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 알코올 중독환자에서 도파민 D4 수용체의 대립 유전자 연관성에 대한 연구

        유승호,이민수,Ryu, Seung Ho,Lee, Min Soo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01 생물정신의학 Vol.8 No.2

        The dopamine D4 receptor gene has a hypervariable segment in the coding region characterized by a varying number of 48bp repeats in exon III of the gene. Varying the numbers of repeated segments may change the length,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receptor, which makes this gene a possible candidate for variations in dopamine-related behaviors, such as alcoholism and drug abuse. We evaluated the dopamine D4 receptor genotype in male alcoholics and normal controls. All alcoholics and controls were unrelated and from the Korean population. Genotype and allele frequencies in 67 alcoholics were compared to 67 controls who were free of alcohol abuse, substance abuse, and major mental illness. No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the dopamine D4 receptor allele and alcoholism. This result indicate that there is no association of the dopamine D4 receptor with alcoholism in Korean. Further systemized investigation to determine the role of dopamine D4 receptor gene in alcoholism with a larger sample size will be required.

      • KCI등재

        알코올 중독에서의 도파민 수용체 유전자 다형성

        유승호,Ryu, Seung Ho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02 생물정신의학 Vol.9 No.1

        Even though alcoholism is a multi-factorial psychiatric disorder, it is reasonable to suppose that genetic factors play a substantial role in the manifestation of this disorder. Because alcohol is the reinforcing substance which manifests its effects through activation of the mesolimbic dopaminergic reward pathway of the brain, the gene encoding dopamine receptor subtypes can be a major natural candidate gene. Since 1990, many association studies have identified strong evidence implicating the dopamine D2 receptor(DRD2) gene in alcoholism, specifically TaqI A minor(A1) allele. Association studies have also been conducted on other dopamine receptor(DRD3 & DRD4) polymorphisms but the results have yet to be confirmed. Through a number of other approaches, each dopamine receptor gene has been investigated in association with different phenotypes in alcoholism, but further researches will be needed. In conclusion, studies in the past decade have shown that the TaqI A1 allele of the DRD2 gene is associated with alcoholism in various subject groups. Other dopamine receptor genes have since been added to the list but yet to be identified. Thus, the knowledge of these genes and their functional significance will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underlying biological mechanisms of alcoholism. Furthermore, it could lead to more helpful prevention and treatment approaches to alcoholism.

      • KCI등재

        한국의 슬리퍼 히트 영화 사례와 그 특징에 관한 연구

        유승호(Ryu Seoung-Ho),류설리(Ryu Seol-Ri) 한국문화산업학회 2008 문화산업연구 Vol.8 No.1

        The movie industry is uncertain due to 'nobody knows' principle. Movie industry is not simple but complex so that there should be special approach to the success of movie industr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ritical success factor of movie success, we took the cases of 'sleeper hit movie' which becomes successful with a small amount of cost in production. Through the sleeper hit movie, we get to know how movie can have a huge success especially during the depression of Korean movie industry. This paper shows that sleeper hit movies have really and persistently existed in Korea and it is one of the best ways to increase Korean movie industry if there are lots of support for Sleeper hit movie by government or public sector since sleeper hit movie is centered on story-oriented characteristic and high attraction to audiences. The movie industry is uncertain due to 'nobody knows' principle. Movie industry is not simple but complex so that there should be special approach to the success of movie industr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ritical success factor of movie success, we took the cases of 'sleeper hit movie' which becomes successful with a small amount of cost in production. Through the sleeper hit movie, we get to know how movie can have a huge success especially during the depression of Korean movie industry. This paper shows that sleeper hit movies have really and persistently existed in Korea and it is one of the best ways to increase Korean movie industry if there are lots of support for Sleeper hit movie by government or public sector since sleeper hit movie is centered on story-oriented characteristic and high attraction to audiences.

      • KCI등재

        컴퓨터게임과 공간인지능력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유승호(Ryu, Seoung-Ho),김보영(Kim, Bo-Young) 한국게임학회 2007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7 No.2

        이 연구는 "모차르트 이펙트"를 통해 밝혀진 모차르트 음악이 지능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와 비교하여 온라인 게임 이용자의 게임 후 시 공간 능력에 어떤 영향이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이번 연구에서 게임 이용 시 시공간 인지 능력의 차이는 공간 인지 능력의 차이에서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 애니메이션, 온라인 게임(카트라이더)을 이용한 세 집단의 공간인지 능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온라인게임을 선호하는 집단이 '모양맞추기' 점수가 높아 온라인게임 이용이 이용자의 시 공간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This study deals with how computer game affects spatial-temporal capability of game users. Focusing on college students, this study shows almost the same results as 'Mozart effect' by Gordon Shaw's previously famous study for music on spatial-temporal capability. Additionally, in comparison to music and animation, on-line racing game has more positive influence on a specific spatial-temporal capability.

      • KCI등재

        바우하우스의 장인과 디자인 민주주의 : 예술과 기술의 충돌과 협력

        유승호(Seoung-Ho Ryu)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2

        대부분의 근대예술영역에서 시도된 자본주의적 저항운동은 예술과 기술의 융합, 즉 상징적 경계의 새로운 형성을 통해 진행되었다. 러스킨과 모리스로 대표되는 이러한 저항운동은 수공예 장인의 부활을 통한 장인적 예술의 복원이 목표였지만 결과적으로 예술의 계급화를 초래하게 되었고 자율적인 노동을 배제하게 되는 탈장인적인 예술이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인적 노동의 복원을 위한 노력으로서 유일하게 기계제대공업이 가져온 조건을 적극 활용하는, 즉 ‘기술과 예술 그리고 기계와 산업의 융합’을 통해 상징적 경계의 해체와 새로운 융합을 시도하였던 바우하우스에 주목하여 그것의 행위자들actors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16세기 르네상스 예술부흥운동, 19세기 미술공예운동, 그리고 바우하우스의 예술적 사조가 역사적으로 연계되어 있다는 것을 전제로 <생산으로서의 장인적 예술, 예술소비로서의 민중의 권리, 표현방식으로서의 근대기술>의 교량역할을 수행했던 바우하우스 실천가들과 그들 사이의 협력과 갈등에 대한 고찰을 통해 바우하우스가 디자인 민주주의 이념을 구현하려 하였다는 점을 주장하고 있다. 더 나아가 현대 메타기술의 시대가 디자인과 기술의 융합을 통한 민주주의로의 이행을 추동하고 있어 바우하우스의 ‘협력과 갈등’그리고 ‘위기와 해체’로부터 반면교사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The capitalistic resistance movement attempted in most modern art areas was carried out through a complete convergence of the art and skill, which was the new formation of the symbolic boundary. Although this resistance movement was aimed at restoring artisan art through the revival of tbe work of handicraftsmen, it consequently caused the stratification of the art and became a de-artisan art excluding the autonomous labor. Hereupon, this study would focus on Bauhaus which attempted to dismantle the symbolic boundary through the convergence of the technology and art which actively used the condition the great industry brought only as an effort for the restoration of artisan labor, and would examine the actor-network of Bauhaus. Therefore, this study would examine the Bauhaus artistic trend, the 16C Renaissance art promotion movement, and the 19C art crafts movement in the network-oriented relation, and would analyze the Bauhaus ideological source which expressed design democracy through the bridging role of 〈artisan art as the production, peoples right as the artisan consumption, modern skill as the expressive method〉 and analyze the artisan art and the mechanism that had the new technology fused. Furthermore, the convergence possibility of the collaboration spirit being embodied as a philosophy of the democracy in the design continues with the tremendous influence of the new technolog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장인 문화에 대한 해석적 접근

        유승호(Ryu, Seoung-Ho),선원석(Sun, Won-Suk) 인문콘텐츠학회 2014 인문콘텐츠 Vol.0 No.32

        본 연구는 모노즈쿠리가 직업의 차원을 넘어 일상적인 삶과 어떻게 연결되었고, 그 전통이 어떻게 지속적으로 전수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일본의 각 지방을 대표하는 9명의 쇼쿠닌(장인)들을 인터뷰하였다. 본 연구의 발견은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는 기술을 중시하는 모노즈쿠리 정신에 일본 공동체의 문화가 내재해 있다는 것이다. 둘째는 모노즈쿠리의 기술적 연계성이다. 장인들의 의식은 한마디로 ‘살아있는 박물관’을 지향하며, 시간측면에서의 상위해석수준(high construal level)을 보이고 있었다. 셋째로는 일을 통한 자기 세계의 구축과 외부 세계와의 관계설정이다. 이러한 고유의 자기세계 구축은 일의 위생조건(hygiene factor)을 넘어 내재적 동기가 극대화된 상태로 인간욕구의 최상의 단계에 속한다. 하지만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 따라 일본의 모노즈쿠리쇼쿠닌들도 위기에 처하고 있다. 이에 현재 장인들은 도제식교육과 함께 현대적 교육을 이수한 후 다시 전통적 장인기술을 계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자기(집안) 고유의 기술>과 <변화에 적응하는 기술>의 적절한 결합점을 찾는 노력의 일환으로서, 이를 통해 기술과 제품을 개선하는 일로 시장의 변화에 대처하고 있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how the life of japanese craftsmen(monozukuri) combines with their labor and occupation and how their crafts hand down generations.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craftsmanship(monozukuri) is embedded with japanese culture of community which dominate japanese mind-set. Second, craftsmanship characterize time-honored skill with high construal level, what is so called ‘working museum’. Third, craftsmen relate his own little inner world to the outer world through their labor and occupation, which is beyond hygiene factor of work. At the mercy of profound changes in markets, japanese craftsmen are coping with crisis on the basis of apprentice education cooperated with modernized one.

      • KCI등재

        후기 근대와 공간적 전환

        유승호(Ryu, Seoung Ho) 한국이론사회학회 2013 사회와 이론 Vol.23 No.-

        근대의 시공간에 대한 논의는 공간에 대한 시간의 우위였다. 그러나 장기간의 진화 속에 갇혔던 개인을 복구하며 인간주체에 대한 논의가 부각되면서 후기 근대는 개인에게 ‘공간적 개체성’을 부여한다. 후기 근대의 공간적 전환은 이러한 시대적 패러다임에 기반하며 새로운 사회이론의장을 열었다. 본고는 사회 이론의 공간적 전환을 주창한 주요 사상가들의 논의를 살피고 사회 이론에서 공간적 전환이 ‘물리적 공간’에서 ‘관계의 공간’으로 이전하는 접근을 세 가지 차원에서 설명한다. 첫째로는 공간을 권력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푸코와 르페브르의 접근으로서, 푸코는 통치술 개념을 중심으로 공간의 조직화가 자본주의의 구조에 중요한 기능적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였으며, 이는 르페브르의 논의와 함께 권력의 장이 역사라는 시간에서 공간으로 전환했음을 지시하고 있다. 두 번째로는 하비와 카스텔로 대표 되는 정치 경제학적 시각으로서, 하비는 자본의 순환과 건조 환경의 결합이라는 측면에서 도시 공간을 분석, 결국 공간적 확장의 형태는 초국적인 자본의 확대로 귀결된다는 점을 언급하였으며, 카스텔은 공간적 확장이 도시라는 형태의 내부와 외부에서 단절과 확장이라는 이중적 형태로 발전하고 있음을 통찰하였다. 그리고 세 번째 시각으로서, 짐멜과 워스, 부르디외 그리고 바우만의 논의를 거치면서 공간은 권력과정치의 공간에서 도시와 개인의 일상생활을 지배하는 ‘사회적 공간’으로 진척된다. 짐멜은 도시의 형식에서, 워스는 도시의 생활양식에서, 부르디외는 아비투스적 공간에서, 바우만은 액체공간이라는 논의를 통해서 공간의 사회적 차원을 부각시켰다. 이러한 논의의 흐름은 결국 공간은 단순히 물리적인 것이 아닌 사회적 관계의 총체로서의 ‘사회적 공간’이며, 이는 사회적 관계가 공간의 프레임을 통해 ‘탈물질화의 물질화’를 이루어내는 형식임을 보여준다. In the course of long-term evolutionary perspective of modernity, individuality had been dominated by temporality, not spatiality. However, confronting with lots of conflicts of regions in modernized world, spatiality had been emerged with the individuality affiliated to community. This article aimed to the reason and elements of spatial turn on the basis of major thoughts in social theory, which draws ‘social space’ out of physical space. In both Foucault’s and Lefebvre’s perspectives, space became key actor in determining power distribution, conceptualizing the governmentality by Foucault and the rhythm analysis by Lefebvre. For Harvey and Castells, spatial expansion results in maximization of the trans-national capitalism to the extreme. Eventually, major social theories such as urban form by Simmel, urban lifestyle by Wirth, liquid space by Bauman and arbitus by Bourdieu have accomplished the social space as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to finalize ‘materialization of de-materialization’ with regard to social space.

      • KCI등재

        치매의 조기 진단과 선별검사의 유용성

        유승호(Seung Ho Ryu),이동우(Dong Woo Lee),이강준(Kang Joon Lee),한은주(Eun Joo Han),정한용(Han Yong Jung) 대한노인정신의학회 2006 노인정신의학 Vol.10 No.1

        There has been great progress in diagnosis of dementia. Diagnosis of dementia involves the early detection of a significant cognitive deficit from normal aging and differential diagnostic approach of the cause of the cognitive impairment. Although there is controversy whether screening tools are useful for early detection of dementia, many brief screening tests have been developed and widely used.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is the brief instrument most commonly used to assess cognitive changes in dementia. The MMSE has limitations, but it has been translated into many languages with modest adjustments. It also has been translated and standardized into three Korean versions (MMSE-K, K-MMSE, MMSE-KC) and there are several studies comparing the diagnostic validities between Korean MMSE versions. All three versions have good validities for screening dementia. Other brief screening instruments that have been translated and standardized in Korean may have clinical utility in early diagnosis of dementia. In conclusion, use of screening instruments such as the MMSE, especially in high risk elderly group can be recommended to increase early detection of dement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