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 진로성숙도 차이와 관련 변인의 관계분석

        유나현(Yoo, Nahyun),이지경(Lee, Ji 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nd associations in career maturity between university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nd understand the students’ difficulties from various angles. Year of 2005 and 2011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2005-2013)data, which were released by KEDI(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ere used as research data. Independent t sample test,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data. Significant difference and associations were found in career maturity. There were variables that were correlated with career maturity for each student group. However, as common variables such as self-concept, students’ capacity, sense of purpose for self-growth,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interactions with professor and friends were found to be correlated with career maturity between the group. Among the variables, self-concept was determined to be a predictor that was associated with career maturity to both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Some implications regarding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 진로성숙도 차이를 비교하고 관련 변인의 관계를 분석하여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이 경험하는 어려움을 다각도로 이해하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자료는 한국교육개발원(KEDI)『한국교육종단연구 2005-2013』중 2005년도와 2011년 자료를 사용하였고, 주요 분석방법은 독립표본 t 검증, 피어슨 적률상관관계,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 진로성숙도 수준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각 집단의 진로성숙도와 관련되는 변인에도 다소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공통적으로는 자아개념, 역량, 자기성장목표의식, 자기주도학습력, 교수와 친구와의 교류가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와 관련되었다. 두 집단 모두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자아개념이 확인되었다.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도 논의되었다.

      • KCI등재

        한국 대학생의 진로결정의 어려움 군집유형에 따른 상담개입목표 차이 연구

        유나현(Yoo, Nahyun),이기학(Lee, Ki-Hak) 한국진로교육학회 2016 진로교육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대표적인 진로결정의 어려움 분류체계인 인지 관련 진로결정의 어려움(CDDQ)과 정서 및 성격 관련 진로결정의 어려움(EPCD)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차별적 어려움에 따른 차별적 개입을 논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지방 소재 4년제 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55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인지 관련 진로결정의 어려움(CDDQ)과 정서 및 성격 관련 진로결정의 어려움(EPCD) 간의 상관을 살펴보고 이들이 우리나라 대학생들에게서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인지 관련 진로결정의 어려움(CDDQ)과 정서 및 성격 관련 진로결정의 어려움(EPCD)의 하위요인을 이용한 유형은 오로지 어려움 수준에 따른 차이만을 나타낼 뿐 각 하위요인이 개별적 의미를 지니지 못하였다. 이는 진로결정의 어려움 분류체계를 이용하여 국내 대학생들을 유형화하는 것이 제한적일 수 있음을 드러낸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대학생의 진로결정의 어려움에 대한 이해와 개입의 시사점에 대한 함의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을 논하였다. This study was to identify natural groupings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terms of their levels of cognitive career decision making difficulties and emotional and personality-related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to discuss the differential intervention in accordance with differential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local areas and the data of 554 people was analysed. Four clusters were derived which showed differences only in level of difficulties. This result represented that typing domestic university students by the system of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could have the limitations.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lusters were found i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adaptability, a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진로구성상담의 질적사례연구

        선미진(Mi Jin Sun), 유나현(Nahyun Y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9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들이 진로구성인터뷰(CCI)를 활용한 진로구성상담에서 어떤 과정을 통해 진로를 구성하며, 진로구성상담은 종단적으로 효과적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 3명을 대상으로 2회기의 진로구성상담을 실시하였다. 사전 미래진로자서전(FCA)을 작성 후 진행된 1회기에는 진로구성인터뷰(CCI)를 통한 탐색이 이루어지고, 2회기에는 연구자와 함께 생애 자화상을 구성하였다. 이후 약 6개월 후 추수상담을 실시하여 사후 FCA를 작성토록 하여 비교분석을 통해 진로구성상담의 효과를 분석하며, 참여자들의 진로구성 과정 및 효과를 본질적 사례연구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결과 참여자들은 8단계 생애 자화상 작업을 거치며 각자의 생의 주제를 발견하고 진로를 구성하는 과정을 함께 했다. 사전-사후 FCA를 통해 참여자들에게서 나타난 직업적 내러티브의 변화는 ‘방해받는 것에서 희망적인 것으로의 변화’, ‘일반적인 분야에서 구체적이고 탐색적인 것으로의 변화’, ‘무시하던 것에서 방향성이 있는 것으로의 변화’ 그리고 ‘모호한 것에서 초점을 맞추는 것으로의 변화’를 나타내며 진로구성상담 6개월이 지난 시점에서도 지속된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CCI를 활용한 진로구성상담에서 8단계의 생애 자화상 작업을 통해 진로구성 과정을 살펴보고 2회기의 진로구성상담의 종단적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진로구성상담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nfirm through what process highly educated women with career interruption construct their careers in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using Career Construction Interview(CCI), and whether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is longitudinally effective. Methods To do this, two sessions of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were conducted for three highly educated career-interrupted women. In the first session, which was conducted after writing the Pre-Future Career Autobiography(FCA), exploration was conducted through CCI, and in the second session, a life portrait was constructed with the researcher. After about six months, a follow-up session was provided for a post-FCA, and the effects of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were analyze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and the career construction process and effects of the counseling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Results Participants went through eight stages of life portrait work, discovering career theme of each life and career constructing together. The changes in occupational narratives in the participants represented ‘change from hindered to hopeful’, ‘change from general fields and desires to specification and exploration’, ‘change from disregard to direction’, and ‘change from vagueness to focus’, and continued six months after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Conclusions This study examined the career construction process through eight stages of a life portrait work in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using CCI and confirmed the longitudinal effectiveness of 2 sessions of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are included.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 자기의심과 정서지능이 삶의 만족과 진로 만족에 미치는 영향

        박현미(Hyunmi Park),유나현(Nahyun Y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0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진로적응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진로적응모형에 반영할 수 있는 변인으로 진로 자기의심, 정서지능, 진로적응성, SCCI, 삶의 만족, 진로 만족을 선정하고 이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231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Mplus 8.1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하였다. 결과 첫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진로적응모형의 모형 적합도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지능은 진로적응성과 SCCI를 통해 삶의 만족 및 진로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 자기의심은 진로적응성과 SCCI를 통해 진로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서지능은 삶의 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진로 자기의심은 SCCI와 진로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설정한 변인들이 진로적응모형에 적용하기 적절함을 검증함으로써 대학생의 진로적응 과정을 이해하고 개입하는 데 의미있는 경험적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변인의 특성을 고려한 관계 설정을 통해 진로적응모형의 경로를 다각화하는 것에 관한 논의를 하였다. Objectives To comprehend the career adaptation proc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chose career self-doubt, emotional intelligence, career adaptability, SCCI,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satisfaction as variables that can be incorporated into the career construction model of adaptation. It then analyz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Method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and the data of 231 stu-dents were used for analysis,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verified using Mplus 8.10. Results First, The model fit of the Career Construction Theory Model of Adaptation establish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adequate. Second,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Satisfaction through Career Adaptability and SCCI. Third, Career Self-doubt has a negative effect on Career Satisfaction through Career Adaptability and SCCI. Fourth, Emotional Intellig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Self-doubt has a negative effect on SCCI and Career Satisfaction. Conclusions Through the validation of the suitability of the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within the context of the Career Construction Model of Adaptation, we have presented valuable empirical findings that contribute to the comprehension and intervention in the career adaptation process of university students. Additionally, we have discussed the diversification of pathways in the Career Construction Model of Adaptation by establishing relation-ships that consider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s.

      • KCI등재

        대학생의 정서·성격 관련 진로결정 어려움과 진로관여행동 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진로적응모형을 중심으로

        박현미(Hyunmi Park),유나현(Nahyun Yoo) 한국진로교육학회 2020 진로교육연구 Vol.33 No.2

        본 연구는 정서·성격 관련 진로결정 어려움이 진로적응과정과 어떻게 관련되는지 Savickas (2005)가 제안한 진로적응모형을 토대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적응준비 수준으로 정서지능, 적응자원 수준으로 진로적응성, 적응반응 수준으로 진로관여행동을 선정하여 정서·성격 관련 진로결정 어려움과 진로관여행동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진로적응성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서울, 부산, 경남 지역 소재 대학의 대학생 342명(남 132명, 여 21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고,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정서․성격 관련 진로결정 어려움이 진로관여행동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서·성격 관련 진로결정 어려움과 진로관여행동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진로적응성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진로상담에서 정서·성격 관련 진로결정 어려움에 대한 이해와 진로적응모형으로 구체화한 진로적응성 향상을 위한 개입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향후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how Emotional and Personality-related Career Decision Making Difficulties relates to Occupational Engagement based on career adapt process by Savickas(2005). Accordingly, It selected Emotional Intelligence as adaptivity readiness, Career Adaptability as Adaptability Resources and Occupational Engagement as Adapting Response, and was verified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reer Adaptability on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and Personality-related Career Decision Making Difficulties and Occupational Engagement. The data from the online survey of 342(132 men, 210 women) university student was used for analysis, SPSS PROCESS macro was utilized for data analysis. The outcomes were as follows. The significant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reer Adaptability on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and Personality-related Career Decision Making Difficulties and Occupational Engagement was found. These results suggest a significance of understanding Emotional and Personality-related Career Decision Making Difficulties, necessity of intervention to promote Career Adaptabilit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단축형 진로적응대처 검사 타당화 연구

        김지근(Kim, Ji Geun),유나현(Yoo, Nahyun) 한국진로교육학회 2015 진로교육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진로적응성 척도와 계획된 우연 기술 척도의 관계를 밝히고 이를 통합한 단축형 진로적응대처 검사를 타당화 하고자 진행되었다. 서울 및 지방 소재 7개 4년제 대학생 661명(남 328명, 여 33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진로적응성 척도와 계획된 우연 기술 척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2차요인 간 상관이 .78로 두 척도의 개념적 유사성이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두 검사를 통합하여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진로적응성과 계획된 우연 기술이 진로적응대처라는 공통분모로 연결될 수 있음을 가정하고 통합된 단축형 척도로 타당화 하기 위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 6요인(1요인: 낙관성, 2요인: 준비성, 3요인: 호기심, 4요인: 자신감, 5요인: 유연성, 6요인: 극복의지)이 가장 적합한 요인구조로 나타났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6요인 모형이 적합함이 검증되었다.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해 진로관여행동,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미결정 요인과 단순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상관이 확인되어 단축형 진로적응대처 검사가 구성개념을 잘 측정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타당화 된 진로적응대처 검사는 상담 또는 연구 장면에서 대학생이 진로발달과업을 수행하는 과정 중 필요한 적응 능력 및 기술을 평가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및 한계점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ceptual overlap of the Career Adaptability Scale and Planned Happenstance Career Inventory and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the Career Adaptation and Coping Inventory. The results from the survey of 661 university students are follows: First,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the second-order factors for both scales correlate .78, suggesting that they measure highly related constructs. Second,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ducted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nstruct of Career Adaptation and Coping Inventory consists of 6 factors(optimism, preparation, curiosity, confidence, flexibility, will to overcome). Thir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at 6 factors model proved good fit to the data. In order to test for construct validity, correlations of occupational engagement,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indecision profile were computed and the results supported good for construct validit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진로구성이론 적응모형 검증: 직장인을 대상으로

        박현미(Hyunmi Park),유나현(Nahyun Yoo) 한국직업교육학회 2023 職業 敎育 硏究 Vol.42 No.4

        본 연구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진로적응모형(CCT Model of Adaptation)을 검증하여 직장인의 진로적응과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진로적응모형 각 차원에 핵심자기평가(적응준비), 진로적응성(적응자원), 직업적 자기효능감(적응반응), 직무열의(적응결과)를 적용하여 1년 이상 근속한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총 23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진로적응모형의 가정대로 각 변인 간의 순차적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하였으며, 연구결과 핵심자기평가는 진로적응성과 직업적 자기효능감을 통해 직무열의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신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직장인일수록 높은 수준의 적응자원인 진로적응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직업적 변화에 대처할 수 있다는 자신에 대한 믿음을 통해 자신의 업무에 긍정적인 마음 상태를 가지고 능동적으로 임할 수 있게 함을 의미한다. 끝으로 이를 바탕으로 직장인의 진로적응에 대한 시사점과 본 연구의 한계를 논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the Career Construction Theory(CCT) Model of Adaptation among employees. To this end, we applied Core Self-Evaluation(adaptivity), Career Adaptability (adaptability), Occupational Self-efficacy(adapting), and Work Engagement(adaptation) to each dimension of the CCT Model of Adaptation and conducted a survey of employees who have been working for more than one year, and analyzed the data of 234 employe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to test the sequential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as assumed by the CCT Model of Adaptation, and the results showed that Core Self-Evalu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Work Engagement through Career Adaptability and Occupational Self-efficacy. This means that employees who evaluate themselves positively have a high level of Career Adaptability, which is an adaptive resource that enables them to be proactive in their work with a positive state of mind through their belief in their ability to cope with occupational changes. Finally, we discuss the implications for career adaptation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결정 관련 어려움과 심리적 자원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

        박현미(Hyun-mi Park),유나현(Nahyun Yoo) 한국진로교육학회 2021 진로교육연구 Vol.34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결정 관련 어려움과 심리적 자원의 양상에 따라 어떠한 잠재집단이 형성되는지 알아보고, 이러한 집단에 따라 진로적응성과 진로관여행동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진로결정 관련 어려움으로는 정서ㆍ성격 관련 진로결정 어려움과 외적 진로장벽을, 심리적 자원으로는 사회적 지지와 정서지능을 반영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부산, 경남 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고, 334명의 설문을 바탕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LPA)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진로결정 확신형’, ‘진로결정 적응형’, ‘진로결정 혼란형’, ‘진로결정 방관형’의 4개 집단이 확인되었다. 또한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통해 각 잠재집단에 따라 진로적응성과 진로관여행동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심리적 자원을 높게 지각하는 잠재집단(‘진로결정 확신형’, ‘진로결정 적응형’)의 진로적응성과 진로관여행동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진로결정 관련 어려움이 크더라도 이를 완화시킬 수 있는 사회적 지지와 정서지능과 같은 심리적 자원이 있는 경우 진로결정 과정에 적응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진로상담에서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대학생들을 위한 차별적인 개입 방안을 진로결정 관련 어려움과 심리적 자원에 초점을 맞춰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ty latent profiles in Career Decision-related Difficulties and Psychological Resources with university students, and their differences in Career Adaptability and Occupational Engagement. The data from the online survey of 334 university students was used for analysis and Mplus 8.4 was utiliz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four types of latent profiles in Emotional and Personality -related Career Decision Making Difficulties, External Career Barriers, Social Supports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first type named ‘Career decision-confidence’, the second type named ‘Career decision-adaptive’, the third type named ‘Career decision-confusion’, and the fourth type named ‘Career decision-onlooking’. There were differences in Career Adaptability and Occupational Engagement among these types. Post-hoc testing showed that ‘Career decision-confidence’ was the highest in the level of Career Adaptability than the other types, and ‘Career decision-confidence’ and ‘Career decision-adaptive’ were higher in the level of Occupational Engagement than the other types. This suggests that even if Career Decision-related Difficulties is at a high level, if there are Psychological Resources such as Social Support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at can alleviate them, university students can adaptively cope with a Career Decision Process. It is significant that the finding provides the information necessary to apply differentiated interventions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varing characteristics in career counsel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가족건강성과 중년기 위기감의 관계

        최경화(Gyeonghwa Choi),유나현(Nahyun Y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0

        목적 본 연구는 가족건강성과 중년기 위기감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기분화와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전국에 거주하는 45세에서 60세의 중년기 성인 255명을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0과 The PROCESS macro for SPSS 4.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중매개효과의 검증은 PROCESS Macro Model 6을 사용하였다. 결과 첫째, 가족건강성, 중년기 위기감, 자기분화, 삶의 의미의 관계에서 각 변인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가족건강성, 중년기 위기감, 자기분화, 삶의 의미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셋째, 중년기의 가족건강성과 중년기 위기감의 관계에서 자기분화와 삶의 의미의 이중매개 효과가 검증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가족건강성이 자기분화와 삶의 의미를 매개로 하여 각각 다른 경로로 중년기 위기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뿐 아니라 연속된 과정을 통해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으로 중년기 가족건강성과 중년기 위기감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확장 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다양한 분야에서 변인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후속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health and a sense of crisis in middle age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fferentiation and the meaning of life. Methods The study selected 255 middle-aged adults aged 45 to 60 living across the countr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7.0 and The PROCESS macro for SPSS 4.0. PROCESS Macro Model 6 was used to ver-ify the dual mediating effect. Results Firs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health, a sense of crisis in middle age, self-differentiation, and the meaning of life. Second, the differences in family health, sense of crisis in middle age, self-differentiation, and meaning of life according to gender and age of the study subjec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self-differentiation and meaning of life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health in middle age and crisis in middle age. Conclusions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aged family health and middle-aged crisis by influencing middle-aged crisis through different channels through self-differentiation and the meaning of life. 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ollow-up research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in various fields.

      • KCI등재

        노화불안과 중년기 위기감의 관계: 삶의 의미, 자기자비의 이중매개효과

        최경화 ( Gyeonghwa Choi ),유나현 ( Nahyun Yoo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중년기를 대상으로 노화불안과 중년기 위기감의 관계를 파악하고 삶의 의미와 자기자비의 이중매개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전국에 거주하는 45-60세의 중년기 남녀, 2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SPSS 26.0과 Process Macro 6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분석내용은 첫째, 노화불안은 중년기 위기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화불안과 중년기 위기감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와 자기자비 간에 이중매개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및 제언: 연구결과를 통해 중년기의 위기감에서 노화불안, 삶의 의미, 자기자비의 관계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중년기를 위한 효과적 개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nxiety and mid-life crisis and empirically analyze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life meaning and self-compas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urveyed on 235 middle-aged men and women aged 45-60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6.0, Process Macro 6. As for the analysis, first, aging anxiety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sense of crisis in the middle age.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eaning of life and self-compassion were double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nxiety and mid-life crisis.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nxiety, meaning of life, and self-compassion in the sense of crisis in middle age was confirmed, and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ffective intervention for middle age.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