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여자의용군 군악반의 발자취

        윤관기 ( Gwan Ki Yun ) 민족음악학회 2015 음악과 민족 Vol.50 No.-

        Studying the history and roles of female volunteer army band look back at the history of Korean Army and also horrific history of Korean War. The female volunteer army band gave influence upon the with various aspects. Firstly, they showed the advanced state of women who break the traditional Confucian society and patriarchal atmosphere. Secondly, as student army band and served as artistic crew, they were on a mission dedicated their lives for the country in crisis without distinction of sex. Thirdly, they were performing activities that encourage over and moaning in patients with hospital beds. The female volunteer army band, its size and the number was small but its historical significance can be large and they contributed to enhance the fighting spirit of soldiers and citizen and also the role of female volunteer army band may have significance in history of Korean army band.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함양한 음악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 연구: 생활화 영역을 중심으로

        윤관기(Gwan Ki Yun)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1 음악교육공학 Vol.- No.49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과 필요성이 확대되는 과정에서 새롭게 개발되고 있는 음악과 교육과정 속에 지속가능발전의 접근 가능성을 다뤄봄으로써 음악교과를 통해 지속가능발전 태도를 함양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속가능발전(SD)과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개념과 정의를 살펴보고, 지속가능발전교육의 3가지(환경적, 사회적, 경제적)관점의 핵심내용과 타 교과 교육과정에 적용된 내용을 정리하였으며,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핵심내용을 토대로 음악과 교육과정 생활화 영역에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교육과정이 개정될수록 사회적 관점의 요소(음악과 행사, 음악과 건강, 문화유산)가 명확하게 제시되었다. 둘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환경, 경제적 관점보다 사회·문화적 관점의 SDGs(3번, 4번, 7번)에서만 관련성을 찾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발전목표의 SDGs 요소들 일부에서 생활화 영역의 요소와의 관련성을 찾아 적용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2021년 4월 교육부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기초소양 및 역량 함양 교육을 강조한다는 보도자료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새로이 개발되는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지속가능발전의 핵심내용 및 가치방향을 이해하고, 생활화 영역을 통해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천할 수 있도록 개정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realiz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school music education based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subject in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which is being newly developed in the process of increasing awareness and necessity fo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t is meant to provide direction. To this end, the concepts and definition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ere reviewed, and the core contents of the three (environmental, economic, sociocultural) perspective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contents applied to other curricula were summarized, and based on the core content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field of making music a way of life was applied to music and curriculum.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as the curriculum was newly revised, the elements of social perspective (music and events, music and health, cultural heritage) were clearly presented. Second, the relevance was found only in the SDGs (No. 3, 4 and 7) from the socio-cultural perspective rather than the environmental and economic perspectiv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inally, some of the SDGs elements of Sustainable Development suggest the possibility to find and apply the relevance to the elements of making music a way of life. As can be seen in the press release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 emphasizes basic literacy and competency-building education to prepare for a sustainable future in April 2021, in the newly developed music and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ore content and value direc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make It needs to be revised so that students can actively practic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rough music a way of life.

      • KCI등재

        중학교 자유학년제 예술·체육활동을 위한 음악극 프로그램 개발

        윤관기 ( Yun Gwan Ki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0 예술교육연구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교육과정에 도입된 자유학년제에 따른 예술·체육 활동의 일환으로 음악극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수·학습 과정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에 따른 연구방법과 내용으로 첫째, 음악극 활용을 위해 장편소설 작품을 선정하고, 창작 활동의 구성 방향에 맞게 지도 방법을 계획하였다. 연구를 위해 선정된 작품은 손원평의 장편소설‘아몬드’로서 청소년기 타인의 감정을 공유하는 방법이 서툰 청소년들을 위함이다, 둘째, 음악극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집단탐구모형(GI)을 적용하였으며, 음악극은 스파케(Speake)와 셔우드(Sherwood)가 개발한 내용을 적용하여 준비, 분석, 진행, 공연의 과정을 중심으로 2학기 각 17주(주당 2차시)를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학적 텍스트와 음악, 배우의 연기, 무대장치 등의 총체예술로 보는 바그너에 의해 인물과 인물들간 미래와 과거를 연결시키는 특정한 라이트모티브(Leitmotiv)의 사용을 통해 음악이 가진 특징을 음악극 프로그램 속에 부여하였다. 이를 통해 예술·체육활동에서 종합예술로서의 음악극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의 다양한 창의성, 사고력, 인성을 함양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usic drama program as part of art and physical activities according to the free learning year introduced i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To this end, the concept and meaning of the free learning year were examined, and a music drama in the form of a comprehensive art was developed to cultivate the talents and potentials of the students through art and physical activit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music drama applied the program development of Speake and Sherwood and applied 17 weeks each(twice per week) in the second semester, focusing on the process of preparation, analysis, progress, and performance.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were given to the music drama program through the use of a specific Leitmotiv that connects the future and the past of the characters by Wagner, who sees as Gesamtkunstwerk such as literary texts, music, actors' acting, and stage equipment. Through this, it aims to cultivate a variety of creativity, thinking skills, and character of students through a music drama program as a comprehensive art in art and physical activities.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특수학교 초등 음악교과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특수학교 초등음악교과서 개발 관련 연구 내용

        윤관기 ( Yun Gwan-ki ),윤성원 ( Yoon Sungwon ),조대현 ( Cho Dae Hyun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7 예술교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따른 특수학교 초등 음악교과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 연구의 목적은 새롭게 개정된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5∼6학년 음악교과서의 개발 방향을 논의하기 위함이다.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취지에 맞는 음악교과서의 개발이 필요하다. 새롭게 개정된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변화에 맞게 음악교과 성격, 목표, 내용체계와 성취기준, 교수·학습 방법, 그리고 평가 등이 그 취지를 성실히 반영한 교과서를 개발해야 할 것이다. 둘째, 음악교과의 특성이 반영되도록 개발되어야 한다. 음악교과에서는 다양한 음악 활동을 통해 장애아동들의 일상생활 속에 음악을 즐기며 향유함은 물론 특별한 경험과 교육적 만족도는 물론 흥미유발의 기회까지 제공할 수 있도록 교과서를 개발해야 할 것이다. 셋째, 특수교육대상자 중심에 맞게 개발되어야 한다. 장애아동의 장애유형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획일적인 교과내용으로 이들의 성취기준을 충족시킬 수가 없다. 그러므로 음악교과에서 장애아동의 발달단계와 그 유형을 고려한 실용적인 교과서를 개발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directions of development of music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5th and 6th grades according to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e specific research goal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usic textbook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xtbook that faithfully reflects the purpose of the music education, such as the characteristics, goals, system of content, standard of achievem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of music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in the newly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curriculum should be reflected. In the music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xtbook that provides opportunities for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interest by enjoying music in daily lif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various music activities as well as special experience through music. Third, it should be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center of subject of special education. Because disability types of children are so diverse, they can not satisfy their standard of achievement with uniform course cont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actical textbook considering the stage of development of the handicapped child and its type in the music subject.

      • KCI등재

        다문화 음악교육의 실태 연구 - 전라남도, 충청남도, 대전광역시, 광주광역시 -

        윤관기 ( Yun Gwan Ki ) 미래음악교육학회 2020 미래음악교육연구 Vol.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의 다문화학생을 고려한 초등학교 다문화 음악교육의 실태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번 연구를 위해 다문화 음악교육 관련 설문지를 제작하였으며, 전라남도, 충청남도, 대전광역시, 그리고 광주광역시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 110(80.1%)명의 답변을 분석하였다. 결과로는 첫째, 87.2%의 교사들이 자신의 학교에 다문화학생이 재학중이라고 응답하였으며, 90.1%의 교사들이 다문화 학생들의 담임을 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음악교육은 년 1~2회 정도로 수업내용은 다른 나라의 노래와 춤(30.4%)이 가장 많았으며, 제재곡은 다른 나라 가창곡(37.2%)과 감상곡(11.2%)의 순서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 중심 일반수업이 제일 많았고, 특별한 교재 없이 음악교과서(32.9%)와 인터넷자료(28.8%)를 가장 선호하고 있었다. 셋째, 77.2%의 교사들은 다문화 음악교육이 획일적이기 보다 지역적으로 특색 있게 지도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무엇보다 교사의 역량이 제일 중요한 요소라고 80.1%의 교사들이 답하였다. 이에 출신배경, 가정 및 교육환경, 학업정도, 언어수준, 그리고 지역문화 및 역사에 따라 그 역할을 충실히 담을 수 있는 지역 특색에 맞는 다문화 음악교육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considering multicultural students.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related to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was produced and the answers of 110 elementary school teachers(80.1%) working in two province (Jeollanam-do, Chungcheongnam-do) and two metropolitan cities(Daejeon, and Gwangju) in the administrative district were analyzed. As a result, first, 87.2% of teachers answered that multicultural students are enrolled in their school, and 90.1% of teachers had experience in teaching multicultural students. Second,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was conducted once or twice a year, with songs and dances from other countries (30.4%) most often, and songs from other countries (37.2%) followed by listening songs (11.2%). In addition, teacher-centered general classes were the most, and textbooks (32.9%) and Internet materials (29.8%) were the most preferred without special textbooks for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eachers working in metropolitan cities and Guneupmyeon, and there were no teachers who reflected regional characteristics in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classes. Third, 77.2% of teachers said that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needs to be guided locally, and above all, 80.1% of teachers answered that teacher competence is the most important key in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pproach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suitable for regional characteristics that can reflect the background of multicultural students' origin, home and educational environment, academic level, language level, and local culture and music history.

      • KCI등재후보

        음악 기악교육 관련 유튜브(YouTube) 콘텐츠 현황 분석

        윤관기 ( Gwan Ki Yun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1 예술교육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대면(오프라인) 실기교육이 어려운 상황에서 온라인(비대면) 기악교육 관련 유튜브 채널과 콘텐츠 분석을 통해 유튜브가 지닌 교육매체로서의 가능성을 살펴봄으로써 지속되는 포스트 코로나 시기에도 효율적인 기악교육을 위한 기초연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음악실기 기악 장르를 주제로 72개 채널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악기 장르, 콘텐츠 내용, 재생 시간 및 길이, 콘텐츠 조회수와 채널 생성 기간, 그리고 콘텐츠의 질적수준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악기 장르는 피아노, 현악기(바이올린, 첼로), 관악기(플루트, 클라리넷, 색소폰, 트럼펫, 트롬본), 타악기, 학교 악기(리코더, 우클렐레)가 분석되었으며, 비올라, 콘트라베이스, 오보에, 바순, 호른, 튜바를 콘텐츠로 제공하는 채널은 매우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콘텐츠 내용은 악기지도(Lesson), 커버영상(Cover Video & Ost), 음악이론(Music Theory), 공연(Music Performance), 악기보관 및 수리(Instrument Maintenance), 연습곡 연주(Etude Performance)를 주로 다루고 있었다. 셋째, 49개(68%)의 채널들이 제공하는 콘텐츠의 길이는 10분 미만의 영상들이 가장 많았으며, 영상의 질적수준 분석은 자막, 해설, 악보설명, 반복연습, 연주 자세 클로즈업과 같이 학습자들이 필요로 하는 내용들도 대체적으로 포함되어 있었다. 마지막으로, 다수의 채널이 2010년전부터 콘텐츠를 꾸준히 제공하고 있었으며, 코로나19가 시작된 이후에 생성된 채널들은 모두 12개(16.7%)로 조사되었다. 앞으로 우리사회가 코로나 일상(with Corona)으로 전환되더라도 여전히 대면 형태의 기악교육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게 될 것이므로 유튜브를 통해 전문적인 기악교육 콘텐츠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기악교육에 효과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potential of YouTube as an educational medium through online instrumental music education-related YouTube channels and content analysis in a situation where face-to-face practical education is difficult due to COVID-19, and provides basic research for effective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even in the continuing post-coronavirus period. For this purpose, 72 channels were studied under the theme of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and analyzed by musical instrument genre, educational content, content length, content views, channel creation period, and quality level of cont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iano, string instruments(violin, cello), wind instruments(flute, clarinet, saxophone, trumpet, trombone), percussion, and school instruments( recorder, ukulele) were analyzed, but there were very few channels providing contents related to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about viola, contrabass, oboe, bassoon, horn and tuba. Second, the education contents of 72 channels include Lesson, Cover Video & Ost, Music Theory, Music Performance, Instrument Maintenance, and Etude. Performance was included. Third, the length of the content provided by 49 (68%) channels was less than 10 minutes the most, and the qualitative level analysis of the videos required learners need such as subtitles, commentary, sheet music explanation, repeated practice, and close-up of a performance posture were generally included. Finally, a number of channels have been providing content since 2010, and 12 (16.7%) of new channels created after the onset of Corona 19 were surveyed. It is very difficult to teach instrumental music with students in a situation where COVID-19 continues to mutate without ending and the level of social distancing is getting higher. Various YouTube channels related to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are channels that have produced content for a long period of time rather than growing rapidly during the corona period. If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and educational content continues in a situation where face-to-face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is difficult as it is now, it is expected that YouTube will develop as an alternative to face-to-face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in terms of education.

      • KCI등재

        동료피드백과 자기평가 활동이 초등예비교사의 음악교과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연구

        윤관기 ( Gwan Ki Yun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5 예술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교과교육론에서 제공되는 동료피드백과 자기평가(자기피드백) 활동이 초등예비교사들의 음악교과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번 연구는 2014년 9월부터 12월까지 한 악기 동안(4개월) 진행되었으며, 연구 대상은 A 교육대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4개학과(음악교육, 체육교육, 실과교육, 미술교육) 초등예비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음악교과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소인 학습효능감(t=-7.54, p<.05), 교수효능감(t=-6.24, p<.05), 성과기대감 (t=-2.66, p<.05)은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으며, 이는 동료피드백과 자기평가 활동이 초등예비교사의 음악교과 자기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전공별 분석결과에서는 음악교육과(t=.2.50, p<.05), 실과교육과(t=.3.41, p<.05), 미술교육과(t=.2.12, p<.05)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으나, 체육교육과(t=.1.22, p>.05)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동료피드백과 자기평가 활동이 체육교육과를 제외한 나머지 학과 초등예비교사들의 음악교과 자기효능감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peer feedback and self-assessment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of music subject.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100 pre-service elementary students(music education, physical education,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fine art education). The statistical results obtained from paired t-test are as follows: 1. Data showed that the peer feedback and self-assessment is effective i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learning efficacy(t=-7.54, p<.05), teaching efficacy(t=-6.24, p<.05), and outcome expectancy(t=-1.22, p<.05) in music subject. 2.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MSSE in music(t=-2.50, p<.05), practical art (t=-3.41, p<.05), and fine art education major students(t=-2.12, p<.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MSSE in physical education major students(t=-1.22, p>.05). As a result, it was verified that the peer feedback and self-assessment positively affects the music subject self-efficac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 KCI등재

        초등학교 음악수업에서 현대음악 교수·학습 방안 개발

        윤관기 ( Gwan Ki Yun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5 예술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음악수업에서 현대음악을 지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으로 먼저, 현대음악 개념 및 장르에 대하여 고찰하고,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의해 새롭게 출판된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의 현대음악감상 작품을 각 출판사별로 분석하여 학교 현장에서 현대음악의 지도방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다양한 현대음악 어법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현대음악 작곡가의 작품과 장르별 특징에 맞게 청각적 접근과 발견학습모형을 적용한 구체적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는 초등교육과정 개발이나 교과서 집필 시 학생들의 학습 수준 및 접근성을 고려하여 서양음악사의 특정시기 작품을 많이 다루고 있다. 또한 음악과 교육과정 개정을 통해 현대음악작품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지만, 학교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음악교과서에는 현대음악 장르 및 그 특징을 심도 있게 다루고 있는 출판사는 극히 일부였다. 음악과 교육과정은 모든 시대의 음악, 양식, 형식, 문화권 음악을 포함하여 제공해야 한다는 탱글우드 심포지엄(Tanglewood Symposium)의 선언 문에서처럼 동시대를 살아가는 초등학생들에게 현대특유의 음악 표현법을 지도할 때 그 교육적인 효과는 증가하게 될 것이며, 현대음악이 가지고 있는 교육적인 가치와 창의성 증진, 그리고 동시대의 음악 어법의 습득이라는 교육적 목표를 가지고 지도한다면 학생들은 현대음악에 대한 새로움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Western music genres of fourteen elementary music textbooks authorized the National Curriculum which was newly revised in 2009 and suggested th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of contemporary music and genres for elementary music class. This study reviewed the origin of contemporary music and also presented the reason we need to teach contemporary music to our students. Th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elementary school level consisted of the model of discovering learning and appreciation education for music based on the suggestions of Anderson & Lawrence and Kauchak & Eggen. The result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contemporary music genres in third and fourth grade music textbooks based on the 2009, but fifth and six grade music textbooks introduced three different genres(Crossover music, Computer & Smart music, Twelve-tone technique & Indeterminacy music). Second, the analysis of each piece of Western music in music textbooks revised curriculum 2009 was increased more than the 7th curriculum. However, the causes of increase of contemporary music were able to see that the number of musical and film music genres were increased rather than the important of contemporary music education was emphasized. This paper offers a general overview of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bout contemporary music. Through these kinds of classes, this study hoped that the elementary students can discover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music ideas and also music teachers can teach their students without bias from contemporary music and genres.

      • KCI등재

        오르프 교수법이 적용된 음악활동 프로그램이 노인들의 자아존중감 및 생활만족도 향상에 미치는 연구

        윤관기(Yun, Gwan Ki),고정미(Ko, Jeong 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music programs applied by Orff teaching method on improving self-esteem and satisfaction in the elderly.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cores of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participating in the Orff teaching method were 61.33 and 73.33,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e correspondence test, the t value was -5,595 and the significance was .003 (p<.05) And therefore,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mean score of self-esteem of the elderly was 32.33 and the post - score average was 38.33. As a result of the paired sample test, the t - value was -4.392 and the significance was .007 (p <.05). While increasing culture, economy and education levels along with the increase of the elderly population create various demands for leisure and cultural life for the elderly, most senior education programs are singing classe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provide art culture through creative and active leisure and cultural programs that are based on music educa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music program based on Orff’s teaching method can improve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with the elderly people. 노령인구의 증가와 함께 문화, 경제 및 교육수준의 향상으로 노인들의 여가와 문화생활에 대한 다양한 요구가 생겨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창의적이고 실제적인 문화예술관련 프로그램들이 부족하여 보다 적극적인 예 술·문화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느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오르프 교수법이 적용된 음악활동 프로그램이 노인들의 자아존중감 및 생활만족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것으로 2018년 4월부터 6월까지 매주 금요일에 충북 청주시 ㅅ동 주 민센터에서 꿈(Dream)드림 프로젝트 문화체험사업의 일환으로 ‘즐거운 노인음악활동’을 개설하였다. 참가 대상자는 모두 18명이었으며 그 중 실험전과 후에 실시한 설문에 모두 참석한 6명의 연구결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 르프 교수법이 적용된 음악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의 사전점수 평균은 61.33점이었고, 사후의 점수는 73.33점으로 대응표본 검정결과 t 값이 –5,595, 유의확률 .003(p < .05)이므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 인들의 자아존중감의 사전점수 평균은 32.33점이었고, 사후점수 평균은 38.33점으로 대응표본 검정결과 t 값은 –4.392, 유의확률 .007(p < .05)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오르프 교수방법이 적용된 음악활동 프로그램이 노인들의 자아존중감 및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현대음악 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연구

        윤관기 ( Yun Gwan-ki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6 예술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음악수업시간에 현대음악 지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으로 현대음악 교육의 필요성과 그 지도 목적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현대음악 교육에 대한 생각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도(인천), 대전, 충남, 전남(광주)에 근무하고 있는 초등교사 84명(80.8%)의 설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현대음악을 대중음악 또는 실용음악(35.7%)이라고 응답하였는데 이는 현대음악의 개념을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현대음악을 지도해본 초등학교 교사들은 43명(51.2%)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은 주로 음악수업에서 감상활동을 통해 현대음악을 지도해 보았다고 하였다. 그러나 현대음악을 지도했다기 보다 대중음악, 영화음악, 뮤지컬음악을 지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현대음악 작곡가로 가장 많이 인지하고 있는 작곡가는 존 케이지(59명), 쇤베르크(37명)였으며, 그리고 가장 많이 알고 있는 현대음악 사조로는 전자음악(57명), 우연성음악(42명), 무조음악(29명)의 순서대로 응답하였다. 넷째, 많은 초등학교 교사들(88.1%)이 초등교사양성기관에서 예비교사에게 현대음악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78명(83.8%)의 초등학교 교사들은 현대음악을 자신의 음악수업시간에 지도해 보고 싶다고, 그리고 62명(73.8%)의 초등학교 교사들이 현대음악 교육을 위한 교사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싶다고 응답하였다. 마지막으로, 초등교사들은 자신들의 현대음악에 대한 개념과 인식 부족(41.7%), 그리고 현대음악 지도능력(17.9%)의 부족을 현대음악이 초등학교 현장 음악수업에서 지도되기 어려운 이유라고 응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contemporary music education. An internet survey method was used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for 84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Gyeonggi(Incheon), Daejeon, Chungnam, Jeonam(Gwangju).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35.7% elementary school teachers knew the contemporary music is popular music or practical music. It means that many elementary school teachers do not correctly recognize the definition of contemporary music. Second, 43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experience in teaching of contemporary music in their classroom. However, they just taught popular film music and musical numbers. Most important of music activity is to listen to the contemporary music. Third, 59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aware that most famous composers in contemporary music is John Cage(59), Schoenberg(37), and Ennio Morikkone(27) as a film music composer. Also, elementary school teachers choose that the trend of contemporary music is electronic music(57), aleatoric(42), and atonality(29).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end, the lack of opportunity to learn the contemporary music of various genres. Finall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swer that the reason why they can teach contemporary music were concept and the lack of awareness of contemporary music of their own(41,7%), and they do not have teaching skills of contemporary music(17.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