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사공보준칙 제정 이후 ‘피의사실 보도’의 취재원 활용과 표현 양식에 대한 연구

        유수정(Soojung Yoo),김희경(Heekyung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21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09 No.-

        본 연구는 피의사실 보도 취재 방식에 있어서 언론이 면책될 수 있는 요건인 혐의 사실의 진실성을 입증할만한 적절하고도 충분한 취재의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피의사실 보도의 취재원 활용 및 표현 양식을 분석했다. 조사 대상과 기간은 2010년 법무부의 ‘인권보호를 위한 수사공보준칙’이 제정된 이후를 기준으로, 피의사실 보도와 관련되어 피소되어 종결된 판결과 관련 해당 사건을 취재한 보도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취재원 활용은 실명보다 익명이 빈번하게 활용되었으며, 다양한 취재원이 부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당사자의 해명이 없는 경우는 다른 유형에 비해 2배가량 많아 피의자의 해명이 제대로 반영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가적인 취재원 활용이 저조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현에서는 받아쓰기 보도의 관행 중 하나인 따옴표 사용이 빈번했는데, 분석대상의 1/3 정도가 헤드라인에서 수사 관련 발언을 인용하고 있었으며, 대부분 한쪽 입장을 담고 있어 문제로 지적되었다. 또한, 주체가 누구인지 정확히 파악할 수 없는 주어 없는 논란과 비판의 재생산이 이뤄지고 있어 ‘사실과 의견의 분리’라는 객관주의 원칙에 벗어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수사기관과 피의자 간의 주장과 반론, 수사 진척 상황을 대결 구도로 중계하는 관행이 있었으며 ‘검찰 내부’와 같은 출처가 불분명한 수사기관을 언급하는 등 부정확한 정보가 제공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피의사실 보도, 나아가 법조 보도가 개선되어야 하는 방향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degree of adequate and sufficient coverage to prove the truthfulness of the alleged facts as a media immunity requirement for reporting suspected facts.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report, the form of the sentence, and the pattern of the words used were checked as a duty to pay attention to the expression and method of the report.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reports related to cases in which judgments were made in connection with the accusation after the Ministry of Justice’s “Investigation and Public Information Rules for Human Rights Protection” was enacted in 2010. According to the analysis, anonymous sources were frequently used rather than real-name source, not using a variety of sources. In particular, there were twice as many cases without the explanation of the person concerned, the explanation of the suspect was not properly reflected, and the use of additional news source was poor. In terms of expression, quotation marks, a symbol of dictation, were mainly used. About one-third of the subjects analyzed were citing investigative remarks in their headlines, mainly in the position of one side. In addition, there was a reproduction of subjectless controversy and criticism. There was a practice of relaying between the investigative agency and the suspect in a confrontational composition. And inaccurate information was being provided as investigative agencies of unknown sources, such as “inside the prosecution,” were mentioned.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discussed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ports of suspected cases and legal reports should be improved.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종편 출범 초기의 지상파와 종편 메인뉴스의 주제 구성 및 다양성 변화에 대한 연구

        유수정(Soojung Yoo)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10

        본 연구는 종편 도입으로 인한 방송 뉴스 콘텐츠의 주제 구성과 디양성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종편 도입 초기 4년 간 지상파 3개, 종편 4개 총 7개 채널의 메인 뉴스의 주제를 내용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지상파는 다양한 주제를 폭넓게 다뤘던 반면 종편 뉴스는 정치 뉴스에 집중하며 주제 구성에 있어서 지상파와 차별화를 꾀하였다. 뉴스 구성 순서나 주요 뉴스 포함 여부에 있어서 종편은 정치 뉴스와 북한 뉴스를 적극 활용하며 차별화된 구성을 보였던 반면, 지상파는 경제 생활 정보 뉴스 등에 대해 주요 뉴스로 처리하며 차이를 나타내었다. 종편 개국 초기 4년간 방송 뉴스 전반의 다양성을 분석한 결과 종편은 지상파와 유사한 뉴스를 제공하는 전략으로 시장에 진입했으나 다양한 뉴스를 제공하는 지상파와 경쟁하기 위해 선택과 집중의 전략을 취하는 방향으로 변화했음을 확인하였다. 종편 개국 초기 방송 뉴스 시장에서 지상파는 다양성 전략을 유지하는 전략을 편 반면, 종편은 집중 전략을 활용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contents of main news of 7 channels for 4 years during the initial period of introduction of the general programming cable channel(GPCC) in order to examine changes in subject composition and diversity of broadcasting news contents due to the introduction of GPCC.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errestrial broadcasters treated a wide range of topics, while the GPCC’s news focused on political news and differentiated from the terrestrial in the composition of the topic. In the composition of the news topic headline news, GPCC showed distinctive structure using political news and North Korea news, while terrestrial news was treated as major news for economic and daily information new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versity of broadcast news in the first four years of opening GPCC, it has changed into a strategy of selecting and concentrating in order to compete with the terrestrial broadcasters. In the initial broadcasting news market, the terrestrial broadcastings were used to maintain diversity strategies while the GPCCs were using concentrated strategies.

      • KCI등재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의 MCN 선택 동기와 창작자로서 불만족 요인에 대한 연구

        유수정(Soojung Yoo),이영주(Yeong-Ju Lee),유홍식(Hongsik Yu)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8

        본 연구는 1인 미디어 콘텐츠의 활성화를 모색하기 위해 구독자 10만 명 미만을 가진 초기 크리에이터를 대상으로 MCN 선택 동기와 콘텐츠 창작자로서 겪는 어려움, 지원 요구사항을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크리에이터들이 MCN을 선택하는 동기는 콘텐츠 제작과 유통에 대한 지원 및 수익 배분에 대한 만족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MCN을 불신하거나 독자 운영이 가능한 크리에이터는 독립적으로 활동하고 있었다. 크리에이터들은 공통적으로 해외 진출의 어려움을 인식하고 있었다. MCN에 소속되지 않은 크리에이터들은 콘텐츠 마케팅과 유통을, MCN 소속 크리에이터들은 해외 시장진출을 가장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소속 여부에 상관없이 동영상 플랫폼의 이용자 확대, 수익성에 대해 만족도가 낮았다. 성별에 있어서 여성 크리에이터들은 영상제작 수월성과 동영상 플랫폼의 작업 편리성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 크리에이터들은 공통적으로 제작비 지원과 제작시설과 같은 인프라 구축을 필요로 하고 있었으며 특히 마케팅이나 해외 진출에 대한 공적 지원에 대한 요구가 크게 나타났다.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he creators of less than 100,000 subscribers about the motivation of choosing MCN, dissatisfaction factors, and the need for public supports. The results show that the motivation to select MCN is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content distribution and distribution support. However, the creators who distrusted the MCN or were able to operate independently were working independently. Creators were aware of the difficulties of entering overseas market. Creators who were not affiliated with MCN recognized content marketing and distribution. Creators affiliated with MCN recognized that its the most difficult to enter overseas markets. And regardless of affiliation, satisfaction with profitability was low. In terms of gender, female creators were found to be less satisfied with video production excellence and ease of use of the video platform. Early creators commonly required infrastructure such as production support and production facilities, and particularly demanded public support for marketing and overseas expansion.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소셜미디어 취재원 인용에 대한 연구

        유수정(Soojung Yoo)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21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6 No.3

        인터넷을 통한 취재가 보편화되면서 소셜미디어 인용 보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누구의 소셜미디어가 어떻게 인용되고 있는지 종합일간지와 경제지의 기사를 내용분석하고 소셜미디어 인용 보도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정치인과 공직자가 소셜미디어 취재원으로 가장 많이 인용되고 있었으며, 경제지에서는 연예인과 연예인 가족의 소셜미디어 인용 경향이 뚜렷했다. 정치 주제는 페이스북의 게시물이, 연예·문화 주제는 인스타그램의 게시물이 주로 인용됐으며, 사진과 함께 게재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소셜미디어 취재원의 게시물에 대한 사실확인을 위해 추가적인 인터뷰가 이뤄졌는지 살펴본 결과 분석대상의 1%에 해당하는 기사에서만 추가 인터뷰가 확인되었다. 또한 분석기사의 절반 이상에서 소셜미디어 취재원이 유일하거나 중심적으로 인용되고 있었다. 셋째, 소셜미디어 취재원의 발언이 제목에서 따옴표를 달고 직접인용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제목은 주로 게시물의 일부를 추출, 조합하는 형식을 많이 차용하고 있었다. 이는 소셜미디어 취재원 인용의 전형적인 받아쓰기 관행, 추가적인 사실 확인의 부재를 보여주는 결과로서,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환경에서의 취재 규범 정립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As news coverage using the Internet becomes more common, reports of social media news source being quoted are increasing. The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reports in the comprehensive daily and economic journals on whose social media are being quoted, and looked at the problems of social media quotation reports. The study analyzed the content of the report by daily newspaper and economic journal, looking at who is quoted as a social media source and problems with journalism practices. According to the analysis, public figures were mainly quoted as a social media news source, and politicians and public officials were quoted the most. The economic journal had a lot of social media quotes from celebrities and their families. Facebook’s posts were mainly quoted for political topics, while Instagram’s posts tended to be posted with photos. The study also looked at whether additi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social media sources to see if the facts are checked. Additional interviews were confirmed only in reports accounting for 1% of the analysis subjects and more than half were quoted as the only or central source of social media coverage. The remarks of social media news source were often quoted directly in the title. The title borrowed a lot of forms, mainly extracting and combining parts of the post. This is the result of a typical dictation practice of quoting social media sources, and the absence of additional fact-checking. Based on this, the need to establish standards for coverage in the digital environment was discussed.

      • KCI등재

        O2O 관련 언론보도 내용분석을 통해 살펴본 국내 `ICT 저널리즘`의 현황

        유수정 ( Soojung Yoo ),이석호 ( Suk Ho Lee ),김균수 ( Kyun Soo Kim ) 정보통신정책학회 2016 정보통신정책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O2O 기술 및 서비스가 국내 언론에 어떻게 보도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총 514건의 O2O 기사에 대한 내용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O2O 보도는 전반적으로 스트레이트 기사가 주를 이루는 가운데 경제면에 주로 게재되었고, 스타트업보다는 ICT기업을 다루는 경우가 더 많았으며, 주제는 새로운 서비스의 소개를 다루는 경우가 많았다. 종합일간지의 경우 해설/기획 보도가 많았고, 스타트업보다는 ICT기업을 많이 다루는 편으로 나타나 경제지와 IT 전문지와 차이를 나타냈으며, IT 전문지의 경우 경제면 외에 다양한 지면에서 O2O를 보도하는 등 언론사 간 차이가 확인되었다. 기사의 품질에 있어서 O2O 보도가 분석 중심 보다는 이벤트 중심으로 작성될 뿐만 아니라 복합적인 관점을 담기보다는 대체로 하나의 관점을 제공하는 등 심층적인 보도가 이뤄지지 않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O2O 보도에서 나타난 뉴스 가치는 주로 유용성, 흥미성, 영향성, 저명성으로 나타났으며, 종합일간지가 상대적으로 다양한 뉴스 가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O2O를 보도한 반면, 경제지나 IT 전문지는 종합적 시각을 제공하는 데에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O2O 보도의 인지적 속성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이용 차원에서의 혁신성, 경제적순기능, 사회적 영향성에 있어서의 실용성 등 주로 긍정적 프레임이 두드러졌지만, 규제 측면의 논의는 적게 다뤄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O2O에 대한 장기적인 안목에서 보다 심층적이고 분석적인 보도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 of 514 news stories about O2O in order to investigate Korean dailies` coverage of O2O technology and related services. The results show that most O2O news stories were of straight type and appeared in the papers` business sections. The dailies covered ICT corporations more than startups, and often covered introductions of new services. The stories differed by type of newspaper. General daily newspapers used more interpretive and planned stories, and covered ICT corporations more than startups, compared to other papers such as business or ICT-specific papers. The dailies did not cover the issues in depth. The issues were covered from an event-oriented viewpoint rather than an analytic one. Moreover, the stories used a single perspective rather than multiple perspectives. In terms of news values, the news coverage of O2O emphasized usefulness, human interest, impact and prominence. While general papers seemed to cover the issues focusing on multiple news values in a story, business and ICT-specific papers fell short of offering a comprehensive perspective. With respect to cognitive frames, the dailies covered the issues in the light of usage innovation, positive economic function and positive social impact. On the other hand, regulatory aspects of the issues were covered less. Finally, the study recommends that O2O stories should be covered with greater depth, using analysi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 KCI등재

        저작물 성립 요건으로서의 창작성의 개념과 판단 기준 : 국내 법원의 판결 논리를 중심으로

        조연하(YounHa Cho),유수정(SooJung Yoo) 문화방송 2011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Vol.12 No.4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콘텐츠가 하나의 저작물로서 보호를 받을 수 있는 법적 근거를 제시하려는 목적에서 저작물 성립 요건으로서의 창작성 개념과 판단 기준에 대한 국내 법원의 판결 논리를 분석했다. 판례 분석 결과 창작성 개념의 핵심 구성 요소는 독자성과 개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독자성은 저작물이 저작자에게서 유래되고 모방하지 않고 다른 저작물과 구분되는 속성으로 개성은 정신적 노력의 소산 지적 노력 개성적·정신적 창작의 성과 등으로 설명되었다. 또한 법원은 저작물의 창작성 수준을 뛰어난 예술성이나 창의성을 요구하는 정도로 높게 책정하지 않고 최소한도의 수준이면 충분하다고 보고 있어 저작권에서의 창작성 개념을 광범위하게 해석했다. 저작권법의 보호 여부를 결정짓는 창작성 판단 기준은 저작물 유형이나 속성에 따라 조금씩 차이를 보였다. 문예적 저작물은 표현의 창조적 개성 기준이 공통적으로 적용되지만 사진 저작물은 기술을 이용한 피사체의 재현이라는 저작물의 특성상 창작성 판단 기준이 좀 더 엄격하게 적용되는 특징을 보였다. 표현 방식이 제한되는 특성이 있는 기능적 저작물은 아이디어와 표현의 이분법 그리고 합체의 원칙 등을 적용해 창작성 기준을 일정한 수준 이상으로 엄격하게 적용하는 판결 성향을 나타냈다. 또한 편집 저작물은 소재의 선택과 배열에 일정한 기준이나 방침 목적이 있는지 여부가 창작성을 판단하는 데 중요하게 작용했으며 2차적 저작물은 독자적인 표현의 부가와 고도의 창작적 노력을 요구함으로써 창작성의 기준을 상대적으로 높게 책정했다. This study analyzes the concept and the standard of creativity as a requirement for copyrightable works in the cases of Supreme Court of Korea where creativity is an issue in order to suggest the legal guidance by which media contents can be protected of copyright. This case study demonstrates that the key factors constituting the concept of creativity are independent creation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former means that the work owes its origin to the author is not copied from another similar work and is differentiated from the other works. The latter means the fruits of intellectual effort and characteristic creation. Courts require works to contain at least a "modicum of creativity" in order to receive copyright protection not the high level of creativity which is required in literary or artistic works. They suggest that the concept of creativity in copyright is used wider than that of literary and arts. The result also shows that the standard of creativity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and attribute of works. The creative expression standard is generally applied to literary works but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stricter standard is applied in the case of photographic works which is representation of object by technology. The stricter standard is applied to the functional works of which expression method is restricted by the rule of idea/expression dichotomy and the Merger Doctrine. Courts view it as an important standard in recognizing creativity of factual compilations whether there is a certain standard rule or purpose in selection and arrangement of preexisting materials. Furthermore they apply the much stricter standard to derivative works by requiring additional independent expression and high level of creative effo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