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녀 대화 책략에 관한 연구

        유형선(Hyoung Sun Yoo) 한국어학회 2001 한국어학 Vol.13 No.-

        This Study investigates communication strategies used by Koreans by analyzing communication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twenties and fift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three fold: First. men and women regardless of their age had the equal communication initiative in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gender and age differences in interruptions. Second, men were more uncooperative than women in communication in that men tended to come back to self-original communication more than women did. And third, women were more passive than men in communication in that they used more silence strategy than men did.

      • KCI등재

        표준통계분류를 이용한 내수시장 규모 추정방법에 관한 연구

        유형선(Hyoung Sun Yoo),서주환(Ju Hwan Seo),전승표(Seung-pyo Jun),서진이(Jinny Seo) 한국기술혁신학회 2015 기술혁신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에서는 표준통계분류체계 간 연계를 통해 산업 혹은 제품의 내수 시장규모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실질적 활용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이를 위해 KSIC 분류로 조사된 통계청의 광업·제조업 조사 결과와 HS 분류로 조사된 무역데이터를 통계청과 UN 통계처에서 제공하는 연계표를 활용하여 연계하였다. KSIC-ISIC-HS 간 통합연계표를 이용하여 국내시장규모를 분석하는데 있어 가장 큰 문제는 분류체계 간 중복 연결 문제인데, 본 연구에서는 각 품목별 출하액과 무역액 사이에 강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활용하여 출하액의 상대적인 비중을 가중치로 중복 연결된 HS 무역액을 배분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이용하면 제조업 분야의 총 125개 모든 ISIC 품목별 국내시장규모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의 단기 시장 규모를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은 ISIC 분류보다 세분화된 품목에 대한 분석의 한계, 제조업 이외의 분야에 대한 적용 한계, 출하액 결측치로 인한 오차 등의 한계가 있으나, 내수 시장규모 정보를 가장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으며 지속적으로 활용 가능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we have proposed an estimation model of domestic market size using the linking between standard statistical classification systems, and reviewed the practical applicability of the model. The results of the mining and manufacturing survey of Statistics Korea conducted on the basis of KSIC (Korea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and Korea trade statistics based on HS (The Harmonized Commodity Description and Coding System; Harmonized System) classification were linked for the model by using the correspondence tables provided by Statistics Korea and United Nations Statistics Division. The most serious problem to adopt the integrated KSIC-ISIC-HS correspondence table for the estimation of domestic market size is the complex multiple linkages among KSIC and HS codes. In this study, we have suggested the method to divide the amount of trade corresponding to the HS codes linked to more than two ISIC codes based on the ratio of shipments corresponding to the ISIC codes as the weight. Then,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domestic market size of 125 ISIC code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to forecast the market size in the near future by using the model. Although the model has some limitations such as the difficulty in analysis on more subdivided items than ISIC items, the impossibility of the analysis on items in industries except for manufacturing, errors in the shipment due to some missing data,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it provided the analysis method of domestic market size by using the most objective, reliable and sustainably useful data.

      • KCI등재
      • KCI등재

        중급 한국어 학습자의 문장 구성과 문형에 관한 연구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유형선 ( Hyoung Sun Yoo ) 우리어문학회 2007 우리어문연구 Vol.29 No.-

        This paper presents quantified research data on sentence structures and patterns, followed by a causal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Chinese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deliberately use simple sentence constructions because they develop a strategy to avoid the use of complex language. We found two problems while analyzing sentence patterns. First, the language learner`s usage of the Korean language becomes quite limited in variety because he or she only uses sentence patterns that are easy to learn and acquire. There appeared only those sentences that are easy to acquire and have few arguments. Second, the ability to express oneself through sentence patterns is very low. In spite of being intermediate level Korean language learners, they are still not able to move beyond the basic sentence patterns one learns in beginner`s level Korean. In order to overcome such problems, students should be given more varied sentence patterns even at the beginner`s level instead of being restricted to basic sentence patterns. At the intermediate level, students must be exposed to complex sentence patterns that include.

      • KCI등재

        소월 시어의 개인어에 관한 연구

        유형선 ( Yoo Hyoung-sun ),윤애경 ( Yoon Ae-kyung ) 우리어문학회 2018 우리어문연구 Vol.61 No.-

        시인의 시세계를 탐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시어의 의미를 천착하는 하는 것이 기본이 되어야 한다. 특히 시어 중에서도 시인의 개인어에 대해 명확하게 이해해야 한다. 소월은 개인어를 많이 쓴 시인이다. 본고에서는 소월의 개인어에 드러나는 특징을 살펴보았다. 소월의 개인어가 매우 방대하여, 본고에서 소월의 개인어 전부를 다루지는 않는다. 선행 연구에서 해석에 이견을 보이고 있는 개인어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소월이 개인어를 쓴 기제는 크게 보아 운율 준수와 표기 습관 때문이다. 소월은 음악적인 효과를 얻기 위해 7 · 5조 음수율과 3음보율을 가장 많이 애용하였다. 소월은 운율에 맞추기 위해 시어를 조탁하였다. 또한 소월은 독특한 표기 습관을 가지고 있다. 이 표기 습관은 소월의 구어 습관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한다. 본고에서 다룬 어휘를 대상으로 파악한 소월의 개인어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용언의 불규칙 활용을 소월은 규칙으로 활용을 하였다. 2. 서북 방언은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는 것이 보편적인데, 소월은 구개음화된 어휘를 사용하였다. 3. 소월의 시어에서 음절말의 ‘ㅅ-ㄷ’ 교체 현상을 볼 수 있다. 4. 접미사 ‘-지다’는 ‘멋지다, 네모지다’처럼 일반적으로 고유어에 붙는 접미사인데 소월은 한자 어휘 ‘숙기(熟期)’에 ‘-지다’를 결합하였다. 5. 음수율을 준수하기 위해 축약을 하였다. 6. 각운을 맞추기 위하여 명사형 어휘를 파생 명사로 활용하였다. To understand poetry properly, it should be preceded by a clear unde rstanding of the poet's idiolect. Sowol is a poet who wrote a lot of idiolect. In this paper, We researched the characteristics featured in the Sowol's idiolect. This paper analyzed idiolect that interpretations were conducted differently in the preceding paper. The mechanism of idiolect written by Sowol is because of the rhythm and unique grammatical perception. The features of Sowol's idiolect are as follows; 1. regular inflection of leu (르) irregular inflection, 2. palatalization, 3. syllable final ‘ㅅ-ㄷ’ replace ment, 4. unique usage of the suffix '-jida(-지다)', 5. unique usage of the suffix '-i(-이)', 6. segment of unaspirated sound, 7. abbreviation, 8. transition of part of speech. The appreciation of poetry begins with understanding of the idiolect. It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the idiolect used by poets. Once the results of this things pile up, the poet's poetic framework can be accomplished.

      • KCI등재

        소월 시어의 `아득이다` 와 `빗기다` 에 관한 연구

        유형선 ( Yoo Hyoung-sun ),윤애경 ( Yoon Ae-kyung ) 민족어문학회 2016 어문논집 Vol.- No.78

        본고에서는 소월의 시어 중 해석이 모호한 어휘 중에서 `아득이다`와 `빗기다`를 선별하여 뜻풀이를 하였다. 이들 어휘는 선행 연구에서 의견이 분분하고, 또한 각각 동음이의어를 갖고 있다는 것이 공통점이다. 본고는 시어를 문법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의미는 문맥적 내용에 초점을 맞춰 뜻풀이를 하였다. 적절한 해석이란 무엇보다도 문맥적 의미가 통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본고에서 다루는 소월의 시는 시집 『진달래꽃』 수록 작품, 『소월시초』 수록 작품, 각종 문예지와 신문 등에 발표한 작품을 대상으로 한다. 소월의 시어가 토속적이라는 평가를 받는 이유는 고어와 방언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이라는 사실에 착안하여 고어의 의미와 방언 관련 여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고어의 의미로 해석하거나 방언의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시의 전체적인 내용과 자연스럽게 어울린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선행 연구에서는 통시 국어학적인 관점과 방언학적인 관점에 초점을 맞추지 않아, 대상 어휘들의 동음이의어 가능성을 포착하지 못했다. 본고에서는 `아득이다`, `빗기다`를 대상으로, 시어의 어원적, 문법적, 의미적인 정보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아득이다`는 2개의 동음이의어가 있다. 의미가 `어둡다, 희미하다, 멀다`로 지각적인 이미지를 가진 단어와, 의미가 `애쓰다, 움직이다`로 동적인 이미지를 가진 단어가 있다. `빗기다`는 5개의 동음이의어로 구분된다. 각각 `가로지르다` 의미, `비끼다` 의미, `스치다` 의미, `뿌려지다` 의미, `비키다` 의미를 가진 단어가 있다. 또한 소월 시어의 특징 중의 하나는 소월이 시의 서정성을 사실적으로 묘사를 하기 때문에 의미가 상당히 구체적이라는 점이다. 소월은 구체적인 의미를 띈 어휘로 정교한 묘사를 하였다는 점에서 사실적 묘사를 한 시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소월의 시어를 다룬 선행 연구는 추상적이고 관념적으로 접근하여 소월 시어의 정확한 의미를 포착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시인의 개인어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을 다시 인식하였다는 점도 중요하다. 어떤 어휘는 의미가 명확히 다른 어휘인데도 시인이 이를 구분하지 않고 쓰는 경우도 있는데, 소월에게서 `빗기다` 같은 어휘를 볼 수 있었다. 언중은 구분하여 썼기 때문에 동음이의어가 아니지만, 시인 개인에게는 동음이의어로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사실은 어느 한 시인의 작품을 이해하려면, 먼저 그 시인만의 독특한 개인어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article analyzed at the grammatical perspective for the Sowol`s poetic words(`adeugida`, `bisgida`) The word meaning attach great importance to relationship of the constituents.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contextual meaning for the poetic word interpretation. Previous papers view from a conceptual and abstract standpoint for Sowol poets because the analysis does not match the facts. And Sowol has a tendency to realism, but previous researcher of Sowol` poetic word haven`t captured it. This paper was considered a homonym of the words(`adeugida`, `bisgida`). Also this paper contained about an archaism and dialect. As a result mentioned in this paper was mostly a homonym. Homonym is based on the meaning of archaism and dialect. therefore Sowol`s idiolect originate in archaism and dialect. The `adeugida` have two homonym. For one thing, meaning is a visual image as a `dark, dim`, for another thing is a mental image as a `struggle, take pains`. The `bisgida` have fives homonym. The meaning is as follows: `put across`, `lie aslant`, `touch`, `be scattered`, `withdraw`.

      • KCI등재
      • KCI등재

        김소월 시어의 방언에 관한 연구

        유형선 ( Yoo Hyoung-sun ),윤애경 ( Yoon Ae-kyung ) 우리어문학회 2020 우리어문연구 Vol.68 No.-

        김소월을 위대한 시인이라고 칭송하는 이유는, 소월 시의 주제가 한국인의 정서와 동질적이고, 시어가 전래적(고어투)이면서도 어렵지 않아 독자와 공감대를 형성하고, 운율이 한국인의 호흡과 일치하기 때문이다. 소월의 시세계는 향토적이다. 시의 소재는 주변적이고, 주제는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희노애락을 형상화한 것이다. 시의 주제가 철학적이지도 않고 사변적이지도 않아서 대중들이 소월의 시를 친숙하게 느낀다. 이와 더불어 시어로 방언을 적절하게 사용하였다. 토속적인 방언을 많이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적재적소에 배치하여 시의 미적 효과와 표현적 가치를 극대화하였다. 소월의 시에서 생동감과 리얼리티를 느낄 수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김소월은 여타 시인에 비해 방언을 많이 사용하지는 않은 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몇 방언은 이해하기 어려워, 선행 연구에서 뜻풀이를 제각기 다르게 하였다. 본고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의미 해석에 논란이 되고 있는 시어 중에서 평북 방언(새, 바르다, 세다, 차부)과 평북 이외 북한 지역의 방언(뒤놓다, 모지르다, 호젓하다, 그늘, 솔곳이)으로 추정되는 어휘에 대해, 문맥적인 의미에 기반을 두고, 어학적 관점에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구체적 예로, 소월의 「술과밥」이라는 시를 보면, 선행 연구에서는 방언의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어색한 해석을 하였다. ‘밥발라’에 대해, 오하근(1995)에서는 ‘밥달라’의 오식으로 보았고, 권영민(2007)에서는 ‘밥을 벌다’로 보았다. 이러한 해석들은 문맥적 의미가 통하지 않는다. 평북 방언의 의미대로 ‘귀하다, 부족하다’로 보아야 문맥적 의미가 통한다. 술 한 합에 닷 돈이고 쌀은서 돈으로 ‘술값’이 ‘쌀값’보다 더 비싼데도, 아이러니하게 ‘술 인심’은 후하고 ‘밥 인심’은 박한 세태를 풍자하면서, ‘밥이 귀하게 될 때도 과연 그럴까’라고 탄식하는 장면으로 봐야 문맥 의미가 자연스럽게 통한다. 제한된 지면 때문에 본고에서는 소월의 방언의 의미에 대해 부분적으로 제시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결과물들이 많이 모이면, 소월의 시어에 대해 체계를 완성할 수 있다. 시어의 정확한 의미를 이해하는 것은 시인의 시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첫걸음을 내딛는 것이다. 특히 방언에는 지역 토착민의 문화와 정서가 고스란히 스며 있다. 또한 그 시대의 시대상과 현장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기에 시어의 방언 의미 연구가 더욱 가치가 있다. The reason why Kim So-wol is a vernacular poet is bacause emotion and rhythm are Korea traditional stuff. Also we cannot forget the fact that he used a lot of archaic word as a poetic word. But Sowol did not use much of dialect compared to other poets. This thesis was empirically analized Pyengbuk dialect and North Korean dialect in terms of a difficalt word to understand. The result is as follows. 1. The contextual meaning of 'barida' in the < donthalyeng > is a 'rare'. 2. The meaning of 'sae' in the < sulgwabap > is a 'affection' or 'friendship'. 3. 'seda' in the < bommot > means a 'stand'. 4. 'chabu' in the < heulleoganeun > means a 'situation'. 5. 'dwinohta' in the < mopsseulkkum > means a 'overturn mind'. 6. 'mojilda' in the < yauiujeok > means a 'hard to bear'. 7. 'hojeothada' in the < buneolgol > means a 'delicate'. 8. The meaning of 'geu-neul' in the < buneolgol > is a 'shadow'. Kim So-wol basically distinguished the two but sometimes used 'shadow' with 'shade'. 9. The meaning of 'solgos-i' in the < sanuhe > is a 'imply quietly'. As proposed in this thesis, when the analysis results of Sowol of poetic word accumulate, it is possible to complete the system of Sowol's poetic word. To establish the poetic word system, one must first understand the dialect used by poets.

      • KCI등재

        구성주의 관점으로 본 한글 맞춤법

        유형선(Yoo Hyoung-su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연구 Vol.33 No.-

        한글 맞춤법을 1988년에 개정한 이후 많은 환경 변화가 있었다. 한국어가 세계화 되고, 외국어가 대량 유입되고, 신조어가 급격히 양산되었고, 무엇보다도 국민의 언어, 문자 생활이 가장 급격하게 변하였다. 말의 속도가 빨라지고 축약 현상이 과도하게 일어나고 경음화 현상, 비표준어 남발하는 등의 폐해가 심각한 수준이다. 쓰기가 혼란스러운 것의 원인 중에 하나는 현행 한글 맞춤법이 너무 어려워 언중들이 운용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이것은 한국어의 세계화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한글 맞춤법이 너무 어려우면, 외국인이 제3의 한글 맞춤법을 구축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현행 한글 맞춤법은 구성주의 측면에서 보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한글 자모의 순서는 언중이 익숙한 순서를 따르면 학습 부담량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또한 자모에 명칭을 단순화하는 것이 한국인의 정서와 어울린다. 둘째, 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규정이 통일성이 있어야 한다. 셋째, 언중의 현실 발음을 적극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다. 넷째, 형태주의적 표기가 언중들이 쉽게 한글을 운용할 수 있는 방식이므로 우선적인 표기 원칙이다. 표음주의 방식은 어원이 분명하지 않거나 의미가 본뜻에서 멀어졌을 경우에만 적용한다. 다섯째, 어휘적 형태소는 형태주의 표기법을, 문법적 형태소는 표음주의적 표기를 원칙으로 한다. 여섯째, 띄어쓰기는 문장 차원의 문제이므로 띄어쓰기 단위를 어절로 해야 한다. 일곱째, 문장 부호는 컴퓨터를 최대한 활용하고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There were many environmental changes after Korean orthography was revised in 1988. The Korean language was globalized, a great quantity of foreign languages flowed in, new words were rapidly mass-produced and above all national verbal and literal lives most rapidly changed. Speech has gained in speed, a phenomenon of contraction has excessively happened and the evil practices such as a fortis phenomenon and an overuse of non-standard language are at a serious level. One of the causes is that it is difficult for speech community to use current Korean orthography because it is too difficult. It is closely related to Korean globalization. It is because a foreigner can construct the third Korean orthography if it is too difficult. Current Korean orthography has the following questions from the viewpoint of constructivism. First, Korean alphabetical order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a learning burden if it is familiar to speech community. Also, simplifying the name of the alphabet goes with Korean sentiment. Secondly, Korean spelling and standard language rules should be uniform. Thirdly, it is necessary to positively accept the real pronunciation of speech community. Fourthly, morphological orthography has priority in principle because it is the way how speech community can easily use Hangul. a phoneticistic method is applied only in case that etymology is unclear or that meaning is far from the original meaning. Fifthly, a lexical morpheme is based on morphological orthography and a grammatical morpheme phoneticistic orthography. Sixthly, spacing words is a question at a sentential level. Thus, it should be done at the unit of syntagma. Seventhly, it is imperative to consider a method of inputting sentential marks conveniently by making the most of a computer.

      • KCI등재

        김소월 시어의 문맥적 의미에 관한 연구 ―‘거츨다, 흘늣기다, □지다, 그물안개’에 국한하여―

        유형선 ( Yoo Hyoung-sun ),윤애경 ( Yoon Ae-kyung ) 민족어문학회 2021 어문논집 Vol.- No.91

        본고에서는 김소월이 사용한 시어 중에서 고어로 추정되는 어휘에 대해 고구한다. 소월이 시어로 고어를 많이 사용하였지만, 고어에 대한 어학적인 연구는 이기문(1983)이 유일하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학계에서는 그에 걸맞은 연구를 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문학적인 연구는 주로 시어의 의미 해석에 중점을 두고 진행되었다. 그런데 시어를 해석하면서 추상적이고 관념적으로 접근한 경우가 많아 시어의 의미를 정확하게 제시하지 못했다. 문맥적 의미가 통하지 않는 시어의 뜻풀이는 시적 상상력의 경계를 넘어서는 것이다. 시인이 선택한 시어는 그 시에서 가장 정확한 단어이다. 시어는 서로 긴밀하게 씨줄과 날줄의 긴장 관계를 유지한다. 이렇게 치밀한 과정을 거친 시어의 뜻풀이가 어색하다면, 즉 문맥적 의미가 통하지 않는다면, 시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우리는 시어의 의미 해석을 더 이상 선입견과 상상에 의존해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不運에우는그대여」에 나오는 ‘거츠른바위’를 선행 연구에서는 대부분 ‘거친 바위’라는 의미로 받아들이고 있는데, 그 뜻으로는 문맥상 의미가 자연스럽지 않다. 시적 화자는 그대가 불운에 우는 이유를 안다고 하였다. 그 이유는 시에서 ‘그대의 가슴속’에 있다고 하였다. ‘거츠른’은 심리적인 상태를 묘사하고 있기에 ‘거친 바위’라는 의미로 봐서는 문맥상 어울리지 않는다. 본고에서는 고어 ‘거츨다’에서 해석의 실마리를 찾았다. 고어에서는 ‘허망하다, 허황되다, 망령되다’ 등의 의미로 쓰였다. ‘바위’는 실제 돌덩어리 암석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단단함, 확고함을 상징한다. 그대의 ‘고정 관념 또는 고집’ 정도로 해석할 수 있다. ‘허망한 바위’, ‘허황된 바위’로 보면, 그대가 불운에 우는 까닭은 그대가 스스로 허황된 생각을 하고, 시간이 지나도 바위처럼 굳은 망령된 믿음이 다시 생기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가능하다. 본고에서는 소월이 사용한 시어 중에서 고어로 추정되는 어휘에 대해 살펴 보았다. 본고에서는 ‘거츨다, 흘늣기다, □지다, 그물안개’에 국한하여 고어의 용례와 의미를 제시한 후, 해당 시의 전체적인 문맥과 호응 여부를 판단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과정에서 소월이 추상적이기보다는 구체적인 시어를 사용하였다는 사실을 밝혔다. This study studied the vocabulary presumed to be archaic word among the poetic words Kim So-wol. The meaning explanation proposed in the previous study has a problem that contextual meaning does not correspond. I think that the preceding study was due to lack of awareness of archaic word. So-wol was not satisfied with the existing vocabulary in the poetry writing. He searched accurate word that can to describe the situation and emotion. The word is the very archaic word. Also archaic word did role of foregrounding. This study examined the usage and meaning of archaic word and then examined whether it corresponds to the overall context of the poem as the meaning of archaic word in the corresponding vocabulary. Compared to the interpretation presented in the previous studies, the meaning of the poetic language explored in this study is well corresponded to the context. I argue that we should rethink the poetic world of Kim So-wol. The newly interpreted poetic words are as follows. 1. ‘geocheulda (거츨다)’ does not mean ‘roughness’, but it means ‘vain’. 2. ‘heulneusgida (흘늣기다)’ does not mean ‘to sob’, but ‘to disperse’. 3. ‘tteojida (□지다)’ does not ‘widen’ or ‘to leave’, but it means ‘be out of my mind’. 4. ‘geumul (그물)’ does not mean ‘net-like density’, but ‘night (evening)’ me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