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신명령론의 계보학적 탐구

        윤영돈 ( Yoon Young-do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8 윤리교육연구 Vol.0 No.50

        신명령론은 도덕적으로 행위해야 하는 고전적인 논거 중 하나이다. 본 논문은 이성과 의지의 대립구도에서 신명령론을 계보학적으로 탐구함으로써 도덕성과 결부된 종교관 정립을 위해 신명령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태도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신명령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관점, 중세 스콜라철학의 지형에서 오캄의 신명령론에 대한 쟁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신명령에 대한 고전적인 사례로서 아브라함의 이삭 결박 사건(아케다)에 대한 칸트와 키에르케고르의 관점은 도덕성과 종교성 간의 평행선을 노정하고 있다. 그러나 신의 성품(본성)에 근거하여 신명령을 재해석할 경우, 도덕성과 종교성 사이에서 균형감을 지닐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Divine command theory is one of classic arguments for foundations of moral condu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proper understanding and attitude to divine command theory as part of the establishment of religiosity linked to morality by delving into divine command theory with two lenses(reason and will). With a view to carrying out this purpose, I will argue divine command through genealogical research method: Socrates’ view, Ockham’s voluntarism, an imaginary dialogue between Kant and Kierkegaard about Abraham’s offering Isaac as a sacrifice(akedah). There exists a parallel between morality and religiosity. However, if divine command theory is reinterpreted based on God’s character (nature), there will be a balance between reason(morality) and will (religiosity).

      • KCI등재후보

        소설『남도사람』과 영화 <서편제>의 재매개화 연구

        윤영돈 ( Young Don Yoon ) 단국대학교 한국문화기술연구소 2009 한국문화기술 Vol.8 No.-

        The 21st century is a time of transition from the age of writing to the age of images. The advent of new media based on the development of highly specialized technologies has accelerated the growth of cultural contents, and it also saw the impressive growth of the visual media. This paper focuses on Lee Cheong-jun`s novel Namdo Saram(The Southerners) and the film Seopyeonje directed by Im Kwon-taek as subjects of its discourse. It aims to analyze 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s of expression appea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ovels and films according to the way those content forms are expressed in each medium. The core concept this paper deals with is "remediation"as discussed by Bolter and Grusin (Bolter, Jay David & Grusin, Richard). Remediation refers to the logic of new media reconstructing old media. In other words, the new media either borrow or imitate such things as the forms of expression and functionalities from old media, and by developing them to fit the characteristics of new media they become differentiated from old media. This paper considered Namdo Saram and Seopyeonje by examining the remediation process in novels and films. It examined how the novel was being remediated as a film, and what the novelist and the director each wanted to communicate in their works. There have been many cases in which novels have failed as films, but in the case of Seopyeonje, it achieved a certain level of success. As for the reasons for the film`s success, not only its narrative structure but also other factors such as the spatial background of "Namdo"and visualization of sound can be mentioned.

      • KCI등재

        플라톤의 『국가』에 나타난 도덕교육론

        윤영돈 ( Young Don Yoon ) 한국윤리학회 2011 倫理硏究 Vol.82 No.1

        This article aims to deal with two levels of ethics education in Plato`s Republic, and look for significant implications upon interdisciplinary approach which has been applied to approach method to ethics education, but has some limitations. We can consider Plato`s Republic as a kind of education theory. Futhermore it can be looked upon as theory of ethics education in that it pursues ultimately the good itself(the idea of the good). Plato`s system of disciplines can be revealed in detail through analogies of the sun, the line. And the problem of praxis can be scrutinized through analogy of the cave. Problematic point to be solved is how the turning from opinion(doxa) to knowledge(episteme) in the curriculum on the basis of Plato`s disciplinary system. In Plato`s paideia, education through poetry and art(mousike) enables children or adolescents to form good opinion, and dialectical method(dialektike) enables them grasp idea or form. Mousike and dilalektike consist of two levels of Plato`s ethics education. The meaning of the turning from ``education through poetry and art``(mousike) to ``dialectical method``(dialektike) in the context of ethics education can be addressed as a conversion form moral socialization to moral autonomy, from good opinion & character to reason. The point we should pay attention to is that application of reason may be destructive without the foundation moral socialization or good character. We call the problem between ``tradition and habit``(socialization) and ``reason``(moral autonomy) as the paradox of moral education. Plato`s mention that the reason mixed with mousike is the best guardian of virtue stands for harmony between moral socialization and moral autonomy. The approach to ethics education in Plato`

      • KCI등재

        융의 분석심리학에서 본 화해와 용서의 문제

        윤영돈(Yoon Young-Don)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8 철학논집 Vol.54 No.-

        화해와 용서의 문제는 종교적 성격이 짙은 논제이다. 인간을 근본적으로‘종교적 인간’으로 규정하는 융의 분석심리학에서 화해와 용서의 문제는 심리학과 종교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해명된다. 융의 분석심리학에서 본 화해와 용서의 문제를 논구하는 데 있어 먼저, 융의 분석심리학의 구성원리의 근거가 되는 헤라클레이토스의 ‘대극의 합일’ 개념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화해란 대립되는것 간의 적절한 균형을 찾아가는 것인데, 그러한 화해의 양상을 의식과 무의식, 자 아와 그림자, 페르조나와 아니마․아니무스처럼 정신을 구성하는 요소들 간에서, 더 나아가 동서양의 사유방식 간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끝으로 창세기의 요셉내러티브에 나타난 용서의 원형적 의미를 탐구하고, 고백으로부터 용서에 이르는 상징체계로서 고해성사 모델과 심리상담 모델을 살펴보고, 우리에게 실천적 과제로서 용서의 태도가 요청됨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issues of reconciliation and forgiveness are related with a religious theme. In Jung’s analytic psychology which considers human as homo religiosus, the problems of reconciliation and forgiveness are explained to the point of the intersection of psychology and religion. With a view to discussing the problems of reconciliation and forgiveness, First, I will delve into the concept of Heraclitus’ union of opposites which is the basis of the principles of Jung’s psychology. Next, I will deal with reconciliation as appropriate balance between the opposites such as consciousness and the unconscious, ego and shadow, persona and anima․animus, and Eastern & Western thoughts as well. Finally, I will scrutinize the implications of the archetypical forgiveness which is shown in Joseph Narrative of Genesis, and explore the model of confession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as a kind of symbol system from confession to forgiveness, and request forgiveness as a practical task.

      • KCI등재

        파스칼의 『팡세』에 나타난 기독교 윤리 재구성

        윤영돈 ( Yoon Young-do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22 윤리교육연구 Vol.- No.63

        본 연구는 파스칼의 『팡세』(Pensées)에 나타난 기독교 윤리 관련 내용을 조직신학의 구성체계에 근거하여 범주화함으로써 파스칼의 기독교 윤리를 재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계시와 인식’의 측면에서 볼 때, 파스칼은 특별계시인 성경과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인간과 윤리의 문제를 파악한다. 특히 파스칼의 심정의 질서와 논리는 셀러의 현상학적 가치윤리학의 중요한 명제이다. 조직신학의 ‘구성원리’(삼위일체론)의 측면에서 볼 때, 성부에 대한 언급은 미흡하나 성자와 성령의 위상과 사역은 각각 기독론 및 교회론의 맥락에서 풍부하게 다뤄지고 있다. 조직신학의 ‘각론’의 측면에서 볼 때, ‘인간론’이 가장 풍부하게 다뤄지고 있는데, 파스칼의 인간론은 생철학 및 실존주의 윤리사상과 내면적 상관성을 지니고 있다. ‘구원론’과 관련하여 파스칼은 그리스도의 성육신을 통해 주어진 은총이 인간 구원의 핵심이라 보았다. ‘교회론’과 관련하여 파스칼은 이상적 윤리 공동체로서 ‘기독교 공화국’을 제안하고,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의 법을 강조하되, 정치적 현실주의의 태도를 지닌다. ‘종말론’과 관련하여 파스칼은 신의 심판과 영혼불멸에 대한 사유실험을 통해 삶의 태도를 결단하는 데 유의미한 계기를 마련한다. This study aims to reconstruct Christian ethics in Pascal’s Pensées by outline of systematic theology. Regarding ‘revelation and recognition’, Pascal tries to grasp the problems of humans and ethics by the Bible and Christ. Particularly Pascal’s order and logic of the heart plays an important role in M. Scheler’s phenomenological ethics. Regarding ‘composition principle’(trinity) of systematic theology, the mention of the Father is insufficient, but the status and ministry of the Son and the Holy Spirit are abundant: the former is treated in the context of Christology, the latter ecclesiology. Among the particulars of systematic theology, ‘anthropology’ is most abundantly handled. Pascal’s ‘anthropology’ has an interrelation with life-philosophy and existentialist ethics. Regarding soteriology, Pascal regards the grace given through Christ’s incarnation as the core of salvation. Regarding ecclesiology, Pascal, carrying an attitude of political realism, proposes a Christian republic as an ideal ethical community emphasizing love’s law. Regarding eschatology, Pascal looks upon the judgment of God and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s providing a meaningful opportunity in determining the attitude of life.

      • KCI등재

        융 심리학과 생애주기별 인성교육

        윤영돈 ( Yoon Young-do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9 윤리교육연구 Vol.0 No.52

        본 연구는 융 심리학에 근거하여 생애주기별 인성교육의 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융에 따르면 아동·청소년기에는 자아와 외부세계 사이의 접촉을 중재하는 페르조나를 건강하게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사회적 자아인 페르조나가 진정한 자아는 아니다. 무의식의 의식화를 통해 진정한 자아를 추구하는 과정을 개성화 과정이라 한다. 융 심리학에 근거한 생애주기별 인성교육은 개성화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는데, 먼저 ‘또 다른 나’인 그림자를 직면·수용하고, 자아와 내면세계를 중재하는 아니마·아니무스의 분화와 통합 단계를 거친다. 아니마·아니무스의 분화와 통합은 중년기의 가장 중요한 과제이다. 끝으로 의식과 무의식의 중심인 자기를 인식해야 하는 과제가 주어져 있는데, 자기는 근원적인 양심과 소명의 출처이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character education by life cycle on the basis of Jung’s psychology. According to Jung, children and adolescents need to form a healthy persona, which can mediate between ego and the outside world. However, persona as the social self is not a true self. The process of pursuing true self through unconsciousness is called the process of individuation. Life-cycle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Jung’s psychology can be understood as a process of individuation. The first step is related with facing and accepting shadow as alter ego. Next, the second step, the differentiation and integration of anima·animus which mediates between ego and inner world. This is the most important task of middle age. Finally, the task of recognizing self as the center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which is the basis for exploring the ultimate purpose of life and the source of fundamental conscience and calling.

      • KCI등재

        전통의 규범적 의미에 대한 재해석과 범주화

        윤영돈 ( Young-don Yoon ),심승우 ( Seungwoo Sim ),지준호 ( Chun-ho Chi ),한성구 ( Sung Gu Han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6 한국 철학논집 Vol.0 No.50

        본 연구는 전통의 규범적 의미에 대한 재해석과 범주화의 탐구를 목적으로 한다. 행위의 규정 근거로서 전통은 규범적 의미를 지니며, 도덕의 중요한 원천이다. 통시적 맥락에서 볼 때, 생태문화적 관점에서 고찰할 때, 전통적 가치는 그 연원이 있고, 시대적·사회적 변화에 따른 변용과 왜곡의 모습을 지니기도 한다. 전통적 가치가 민주시민으로서 미래 사회를 대비하는데 기여하기 위해서는 재해석과 범주화가 필요하다. 미래 한국 사회의 변화 전망 속에 유효한 전통의 규범적 의미는 그 연원으로부터 재 해석을 통해 도출될 수 있다. 본고의 논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생태 문화적 관점에서 전통적 가치의 동적인 변화상을 살펴보고, 한국사회에서 전통적 가치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바탕으로 대표적인 전통적 가치인 충효의 현대적 재해석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끝으로 서구적 가치와 한국의 전통적 가치를 포괄하는 한국적 가치의 맥락 속에서 전통적 가치의 범주화와 그 함의를 밝히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lve into reinterpretation and categorization of normative meaning of tradition. The normative meaning of tradition which plays a key role of the action-guiding power is the main source of morality. According to ecological cultural approach to diachronic transition of traditional value, traditional value leads its dynamic life: its origin, acculturation, transformation, distortion of traditional value depending upon periodic social change. It is necessary for traditional value to be reinterpreted and categorized, with a view to contributing to attribute & competency of democratic citizen in future society. The normative meaning of traditional value applicable for Korea’s future society can be reinterpreted from its origin revealed in the classic. The order of discussion in this paper runs as follows. Firstly, we will investigate into dynamic change of the traditional value on the basis of the ecological cultural perspective and seek the possibility of modern reinterpretation of loyalty & filial piety as representative traditional value. Finally, we will treat the categorization and its significance of traditional value in the frame of Korean value including both western value and Korean traditional value.

      • KCI등재

        폭력의 일상화와 인문치료

        윤영돈 ( Young Don Yoo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0 윤리교육연구 Vol.0 No.23

        우리는 다양한 층위의 폭력의 문제에 직면하면서 살아가고 있다. 우리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폭력의 문제든, 우리 내부로부터 발생하는 폭력의 문제든 정신건강을 고양함으로써 우리가 당할 수도 있는 폭력의 해악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동시에 우리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폭력의 가능성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문치료가 개인의 정신건강을 고양시킴으로써 일상화된 폭력의 문제를 해소하는 데 유의미한 기여를 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이를 위해 먼저 폭력의 의미와 인문치료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일상화된 폭력의 원인에 대한 윤리학적·심리학적 해명을 다룬다. 다음으로 인문치료의 한 사례로 정신건강론으로서의 플라톤과 니체 사상을 검토하며, 끝으로 건강한 인간형성을 위한 인문치료의 도덕교육적 함의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We confront the problem of violence which carries various levels. Whether it is from outside or inside of us, we need to nourish our mental health in order to minimize the harm of violence and reduce the possibility of violence. By increasing individual mental health, humanities therapy will help us to overcome the routinized violence. This study deals with the meaning of violence and the concept of humanities therapy, and investigates the causes of routinized violence into the in the perspective of ethics & psychology. Secondly, it delves into the paideia of Plato and the therapeutic philosophy of Nietzsche as examples of humanities therapy, and suggests the moral significance of humanities therapy for building health self.

      • KCI등재

        칸트의 여성관과 성담론

        윤영돈 ( Young Don Yoo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2 윤리교육연구 Vol.0 No.28

        본고는 칸트의 철학이 여성차별적이며, 가부장적인 성격이 강하다는 비판에 맞서 그의 여성관과 성담론에 나타난 남성적인 것과 여성적인 것의 상호보완성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칸트의 여성관은 18세기라는 시대적·문화적 한계를 지니고 있지만 그의 윤리이론이나 결혼과 성에 관한 논의에서 성차별적 요소가 생각만큼 두드러지지 않고 오히려 남성적인 것과 여성적인 것 간의 통합을 지향한다. 칸트의 성담론은 대체로 보수주의의 성격이 강하지만 일정 부분 자유주의의 관점으로 해명될 수 있는 측면도 있다. 자연법칙의 정식(제1정식)은 자연법적 성윤리를 강하게 지지하며, 목적 자체의 정식(제2정식)은 자발적이고 고지된 동의에 근거한 성의 향유를 도덕적으로 정당한 것으로 간주하는 자유주의 성윤리를 지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성에 관한 자유주의의 관점은 칸트의 제1정식과 제2정식을 위반하기 때문에 칸트 윤리학에 근거한 자유주의 성담론은 정당화되기 어렵다. 칸트는 성적 경향성의 욕구충족이 불가피 목적으로 대해야 할 인간성을 사물로 전락시키기 때문에 오로지 결혼이라는 제도 속에서만 이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는 출산과 양육뿐만 아니라 부부간의 성적 향유 또한 결혼의 중요한 목적으로 제시한다. 칸트에 따르면 성적결합에 있어서 여성은 한갓 출산과 양육을 위한 도구가 아니라 남성과 함께 상호 보완함으로써 의지의 통합체를 이룰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into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masculinity and femininity in Kant`s philosophy which has been often criticized by feminist philosophers to the effect that Kant philosophy is the very root of discrimination in women. Of course, Kant`s view of womanhood and sexual discourse has some limitations in the sociocultural atmosphere in 18th century. Nevertheless, we cannot fail to find considerable harmony between the masculine and the feminine in Kant`s ethics and discourses on marriage and sex. Kant`s discourses on sex and marriage can be mostly not only in the context of conservatism, but also partly in liberalism. While natural law formulation supports strongly natural law ethics on sex, humanity or end in itself formulation relates relatively to liberalism in which voluntary informed consent makes sexual enjoyment permissible morally. But liberalism cannot satisfy the first and the second formulation of Kant`s ethics, According to Kant, sexual inclination inevitably uses of another person whom we have to consider as an end itself. Such a problem can be solved only in the marriage institution. But we need to remember that Kant looked upon sexual enjoyment between husband and wife as well as birth and bringing-up as a major purpose. Therefore, women in sexual intercourse are no means of birth and bringing-up, but women with men can compose a unity of wi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