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유전알고리즘을 이용한 인버터 DC 저항점용접에서의 정전류퍼지제어기 최적화

        유지영,윤상만,이세헌,Yu, Ji-Young,Yun, Sang-Man,Rhee, Se-Hun 대한용접접합학회 2010 대한용접·접합학회지 Vol.28 No.5

        Inverter DC resistance spot welding process has been very widely used for joining such as automotive body sheet metal. Because the lobe area of DC welding is larger than AC welding and DC welding has low electrode wear. So the use of Inverter DC resistance spot welding process has been further increased. And the application of high tensile steel is growing for light weight vehicle. To improve the weldability of high strength steel, the development of Inverter DC resistance spot welding system is more conducted. However, Inverter DC resistance spot welding system has a few problems. Current waveform is unstable and the expulsion has been occurred by characteristics of steel. In this study, inverter DC resistance spot welding system was made. And Fuzzy control algorithm was applied for constant current. The genetic algorithm was applied to optimize the fuzzy scaling factors, in order to optimize the fuzzy control.

      • KCI등재

        가뭄해갈 가능성을 고려한 가뭄사상의 결정 및 확률 가뭄심도 산정

        유지영,유지수,권현한,김태웅,Yoo, Ji Young,Yu, Ji Soo,Kwon, Hyun-Han,Kim, Tae-Woong 한국수자원학회 2016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9 No.4

        본 연구에서는 가뭄사상과 확률 가뭄심도를 결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강우자료로부터 가뭄사상을 추출하기 위해 연속이론과 누적 강우부족량을 동시에 고려하였다. 절단수준 이상의 강우사상이 발생할 경우, 그 때까지의 누적 강우부족량을 해갈할 수 있을 만큼의 강우량이 발생하였는가를 확인하여 가뭄사상의 종료여부를 최종 결정하였다. 이와 같이 추출된 가뭄사상의 지속기간과 심도의 상호 의존성 구조를 파악하여 결합분포함수를 추정하기 위해 코플라 함수를 적용하였다. 또한 이변량 코플라 함수의 조건부 함수를 이용하여 가뭄의 특정 지속기간에 대한 가뭄심도의 재현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신뢰구간을 추정하여 이변량 빈도해석의 불확실성을 정량화하였다. 서울지점의 1909~2015년 강수자료에 적용한 결과 과거 극한가뭄으로 판단되었던 가뭄사상은 대부분 최소 10년에서 최대 50년 정도의 재현기간을 갖는 반면 2013년 발생하여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는 2015년 가뭄은 현저히 높은 재현기간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가뭄대책을 마련하는 데 있어 빈도개념을 바탕으로 하는 신뢰성 있는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method to determine the drought event and the design drought severity. In order to define a drought event from precipitation data, theory of run was applied with the cumulative rainfall deficit. When we have a large amount of rainfall over the threshold level, in this study, we compare with the previous cumulative rainfall deficit to determine whether the drought is relieved or not. The recurrence characteristics of the drought severity on the specific duration was analyzed by the conditional bivariate copula function and confidence intervals were estimated to quantify uncertainties. The methodology was applied to Seoul station with the historical dataset (1909~2015). It was observed that the past droughts considered as extreme hydrological events had from 10 to 50 years of return period. On the other hand, the current on-going drought event started from 2013 showed the significantly higher return perio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may be utilized as the reliable criteria based on the concept of return period for the drought contingency plan.

      • KCI등재후보

        19세기 삼척부 도하면의 세역과 민원

        유지영 ( Yu Ji-young ) 강원사학회 2018 江原史學 Vol.0 No.30

        이 글은 강원도 삼척부 도하면 송정동에 남아있던 1792년부터 1892년까지 작성된 민원관련문서 48건을 분석하여 송정동의 세역과 민원내용을 살펴본 글이다. 남아있는 문서의 종류는 等狀, 所志, 節目, 牒呈, 書目, 完文, 傳令 등이며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관사에서 부과한 세역이 과하거나 혹 부과액수의 불공평한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동리·면·부차원에서 그 상부기관에 민원을 올렸다. 조선후기 부과체계의 가장 말단 단위가 면내의 행정동이 되었으므로 동리의 구성원들은 기존에 운영되던 동계를 활용하여 공동으로 부과된 세액을 마련하였다. 도하면내에는 3개의 대리와 3개의 소리라는 자연촌락이 있었지만 면내에서 세금을 부과하기 편하게 행정동을 만들었기에 경우에 따라 동리가 분동이 되거나 합동이 되기도 하였다. 동계의 동임들은 세액을 마련하는 도중 어려움이 있거나 혹은 세액이 다른 동리와 불공평하게 분배된 경우에는 서목, 첩정, 품목 등의 문서를 이용해 민원을 올려 이를 시정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동계의 대표자인 동임, 두민 등이 민원을 하는 경우에는 첩정이나 서목, 품목을 사용하였고 마을의 일반 구성원들이 함께 연명하여 민원을 제기할 경우에는 등장을 사용하였다. 대부분의 동임은 글을 잘 지을 수 있는 양반이 담당하였고, 세금의 견감을 위해 여러 차례 呈訴하기도 하였다. 둘째, 관에서 행정 면·동에 세금과 관련한 지시를 내릴 경우에는 傳令을 사용했으며, 환곡의 견감 등을 입증해주기 위해 完文, 立旨 등을 발급해 주었다. 셋째, 세역의 내용에는 환곡관련 세역과 잡역, 별공 등이 있었다. 환곡과 관련하여서는 統還, 起還, 結還 등이 매기어 졌다. 중앙에서 부과한 別貢에는 黃腸의 마련이 있었고, 지역 단위에서 부과한 잡역에는 新橋의 건설, 松脂의 채취, 행사 시 그릇과 잡물의 마련, 柴木의 채취, 刑具의 제작, 石役, 夜望, 轉遞, 轎軍, 將校 接待 항목 등이 있었다. 넷째, 沿海와 大路 옆에 입지한 송정동에는 교통이 편리한 탓에 黃腸의 운송, 장교접대, 唐峙轎軍, 夜望軍, 轉遞 등의 항목이 부과되었다. 다섯째, 환곡의 부과기준을 살펴보면, 도하면에는 19세기 말 이전까지는 계속해서 戶를 단위로 환자를 부과하다가 1891년에 이르러 田結을 기준으로 한 結還錢을 부과하고 있다. 또한 1860년을 전후로 관에서 환곡을 현물대신 동전으로 받고자 하였고 연안지방의 민인들은 이 분부에 대해 作錢 상의 어려움을 크게 호소하고 있었다. 여섯째, 민원 문서에서는 점차 각종 잡역까지도 돈으로 대납하고자 하는 의사가 표현되고 있다. 실제 柴役·松腸 채취·石役 등의 항목은 이미 돈으로 납부되고 있었다. This paper is about taxes and labor services and civil complaints on them, by analyzing existing 48 documents related with such civil complaints composed for one hundred years from 1792 to 1892 at Songjeong-dong, Doha-myeon, Samcheok-bu, Gangwon-do provinc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f a tax or labor service imposed by the government was too heavy or if it was unfairly imposed, residents would submit their objection to it to the government office in the dong (洞), myeon (面), or bu (府) level. In the tax and service imposition system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lowest unit was administrative 'dong'. Dong residents prepared for the tax amount imposed on the dong using the existing 'donggae', mutual help group among dong residents. In Doha-myeon, there were 6 natural villages consisting of 3 big 'li'es and 3 small 'li'es. But, the local government changed them into administrative dongs for the convenience of tax imposition and collection. So, lies could be divided or combined into dongs. If members of donggae had difficulty in preparing for the tax amount, or if they viewed that the tax amount imposed on them was unfair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dongs, dongim, the representative of the donggae, would submit a written petition asking the government to change the amount. Dongim used various forms such as cheopjeong (牒呈), seomok (書目), or pummok (稟目) to submit the petition. And, when he submitted a petition containing the names of other members, he would use deungjang (等狀). In most cases, dongim was taken by yangban who could read and write, and dongim would submit such petitions to reduce tax amounts, or to be exempted from a tax. Second, when the higher government delivered directions related with tax to administrative dong and myeon, it used jeonryeong (傳令). And, to prove that the higher government reduced rhwangok, it would issue wanmun or ilji. Third, on tax and labor service imposition, there were tax and service related with hwangok, miscellaneous labor services (japyeok), and beolgong, etc. On hwangok, the government imposed tonghwan, gihwan, and gyeolhwan, etc. to dong or li. For byeolgong imposed by the central government, there was preparation of hwangjang. And, for miscellaneous labor services, there were various items such as building of bridge, collection of pine resin, preparation of dishes and other utensils for specific events, collection of firewood, manufacturing of torture structures, masonry, night watch, relay delivery, gama bearing, and treatment of military officers. Forth, to Songjeong-dong located on the beach and beside a big road, such items as transportation of hwangjang, treatment of military officers, dangchi gyogun (gama bearing), night watch, and relay delivery were imposed for its convenient location. Fifth, in the standards of imposing hwangok, the government had imposed hwanja to Daha-myeon using ho (戶) as unit until the late 19th century. Then, in 1891, it began to impose geyolhwanjeon using jeongyeol as unit. And, in around 1860, as the government decided to collect hwangok not with grain but with coins, residents in coastal areas complained about difficulty of procuring coins. Sixth, petition documents show that residents expressed their desire to pay with money even for miscellaneous labor services. Actually, they had already paid with money for the items like firewood collection, collection of songjang, and masonry, etc.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수업집중력 향상을 위한 뇌교육 실행연구

        유지영 ( Ji Young Yu ),권효숙 ( Hyo Sook Kwo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5 뇌교육연구 Vol.16 No.-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6학년 학급학생의 수업집중력을 향상하기 위해서 뇌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수업시간에 집중할 수 있는 태도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에 질적 접근을 통한 실행연구 방법을 사용하였고, 학교 현장에서 초등학생을 가르치는 교사연구자로서 ``문제파악 및 계획→실행→관찰→반성``이라는 실행연구의 절차에 따라 실행과 연구를 함께 하는 방식을 따랐다. 실행 과정은 문제 진단 및 해결 방안 모색 과정, 프로그램 선정 및 재구성 과정, 실행 결과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실행 과정에서 수집한 경험 자료를 분석하여 뇌교육 프로그램 적용 과정에서 학급 학생이 겪는 변화를 살펴보았고,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뇌교육 실행연구가 초등 학생의 수업집중력 향상을 위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수업집중력 향상을 위한 뇌교육의 내용적 의미와 교사연구자의 반성과 반복적 실행을 특징으로 하는 실행연구의 방법적 의미가 함께 작용하여 초등학생들의 수업 집중력을 향상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class attentiveness in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 I searched through many practical theories and methods which are applicable to the education field and decided to apply a brain education method. As a teacher and a researcher, I deployed action and research simultaneously under the procedures of action-research: problem identification, planning an action, an observation and a reflection. In the 1 st procedure of Action, training the mind and body was emphasized to create a foundation of power to concentrate. As a result, activ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nd a researcher occurred. Students found it interesting in class activities and felt beyond physical and emotional limits. In the 2nd procedure of an action, the meditation was executed with a new focus after reflection of the researcher had taken into account the results of surveys conducted by attendants. As a result, attendants were given clear objectives, a motivation, and a formed attitude of self-directed learning. This study shows the possibility of increasing attentiveness of students in the class, regarding the interaction between meaningful approaches to brain-education, with the focus on the step-by-step experience activiti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나노키토산의 식품분야에서의 이용

        유지영(Ji Young Yu),고정아(Jung A Ko),박현진(Hyun Jin Park),김현우(Hyun Woo Kim) 한국식품과학회 2020 식품과학과 산업 Vol.53 No.1

        Recently, chitosan has increased attention in commercial applications in the food industry in terms of its biocompatibility and nontoxicity. In particular, chitosan has been used as a good hosting material for producing nanoparticles due to its unique property of ionic gelation. Chitosan has disadvantages such as low solubility at physiological pH, causing the metabolism of core material in the intestine and gastric juice.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various chitosan derivatives such as carboxylated, thiolated, and acylated chitosan have been studied. This review focuses on the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itosan nanoparticles with the introduction of hydrophobic groups, the application of functional nanocapsules as coatings, and their applicability in the food sector. The physicochemical modification of chitosan is expected to be an attractive research field for the development of chitosan applications for food as well as for improving bioavailability in functional food.

      • KCI등재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제작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꾸미기 능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유지영(Yu Ji Young),이정욱(Lee Jeong Wuk)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1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제작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꾸미기 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2개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5세 유아 50명(실험집단 25명, 비교집단 25명)이었다. 실험집단은 10주 동안 14차시에 걸쳐서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제작 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누리과정에 입각한 생활주제 중심 언어활동 및 미술활동을 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의 이야기 꾸미기 능력 점수가 비교집단의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창의성 점수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제작 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이야기 꾸미기 능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제작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꾸미기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므로 유아교육현장에서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제작활동은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op motion animation activities on children’s storytelling abilities and and creativity. The study subjects are 50 five-year-old children attending a childcare center located in Seoul(25-experimental group and 25-control group).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made a stop motion animation, whil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did topic-oriented language and artistic activities according to the Nuri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oing stop motion animation activities positively affected the children’s storytelling abilities. second, doing stop motion animation activities positively affected the children’s creativity, although the improvemen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study results demonstrate making activities for stop motion animation are effective to enhance the storytelling ability the five-year-old children. these suggest that stop motion animation acvivities can be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g method for improving children’s stotytelling ability. Therefore stop motion animation activities in childhood education field should be expanded.

      • KCI등재

        17세기 대간(臺諫) 간통(簡通)의 기능과 양식 - 양주(楊州) 사릉(思陵) 해주정씨가 소장 문서를 중심으로 -

        유지영 ( Yu Ji-young ) 한국고문서학회 2019 古文書硏究 Vol.55 No.-

        본 논문은 지금까지 학계에 알려지지 않은 ‘簡通’이라는 문서의 실물을 제시하고 문서형식과 그에 관한 문서적 기능을 살펴본 글이다. 대간의 간쟁과 탄핵 활동은 공론에 부합하는 내용이어야 했고, 내부 관원 사이에 의견을 철저히 묻는 것은 그 공론의 정당성을 부여하는 절차였다. 그리고 簡通은 그 정당성을 뒷받침하는 문서적 장치였다. 簡通은 臺諫의 啓辭를 다룬 기존 연구 논문에서, ‘국왕에게 전달하는 啓辭의 작성을 위해 그 직전의 단계에서 대간 구성간의 의견 합일을 위해 쓰인 문서’로 소개되었다. 그동안 볼 수 없었던 실문서 簡通은 楊州 海州鄭氏 宗家 고문서에서 발견되었다. 이는 모두 17세기에 鄭植(1615∼1662)이라는 한 인물이 사간원의 正言과 사헌부의 持平을 지내면서 작성한 것이다. 簡通은 대간이외에도 일반적인 여러 관서에서 사용되었음을 연대기 사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실물로 전해지는 간통이 모두 臺諫이 작성한 것이었으므로 이 글에서는 대간의 간통에 한정하여 분석해 보았다. 본고에서는 이 실문서 간통을 제시하고 형식을 분석하여 당대의 실제 문서 사용 양상을 확인해 보았다. 첫째로 문서의 외면적 형태와 구성 양식을 살펴보았다. 실물 간통의 외형은 매우 얇은 종이에 세로의 길이가 25㎝ 내외였으며 가로의 길이는 경우에 따라 약 100㎝가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대개 가로의 길이가약 30㎝였다. 종이의 두께는 매우 얇았다. 당대 일반적인 작은 편지 크기였고, 두께는 편지의 종이와 거의 같았다. 문서의 양식은 안쪽 본문에 간통의 처음 작성자인 城上所가 간통사유를 기록하고, 이에 따라 간통을 받은 동료관원들의 차례대로 대답을 기록한 후 자신의 이름을 姓을 생략하고 적었다. 접는 방식은 종이를 좁은 폭으로 세로방향으로 말듯이 접었다. 그리고 접은 후에 합봉처의 상단에 ‘上白’이라고 적고 그 맨 아래에 간통의 발의자가 着名한 후, 차후로 받은 이들이 첫 발의자의 착명 위쪽에 쌓듯이 착명하였다. 둘째로 문서의 내용 분석을 통하여 문서 작성 목적을 살펴보았다. 간통의 내용은 啓辭와 마찬가지로 論覈과 處置, 避嫌을 위한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 통상 누구를 어떠어떠한 죄로 論啓하면 어떠할지를 물으면 이에 동료들이 대답하는 방식이었다. 논핵의 경우에는 發啓 이외에도 連啓, 停啓 등의 사안에 대해서도 모두 그 의사를 물었으며, 처치의 경우에는 이렇게 처치하겠다는 내용 외에도 처치를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으니 계사를 알려달라고 청하기도 하였다. 모두 啓辭를 작성하기 위해 의견을 묻는 내용이었다. 啓辭의 初草本은 보통 동료 관원과의 논의 자리에서 이루어진 내용에 따라 城上所가 초안을 잡고 그것을 簡通을 통하여 여러 사람들과 의견을 주고 받은 뒤 長官과 최종안을 잡아 正草本을 완성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러한 내용을 해주정씨 간통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게 작성된 계사의 정초본은 승정원의 注書가이를 받아 正本으로 작성하여 국왕에게 傳啓하였다. 簡通은 법전에는 나오지 않고 『육전조례』 및 각 관서의 규례집에서 한 두 건만이 등장하여 정확히 확인하기 어려운 문서였지만 <조선왕조실록>이나 『승정원일기』 등의 관찬사료에서는 많이 찾아볼 수 있는 문서명이다. 대간이 사용한 간통은 여러 가지 이유에서 작성되었지만 모두 임금에게 傳啓하기 위해 啓辭를 완성하는 이전 단계에서 의견의 합일을 위하여 이에 관해 서로 연락을 주고받으면서 사용한 문서이다. 그리고 계사에 관한 논의과정에서 논의에 참여하지 못했던 관원이 간통으로 그에 관한 내용을 전해 받지 못하거나 혹은 논의에 참여하지 못한 경우 자신이 무시당했다는 이유로 피혐하였고, 자신의 의견이 간통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은 경우 동료로부터 신임을 받지 못했다는 이유로 피혐하였으며, 때로는 이 때문에 관직자리에서 물러나게 되기도 하였다. 이처럼 대간의 계사 작성과정에서 간통을 통한 의견 수렴과정은 필수적이었고, 이를 지키지 않은 경우 대간 내의 분쟁이 일어났고 이 간통의 작성과 수취 여부 및 그 내용에 따라 분쟁이 판결되었다. 문서학적으로 보면, 외형상으로 간통의 기록 참여자가 모두 그 내외면에 이름자를 기록하고 着名을 한 점, 내용상 公事에 관한 안건인 점으로 보아 정식 공문서는 아니라고 하더라도 公行文書로 보아야 한다. 그리고 분류상 편지의(개인적 의사전달) 기능으로 보기 보다는 通文(공식적인 다수인에 대한 의사전달)의 기능이 좀 더 강하게 드러난다. 공적인 업무에 관한 通知와 의사결정이 주 내용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This is the article to show the real document of ‘Gantong’ which has not been known in the academia to date and to review its format and the system. In a previous study dealing with Gyesa (啓辭) of Daegan(臺諫), Gantong(簡通) was introduced as the document for consolidation of the opinions among the members of Daegan just before writing Gyesa to be delivered to the king. The real document of Gantong which has not been revealed was discovered in the old documents from the head family of Haeju Jeong in Yangju. This was written by Jungsik(1615-1662) in the 17th century during his periods of Jungeon in Saganwon and Jipyung in Saheonbu. What Gantong was used in multiple public offices beside Daegan could be found in the historical records published by public offices. However, all the real Gantongs remained were prepared by Daegan, so the scope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Gantongs of Daegan. In this article, the real Gantong was demonstrated to analyze its format and to find out its usage patterns in the times. To do so, first, its appearance and organization structure were reviewed. With respect to the appearance of the real Gantong, the vertical length was about 25cm and the horizontal length was up to 100cm in some cases with very thin papers. Yet, the horizontal length in most cases was about 30cm. The thickness of the paper was very thin. Its size was as close as the general small letter at that times and the thickness was close to that of the letter paper. For the format of the document, the reason of Gantong was recorded in the main text by Sungsangso(城上所) who was the first writer, followed by the answers from the peers who received Gantong by writing their names without family names. The paper was roll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narrow width. After that, it was recorded as ‘Sangbaek(上白)’ on top of the sealed part and the one who proposed Gantong signed at the bottom followed by the signatures of those who received it in the order as to pile up the names over the first proposer. The format of the document was very simple to be delivered and collected quickly without writing the dates. Second, the purposes of writing documents were reviewed by the content analysis. Main contents of Gantong were those for Nonhak, Cheochi, and Pihyum like Gyesa. It is like the form of answering the question, ‘how about Nongye to someone with some crime.’ In case of Nonhak, all the opinions were asked on the matters including Yongye, Junggye, and so on beside Balgye. In case of Cheochi, it was asked to inform of Gyesa since they didn’t know how to do Cheochi. All were the contents to ask the opinions to prepare Gyesa. The first draft of Gyesa was prepared by Sungsangso(城上所) upon the discussion contents with peer officers and the main draft version was finalized with minister upon discussion with many people by Gantong, which was confirmed by Gantong from Haeju Jeong’s family. This main draft version of Gyesa was sent to Jooseo in Sungjungwon to be prepared as the official version which was delivered to the king. In this article, it was reviewed how Daegan Gantong was used in the historical records of Joseon dynasty and what kind of related rules were there beside the analysis of real Gantong. Gantong was the name of document appeared in many official historical records such as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Sungjungwon Diaries, and so on although it was difficult to find it in the law books, ‘Yookjunjorye,’ and regulations of each public office. Gantong used by Daegan was prepared with multiple reasons and it is the document for consolidation of the opinions before completion of Gyesa to be delivered to the king. If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discussion on Gyesa did not receive Gantong with the discussion details, they did Pihyum with the reason to be neglected. If their opinions were not accepted in Gantong, they did Pihyum with the reason not to be credited from the peers. Sometimes, they were fired from their positions from this. Like this, consolidation process of opinions by Gantong was essential in the process of Daegan’s Gyesa preparation. If this was not followed, the disputes were occurred among Daegans and they were closed depending on the preparation of Gantong, its receival, and its details. In view of diplomatics, Gantong should be considered as the official document since the names of participants in Gantong were recorded externally with their signatures and the contents were related to official matters. With respect to the classification, it showed the function of Tongmoon which was for the official communication with multiple parties rather than the function of letter which was for personal communication, more clearly, because it contained mainly of the information on the public matters and decision ma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