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唐宋變革期 死後世界觀과 ‘召喚 및 還魂’에 대한 認識의 變化

        兪垣濬(Yoo, Won-joo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8 역사문화연구 Vol.31 No.-

        본고는 唐宋變革의 면모를 모색하는 과제의 하나로 『太平廣記』와 『夷堅志』를 중심으로 死後世界觀의 변화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죽음과 죽은 뒤의 삶에 대한 인식은 일종의 사회적 학습을 통해 얻어지는 것이고, 가장 장기적인 문화현상이기 때문에 唐宋變革이 진정 變革期로서의 면모를 지니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물론 이에 대한 검토는 주로 설화적 자료에 근거해서 이루어진다는 한계를 전제로 한다. 사후세계관은 영혼의 존재방식에 대한 이해가 관건인데, 생전의 신분을 그대로 유지한 채 후손과 함께 생활하고 제사를 통해 서로 교통한다는 범신론적 사유가 중국의 전통적 사후세계관이었다. 이는 후에 氣의 응축으로 생과 사를 파악하는 氣論의 출현, 윤회와 심판을 강조하는 佛敎의 전래로 인해 일대 조정이 필요하게 되는데, 산 자와 죽은 자의 기가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절충론으로 이를 수습하였다. 특히 조상에 대한 祭禮가 절대적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이승과 저승의 교통이 얼마든지 가능한 것으로 여겨졌다. 윤회론과 저승 심판론은 唐代 불교의 발달과 함께 널리 확산되었지만 기존의 사후세계관을 근본적으로 바꾸기보다는 오히려 그 안에 흡수되고 타협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唐宋을 막론하고 저승의 소환과 심판은 官의 권위에 절대적으로 의존하였고, 심판관 가운데 염라대왕의 모습은 생각과 달리 찾기 힘들며, 還魂의 전제가 육신의 온전함이라는 점 등이 그러하다. 특히 氣論이 더욱 강화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저승에 갔다가 돌아온 사람에 관해 많은 이야기가 있었던 것은 바로 저승 심판론의 한계이며, 일종의 타협의 산물이었다. 『太平廣記』와 『夷堅志』는 각각 唐과 北宋의 사후세계관을 담고 있어, 그 안에 는 자연히 唐宋의 시대적 변화가 반영되어 있다. 唐代 불교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불교가 사후세계의 중심이 아니었던 것처럼 宋代에는 유학의 부흥에도 불구하고 불교적 심판의 비중은 전혀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이는 정치, 경제 등의 변화가 사후세계관 변화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遲滯現象’임과 동시에 두 시대의 차이이기도 하다. 하지만 범신론적 사유 또한 전혀 변함이 없는 점에서, 특히 이승과 저승의 간극을 거의 인정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唐宋의 차이를 ‘變革’이라고 규정하기에 족한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 부호를 남기고 싶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 of the view of life after death in the Tang-Song transitional era as it is supposed to have been dealt with in Taipyungwangki and Yigyunji. Since our perception of death and its after-life is not only acquired through a social process of education but also is a quite long-term cultural phenomenon, its study is preliminary toward understanding the Tang-Song age correctly as a great transitional era in Chinese history. Our study, however, is limited in that it does not go beyond considering literary materials currently available. Studying a view of life after death, it is crucial to probe into how the existence of spirit had been understood. The dead ancestors had been considered in China to live with their posterities, keeping their social status intact. This basic idea underwent a great change at the rise of Kiron(氣論) which tries to see life and death as the condensation of Ki. It was also influenced by the accommodation of Buddhism which stresses the cycles of life and godly judgment after death. This great change had been consummated in a kind of an eclectic idea that the Kis of the living and the dead should not be different very much. The theory of life cycles and godly judgment after death was spread widely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Buddhism in the age of Tang; yet Buddhism was rather assimilated into the traditional philosophy of death than overcoming it. Whether it be Tang or Song, the summoning of spirits and their judgments relied absolutely upon the judgmental authorities. It is difficult to find such an image of the Ruler of Hell(閻羅大王). More significantly, the importance of Kiron came to be emphasized more than ever. Embracing the views of life after death of Tang and Buksong, Taipyungwangki and Yigyunji reflect the socio-historical change of the Tang-Song age. In spite of the development of Buddhism in the Tang age, Buddhism was not the center of the after-life world; likewise in the Song age, in spite of the flowering of Confucianism, the role of Buddhist judgment did not disappear at all. This seems to indicate not only the difference of two ages but also the phenomenon of delaying that is detectable when the political or economical change gives an impact to such cultural ideas as the view of life after death. But the idea of change in the Tang-Song era is still questionable in that there had been no serious change in the idea of pan-theism at that time and, in particular, they did not take any serious difference between life and death into account.

      • KCI등재

        매체 예술의 탈전유적 시/공간성 연구

        유원준(Yoo, Won Joon) 서양미술사학회 2016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44 No.-

        최근 현대의 시-공간 개념은 기술 매체의 발달과 더불어 현실과 가상이라는 서로 다른 존재론적 위상이 혼합된 개념으로 변화하고 있다. 과거로부터 매체가 현실의 시간과 공간 개념을 변화시켜 왔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현실이 시공간적 궤적에 의해 이해된다면 가상-증강 현실에 관한 논의도 기존의 시공간적 한계와 결부지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논의를 좀 더 구체적으로 분류해보자면 기존 물리적 현실의 시-공간 개념과 가상/증강 현실의 공간의 차이점과 연결점을 분석해야하며, 이로부터 현재의 공간 개념이 어떻게 현실의 그것으로 종합되고 있는가를 논의해야 한다. 매체에 의해 파생된 가상공간은 기존의 ‘지금-여기’라는 전통적인 시-공간적 제약을 해체하며 새로운 시간 및 공간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 이것은 가상이라는 개념을 현재화되지 못한 혹은 현실이 아닌 무엇으로 정의했던 과거의 개념이 아닌 일종의 잠재적 현실로 상정하는 전제에서 비롯된다. 만약, 가상현실을 잠재된 힘의 상태로 존재하는 유동적이며 유기체적 존재 개념으로 간주한다면, 포스트모더니즘 및 후기 구조주의자들의 논의에서 제기되었던 해체적 시-공간 개념에 관한 재 고찰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체적 개념으로 파악되는 현대 건축-공간 개념의 현실적 한계들이 이후 등장한 디지털 매체 예술에 의해 극복 가능성이 제기될 수 있음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매체로부터 공간에 관한 인식의 변화 과정을 탐색함과 동시에 현재 등장하고 있는 유기체적이며 동시에 가상적인 시-공간 예술 작품에서 나타나는 이중적 속박 구조의 탈전유적 특성을 논의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Recent concepts of time & space have developed into a combined concept of different existential spaces in the realms of reality and virtual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media technology. It is a well-known fact that media has always changed the concepts of time & space of reality. If the concept of reality can be grasped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trajectory of time-space, discussions on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but also be considered from the viewpoints of previous limitations on time & space. For a more fine grain categorization of this discussion, the differences and correlations between the previous time & space concepts of physical reality and the space of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must be analyzed and there must be discussions on how the spatial concepts of today are summarized into the realities of today. Virtual spaces derived from media disrupt previous traditional restrictions of time & space and present a new concept of time and space. This stems from the assumption of introducing the concept of virtual as not a previous concept but a type of potential reality that was not possible to be modernized or in fact not of reality. If virtual reality can be regarded as a fluid and organic existence concept that exists with potential strengths, there is a need to re-examine the de-constructive concept of time & space that was presented in the discussions of post-modernists and later by structualists. Therefore this research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that the realistic limitations of modern architecture-space concepts that are regarded as a de-constructive concept can be overcome using digital media art that appears at a later point in time. Also while simultaneously exploring the process of change in perception of time in relation to media, this study also has the objective of discussing the deviating from exclusiveness characteristics of a duplicative restrictive structure that is manifested currently in work that is both organic while also of the virtual time & space.

      • KCI등재
      • KCI등재

        50세 이상 및 중등도 이상 무지 외반증 환자에서의 원위 갈매기형 절골술

        유원준(Won Joon Yoo),정문상(Moon Sang Chung),백구현(Goo Hyun Baek),유창훈(Chang Hun Yu),문혁주(Hyuk Ju Mo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4

        목적: 50세 이상 환자에서 중등도 이상의 무지 외반증에 대한 원위 갈매기형 절골술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중등도 이상의 무지 외반증 변형에 대해 원위 갈매기형 절골술을 시행받은 50세 이상(평균 58세)의 환자 19명, 26 족부를 대상으로 하였다. 추시 기간은 평균 3년 1개월이었다. 수술 전, 수술 후 6주, 그리고 최종 추시 시의 무지 외반각, 제 1-2중족골 간 각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교정각의 소실과 관련되는 방사선학적 인자에 대해 분석하였다. 임상적으로는 통증, 일상생활 활동능력 및 신발 착용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무지 외반각과 제 1-2중족골간 각은 비교적 만족스럽게 교정되었다. 그러나 수술 후 6주에 비해서는 교정각 소실을 보였으며 이는 수술 전 제 1중족 족지 관절의 아탈구 정도 및 제 1-2중족골 간 각과 유의하게 관련되었다. 임상적으로 통증과 일상 생활 활동 능력은 현저하게 개선되었으나 수술 후 편한 신발 대신에 딱딱한 구두를 신고 생활하는 환자는 5예에 불과하였다. 결론: 원위 갈매기형 절골술은 임상적으로 50세 이상 환자에서 중등도 이상의 무지 외반증의 치료에 유용하였다. 그러나, 수술 전 제 1중족 족지 관절의 아탈구가 심하거나 중증의 변형에서는 추시에 따라 상당한 교정 소실이 발생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distal chevron osteotomy in patients aged 50 and older with moderate-to-severe hallux valgus. Materials and Methods: The authors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and radiographs of 19 patients (26 feet). Average age at time of surgery was 58 years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3 years and 1 month. For radiological evaluation, we analyzed changes in hallux valgus angles and 1<SUP>st</SUP>-2<SUP>nd</SUP> intermetatarsal angles after index operations. Clinical results were assessed with respect to pa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shoe-wear. Results: Hallux valgus angles and 1<SUP>st</SUP>-2<SUP>nd</SUP> intermetatarsal angles improved, but considerable correction loss occurred with time. This correction loss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reoperative subluxation of the 1st metatarsophalangeal joint and the 1<SUP>st</SUP>-2<SUP>nd</SUP> intermetatarsal angle. Clinically, remarkable improvements were achieved in terms of pain and level of activity, but most patients (except 4) still wore comfortable shoes rather than hard shoes at latest follow-ups. Conclusion: Distal chevron osteotomy is beneficial for patients aged 50 and older with moderate-to-severe hallux valgus deformity, but correction loss may occur in patients with marked subluxation of the 1<SUP>st</SUP> metatarsophalangeal joint or a severe 1<SUP>st</SUP>-2<SUP>nd</SUP> intermetatarsal angle.

      • KCI등재

        Intravenous Patient-controlled Analgesia for Postoperative Pain Management in Patients with Cerebral Palsy

        Won Joan Yoo(유원준),Chin Youb Chung(정진엽),In Ho Choi(최인호),Tae-Joon Cho(조태준),Joon O Lee(이준오),Hee-Soo Kim(김희수),Chong Sung Kim(김종성)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5

        목적: 뇌성마비 환자에서 fentanyl과 ketorolac을 이용한 경정맥 자가 통증 치료법(intravenous patient-controlled analgesia) 의 수술 후 통증 조절에 대한 안전성과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6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의 복잡성에 따라 대 수술과 소 수술로 나누어 두 군으로 분류하였고 각 군을 수술 후 통증 조절 방법에 따라 fentanyl과 ketorolac을 이용한 경정맥 자가 통증 치료법을 사용한 군과 pethidine정맥 주사를 사용한 군으로 세분하였다. 통증의 강도는 Wong-Baker’s faces pain scale에 따라 평가하였다. 결과: 대 수술군에서는 경정맥 자가 통증 치료법을 사용한 환자군에서 pethidine을 사용한 환자군보다 유의한 통증의 감소가 있었고 소 수술군에서는 경정맥 자가 통증 치료법을 사용한 환자군과 pethidine을 사용한 환자군 사이에 유의한 통증 감소 효과의 차이는 없었다. Fentanyl과 ketorolac을 이용한 경정맥 자가 통증 치료법과 pethidine정맥 주사 요법에 따른 부작용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Fentanyl과 ketorolac을 이용한 경정맥 자가 통증 치료법은 뇌성마비 소아 환자에서 수술 후 중등도 이상의 통증 조절에 있어 안전하고 효과적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afety and efficacy of intravenous patient-controlled analgesia (PCA) with fentanyl and ketorolac for postoperative pain management in patients with cerebral palsy. Materials and Methods: Sixty patients were categorized based on operation complexity into either a minor operation group or a major operation group, and then subdivided based on the analgesic methods used, i.e., intravenous PCA with fentanyl and ketorolac or intravenous pethidine injection. Pain intensity was assessed using the Wong-Baker's faces pain scale. Results: In the major operation group, patients that received PCA had significantly lower pain scores than those who received intravenous pethidine injection,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in scores were observed in the minor operation group. Moreover, the side effects of these two analgesic method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Conclusion: Intravenous PCA with fentanyl and ketorolac is effective and safe for moderate to severe postoperative pain control in pediatric patients with cerebral palsy.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경계적 주체성에 기반한 예술작품 연구: 분열적 다중성 및 멀티 페르소나 개념을 중심으로

        유원준 ( Won-joon Yoo ) 한국미학예술학회 2023 美學·藝術學硏究 Vol.69 No.-

        2023년, 전 세계는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팬데믹 상황에서 조금씩 벗어나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바이러스는 전 세계인들에게 과거와는 다른 방식의 생활 형태에 관한 보편적 인식을 확산시켰다. 본 연구는 코로나 시대가 강제했던 마스크 착용 및 온라인에 기반한 비대면 활동이라는 요소들로부터 분열적 (다중) 주체의 특성이 현대인들에게 인식되어가는 과정을 고찰하며 이를 기반으로 동시대 예술에 나타나는 경계적 주체성의 모습을 분석하고자 한다. 코로나 상황은 전면적인 비대면 환경에서의 삶을 촉진하였다. 대면 활동의 상당 부분이 비대면 활동으로 전환되었고 현실을 대체하는 온라인 환경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각 개인은 대안적 자기를 만들어 현실에서의 다양한 제약에서 해방되는 기회를 부여받게 된다. 근대 이후 신체를 매체로 간주하기 시작한 예술가들은 자신의 신체를 변형시켜 인간 주체가 혼성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유동적 존재임을 드러냈다. 그러나 코로나 환경에서의 동시대 예술은 인간 주체 안에 내재한 잠재적 타자성으로부터 주체성의 확립을 시도한다. 시-공간을 다층적인 양식으로 분화시킨 온라인 환경에서 예술은 다양한 정체성이 투사되는 장으로 작동하며 이는 예술작품의 형식적 측면을 넘어 예술가 스스로를 분화시켰다. 본 논문이 주목하는 동시대 아티스트들의 작업은 이러한 배경에서 탄생한 작품들이다. 이들은 가상의 아바타를 설정하여 작가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구조를 지닌다는 점에서 형식적 유사성을 갖지만, 작가와 아바타와의 관계 설정의 측면에서 각기 다른 경계성을 드러내며 다층적 자기-투사체로서의 예술을 구성한다. In 2023, the world is slowly emerging from the pandemic caused by the coronavirus. However, the coronavirus has spread the universal perception of a different way of life to people around the world.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in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divisive subjects are recognized by modern people from the elements of mask wearing and online non-face-to-face activities forced by the COVID-19 era, and analyzes the appearance of borderline subjectivity in contemporary art. The COVID-19 situation promoted life in a completely non-face-to-face environment. Many faceto- face activities were converted to non-face-to-face activities, and the importance of an online environment that replaces reality was highlighted. Each individual was given the opportunity to create an alternative self and be freed from various constraints in reality. In an online environment that differentiates time-space into a multilayered style, art acts as a place where various identities are projected, which has differentiated the artist himself beyond the formal aspect of the artwork. The coronavirus situation strengthened this online environment, revealing different boundaries in terms of setting relationships between writers and avatars, and making art as a multilayered self-projection body.

      • KCI등재
      • KCI등재
      • 消渴病 機轉에 관한 이론의 변천

        조선영(Cho Sun Young),유원준(Yoo Won Joon),강연석(Gang YeonSeok) 한국의사학회 2008 한국의사학회지 Vol.21 No.2

        Unsatisfied with the modern medicine’s treatment of diabetes, patients diagnosed with the disease turn to alternative medicine for treatment. A look at the percentage of people using alternative medicine marked 72.8% in the United States and more than 60% in Korea in 2006. The most preferred form of alternative medicine turned out to be usage of dietary supplements and herbal medicine. Most of the dietary supplements and herbs that diabetic patients use largely originated from their usage in East Asian Traditional Medicine. As Western Medicine made its way into East Asia in late 18th century, excessive efforts were made to translate Western medical terminology into traditional medical terminology equivalents. In the process of doing so, wasting-thirst became a concept equivalent to diabetes. Theories regarding the pathogenic outbreak and transmission of wasting-thirst has been supplemented and progressed according to needs and even showed new tendencies. Profound understanding of wasting-thirst achieved through historical research is expected to lead to proper application of wasting-thirst treatment methods in treating modern diabet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