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등줄쥐(Apodemus agrarius)의 일중휴면에 관한 연구

        윤명희,한창욱,Yoon, Myung-Hee,Han, Chang-Wook 한국생명과학회 2006 생명과학회지 Vol.16 No.4

        등줄쥐에서 일중휴면이 어떤 요인에 의하여 유발되는지를 알기 위하여, 온도, 먹이 및 광주기를 조절하여 등줄쥐의 체온변화를 자동온도기록장치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등줄쥐 암컷에서는 21개체 중 8개체가 겨울철 및 봄철 실외환경, 저온실$(4^{\circ}C)$과 절식상태$(23^{\circ}C)$에서, 등줄쥐 수컷에서는 23개체 중 2개체가 겨울철 실외환경에서 휴면을 하는 점으로부터, 일중휴면은 일부 암 수 등줄쥐에서 저온이나 먹이결핍 등 갑작스런 환경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에너지 절약대책으로 채택되고 있음이 시사되었다. 그러나 수컷에서는 번식기에는 번식 기회를 줄이지 않기 위하여 휴면을 억제하지만 암컷에서는 번식기에도 휴면을 하는 점으로부터 암 수가 서로 다른 전략으로 집단을 유지하고 있다고 생각되었다. 일중휴면은 오전 6시${\sim}$낮 12시 사이에 가장 빈번하게 관찰되었으며, 휴면시의 체온의 하강은 어떠한 조건에서도 주위온도가 가장 낮은 오전 4시${\sim}$6시경에 시작되었는데, 이러한 점은 일중휴면이 열 손실의 억제를 위한 전략임을 시사하고 있다. 휴면시 최저체온은 $16.5^{\circ}C$이었다. 광주기의 영향은 없었으며, 일정온도 하에서 항상 암기$(24D,\;4^{\circ}C)$에 두거나, 절식$(23^{\circ}C)$ 하에 광주기를 변화시켜도(16L:8D 또는 8L:16D) 서로 유사한 시각에 일중휴면이 일어나고 있어, 일중휴면 시각이 광주기에 의해서 조절되지 않으며 활동일주기의 영향을 받고 있다고 생각되었다. Patterns of induced daily torpor were measured in the striped field mouse, Apodemus agrarius, in response to low temperature, food deprivation and various photoperiods using implanted data loggers. A total of 8 of 21 females entered daily torpor in response to low outside ambient temperature (Ta) during winter and spring, constant low Ta $(4^{\circ}C)$ or food deprivation $(23^{\circ}C)$ during summer, but 2 of 23 males did only in response to low outside Ta during winter. This fact indicates that torpor is an adaptive hypothermia to unpredictable environment in both some males and females, as well as that torpor was inhibited in males in the reproductive season as in other mammals, which is regarded as a strategy not to reduce the chance of copulation. As for females, however, torpor was employed in response to unpredictable environment even in the reproductive season, suggesting that alternative strategies other than keeping the chance of copulation maybe hired by females to keep the population. Torpor bout generally began at $6{\sim}12$ AM, but the decrease of body temperature $(T_b)$ began mainly at $4{\sim}6$ AM at any conditions, the time when Ta is lowest. This strategy might be also adopted for reducing heat loss to unpredictable environment. Minimum $T_b$ of both males and females during torpor did not fall below $16.5^{\circ}C$. Photoperiod had no influence on the incidence and timing of daily torpor in either males and females. The similar timing of torpor bout in response to the 3 different photoperiods (24D, 16L:8D or 8L:16D) under the constant temperatures $(4^{\circ}C\;or\;23{\pm}2^{\circ}C)$ suggests that entering time of torpor might be controlled by the circadian rhythm of the mice rather than by the photoperiod.

      • KCI등재

        장기근속 치과위생사들의 재직의도 영향 요인

        윤명희,김윤정,문상은,김선영,조혜은,강현주,Yoon, Myung-Hee,Kim, Yun-Jeong,Moon, Sang-Eun,Kim, Seon-Yeong,Cho, Hye-Eun,Kang, Hyun-Joo 한국치위생학회 2021 한국치위생학회지 Vol.21 No.2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factors for retention intention among long-term employed dental hygienist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long-term service (working) environment. Methods: A total of 202 dental hygienists with more than five years' work experience at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located in Seoul, Gwangju, and Jeonnam Province, South Korea, were surveyed. The data were analyzed for each factor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an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t the current workplace, a better working environment, and higher job satisfaction were associated with higher retention intention. However, lower professionalism in dental hygiene as a subdomain of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domain was associated with higher retention intention. Conclusions: To increase retention intention among dental hygienist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in which dental hygienists can perform professional roles and seek ways to establish their identity as professionals in dental healthcare settings.

      • KCI등재후보

        이미지음식의 소비와 커뮤니티의 창조

        윤명희(Yoon Myung-hee) 한국문화사회학회 2009 문화와 사회 Vol.6 No.-

        본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의 확장이 자기통제나 자기과시가 아니라 나눔과 결속으로서 음식의 의미를 재구성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사이버공간의 새로운 음식문화와 그 향유자들의 상호작용 과정을 분석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자기 창조로서 음식의 소비를 음식이미지의 쾌락성을 중심으로 논의하는 한편, 시각적 감각성에 기초한 피상성, 즉 이미지의 만개가 자기구성과 사회성 창조의 새로운 계기가 되고 있음을 살펴보고 있다. 그리고 음식관련 블로그 콘텐츠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사이버공간에서 소비, 생산, 창조되는 이미지음식을 ‘걷기’, ‘시선교환’, ‘하기’, ‘재구성’, ‘연대성의 형성’이라는 일련의 흐름들로 제시하고 있다. This thesis is a sociological study on new culture of food consumption in web and consumer interaction. The social diffuson of digital media reconstruct the meaning as food consumption which is a social solidarity, not self-display. However this study emphasizes that a food consumption produces a self of pleasure through the medium of consumption of visual images and an abundance of food images in cyberspace specially serve as a momentum to create self and community. This study is performed through case study on food contents in blocs. In summary, consumption of image-food is the flow which has each process called 'walking', 'exchange of sight', 'doing', 'reorganization' and 'the feeling of solidarity'.

      • KCI등재

        소셜네트워크에서 여성/주의 정체성의 복합적 수행

        윤명희(Yoon, Myung-Hee) 한국여성연구소 2013 페미니즘 연구 Vol.13 No.1

        이 연구는 소셜네트워크에서 이뤄지는 여성/주의 정체성의 복합적 수행에 대한 문화사회학적인 탐색으로서, 소셜네트워크에 대한 기존 연구들에 대한 비판적인 검토와 아울러 트위터나 페이스북을 이용하는 여성사용자들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주요 연구내용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첫째, 이 연구는 사이버사회관계의 일상화 및 복잡화 과정을 개략하고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같은 사이버공간을 일상적 사회적 상호작용의 공간으로 개념화하고 있다. 드리고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에 대한 기존 연구들이 이들 공간의 매체적 기능과 정치사회적 영향력이라는 차원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을 비판하고 소셜네트워크 사용자들의 사회문화적 상호작용에 좀 더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둘째, 이 연구는 여성/주의 웹사이트에 대한 연구들이 질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을 하고 있다는 점을 의미 있게 평가하는 한편, 이들 연구들이 사이버공간의 여성들을 지나치게 대상화하거나 주체화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을 비판하고 있다. 나아가 이 연구는 사이버공간에서 여성사용자들이 실천하는 복합적인 정체성에 관심을 기울이는 최근의 여성/주의 웹사이트에 대한 연구들을 검토하고 있다. 셋째, 이 연구는 소셜네트워크 및 여성/주의 웹사이트에 대한 연구동향들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바탕으로 2-30애 여성주의 정체성이 일관된 하나의 이미지나 역할 행위로 나타나기 보다는 상호 모순적이고 다중적인 정체성의 전시와 수행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As this paper is a exploratory research on the multiple identities of women and feminists on social network services, it practices not only a critical review of earlier studies of related to social network services such as twitter and facebook but also qualitative analysis for users of social network service. The main research contents are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ly, after arranging processes of routinization and complexity of cyber-mediated relationships, this study conceptualizes Facebook or Twitter as a space of everyday and social interaction. And this study criticizes that the existing researches on Facebook or Twitter tend to overly concentrate on the media functions and political and social influence. Therefore this study emphasizes to give more attention to social and cultural interaction of social network users. Secondly, although this study appreciates the meaning of the existing researches performed a qualitative and in-depth analysis on women and feminist website, it criticizes their tends to overly consider women users on cyberspace as a object or subject. And this study introduces recent feminist studies about web sites to pay attention to performativity of a complex identity of woman users in cyberspace. Thirdly, based on a critical review of the research on the Web site of trends in social networks, this study practices focus group research about 20s young feminist. Focus group research shows that young feminist identities on social network services are characterized by displays and performances of contradictory and multiple identities aspects rather than a consistent image or a role act.

      • KCI등재

        청소년과 디지털 참여

        윤명희(Yoon Myung Hee) 한국사회학회 2009 韓國社會學 Vol.43 No.5

        청소년들은 일상적 사회적 영역에서 미성숙하고 감정적이라는 근거로 배제되고 있지만, 디지털 참여 연구에서 정서 및 감성적 차원은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 연구는 디지털 공간의 청소년 참여 특성을 하위문화의 시각에서 커뮤니티 이용자들 간의 감성적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논의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청소년 커뮤니티 ‘촛불소녀코리아’의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통해 새로운 기획자로서 청소년의 형성과정과 청소년의 디지털 참여 특성을 도출하고 있다. 사례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이용자들은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광장의 기획자로서 자기 및 커뮤니티의 실재감을 형성하고 있다. 둘째, 청소년 이용자들은 디지털 미디어의 복합적 활용을 매개로 디지털 광장을 오프라인 광장과 융합되는 탈경계화된 공간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셋째, 직접적이고 체험적인 특성을 띠는 식품안전이슈는 세대간 보편성과 아울러 청소년 세대의 정서적 연대를 형성하는 주요한 계기가 되고 있다. 넷째, 청소년 이용자들의 디지털 참여는 이미지지향적이고 정서적인 커뮤니케이션 특징이 두드러진다. 다섯째, 청소년 이용자들의 디지털 참여는 리플놀이와 피스몹과 같은 일상성에 기초한 유희적 참여 특성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The exclusion of youth from social spheres is generally based on premise which youth are the emotional being. But emotions are important in the digital participation. This study is a sociological research on a youth participation in digital age, that is performed through analyzing electronic contents of youth online community 'candlegirls' from the viewpoint of subculture. This research focuses on two parts: formation processes of youth identity project and emotional features of digital youth participation.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case study are as follows. First, youth users in 'candlegirls' construct a self and commuinty identity in digital space. Second, youth users make the multiple use of digital media and form a digital agora of a convergent space. Third, food security has the universality between generation and branch out emotional solidarity within youth generation for the reason that it is a direct and empirical issue. Forth, digital communications of youth users show that they are image-oriented and emotional. Fifth, digital youth participations are also remarkably everyday and playing in the sense that they lay emphasis on an instant fun.

      • KCI등재

        소셜네트워크와 정체성 놀이

        윤명희(Myung-Hee Yoon),손수빈(Soo-Bin Son) 한국문화사회학회 2015 문화와 사회 Vol.18 No.-

        이 연구는 ‘트위터 봇’ 현상을 SNS 사용자들의 쌍방향적인 "정체성 놀이"의 맥락에서 접근하고, 트위터 봇과 봇 팔로워간의 상호작용 방식에 대한 질적 분석을 수행하고 있다. 먼저 이 연구는 사이버공간의 사용자정체성에 대한 연구경향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사이버사용자 정체성의 구성적이고 수행적이고 놀이적인 특성에 주목한다. 다음으로, 이 연구는 트위터 봇 가운데 역할놀이적인 상호작용성이 뚜렷한 캐릭터 봇에 대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 연구방법은 의도하지 않은 참여관찰과 온?오프라인 심층면접같은 문화기술지이며, 연구참여자는 트위터 봇 계정 관리자와 트위터 봇 팔로워들이다. 분석 내용을 개략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트위터 봇은 ‘역극’을 통해 작품 혹은 작품 내 캐릭터의 역할을 수행하며, 이 때 트위터 봇의 캐릭터 정체성은 주어진 상황, 즉 ‘세계관’에 기반하여 재현된다. 둘째, 다른 한편으로, 트위터 봇의 정체성은 상당부분 유동적인데, 이것은 캐릭터의 상황적 변형과 함께, 성별이나 나이, 성격을 전격적으로 교체하는 ‘캐릭터변화’에서 뚜렷하게 드러난다. 셋째, 트위터 봇과 그 팔로워들은 특정한 캐릭터의 역할을 수행하는 단순한 가면놀이에서 나아가, 봇 참여자들 상호간의 재미와 정서적 친밀감을 강화하는 놀이적 상호작용을 지속한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analysis about interactivity between Twitter bots and their followers, approaching from the viewpoint of identity play. First, through reviewing existing research on cyber-identities,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structive, performative and playful characteristics of identities in cyberspace. Next, this study performs qualitative research on a Twitter Bot of a role-playing type such as a character bot. The main research methods used are: ethnography method such as an unintentional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off-line and on-line and study of participants including Twitter Bot account managers and Twitter Bot followers.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witter Bots, through a "yeokgeuk", are performing the typical roles as a character in the play and these characters’ identity as Twitter bots is based on given circumstances so-called "segegwan’. Second, identities of Twitter Bots are pretty fluid, which clearly appears through transforming situational condition in role play and changing gender, age and character"s personality. Third, Twitter Bots and their followers continue playful interaction as a social interaction to enhance enjoyment and emotional intimacy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o ‘masque play’ to perform the role play of a particular character.

      • KCI등재후보

        PC방의 네트워크 일상풍경

        윤명희(Yoon Myung-Hee) 한국문화사회학회 2011 문화와 사회 Vol.10 No.-

        ??이 연구는 PC방을 새로운 공간 혹은 병리적 공간으로 보는 이분법에서 벗어나 네트워크 시대 한국사회의 일상적인 삶 풍경이 구체적으로 드러나는 공간으로 접근한다. 이 연구는 PC방이 어떤 개별의 공간임과 동시에 인터넷 매개의 일상풍경이 드러나는 네트워크화된 공간이라는 차원으로 확장될 수 있음에 주목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 연구는 형이상학적인 공간론에서 벗어나 구체적인 장소에 주목하는 현대 공간성 연구와 함께, 미디어의 확장에 따른 탈장소와 재연결의 차원에 주목하는 연구들을 검토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컴퓨터와 인터넷으로 매개된 방들, 즉 PC-방이라는 네트워크화된 공간에서 나타나는 이중적이고 혼성적인 일상풍경을 분석하고 있다. ??This Paper is a cultural study on ‘PC Bangs’ as Korean internet cafes. In existing research, PC Bangs are ordinarily considered as liberated or deviant spaces. However this study emphsizes that PC Bangs have a need of being analyzed in connection their everydaylife landscapes. This study approaches that PC Bangs are each spaces at once and can expand into networked places which are ‘PC-Bangs’ displaying internet-mediated Korean daily landscapes. In relation, this study discusses the present spatial researches which take a interest in concrete places rather than metaphysical spaces and specially pay attention to the dimensions of displacement and reconnection concerned with a new media such as the internet. Then, this study analizes dual and hybrid everydaylife landscapes expressed in PC bangs and the networked places of ‘PC-bangs’

      • KCI등재

        디지털 공간의 스펙터클과 산책자

        윤명희 ( Myung Hee Yoon ) 한국사회역사학회 2009 담론 201 Vol.12 No.2

        This paper is a sociological study on new sociality and user culture in digital space. It discusses the social and cultural meanings of digital interaction through concepts of spectacle and flaneur. Here ar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it finds that digital space is a multiple and interactive sphere rather than a one-sided surveillant panopticon. Digital spectacles in the synopticon are sights, amusements, productions and consumptions. Second, it shows that social relations in the digital space are changed into displayed spectacles by anonymous intervisuality. Third, it concludes that cyber-flaneurs as mobile and watching beings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ir visual point of view: attentive flaneur, concealing flaneur and inter-visual spectator.

      • 학술연구 : 공공도서관의 작은도서관 지원 협력 사례

        윤명희 ( Myung Hee Yoon ) 한국디지틀도서관포럼 2011 디지틀 도서관 Vol.62 No.-

        작은도서관에 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런 사회적 관심은 2010년 6월 전국지방선거에서 후보자의 공약으로 나타났고, 당선된 후보자들은 작은도서관 관련 공약을 주요 시책으로 표방하며, 작은도서관에 대한 지원과 협력 과제를 구체화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본고는 이런 현실적 배경 속에서 경기도 작은도서관 현황 조사를 토대로 파주시 작은도서관 정책수립 및 집행사례를 기술하였다. 파주시가 도서관법 시행령의 작은도서관 시설 및 자료 기준의 법적 테두리 안에서 작은도서관의 지원과 협력대상을 어떻게 설정하고 지역 공공도서관 협력체계 속에서 어떻게 작은도서관의 성장을 도모해 왔는지 기술하였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공공도서관과 작은도서관이 협력과 소통을 통해 지역 도서관 발전의 과제를 함께 해결하려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유사한 고민을 하는 자치단체의 작은도서관 정책 수립 및 집행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e social interest on small libraries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Such social interest was visualized in the pledges of election candidates in the national election in June 2010. The elected candidates advocated the pledges related to small libraries as their major policies and requested to embody the support and cooperation projects for small libraries.On the background described above, this study explained the establishment of small library policy of Paju and implementation cases on the basis of the Gyeonggi-do small library survey. The contents of this study include how Paju determined the subjects for small library support and cooperation projects on the basis of the small library facility and data standards specified in the enforcement decree of Libraries Act and how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small libraries in the cooperation network with public libraries in the communities. The case study on Paju ultimately aimed to suggest the approaches to solve the challenges for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libraries by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public libraries and small libraries. Furthermore, this study tried to help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small library policies by the local authorities which have been deliberating on how to develop small libraries.

      • KCI등재

        이동하는 세계에서 관광-하기

        윤명희(Myung-Hee Yoon)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미디어, 젠더 & 문화 Vol.23 No.-

        이 연구는 이동성이 증대된 세계에서의 관광을 상호작용 의례의 복합성이라는 차원에서 논의하고, 이를 미디어 및 사이버공간과 결부된 관광현상에 적용하여 분석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 의례는 초월성이나 보편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도구라기보다는 세계를 해석하는 방법이자 인간행동의 한 범주를 의미한다. 이 연구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이 연구는 현대관광의 의례적 측면을 관광의 목적과 동기가 표준화 되고 동질화되는 관광의 의례화와 함께, 관광의례의 일상화와 지구화를 통해 나타나는 의례의 관광화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둘째, 여기에서 나아가 이 연구는 다원화된 현대 관광객들이 수행하는 복합적인 상호작용 의례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상호작용하는 행위자로서 현대 관광객은 파편화된 소비자 혹은 성찰적인 주체으로 수렴되기 보다는 유동적이고 복합적인 정체성을 지니며, 이러한 현대관광의례의 복합성은 집을 떠나지 않는 새로운 이동성의 출현에 따라 보다 심화되고 있다. 셋째, 이 연구는 현대관광의례의 복합성을 미디어 및 사이버공간을 매개로 이뤄지는 새로운 관광현상에 적용하여 분석하고 있다. 사이버관광은 물리적 장소와 사이버공간의 경계를 횡단하는 상호교차적 이동성과 함께 정주자와 비정주자 경계를 모호하게 오가는 현대 관광객의 유동적 정체성을 보여준다. 또한 사이버관광에서 상호작용 의례는 근접성 없는 친밀성에 기반한 사이버관광객들 사이의 새로운 결속을 형성할 뿐 아니라 구성된 관광지의 신화를 해체하는 탈중심화된 반의례의 지속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This is a sociological study on tourism and ritual in mobile world, that is approaching mediated tourism such as a cyber-tourism from the viewpoint of the complexity of interaction ritual. This study emphasizes that ritual is a way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ld and a form of human action, not the way of transcendence and universal solidarity. Detailed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is research is based on analysis of other previous studies on tourism as a ritual; one characterized by a ritualization of tourism as the standardization of the purpose and the motive; the other characterized by the expansion of the routinization and the globalization of tourism. Second, unlike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suggests that a variety of tourists perform the complexity of interaction ritual. With the expansion of technologically-mediated mobilities, the fluidity and complexity in contemporary tourism are increasing. Third, this study applies the complexity of interaction ritual in contemporary tourism to media tourism and cyber-tourism. Cyber-tourism interrelated with corporeal travel have features of intersectional mobilities, and cyber-tourists have fluid and complex identities. Interaction ritual between cyber-tourists is able to activate not only the formation of new ties based on proximity without propinquity, but also the duration of decentralized counter-ritual which deconstructs the mythologization of tourist attra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