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 머리뼈모형 제작

        윤관현(Kwan-Hyun Youn),허경석(Kyung-Seok Hu),송우철(Wu-Chul Song),고기석(Ki-Seok Koh),김희진(Hee-Jin Kim) 대한체질인류학회 2010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3 No.4

        머리뼈모형을 이용한 해부학 교육은 아주 오래 전부터 행해져 왔으며, 이는 실제 뼈를 이용하는 것보다 편의성과 경제성에서 많은 도움이 된다. 하지만 국내에서 사용되는 머리뼈모형은 대부분 서양인을 대상으로 제작된 것으로 실제 한국인 머리뼈와 많은 차이를 보인다. 이에 보존상태가 양호하고 골절이나 질병에 의한 변형이 없으며, 비교적 한국인 특징이 잘 드러난 머리뼈(남성, 50세)를 바탕으로 머리뼈모형을 제작하였다. 먼저 입방체 모양의 틀을 제작한 다음 실제 머리뼈를 넣고 실리콘을 부어서 경화시켰다. 실리콘을 절개한 후 실리콘틀에서 실제 뼈를 꺼낸 다음 그 자리에 레진을 부어 탈포와 경화과정을 거쳐 원형을 복제하였다. 실제 뼈에서 잘 드러나지 않았던 구조와 복제하는 과정에서 생긴 결함들을 수정 및 보완하였다. 실제 뼈에서 훼손되었거나 일반적인 형태가 아니었던 구조는 코선반뼈, 치아와 이틀활, 목정맥구멍, 날개갈고리, 침대돌기 등으로 깎거나 덧붙여서 보완하였다. 복제하는 과정에서 생긴 결함은 주로 작은 구멍들과 절개선 사이에 생긴 흠집들이었으며 이를 바로 잡았다. 또한 붓돌기는 파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실제보다 길이를 더 짧게 하였다. 개선된 머리뼈모형을 원형복제와 동일한 방법으로 새로 복제하였다. 모형용 도료를 색칠하여 뼈의 느낌을 주었으며 이때 봉합선의 색깔을 약간 강조하여 관찰이 쉽게 하였다. 이렇게 완성된 한국인 머리뼈모형과 서양인 머리뼈모형을 10개 항목에 걸쳐서 계측하였으며 9개 항목의 지수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머리길이너비지수(length-breadth index), 머리길이높이지수(length-height index), 이마광대지수(frontozygomatic index), 코지수(nasal index) 등에서 서양인 머리뼈모형과 큰 차이를 보였으며 기존에 연구된 한국인 머리뼈 평균에 가까웠다. 이처럼 실제 한국인 머리뼈를 이용한 모형은 서양인 모형에 비해 비교적 한국인 머리뼈의 특징이 잘 드러나 있으며, 이는 해부학 교육용 모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Anatomy education using skull models has been widely performed for a long time and known that it is actually much convenient and economical. However, until now, most of skull models used in anatomy class are imported from the United State or Europe. Therefore, the models showed characteristics of Caucasian skulls, and had several differences from skulls of Koreans. Hence, we made a specific replica model of skull which have various Korean characteristics. We used Korean male skull (aged 50 years) without defect due to diseases or fractures. The silicon was poured over the skull in the cubic frame and hardened. We took out the skull from the silicon frame and poured the resin into the frame to duplicate the original skull. After defoamation and hardening the resin, the skull model was taken out of frame. And we modified defects which occurred during duplicated process and made detailed structures which unrevealed in real skull. After completion of the skull model, we measured ten items of anthrop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nd American skull models and compared 9 categories of index.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ngth-breadth index, length-height index, frontozygomatic index, nasal index between the Korean and American skull models; As aforementioned, the skull model, compared to Caucasian skull models, had numerous distinctive Korean skull features and this model can be used for anatomy education in South Korea.

      • KCI등재

        이쾌대 해부학 그림의 미술해부학적 성취와 한계

        윤관현(Youn Kwan Hyun) 대한체질인류학회 2018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1 No.3

        화가 이쾌대는 한국전쟁 중이던 1951년에 거제포로수용소에서 제자였던 이주영에게 미술해부학을 가르치기 위해 직접 해부학 그림을 제작하였다. 전체 2권으로 구성되었으며, 48쪽에 걸쳐 74개의 그림이 설명과 함께 교본 형태로 제작되었다. 목차는 전신비례, 뼈대, 근육, 머리 순서로 그려져 있으며, 부위별로는 몸통 4개, 머리 51개, 팔 7개, 다리 9개, 전신 3개였다. 머리와 얼굴에 대한 그림은 수량도 많고 자세히 그려져 있었으나, 뼈 그림들은 오류가 많았고, 근육 그림들은 구조들 간의 경계가 구분이 되지 않을 정도로 불명확하게 그려져 있었다. 미술해부학에 필수적인 형태, 비례, 동세가 포함되어 있지만, 내용이 지나치게 머리 부위에 할애된 점과 비례와 동세가 순서와 상관없이 배치되는 등 목차에 일관성이 없는 것은 아쉬운 부분이다. 이쾌대의 월북으로 그의 그림들이 널리 쓰이지 못했던 점은 매우 안타까우나, 그의 해부학 그림들은 당시 일본 미술해부학의 영향과 우리나라의 미술해부학 도입기의 상황을 가늠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라 생각된다. In 1951, in the midst of the Korean War, artist Lee Quede produced anatomical drawings to teach artistic anatomy to his student Lee Ju-yeong while interned in the Geoje prison camp. Comprising 2 books and spanning over 48 pages, 74 drawings were produced alongside explanations in a textbook format. The table of contents was ordered starting from body proportions, then the skeleton, the muscles, and the head. By part, there were 4 drawings of the trunk, 51 of the head, 7 of the arms, 9 of the legs, and 3 of the full body. Though the drawings of the head and face are both high in number and in detail, there were many errors in his depictions of the bones, and the boundaries between the structures of his muscle drawings were drawn so unclearly as to be indistinguishable. The essential forms, proportions and movement are included, but his disproportionate dedication to the head and the incoherent way that the book is arranged with no relevance to its table of contents leave something to be desired. It is regre table that Lee Quede’s return to North Korea meant that his drawings were not widely used, but despite this, I believe that these are invaluable documents in assessing the influence of Japanese artistic anatomy at the time, as well as the introductory circumstances of Korean artistic anatomy.

      • KCI등재

        자신경 깊은가지가 새끼두덩근육에 분포하는 양상

        윤관현(Kwan-Hyun Youn),김희진(Hee-Jin Kim),곽현호(Hyun-Ho Kwak) 대한체질인류학회 2021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4 No.4

        고정된 사체의 손 40쪽을 해부하여 새끼두덩근육으로 가는 자신경 깊은가지의 분포양상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자신경 깊은가지에서 일어나 새끼두덩근육에 분포하는 근육가지는 한 개부터 다섯 개로 다양했다. 모두 40개의 표본 중 하나의 근육가지로 일어난 뒤 나뉘어 새끼두덩근육에 분포하는 경우는 두 쪽 (5%)이었으며, 두 개의 근육가지가 분포하는 경우는 10쪽 (25%)이었다. 자신경 깊은가지에서 일어나 새끼두덩근육에 분포하는 근육가지가 세 개인 경우가 22쪽 (55%)으로 가장 흔하였으며, 네 개의 근육가지를 갖는 경우는 두 쪽 (5%), 다섯 개의 근육가지가 분포하는 경우는 네 쪽 (10%)이었다. 새끼벌림근에 분포하는 근육가지는 일반적으로 자신경 깊은가지에서 일어났으며 (36쪽, 90%), 이 근육가지가 자신경 깊은가지와 얕은가지가 나뉘는 분기점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두 쪽이었고, 얕은가지에서도 일어나는 경우가 한 쪽 관찰되었다. 자신경 얕은가지와 정중신경이 교통가지로 연결된 경우는 35쪽 (87.5%)에서 관찰되었다. 자신경 깊은가지가 새끼두덩근육에 분포하는 양상에 대한 자세한 우리의 연구결과는 외과의사가 새끼두덩의 외상, 자신경굴 압박, 관련 부위의 종양 등 손의 자쪽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병증상태를 진단 및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Although some studies have examined the course of the deep branch of the ulnar nerve into the hypothenar muscles, the anatomic descriptions of the courses of the deep branch of the ulnar nerve are vary and the precise patterns of innervation to muscles is not well defined. A total of 40 hands from 26 preserved Korean cadavers were dissected. Branching patterns from the deep branch of the ulnar nerve into the hypothenar muscles ranged from one main branch to five main branches. In two of 40 specimens (5%), only one main branch from the deep branch of the ulnar nerve innervated into all the hypothenar muscles. 10 specimens had two main branches to supply the hypothenar muscles (25%). The most common number of main branches was three (22 specimens, 55%). The muscular branch to the abductor digiti minimi usually arose from the deep branch of the ulnar nerve (36 specimens, 90%). In three specimens, this branch arose from the furcation spot between the deep and superficial branches of the ulnar nerve, and the remaining one specimen had the branch arising from the superficial branches of the ulnar nerve. Thes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ill provide a useful reference for clinical applications and surgical procedures of the hypothenar region.

      • KCI등재

        두경부재건을 위한 전외측 대퇴유리피판: 해부학적 연구

        박주용,박현도,윤관현,곽현호,허경석,강현주,김회진,최성원,Park, Joo-Yong,Park, Hyun-Do,Youn, Kwan-Hyun,Kwak, Hyun-Ho,Hu, Kyung-Seok,Kang, Hyun-Joo,Kim, Hee-Jin,Choi, Sung-Weon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2005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27 No.4

        The anterolateral thigh flap was originally described in 1984 as a septocutaneous flap based on the descending branch of the lateral circumflex artery. This flap has some significant advantages for reconstruction of the head and neck. It can be raised as a subcutaneous flap, a fasciocutaneous flap, or a myocutaneous flap and can resurface large defects in the head and neck. In addition, it has a large and long vascular pedicle, and because of the distance of the donor site from the head and neck, it can easily be harvested with a 2-team approach. However, the number and locations of cutaneous perforators vary individually, and thus, it is not widely used because flap elevation is often complicated and time-consuming owing to unexpected anatomical variation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lassify the vascular anatomy and to assess the suitability of anterolateral thigh flap for head and neck reconstruction in Korean. We performed an anatomic study on cadavers and analyzed the anatomic pattern of the lateral circumflex femoral arterial system and the perforators nourishing the anterolateral thigh flap. This study suggest the characteristics of vascular anatomic patterns of anterolateral thigh flap of Korean and utility of this flap for head and neck reconstruc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