나아가 태양계 전체의 순환노정을 돌다가 다시 동백꽃이나 맨드라미나 대추에게로 돌아오고, 물은 지구 대기권의 구름에게로 가서 지구 생태계의 물 순환 시스템 속에 편입된다는 것. 그 어떤 에너지도 이 닫힌 계 안에서 빠져나갈 수 없다는 것 등은 서정주만의 독특한 사유다. 이런 사유는 삼생·삼계와 같은 불교문법에 의존하는게 아니라 실생활의 경험과 과학적 지식 그리고 시적 상상력이 결합해 만들어낸 독특한 경우로 볼 수 있다. 삼계육도는 공간을 분할하고 십이연기는 시간을 분할하는 개념이다. 서정주는 태양계의 안과 밖으로 이 공간을 추론하며, 전생과 현생과 내생이라는 삶의 양상을 통해 시간을 인식한다. 이 과정에 물질 에너지의 순환을 적용하며, 그 적용은 돌을 울리는 물의 상상력을 통해 닫힌 계 안에서의 삶의 태도를 찾아내는 방식으로 귀결된다. 서정주의 윤회는 물리적 범주가 어디인지도 모르는 삼계를 끝없이 돌고 도는 고통스러운 과정이라기보다, 물과 빛이 만나고 헤어지는 태양계 안에서의 에너지 교환과정이며, 지구 생태계의 모든 생명체들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법칙-개개의 사물들에서 색소와 물의 만남과 이별을 발견함으로써 입증할 수 있는 법칙으로 본다. 생의 본질은 영생이며, 이 닫힌 계 안에서의 삶은 그러므로 자기 아닌 이웃에게 다정하게 대해주는 게 최고의 선택이라는 주장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질마재신화』에 나타나는 ‘액션’ 미학

        윤재웅(Yun, Jae Woong) 동악어문학회 2013 동악어문학 Vol.61 No.-

        서정주의 『질마재신화』 기획의 요체는 이야기의 복원과 경험의 부활이다. 이는 시인의 고향마을 ‘질마재’에 대한 경험과 기억의 전수가 단순한 장르실험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근대성 반성의 제안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 시집의 양식적 특성과 내용적 국면이 ‘질마재’ 공간을 보다 생동감 있는 경험교류의 현장으로 만드는 데 기여한다면 ‘독자’와 ‘액션’은 ‘형식’과 ‘내용’을 대체 하는 서정주 특유의 개념이다. 특히 ‘액션’은 질마재 이야기의 핵심요소이다. 이에 대한 보다 섬세한 접근을 위해서 ‘장소, 역사, 사람’의 하위 요소들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개인경험의 재현은 질마재 액션 요소의 중요한 특성이다. 이 경우는 특별한 장소에 대한 기억이 사건과 결합하는 양상을 보이는데 ‘장소애(topophilia)’의 관점으로 접근이 가능하다. 특별히, ‘장소’를 중심으로 하는 친숙하고 사사로운 말솜씨가 ‘지혜의 발견과 전수’를 지향한다는 점은 『질마재신화』의 중요한 성격이다. 두 번째 특성은 재발견 공간으로서의 신라를 질마재 마을의 경험세계와 결합 시키는 역사 은유화 과정이다. 이는 신라가 ‘지속적 현존’의 형식으로서 현대의 ‘질마재’까지 온존된다는 관점이다. 서정주의 역사 은유화는 탈근대성 미학의 원리인 동시에 역사 몰각주의의 토대라는 점에서 근대 초극과 퇴행의 양면성을 지닌다. 세 번째 특성은 근대화 변방의 질마재 마을 사람들이다. 텍스트 속에 형상화된 이들 기층민들은 다양한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신라풍류에 비견되는 융합의 형이상학을 체현한다. 유자파의 이성과 논리, 자연파의 황홀한 감각, 그리고 심미파의 예술정신이 결합된 세계가 풍류미학 지속으로서의 질마재 마을이다. 신라 역사의 은유화와 풍류미학의 지속에 대한 서정주의 질마재 기획은 현대의 파국적 상황에 대한 미학적 대안으로 마련되었지만, 당대의 다양한 이야기 시편들이 보여준 현실응전 양상과는 다른 면모를 보여준다. 여기에 대한 평가 역시 양면적이다. 가난한 농경문화의 구조적 모순을 회피하는 관점은 『질마재신화』의 극복되지 않는 과제이다. 그러나 경험의 부활을 통해 기층민의 삶과 연관된 흥미로운 이야기-오래 반복되어도 재미있고 유용한 이야기들을 복원한다는 점에서 보면 『질마재신화』는 근대성 반성의 한 사례로 평가할 만하다. Jilmajaeshinhwa written by Seo Jeong-Ju is characterized by ‘restoration of stories’ and ‘recalled experiences’. It is worth noting that Seo"s experience in and memory of Jilmajae (the writer"s hometown) does not simply constitute an experimental genre but concerns his self-reflection and thoughts on modernity. In Jilmajae, ‘place’, ‘history’, and ‘people’ are an essential prerequisite. The representation of Seo"s personal experience is a major characteristic of Jilmajae. In Jilmajaeshinhwa, an assimilation of his memory of a particular place into events can be analyzed from the viewpoint of ‘topophilia’.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his personal and rather familiar narrative focusing on ‘place’ leads us to a new kind of wisdom. The second characteristic of Jilmajae is the metaphorization of history in which Silla as a rediscovered place is combined with the experienced world of Jilmajae. This comes from the viewpoint that the kingdom of Silla in its original spirit has been inherited to Jilmajae. Seo"s metaphorization of history shows the conflicting ideas of restoration and regression in that it has post-modernistic aesthetics and is based on the effacement of history. The third characteristic of Jilmajae can be found from its villagers who live on the periphery of modernism. The persons embodied in the text have various personalities and represent ‘metaphysical fuse’ comparable to Silla Pungryu. In other words, the village of Jilmajae is a world in which the Classical School"s intellect and logic, the Natural School"s blissful sense, and the Aesthetic School"s art spirit are combined, keeping Pungryu aesthetics alive. Representation of personal experience through topophilia, Jilmajae as a place representing Silla the Kingdom of Romance, and the metaphysics of Silla Pungryu inferred from various lives of the villagers help us systematically understand the spatial aesthetics of Jilmajae.

      • KCI등재

        미당의 만해 한시 번역의 특징과 의의

        윤재웅(Yun, Jae Woong) 동악어문학회 2015 동악어문학 Vol.65 No.-

        석전 박한영과 만해 한용운의 한시에 대한 서정주의 번역은 흥미로운 연구과제다. 서정주 특유의 창의적 의역과 독특한 우리말 본새가 반영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석전-만해-미당을 있는 특별한 계보에 대한 관심도 촉발시킨다. 이들은 동국문풍의 기획과 설립과 확장에 기여한 인물들이다. 이런 맥락을 염두에 두고 이 글은 미당의 만해 한시 번역에 주목하고자 한다. 만해 한시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축적되어 있으나 미당이 번역한 만해 한시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그런 점에서 이 논문은 미당 번역문학의 특성을 살피려는 새로운 연구 분야의 출발이라는 의의가 있다. 미당의 만해 한시 번역에 창의적 의역이 많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는 미당의 창의성과 한시 이해능력을 가늠해볼 수 있는 특성이다. 또한 이를 통해서 미당 문학의 풍성한 수원(水源)이 한시에서도 비롯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게 된다. 우리말 본새의 독특한 국면과 만해의 한시 세계를 자기화해서 한글시로 바꾸는 면모도 이채롭다. 이를 보면 미당의 번역문학이 단순히 ‘글자 뜻 그대로의 옮김’이 아니라 상황 맥락을 존중하여 시인의 창의적 개성을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번역이라는 점을 발견하게 된다. 이는 미당 번역문학의 중요한 본질이다. It is an interesting subject that Mi-dang, Seo Jeong-Ju translated Chinese Poetry of Manhae, Han Yong-Un and Seokjeon, Park Han-Young. It is because his translation reflects creative characteristics of his own and preserves unique Korean features as well. Moreover,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Seokjeon, Manhae, and Mi-dang, who continued the tradition of Korean Poetry. They all contributed to planning, establishment, and enhancement of Dongguk Literary Spirit. This paper focuses on Mi-dang"s translation of Manhae"s Chinese Poetry. Despite various studies on Manhae, Han Youn-Un"s Chinese poetry, very few academic studies on Mi-dang"s translation have been done so far. Starting new studies on characteristics of Mi-dang"s translated works, this paper show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is noteworty that Mi-dang"s translation has a lot of liberal translation. In light of this, Mi-dang"s translated works reflect his own creativity in translation and comprehensibility of Chinese Poetry. Also, based on that, it can be certain that Mi-dang"s abundant literary resources originated from Chinese Poetry. There appear his distinctive Korean features and creative translation characteristics such as translating Chinese Poetry into Korean in his own style. Reviewing his translated work, his translation literature is not literal translation but liberal translation which expresses unique poetic words and awakens them to new life. This is the essential qualities of Mi-dang Literature.

      • KCI우수등재

        서정주 『화사집』에 나타난 체험과 창작의 상관관계 - 중앙불전 재학 및 해인사 체류 시절을 중심으로

        윤재웅(Yun, Jae-woong) 국어국문학회 2021 국어국문학 Vol.- No.195

        이 글은 서정주의 첫 시집 『화사집』(1941) 출간 8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24편의 수록작품과 시인의 자기체험의 관련성을 추적하는 연구이다. 삶과 시의 연대기가 어떻게 조응하고 발전해 나가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화사집』이 체험과 창작의 긴밀한 관련성을 입증하는 선례임을 밝히고자 한다. 이 과정에 참조할 만한 자료가 그의 산문들이다. 중앙불교전문학교 재학 시절(1935)과 해인사 체류 시절(1936)의 체험이 논의의 주요 대상이 된다. 〈벽〉, 〈문둥이〉, 〈화사〉, 〈대낮〉, 〈입맞춤〉, 〈맥하麥夏〉 등이 이 시기의 체험과 관련된 작품들이며 관련 자료들이 그의 산문 속에 풍성하다. 일련의 연구를 통해서 서정주 문학의 형상화 과정이 감동을 동반한 체험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이런 창작 태도가 평생의 창작방법론으로 발전한다는 점에 주목하고자 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memorate the 80th anniversary of the publication of Seo Jeong-ju’s first collection of poems, 『Hwasajip』(1941). This is a study that trac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24 works included in the collection of poems and the poet’s self-experience. This study aims to reveal how 『Hwasajip(花蛇集)』 is a precedent that prove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and creation by looking at how the chronology of life and poetry co-ordinates and develops. His prose is the source of reference for this study proces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the enthusiasm, pathological intoxication, and poetic wandering of 『Hwasajip(花蛇集)』 appear similarly in his prose of the same period, and all this literacy is a reflection of experience. The main subject of discussion is the experience of the period when the poet attended the Central Buddhist College and the period he stayed at Haeinsa Temple. They include 〈Wall〉, 〈A leper〉, 〈Flower snake〉, 〈Broadday〉, 〈Kiss〉, and 〈A Summer barley 麥夏〉. These poems are deeply related to the poet’s experience, and related contents are abundant in his prose. Through such a series of research processes, this study aims to note that the process of shaping Seo Jeong-ju’s literature is centered on his own experience that felt a great impression, and that this creative attitude develops into the poet’s lifelong aesthetic method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