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특수학교 초등 음악교과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2011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특수학교 초등 음악교과서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한 개발의 시사

        윤성원 ( Yoon Sungwon ),윤관기 ( Yun Gwan-ki ),조대현 ( Cho Dae Hyun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7 음악교수법연구 Vol.18 No.1

        이 연구는 시리즈 연구로 기획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특수학교 초등 음악교과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의 세 번째로서, 2011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특수학교 초등 3-4학년, 5-6학년 음악교과서 내용의 분석과 이 두 학년 군별 연계성 분석을 통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특수학교 초등 음악교과서 개발에 대한 시사를 얻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특수 기본 음악과 교육과정과 특수 초등 3-4학년, 5-6학년 음악교과서의 내용 체계에 관해 고찰하였고, 한편으로는 특수 초등 음악교과서의 내용 분석을 위한 도구를 마련하였다. 또한 이를 활용해 음악의 관점, 사회의 관점으로 특수 초등3-4학년, 5-6학년 음악교과서의 내용과 두 학년 군별 교과서의 내용 연계성에 대해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로써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특수학교 초등 음악교과서 개발에 있어서 교육과정의 내용을 충실히 구현하면서 학년 군별의 내용 연계성을 마련하기 위한 시사를 얻을 수 있었다. This paper presents the third study in a series research titled Basic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Music Textbook in Special Schools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It aimed to offer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music textbook for special schools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by analyzing the content of music textbooks for the third & fourth grade and the fifth & sixth grade in special schools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1 and also the connections between the two grade groups. It examined the basic mu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and the content system of music textbooks for the third & fourth grade and the fifth & sixth grade in special school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It also devised a tool to analyze the content of elementary music textbooks for special education and made use of it to analyze the content of music textbooks for the third & fourth grade and the fifth & sixth grade in special schools from the musical and social perspectives and the connections in textbook content between the two grade groups. The findings provide some implications to fully embody the curricular content and ensure connections in content between different grade groups in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music textbooks for special schools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특수학교 초등 음악교과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특수학교 초등음악교과서 개발 관련 연구 내용

        윤관기 ( Yun Gwan-ki ),윤성원 ( Yoon Sungwon ),조대현 ( Cho Dae Hyun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7 예술교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따른 특수학교 초등 음악교과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 연구의 목적은 새롭게 개정된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5∼6학년 음악교과서의 개발 방향을 논의하기 위함이다.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취지에 맞는 음악교과서의 개발이 필요하다. 새롭게 개정된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변화에 맞게 음악교과 성격, 목표, 내용체계와 성취기준, 교수·학습 방법, 그리고 평가 등이 그 취지를 성실히 반영한 교과서를 개발해야 할 것이다. 둘째, 음악교과의 특성이 반영되도록 개발되어야 한다. 음악교과에서는 다양한 음악 활동을 통해 장애아동들의 일상생활 속에 음악을 즐기며 향유함은 물론 특별한 경험과 교육적 만족도는 물론 흥미유발의 기회까지 제공할 수 있도록 교과서를 개발해야 할 것이다. 셋째, 특수교육대상자 중심에 맞게 개발되어야 한다. 장애아동의 장애유형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획일적인 교과내용으로 이들의 성취기준을 충족시킬 수가 없다. 그러므로 음악교과에서 장애아동의 발달단계와 그 유형을 고려한 실용적인 교과서를 개발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directions of development of music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5th and 6th grades according to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e specific research goal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usic textbook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xtbook that faithfully reflects the purpose of the music education, such as the characteristics, goals, system of content, standard of achievem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of music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in the newly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curriculum should be reflected. In the music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xtbook that provides opportunities for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interest by enjoying music in daily lif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various music activities as well as special experience through music. Third, it should be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center of subject of special education. Because disability types of children are so diverse, they can not satisfy their standard of achievement with uniform course cont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actical textbook considering the stage of development of the handicapped child and its type in the music subject.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특수학교 초등 음악교과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조대현(Dae Hyun Cho),윤성원(Sungwon Yoon),강옥화(Ok Hwa Kang),윤관기(Gwan Ki Yun)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교육연구 Vol.68 No.-

        본 연구는 2015년 개정, 고시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특수학교 초등 음악교과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특수교육 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교육과정의 분석은 2011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 및 음악과 각론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궁극적으로는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따른 특수학교 초등 음악교과서 개발의 기틀과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진은 첫째, 2015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과 의의, 그리고 주요 개정 내용에 대해 살펴보고, 둘째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이 담고 있는 주요 내용을 2011 특수교육 교육과정 및 일반학교의 2015 개정 교육과정과 비교하였으며, 셋째 이를 통해 도출된 주요 쟁점들을 고찰함으로써 특수교육 대상자를 이해하고 초등 음악교과서 개발에 전제되는 요건들을 제시하였다. As a basic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the elementary music textbooks for use at the special school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is research was proceeded with centered on the analysis of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e analysis took place by classifying into the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in 2011 and the introduction, the music, and the itemized discussion of the Education Curriculum that was revised in 2015. And, ultimately, the purpose is to present the base and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elementary textbooks for use at the special schools according to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s revised in 2015. As such, first, we took a look at the direction and the meaning of the revision of, and the main revision details of, the 2015 Education Curriculum. And, secondly, we compared the main details contained in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s revised in 2015 with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s revised in 2011 and the Education Curriculum of the ordinary schools as amended in 2015. And, thirdly, by considering the main issues arrived at through these, the subjects of the special education were understood and the conditions that are premised in the development of the elementary music textbooks were presented.

      • KCI우수등재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5~6학년군 음악 교과서에 대한 교사 인식 및 활용도 분석

        박진홍(Jinhong Park),여선희(Seon Hui Yeo),윤관기(Gwan Ki Yun),윤성원(Sungwon Yoon),이정대(Jeong Dae Lee),최은아(Euna Choi),조대현(Dae Hyun Cho) 한국음악교육학회 2020 음악교육연구 Vol.49 No.1

        이 연구는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에 따라 2019학년도부터 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초등학교 5~6학년군 음악 교과서에 대한 교사 인식 및 현장 활용 실태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수학교와 일반 학교 특수학급 교사 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별도의 교사 6명을 대상으로 표적집단면접을 진행한 결과, 교사들은 특수교과서가 개정된 교육과정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학생들의 장애 정도와 특징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고 있다고 평가하였다. 이후 교과서 개발 과정을 위해 다양한 장애 유형과 수준을 고려, 지도서의 가독성의 향상, 쉽고 흥미로운 제재곡 및 활동의 구성, 전자저작물 자료의 제공과 활용 방법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teacher awareness and on-site utilization on music textbooks for 5~6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that has been used in school sites from 2019 after being developed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basic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For this, 26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nd classes were surveyed and six teachers were interviewed.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special textbooks reflected the 2015 revised special curriculum well, and assessed that they effectively applied the level of disability and features of students. They suggested that the improvements for special textbooks need to reflect characteristics of various types and levels of disability, improve the legibility of the guidebooks, organize easy and interesting sanctions songs and activities, and provide electronic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use methods.

      • 수문기상 정보 활용을 위한 선순환 체계 구축 연구

        노경륜 ( Kyung-lyun Noh ),박지성 ( Ji-sung Park ),최지영 ( Ji-yeong Choi ),서애숙 ( Ae-suk Seo ),박인찬 ( Inchan Park ),윤성원 ( Sungwon Yun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Efforts have been made to promote use of advanced technology such as hydrology and meteorology to prevent damage from meteorological disaster, IT and spatial data and cooperation to share meteorological information among organizations related. But it is required to extend collection of hydro-meteorological information produced and managed by each organization and development of technology to use the information in each case. Hydro-meteorological information produced and managed by each organization is used differently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prevention of flood and drought and management of water qualit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provides weather observation information and weather forecast based on numerical simulation by using Combined Meteorological Information System (COMIS). The Han River Flood Control Office (HRFCO) under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KWater are extending provision of weather observation, water level information of rivers and hydrological information of dams and reservoirs by using the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AMIS) and the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Networking System (WINS). The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KRC) produces and provides information of water level of agricultural reservoirs in real time. These three organizations which produce and manage hydro-meteorological information established the Hydrometeorological Cooperation Center and are working together to strengthen cooperation in hydro-meteorological business in meteorological, hydrological and agricultural sectors, but their efforts have not met expectations yet. Thus, KRC is actively building a system which produces coherent results of analysis of agriculture, environment and disaster and increases business efficiency by using various hydro-meteorological information for purposes of each study. This system will enable provision of various hydro-meteorological information customized for each user and creation of foundation for virtuous circulation system to use and share hydro-meteorological information by combining and reusing information provided and extending use of the information to various sectors.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적극적노동시장정책과 청년실업

        윤성원 ( Yun¸ Sung-won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社會科學論集 Vol.51 No.2

        본 연구는 2010년 이후 한국과 일본의 청년실업 추이 변화의 원인으로서 양국의 노동시장정책의 차이에 주목한다. 한국과 일본의 노동시장정책은 정책의 주요 지출 분야, 정책 관리 주체, 전달체계, 중복 수준측면에서의 차이가 두드러졌다. 전체적으로 한국과 일본의 GDP 대비 적극적노동시장정책(ALMP)의 지출구조를 보면, GDP 대비 지출비율 자체는 일본보다 한국이 높았다. 그러나 세부적으로는 한국은 직접일자리창출 분야에 대한 지출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일본은 헬로워크와 같은 고용서비스(PES)항목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많은 선행연구와 본 연구에서 청년실업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 고용서비스 중심으로 지출이 구성된 것이 현재 일본의 청년실업 대응 체제의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정책 관리측면에서는 후생노동성을 중심으로 일원화된 관리체계를 갖추고, 지방정부가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일본에 비해 한국은 정책 관리 주체가 중앙, 지방정부, 대학으로 나뉘어 있고 서로 간에 연계가 부족한 측면이 있었다. 반면 일본은 직접 알선은 헬로워크, 알선 전 단계는 지방정부나 서포스테가 담당하는 것으로 업무영역이 명확히 분리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유사중복 문제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중앙정부의 헬로워크와 지방정부의 잡카페에서 모두 청년 전담 창구를 운영 중인 일본보다 한국은 청년세대 전담 전달체계가 전반적으로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현재 한국의 고용서비스 전달체계는 청년세대에 대한 맞춤형 대응이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differences in the labor market policies of the two countries as the cause of the change in youth unemployment trends in Korea and Japan since 2010. The labor market policies of Korea and Japan were markedly different in terms of the major expenditure areas of the policy, the policy management, the delivery system, and the level of overlap. Overall, when looking at the spending structure of the Active Labor Market Policy (ALMP) to GDP of Korea and Japan, the ratio of spending to GDP itself was higher in Korea than in Japan. However, in detail, most of the expenditures in the field of direct job creation were accounted for in Korea, and in Japan, public employment services (PES) such as Hello Work accounted for most. It can be said that Japan's current system for responding to youth unemployment is that expenditures are organized around employment services that have been analyz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youth unemployment in many preceding studies and in this study. In terms of policy management, compared to Japan, which has a unified management system centered on the Ministry of Health, Labor and Welfare, and where local governments play a subsidiary role, in Korea, policy management bodies are divided into central, local government, and universities, and there is a side of lack of linkage between them. On the other hand, in Japan, Hello Work is in charge of direct mediation, and local governments or supporters are in charge of the pre-mediation stage.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Korea had a general lack of a dedicated delivery system for young generations than Japan, where the central government's Hello Work and the local government's job cafes both operate dedicated youth corners. Due to these problems, it seems that the current employment service delivery system in Korea is difficult to respond tailored to the young gen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