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산림부산물을 활용한 편백 양묘 생육에 관한 연구

        유찬열 ( Chan Yeol Yu ),김종익 ( Jong Ik Kim ),박지웅 ( Ji Woong Park ),강기현 ( Ki Hyun Kang ),정하규 ( Ha Gyu Jeong ),이영한 ( Young Han Lee ),최송현 ( Song Hyun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산림의 제거대상인 칡덩굴과 산림병해충으로 고사된 소나무를 이용하여 산림자원의 재활용을 통한 순환산림의 육림, 자연 영양원을 이용한 우수 묘목의 대량생산, 수입 원자재의 대체 및 기존 상토의 문제점인 이끼ㆍ잡초ㆍ굼벵이 발생저감을 위한 맞춤형 기능성 배양토의 개발에 있다. 본 연구에 앞서 기존 상토에 활용하고 있는 주요 원부자재인 피트모스, 코코피트와 칡덩굴 분쇄물과 소나무 톱밥을 상토분석법에 따라 11가지 항목에 대한 이화학분석(pH, EC, T-N, P2O5, K, Ca, Mg, Na, Fe, Mn, Cl)을하였다. 비료성분 분석 중 T-N(총질소) 분석은 중량분석법으로 하였고, 나머지 비료성분은 용량분석법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큰 차이를 보인 것은 산도와 총질소, 인, 망간, 철의 함량으로 산도의 경우 칡(pH6.82)>코코피트 (pH6.47)>소나무톱밥(pH5.24)>피트모스(pH4.03) 순이었고, 총질소는 칡(1.02%)>피트모스(0.86%)>코코피트(0.39%)>소나무(0.02%), 인산 함량은 칡(46.1ppm)>코코피트(14.05ppm)> 소나무(1.79ppm)>피트모스(0.13ppm)로 나타났으며, 특히 칡덩굴의 경우 총질소와 인산함량에서 월등히 높았다. 인산의 역할은 작물의 에너지대사 및 호흡작용에 관여하는 요소로서 결핍시 생장점부위가 억제되고 뿌리의 발근과 분열이 억제되기도 하며 초기생육 뿐만 아니라 생육 전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주요성분이다. 그리고 미량원소 성분인 망간과 철은 각각 소나무톱밥과 피트모스에서 큰 차이를 보였는데, 망간 함량은 소나무톱밥(7.74ppm)>칡(1.68ppm)>피트모스(1.43ppm)>코코피트(1.31ppm)으로, 철의 함량은 피트모스(38.0ppm)>코모피트(1.56ppm)>칡(1.07ppm)>소나무톱밥(0.36ppm)이었다. 위의 이화학성 분석 자료를 기초로 칡 분쇄물과 소나무톱밥, 코코피트, 피트모스 외에 보수력 및 보비력등 상토의 물리성 개선을 위해 이용되고 있는 펄라이트와 함께 중량비를 기준으로 A~G까지 7개의 배양토 조성물을 만들었다. 배양토 조성조건은 칡과 소나무톱밥을 주원료로 하여 중량비를 기준으로 칡은 5%.10%.15%.50%, 소나무톱밥은 50%와 60%로 하였고, 부재료인피트모스와 코코피트는 각각 10%.15%.20%에서, 펄라이트는 5%내에서 혼합하여 전체 중량비 100%로 만들었다. 위 조성물에 대해 11가지 항목(pH.EC.T-N.P2O5.K.Ca.Mg.Na.Fe.Mn.Cl)의 이화학분석을 통해 가장 최적화된 산림부산물 배양토를 만들고자 하였다. 각각의 배양토 조성비는 A시료(소나무톱밥60%+칡10%+피트모스10%+코코피트20%), B시료(소나무톱밥60%+칡10%+피트모스20%+코코피트10%), C시료(소나무톱밥50%+칡5%+피트모스30%+코코피트10%+펄라이트5%), D시료(소나무톱밥50%+칡10%+피트모스20%+코코피트15%+펄라이트5%), E시료(소나무톱밥50%+칡15%+피트모스10%+코코피트20%+펄라이트5%), F시료(소나무톱밥50%+칡15%+코코피트20%+펄라이트5%), G시료(소나무톱밥50%+칡50%)로 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A시료에 대한 pH.EC.T-N.P2O5.K.Ca.Mg.Na.Fe.Mn.Cl에 대한 측정치는 5.09.0.09.0.13.10.63.0.42.0.74.0.5.0.24.3.34.4.93.0.05로 나타났고, B시료는 4.81.0.07.0.08.6.59.0.37.0.87.0.52.0.2.3.97.5.03.0.04, C시료는 4.6.0.06.0.15.3.72.0.34.0.98.0.51.0.21.6.65. 4.54.0.03, D시료는 5.03.0.08.0.2.7.64.0.4.0.79.0.53.0.23.3.41.4.93.0.05, E시료는 5.23.0.1.0.1 7.14.65.0.48.0.77.0.58.0.27.2.26.4.1.0.06, F시료 6.03.0.12.0.09.12.14.0.63.0.69.0.65.0.33. 0.62.4.51.0.06, G시료 6.19.0.1.0.37.23.37.0.29. 0.81.0.85.0.12.0.6.4.44.0.02로 나타났다. 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일반 시중에서 판매 중인 상토의 산도(pH)6.0~6.5 기준에서 보면 F와 G시료가 적합하였다. 기존 상토는 피트모스와 코코피트가 주원료이며, 화학 비료를 이용하여 산도를 조정하고 있다. 하지만 F와 G시료는 주원료만으로 적정산도를 유지하였고, 특히 칡 분쇄물과 소나무톱밥50:50 비율로 혼합된 G시료의 경우 pH6.19로 적합하게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총질소(0.37%)와 인(23.37ppm)도 다른 시료에 비해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약 pH6.0의 산도 수준에서 최적의 생장을 보이는 편백을 공시수종으로 하여 ‘15. 5. 16에 편백 종자 파종 및 묘목(1-1)을 식재한 후 생육 상황조사를 실시하였다. 매달1개월 단위로 1회씩 9월까지 총 4회(6.19, 7.20, 8.20, 9.24)조사 실시하였다. 실생묘는 5개체를 무작위 추출하였고, 유묘는 3개체를 무작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실생묘의 경우 T/R율, 세근폭 및 발근수를 조사하였고, 유묘의 경우측근 수, 건중량을 측정하였다. 기간 동안 8, 9월에 2차례복합비료를 500배액으로 200㎖/㎡를 처리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편백 실생묘(1-0)의 경우 T/R율은 기존 상토의 경우 1.51로 나타났고 배양토는 1.11으로 나타나, 배양토에서 식물이 안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주근을 제외한 세근폭을 측정한 결과 기존 상토에 비해 배양토 실생묘가 46.5%높게 신장했으며, 발근 수는 배양토에서 31.8%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편백 묘목(1-1)의 경우 측근 수는 배양토에서 46.8%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24시간 건조시킨 후 뿌리의 건중량을 측정한 결과 기존 상토보다 배양토의 뿌리 건중량이 32.3% 높은 것으로 나타나 배양토의 경우가 생육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는 기존 상토에 비해 배양토의 경우 소나무톱밥의 탄닌 성분에 의한 영향으로 육묘상에 이끼발생은 상대적으로 억제되었고 절간 마디가 짧고 뿌리량이 증대됨을 알 수 있었다.

      • 시설재배지 주변 소하천에서 영양염류의 유출특성

        유찬,윤용철,안병관,옥정훈,Yu Chan,Yoon Yong Cheol,Ahn Byung Kwan,Ok Jung Heun 한국관개배수위원회 2004 한국관개배수논문집 Vol.11 No.2

        In this study, the runoff characteristic of nutrients in the small sized stream was investigated with seasonal change. The area considered was greenhouse site situated near Nam river, Jinju, Korea. In this site, groundwater was used for the irrigation and

      • KCI등재

        Development of In-Situ Soil Gas Monitoring Well for Managing the Bioventing Performance

        유찬,Yu, Chan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2007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49 No.1

        Bioventing is commonly used for petroleum hydrocarbon (PHC) spills. This process provides better subsurface oxygenation, thus stimulating degradation by indigenous microorganisms. Therefore soil vapor monitoring points (VMPs) are extremely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potential effectiveness of bioventing and in long-term monitoring of bioventing progress. In this study in-situ soil gas monitoring well (GMW) was developed and presented the pilot test results which recover the contaminated site by bioventing method. The result of application was successful and it was expected that GMW developed could be applied to the evaluation procedure of bioventing effectiveness and long-term remediation potential.

      • 토양의 세립분 함량과 염분농도가 TDR 측정값에 미치는 영향 고찰

        유찬,이근후,Yu, Chan,Lee, Geun-Hu 한국관개배수위원회 2006 한국관개배수논문집 Vol.13 No.2

        Experimental laboratory tests were carried out to assess the effect of fine content and salinity of soils on the measurement of TDR(Time Domain Reflectometry). In the test, using soil columm which was made by PVC pipe with the dimension of 25cm height and 20cm diameter, the salinity variation of soil was controlled by the solution which was dissolved NaCl to destilled water in the range of 0-40g.$L^-1$. The fine content of soil was controlled by kaolinite which was mixed with Jumunjin sand in the range of 0-50% to the total dry weight. The water contents of soil tested were measured with the conventional oven dry method beside TDR and compared the these values to figure out the extent of effect. As the results of tests, it was appeared that the water content measurement by TDR can be affected by the salinity level, fine contents, and the degree of saturation of the soil.

      • KCI등재

        흙의 입도분포와 플랙탈 차원

        유찬,안성율,이창노,Yu, Chan,Ahn, Sung-Yul,Lee, Chang-No,Baveye, Philippe C. 한국지반공학회 2002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Vol.18 No.6

        전통적인 흙의 입도분포 곡선상에서 흙의 구성 성분에 따른 프랙탈 차원의 변화에 대해서 Wu등(1993)과Bittelli 등(1999)의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Buchan 등(1993)의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고찰하였다. 자료분석시에는 실트와 모래의 경계값의 변화에 따른 프랙탈 차원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20$\mu{m}$, 63$\mu{m}$ 그리고 125$\mu{m}$에 대한 프랙탈 차원을 산정하여 전체 범위에서 구한 프랙탈 차원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에서는 전통적인 입도분포곡선상에서 프랙탈 차원의 산정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트와 모래성분의 경계값은 Wu 등(1993)이 제시한 것 보다 Bittelli 등(1999)이 제시한 경계값이 더 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Bittelli 등(1999)이 제시한 실험식을 이용해서 실트영역의 프랙탈 차원을 비교적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었다. The fractal dimension that was evaluated with soil components from the traditional particle-size distribution(PSD) curve was analyzed using the results of Wu et al.(1993) and Bittelli et al.(1999). In order to find the change of the variation of fractal dimension with the upper and lower limit, three limit values(200$\mu{m}$, 63$\mu{m}$, and 125$\mu{m}$) were chosen, and these results of fractal dimension analysis were compared to the result that was evaluated in the whole range of the soils. The results showed that it is possible to evaluate fractal dimension from the traditional PSD curve with the soil contents, and it showed that Bittelli et at.(1999)'s upper and lower limit value was more reasonable than Wu et al.(1993). Equations that were presented by Bittelli et at.(1999) also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the analytical results in the silt domain.

      • KCI등재

        사질토 간극수의 이온 성분들에 따른 전기비저항값의 변화

        유찬,윤춘경,이영남,이용길,Yu, Chan,Yoon, Chun-Gyeong,Lee, Young-Nam,Lee, Yong-Gil 한국지반공학회 1999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Vol.15 No.1

        실내실험에 의하여 사질토 간극수의 이온 성분들사이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흙의 비저항측정 상자와 STING-Rl비저항 측정기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이온성분들의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실시하였다. 또한 2~3가지 성분을 혼합한 경우에 대해서도 비저항값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는 성분중에서 비소(As)의 비저항값의 감소가 가장 컸으며, 나머지 성분들은 일반성분들과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또한 혼합성분의 경우에는 비저항값의 범위가 간극수에 포함된 성분들의 비저항값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A laboratory experiment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stivity and ionic components in the pore water of a sand by using soil resistivity test box and STING-Rl. The resistivity measurement was performed with the concentration changes of ionic components. Also, the resistivity change was evaluated for multiple compon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sistivity of Arsenic was less than other heavy metals. In the case of complex components, resistivity ranges depended on the resistivity of components existed in the pore water.

      • KCI등재

        갈색 느티만가닥버섯 추출물의 부위별 항산화 활성

        박민정,유찬,조수정,Park, Min Jeong,Yu, Chan Yeol,Cho, Soo Jeong 한국버섯학회 2021 한국버섯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식의약품 소재로써 갈색 느티만가닥버섯(Hypsizygus marmoreus)의 이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갈색 느티만가닥버섯의 부위별, 추출 용매별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열수 추출물 갓과 대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17.15±0.19 mg GAE/g과 7.37±0.16 mg GAE/g이었으며 에탄올 추출물 갓과 대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10.23±0.14 mg GAE/g과 3.76.±0.19 mg GAE/g으로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열수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대에 비해 갓의 폴리페놀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갈색 느티만가닥버섯 추출물의 DPPH, ABTS, ORAC 지수, 환원력도 10 mg/ml의 농도에서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열수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고 대에 비해 갓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흰색 느티만가닥버섯에 비해 갈색 느티만가닥버섯의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ORAC 지수, 환원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물의 세포독성은 WST-1 assay (4-[3-(4-iodophenyl)-2-(4-nitrophenyl)-2H-5-tetrazolio]-1,3-benzene disulphonate)를 이용하여 열수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른 대식세포주 RAW 264.7의 세포 생존율로 확인하였으며 갈색 느티만가닥버섯 열수 추출물 처리구에서 대식세포주 RAW 264.7의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였기 때문에 세포독성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느티만가닥버섯은 품종에 따라 항산화 활성에 차이가 있고, 갈색 느티만가닥버섯은 다른 버섯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기 때문에 기능성 식의약품 소재로서 이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potential of Hypsizygus marmoreus (brown cultivar) as a functional food and drug materials. H. marmoreus were divided into pileus and stipe and extracted in hot water and 80% ethanol.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highest in the hot water extracts (pileus 17.15±0.19 mg of GAE g, stipe 7.37±0.16 mg of GAE/g) and pileus compared to the ethanol extracts (pileus 10.23±0.14 mg of GAE/g, stipe 3.76.±0.19 mg of GAE/g) and stipe. Also, hot water extracts of pileus from H. marmoreus (brown cultivar) was more effective DPPH, ABTS, ORAC value, reducing power than ethanol extracts and stipe extracts. The pileus and stipe extracts were confirmed to be non-cytotoxic in the mouse macrophage cell line RAW 264.7 determined by WST-1 (4-[3-(4-iodophenyl)-2-(4-nitrophenyl)-2H-5-tetrazolio]-1,3-benzene disulphonate) assay. Overall, extracts of H. marmoreus (brown cultivar) w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other mushrooms, and no cytotoxicity. Therefore, H. marmoreus (brown cultivar) showed potential as a functional food and drug materials. The brown cultivar of H. marmoreus have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white cultivar, H. marmoreus seem to have different antioxidant activity depending on the cultivar.

      • 모니터링 및 수치모의를 이용한 하상변동분석 - 세종보 상류를 중심으로 -

        김하룡,유인상,유찬,정상만,Kim. Ha Yong,Yu. In Sang,Ryu. Chan Jong,Jeong. Sang Man 한국방재학회 2013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3 No.1

        세종보 상류 전 구간에 발생한 토사 퇴적으로 인해 수문운영에 지장을 초래하는 등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어 준설 및 저층수 차단 등 하상 안정화를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적용되었으나 그 효과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는 세종보 상류구간에 하상변동특성을 감안하지 않은 획일적이고 단기적인 해결책을 적용하였기 때문으로 세종보 상류 구간의 하상변동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종보 상류 약 600m 구간에 대해 홍수기 전 후로 구분하여 하상변동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하상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2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흐름특성 및 하상변동을 모의하고 실측한 모니터링 결과와 비교하여 보 상류의 하상변동을 분석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세종보 상류 모니터링 구간에서 <TEX>$169,263m^3$</TEX>의 토사가 퇴적되었으며 토사의 퇴적은 우안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다. 상류부 전체적으로 퇴적 경향을 보였으나 가동보 수문 개도시 빠른 유속의 영향으로 보 직상류의 토사퇴적은 적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RMA2를 이용하여 흐름특성을 모의한 결과 우안은 오목한 지형적 특징으로 인해 유속이 낮게 모의되었으며 수문 개도에 따라 유속의 분포도 바뀌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SED-2D를 이용한 하상변동 모의결과 수문개도 방법에 상관없이 우안이 퇴적되는 것으로 모의되었으며 이는 지형적 특징으로 인한 우안의 낮은 유속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모니터링 및 수치모의 결과 세종보 상류는 전체적으로 퇴적되고 있으며 특히 우안의 낮은 유속으로 인해 퇴적 현상은 우안에 집중되고 있으므로 해결책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