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학에서의 디지털 콘텐츠 교육

        윤석민(Sugmin Youn)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07 언론정보연구 Vol.44 No.1

        한국사회에서 21세기 디지털 문화 시대를 이끌어갈 우수한 디지털 콘텐츠 전문 인력을 육성하는 문제는 새삼 중요성을 강조할 필요가 없다. 디지털 콘텐츠 전문가는 문화적 식견과 창조적 능력, IT 분야와 CT 분야 첨단 기술에 대한 전문적 식견과 활용 능력, 그리고 콘텐츠 비즈니스 능력을 지닌 인재로 상정된다. 이 연구는 미국, 일본, 그리고 우리나라 대학에서의 대표적인 디지털 콘텐츠 교육 프로그램 사례분석을 통해 이러한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시스템 구축의 현황 및 개선방안 등을 점검해 보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미국 남가주대 애넌버그 스쿨, 일본 동경대 대학원 정보학환 · 학제정보학부의 콘텐츠창조과학 산학연계 교육프로그램, 그리고 KAIST 문화기술대학원을 사례 분석하였다. 이 각각의 교육프로그램 사례들은 기관의 목표, 역사, 운영방식 등에서 많은 차이점을 지니고 있다. 이를 염두에 이 연구는 이 각각의 사례들이 제공하는 시사점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바람직한 디지털 콘텐츠 전문인력 양성 교육프로그램의 체계는 무엇인지 논의하였다. We cannot emphasize the importance of nurturing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in digital contents who can lead the era of the 21th century digital culture too much.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in digital contents indicate those who hold cultural insight, creativity, expertise in state of the art IT and CT technology, and at the same time the content business ability, all together. This study examines the present state of the prototype educational systems in universities that aim to foster these professional experts via analyzing the outstanding cases of the US, Japan, and Korea.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the digital content related educational systems of Annenberg School for Communication at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USA, the Content Creation Science Program of Interfaculty Initiative in Information Studies (IIIS) at Tokyo University, Japan, and the Graduate School of Culture Technology at KAIST, Korea. These cases reveal quite some differences in terms of the purposes, histories, and operational systems of institutions. Considering these differences, this study tries to induce the implications of each cases and discusses the desirable instructional model of nurturing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in digital content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2008년 초 정권교체 시점의 방송통신 정책기구 개편을 둘러싼 논의의 혼선과 쟁점들

        윤석민(Sugmin Youn)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08 언론정보연구 Vol.45 No.1

        이 글은 한국에서 이루어져온 미디어 융합에 따른 방송과 통신 정책기구 개편 논의를 평가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최근 이 오랜 논쟁을 끝내고 방송위원회와 정보통신부가 별도로 담당하고 있는 방송 및 통신 정책을 통합적으로 관장하는 권한을 지닐 하나의 통합적 정부기구를 설치하기로 결정하였다. 필자는 이러한 인수위의 결정이 과도하게 성급하고 폐쇄적이며 비민주적 절차로 인해 정치적 반격의 소지를 남기고 있지만 기본적인 방향차원에서 타당하다고 본다. 절차상의 문제에도 불구하고 인수위의 결정이 타당한 이유는 종래 방송통신 정책기구 개편 연구들의 미시적 행정 공학적 접근방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종래의 논의들은 미시적이고 단기적인 시각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및 미디어 이론의 결여 같은 문제로 인해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정책의 의미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채 방송통신 규제기능의 리엔지니어링에 초점을 두어왔다. 필자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정책기구의 위상, 역할, 기능은 보다 거시적이고 중장기적 관점에서 조망되어야 한다고 본다. (여기서부터 새로 추가된 부분) 첫째, 방송통신 정책기구 개편을 통해 등장하게 될 새로운 기구의 위상은 중장기적으로 한국사회가 나아가는 질적 사회발전의 총체적 전망 속에서 모든 층위의 미디어/언론/커뮤니케이션 정책을 아우르는 통합적인 미디어정책기구 더 나아가 커뮤니케이션 정책기구로 조망되어야 한다. 지원/진흥 정책중심의 행정부처와 규제정책중심의 위원회 기구를 구분하는 방안으로는 이러한 통합 적 미디어/언론/커뮤니케이션 정책기능을 담당할 정책기구라는 거시적 비전을 담아내기 어렵다. 인수위가 제안한 통합적 방송통신위원회 안은 향후 행정부와 독립된 영역에서 언론과 커뮤니케이션의 정책을 종합적으로 아우를 미래의 미디어/커뮤니케이션 정책 기구 성격에 한층 더 가까이 다가서 있다고 할 것이다. 둘째, 방송통신 정책 기구의 핵심 역할은 미디어의 공공적 목표와 시장의 효율성 간의 균형과 조화를 달성하는데 있다. 따라서 지원/진흥 정책과 규제정책을 구별하여 이들 별개의 기구로 설치하는 방안은 미디어 정책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흐리게 할 뿐 아니라, 이 양자를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정책 변화가 요구되는 시점에서 오히려 종래와 마찬가지로 사회문화적 정책과 산업정책을 별개의 기관으로 이원화 시키고자 하는 구시대적 발상을 드러낸다. 셋째, 방송과 통신의 융합에 따른 정책의 변화방향은 새로운 미디어, 그리고 이에 대한 새로운 정책 기능이라기보다는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에 대한 기본적 정책능력의 강화라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능력은 정치적 중립성을 유지하는 가운데 사회문화적 가치와 산업적 가치를 미세하게 조절하는 최적점을 찾아내는 정책능력을 의미한다. 공공적 가치와 시장의 효율성 제고라는 정책목표를 한 기구 내에서 아우르며 합의제 방식으로 정책판단을 수행할 방송통신 위원회가 이러한 실질적 정책변화방향에 보다 잘 부합한다고 할 것이다. 하지만 인수위가 방송통신 정책기구 개편 문제를 처리한 방식은 아무리 좋게 보아도 절차적 합리성이 결여되었다는 것이 중론이다. 이는 새롭게 대두하는 권력이 정권 인수 작업의 일환으로 미디어, 언론, 커뮤니케이션 정책 영역을 주무르는 양상처럼 진행되었다. 방송통신 정책기구 개편 문제를 포함한 각종 미디어 정책을 둘러싼 인수위의 거침없는 언행은 변화를 열망하는 사람들의 눈에조차 과도함을 넘어 민주시민사회의 근간을 뒤흔드는 위태로운 느낌으로 다가왔다. 절차상의 문제는 새로운 정부가 내놓은 미디어 정책내용 자체에 대한 의혹 내지 신뢰 상실과 시비로 이어져 제대로 된 정책방안이 표류하는 사태를 초래할 수 있다. 새 정부는 향후 미디어 정책 문제를 다루어 감에 있어서 절차적 합리성을 존중하는 보다 신중한 접근방법을 채택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ims to evaluate a debate on the reformation of Korea's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policy organizations in the wake of media convergence. Recently, the Presidential Transition Committee ended this ongoing debate, proposing to establish one single government agency that integrates broadcasting policy implemented by the Korean Broadcasting Commission and telecommunication policy implemented by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he author argues that the basic directions of the Committee's decision is valid, still its hasty, closed and undemocratic decision making procedure leaves large room for political backfire. The major reason why its decision is valid despite the procedural problems is because i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so-called mechanical administrative approach pervasive among the past debates on the reformation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policy organizations. From a microscopic and shortsighted perspective, existing debates have focused mainly on re-engineering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regulation without recognizing the true meaning of social communication policy with few references to the fundamental meaning of social communication policy. The status. role, and function of a new communication policy entity should come from a macroscopic and long-term standpoint. First, as for its status, a new entity should act as a comprehensive communication policy organization encompassing media and communication policies at all levels. Institutional separation of a governmental ministry in charge of industrial policies and a commission in charge of socio-cultural regulation policies is hard to realize this macroscopic vision. The Presidential Transition Committee's proposal comes closer at building an integrated media and communication policy organization. Second, the vital role of the new communication policy organization in the media convergence era is to accomplish balance and harmony between media's public goals and market efficiency at the same time. The separation of industrial policy and socio-cultural regulation is an anachronistic approach to follow existing communication policy mechanism that differentiates broadcasting policy (social and cultural policy paradigm) and telecommunication policy (industrial policy paradigm). The Presidential Transition Committee's proposal for a single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organization that accomplishes its policy goal of improving public value and market efficiency within one organization appears valid in this vein. The Presidential Transition Committee's approach, however, lacks procedural rationality. Not a few people see its hasty, closed and undemocratic decision making procedure as a new government's attempt to control media and communication polices and even as a threat to the very roots of a democratic civil society. Procedural problems can not only fuel people's suspicion or mistrust of a new government's media policy but also cause a problem of well-directed plausible policies to drift away. In media policy, the new Korean government needs to take more cautious consideration of procedural rationality as well as the substance of policy itself.

      • KCI등재
      • KCI등재

        방송통신위원회의 지상파 중간광고 도입 정책 - 분리편성광고(PCM)로부터의 교훈 -

        안혜상(Hyesang Ahn),윤석민(Sugmin Youn) 한국언론법학회 2021 언론과 법 Vol.20 No.1

        방송통신위원회는 1월 13일 방송법 시행령 개정안을 발표하며 지상파에 중간광고를 허용하면서 허용원칙을 신설해 시청자들의 프로그램 시청흐름을 보호하고 분리편성광고(PCM)와 중간광고에 같은 통합기준을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방통위의 이 같은 중간광고 및 PCM 정책의 기본 틀은 종래의 지상파 PCM 정책에 근거할 것이라 판단되는 바 이 연구에서는 지상파의 PCM 정책이 어떻게 운영되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지상파에 중간광고가 도입될 시 핵심적으로 점검해야 할 사안들은 무엇인지를 탐구한다. PCM 정책을 살펴본 결과 종래의 PCM은 방송법상 중간광고 규정을 우회해 법적인 규제를 받지 않았고 방통위가 PCM 가이드라인 구성을 각 방송사의 자율에 맡겨 버림으로써 규제 공백 상태를 초래했다. 이 연구는 방송법상 중간광고의 규제가 방송프로그램 시간당 광고횟수를 규정하는 형식적 규제로만 이루어지고 있음을 지적하고 앞으로 도입될 중간광고에 대해 분리편성의 시점에 관한 질적인 규제가 추가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특히 뉴스 프로그램에 대한 허용 원칙은 보다 엄중한 논의를 거쳐 구성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olicy of terrestrial mid-program ads announced by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in January 2021 based on the PCM policy, which was operated as a transitional policy. On January 13th,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nnounced the amendment to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Broadcasting Act and created a principle of permitting mid-program ads which would protect viewers’ program viewing flow, and announced that the same integrated regulations will be applied to PCM and mid-program ads. The study, which believes that the basic framework of the KCC’s mid-program ads and PCM policy is based on the existing terrestrial PCM policy, examines how the PCM policy of terrestrial broadcasters was operated and explores what key issues should be checked when mid-program ads is introduced. PCM was not legally regulated by bypassing mid-program ads regulations under the Broadcasting Act, and the KCC left the setup of the PCM guidelines to the autonomy of each broadcaster, thereby causing a regulatory void. This study points out that the regulation of mid-program ads under the Broadcasting Act is only a formal regulation that stipulates the number of ads per hour of broadcasting programs, and suggests that a qualitative regulation on the timing of separation should be added for future mid-program ads. It is also emphasized that principle of permitting mid-program ads, in particular for news programs, should be established after rigorous discussion. In the light of PCM case, the change that the introduction of mid-program ads causes in broadcasting compilation is likely to progress faster and wider than we currently expect, and the post-policy formulation approach may result in another regulatory void. Rather than relying on impact assessment after mid-program ads, the study reviewed that is a reasonable policy approach to proactively and more clearly establish policy measures for mid-program ads based on experience from PCM cas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