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회곡(晦谷) 권춘란(權春蘭)의 「태극통체인사도(太極統體人事圖)」연구 -『진학도(進學圖)』의 위기지학(爲己之學) 방법론 설계와 관련하여

        劉權鍾 ( Yoo Kwon-jong ) 한국유교학회 2010 유교사상문화연구 Vol.42 No.-

        본 연구는 『진학도』 전체 26건의 도설 중 제1도인 「태극통체인사도」의 도상과 그에 대한 해설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그 내용은 조선의 유학자들이 제작하였던 도상들 가운데 「태극도」와 주제 혹은 도상의 형태가 같거나 주제와 형태를 변화시킨 도상들을 회곡의 「태극통체인사도」와 비교하였고, 「태극통체인사도」의 도상과 해설의 구조와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것을 바탕으로 「태극통체인사도」와 해설의 특징과 의의를 논하였다. 특히 중점적으로 고찰한 것은 『진학도』의 위기지학의 방향과 방법에 관한 설계에서 「태극통체인사도」가 제1도로서의 중요성의 위상과 그 역할에 관한 것이다. 고찰의 결론으로 얻은 것은 첫째 「태극통체인사도」의 주제는 조선시대 전체를 통털어서 「태극도」의 위기지학 지향적 변형과 응용이라는 점에서 매우 독특하며, 둘째 「태극통체인사도」는 그의 위기지학의 강령을 심학적 관점에 입각하여 체계화하는 것임을 보여주며, 셋째 도상의 면에서 볼 때 「태극통체인사도」는 태극을 근원적 은유로 삼는 발상법과 그로부터 연역되는 지식의 체계에 대한 신념 및 그에 입각하여 실천해야 하는 인사의 과정과 내용을 위계를 갖춰 하나의 도상 속에 표상한 점이 특징이다. 이는 회곡 당시의 여러 학자들이 사용하거나 개발하였던 도상적 표현 형태와 비교할 때 매우 치밀하면서도 상세한 표상 방법으로서 독창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This is a study on the diagram and its explanation of Tae-geuk-tong-che-in-sa-do(太極統體人事圖, Taiji as the Ultimate includes all the human things) which is the first in all 26 diagrams of Hoegok(晦谷) Kwon Chun lan(權春蘭)'s Jin-hak-do(進學圖, a book of diagrams and explanations for promoting one's learning). The method of this syudy relies on at least three ways. The first is the comparative research of his diagram to others that include the concept of Taegeuk(Taiji) in their titles and show various variant in composition of shape or theme. The second is the analysis on his diagram and its explanation and the discussion about the specialities and significance of it. Especially discussed is about the role and significant phase of the diagram Tae-geuk-tong-che-in-sa-do as the first of all diagrams of the Jin-hak-do, if the book Jin-hak-do holds on the whole a design for the methodology pointing to learning to become a sage. The remarks of the conclusion are as follow: firstly the theme of the diagram Tae-geuk-tong-che-in-sa-do is very special and unique through the whole history of the Confucianism in the Chosun Dynasty in the transformation and application of original diagram of taiji(太極圖, Taijitu) made by Zhou Dun Yi(周敦頤) for the sake of promotion of the learning to become a Sage, secondly the diagram shows that the general principles of his design for the learning to become a Sage are constructed based on the viewpoint of the mind learning stressed by Yi Hwang(李滉), and finally viewing from the aspects of the diagram's shape makes it an elaborated representation that integrates into one systematic process his way of thinking to signify the taegeuk as the root metaphor, his faith in the knowledge deduced from the metaphor, and the process and contents of the main haman affairs. Any other scholar's diagram at his time cannot show the elaborateness and creativity as his.

      • KCI등재

        마음에 관한 연구와 상호문화 이해의 확산

        유권종(Yoo, Kwon-Jong)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4 철학탐구 Vol.35 No.-

        이 연구는 상호문화 이해의 확산의 실현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인문학적 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상호문화의 이해란 타문화의 소유자를 향한 행위 나아가서는 삶의 태도와 방향을 수용과 포용 혹은 소통과 인정으로 변화시켜야 한다는 당위적 요청을 담고 있다. 주요 방법은 마음연구에 기초한 개인과 사회의 실천력 향상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마음이 포괄하는 범위는 개인의 의식으로 포착되는 명시적 층위로부터 의식으로 포착되지 않는 암묵적 층위에 걸쳐 있으며, 암묵적 층위는 인지생물학에서 언급되는 미시주체와 미시세계의 작동까지 포괄한다. 실천적인 상호문화 이해의 방법을 논의하기 위하여 인문학적 마음 연구가 연관되는 이유와 내용을 밝히고, 동시에 유교의 마음 이해의 전통에서 강조된 진지의 관념과 최근 인지과학의 체화된 마음의 이론 및 의례 이론을 접합하여 실질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 것이 이 연구의 주요 내용이다. 논의의 순서와 항목은 서론을 제외하고 첫째 상호문화 이해의 확산 논의를 위한 문제제기, 둘째 상호문화 이해와 마음 연구의 상관성, 셋째 마음 이해의 차이에 대한 비교, 넷째 마음과 삶-미시주체로부터 사회의 시스템에 이르기까지의 영역, 마지막 결론에서 실질적 방법의 논의를 다루었다. 본 연구는 상호문화의 이해는 공존의 윤리를 공유하는 것이 관건이라는 관점을 취하였다. 그리고 마음에 관한 논의를 바탕으로 상호문화 이해의 확산은 개개인의 일상을 그에 걸맞는 방향을 지향하도록 재건립할 필요성을 결론으로 제시하였고, 또 일상의 재건립을 위해서는 의례적 장치의 재구성과 그것의 실천의 중요성을 함께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 kind of the humanistic research for raising possibility of intercultural understanding and practice not only in Korean society but also in other societies. The meaning of the intercultural understanding in this study keeps a request for transformation of one’s attitude or even direction of life toward communication with approval of other’s culture and toward a more comprehensive context of culture. The main method of this study is to seek for improvement of the power of execution based on claiming of recent research findings on mind. The conceptual range of the mind in this study covers from the explicit level which is captured by the consciousness of an individual to the implicit which cannot be captured by the consciousness. And the implicit area involves the concepts of micro-identities and micro-worlds which are developed in the cognitive science. The main discussions are as follow. Firstly, the reason why the humanistic research on the mind should be necessary for the extension of the intercultural understanding and practice is discussed. Secondly, the concept of true knowledge, a similar meaning with the embodied knowledge in the cognitive science, which has been emphasized in the tradition of Neo-Confucianism is discussed with its effectiveness for improvement of executive power of the intercultural practice. In addition the cognitive scientific theory of the embodied mind and the research findings from the researches about the ritual are combined with the mind and the true knowledge. Except introduction it consists of five chapters. The first chapter is problem posing on the improvement of intercultural understanding. The seco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cultural understnading and studies on mind. The third, importance of understanding of understanding by a method of comparison of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understanding of mind. The fourth, mind and life---range from the micro-identities to social system. The final, practical methods. The direction of this discussion is focusing on how to share the ethics for co-existence. The conclusion focuses on renovation of our routine in accordance with the intercultural understanding by the reconstruction of present ritual system and by the practice of the reconstructed rituals.

      • KCI등재

        마음과 뇌

        유권종(Yoo, Kwon Jong) 한국동양철학회 2011 동양철학 Vol.0 No.36

        본 연구는 뇌과학/신경과학의 연구성과를 유교의 수양론을 해명하는 새로운 과학적 원리로 채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논의하는 것, 그리고 유교의 마음 이해의 맥락을 뇌과학/신경과학의 탐구에 접맥함으로써 과학에 근거한 인문학적 담론의 관점을 다양화시키고 담론을 풍성하게 하는 방향을 탐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논의한 내용은 첫째 마음과 뇌에 관한 접근 가설의 비교, 둘째 유교 심학의 마음 이해의 특징, 셋째 유교적 마음이해의 인지과학적 재해석, 넷째 바렐라의 생명중심 관점과 유교적 마음 이해의 연결점 등이다. 논의의 방법은 최근 인지과학 특히 뇌과학/신경과학의 성과를 바탕으로 전개되고 있는 인문학적 담론의 갈래를 크게 세 가지 계통으로 나누어보고 이 가운데 프란시스코 바렐라의 관점을 유교의 수양론 내지 그것에 작용한 유교적 마음 이해를 설명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 타당성을 논증하는 것이다. 뇌와 신경에 관한 과학적 연구성과에 기초하여 전개되는 인문학적 담론의 갈래는 크게 기존의 물리주의 혹은 유물론적 입장을 견지하는 패트리셔처칠랜드의 제거적 유물론이 있으며, 이에 대해서 의식은 뇌로 환원될 수 없음을 주장하면서 뇌 외적인 요소들이 의식과 상호 연관되어 있음을 강조하는 계열이 있다. 그리고 이와는 달리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서 생명 현상을 인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생명 개체의 목적론적 활동을 인지연구의 중요사항으로 보는 프란시스코 바렐라의 신경현상학적 입장이 대립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교의 마음 이해는 바렐라의 관점과 근접해 있음을 논의하였으며, 그리고 유교적 마음 이해가 현대의 뇌과학/신경과학의 연구방향, 혹은 그에 바탕으로 두고 이루어지는 인문학적 담론에 중요한 경험적 지혜를 줄 수 있음도 함께 논하였다. The target of this article is as follows. It is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the results of brain/neuro-science to be adopted as a new scientific theory for the explanation of the methodological propriety of Confucian self-cultivation. For this, four items are researched. The first is comparisons of accessible hypotheses concerning the mind and the brain. The second is the features of understanding of mind from the viewpoint of Confucian Mind-learning. The third is the re-interpretation of Confucian understanding of mind under the cognitive science. And the last is the connection between Francisco Varela’s viewpoint which is based on the life itself not on the ontology and Confucian understanding of mind. The discourses of the Humanities based on the latest products of the brain/neuro-science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but among them only F. Varela’s discourse is appropriate for explain and support the propriety of Confucian self-cultivation and understanding of mind. The discussion on this article is focused on the demonstration of the validity of F. Varela’s viewpoint and Confucian methodology of self-cultivation. Patricia S. Churchland, as a pioneer of Neurophilosophy, strongly discerns her Neurophilosophy as the eliminative materialism from the folk psychology, and insists all the philosophical discussions should be reduced to the results of the brain science. There is a strong opposition against her attitude from the side of Alva Noё and according to this human mind or consciousness cannot be reduced to the brain. However F. Varela’s attitude belongs to none of the two groups. He opened a new field, that is Neurophenomenology, which stressed,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methods and neuroscience, on the cognition of the life phenomena and regarded the teleological activities of the living things as the most important target of the research of the cognitive science. This Varela’s attitude can be the closest to the Confucian attitudes of self-cultivation methodology. And instead the Confucian viewpoint will be able to suggest a way of wisdom to brain/neuro-science and related discourses of Humanities.

      • KCI등재

        한국 문화의 맥락에서 본 웰다잉의 조건과 방식

        유권종 ( Kwon Jong Yoo ) 東洋哲學硏究會 2008 東洋哲學硏究 Vol.55 No.-

        본 연구는 웰다잉에 관련된 현대 한국 문화의 실상과 그 맥락을 파악하고, 이에 입각하여 진정한 웰다잉을 위한 필요조건을 모색하고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본 연구에 이하여 파악된 바에 의하면 죽음과 관련된 문제 영역은 육체적 영역, 사회적 영역, 정신적 영역, 영적 영역 네 가지로 구분되는데, 이 네 가지가 두루 충족되어야 웰다잉이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고 할 때에 관심사는 과연 현대 한국의 문화적 상황은 이를 어떻게 충족시키는가 하는 점이다. 현대 한국의 웰다잉 관련 문화적 실상과 맥락을 파악하기 위하여 상향적 접근 방식에 해당하는 연구들을 분석하였으며, 특히 그 진상에 접근하기 위하여 한국갤럽의 여론조사와 질적 연구 방법에 의한 연구가 중요한 판단의 자료를 제공하였다. 분석을 통해서 얻고자 한 내용은 현대 한국인들은 죽음에 대해서 지니는 태도의 성격이었다. 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상향식 접근 방법에 의한 연구들은 죽음에 관한 한국인들의 문화가 종교적 진정성이 감소하고 대신 종교의 영향력이 미치지 못하는 정신적 영역이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관찰 사실은 이러한 정신적 영역에 대해서 인간의 삶을 건전하고도 거룩한 방향으로 이끌어 주는 역할을 종교 대체적이거나 갱신된 종교의 역할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해서 하향식 접근방법에 의한 죽음 대비 방법에 관한 논의가 필요한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한국이든 서구든 전통사상으로부터 이상형을 가져오는 것을 잠시 보류하고, 전통이 가치있는 역할을 할 수 있는 이유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퀴블러 로스 박사의 입장, 죽음준비 교육 내용, 티벳불교의 가르침, 켄 윌버와 그의 아내 트레야의 수기 등을 통해서 살펴본 결과는 죽음을 직시하고 그것을 자신있게 대면하는 방식이 곧 철학적 혹은 종교적 확신을 통해서 가능하다는 내용이었다. 죽음에 대해 자기 철학 형성하기, 죽음에 대해 종교적으로 해석하기, 켄 윌버의 영원의 철학, 죽음의 과정은 깨달음의 가능성을 증대시킬 이음새라는 사고가 그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철학적 종교적 대비책이며, 그리고 이에 대해 접근하는 방법은 명상이 적절하다는 견해 등이다. 이러한 견해 등은 물론 죽음과 관련된 다양한 경험의 집약을 통해서 추출된 것이긴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죽음과 관련된 철학적 종교적 전통을 선험적 지혜로 삼아서 추론된 점도 없지 않은 것이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grasp context and situations of Korean`s culture related to well-dying, and to seek for and propose a necessary requirement for a true well dying. According to this study, important spheres related to human death are all four; body, society, spirit, and soul. If all conditions asked from these four could be satisfied, then well dying will be realized. That granted, a matter of concern is how Koreans can satisfy them. For grasping the context and situation, some bottom-up style approaches are analysed, a special attention was paid to surveys of public opinion by Korean gallup and some qualitative studies for getting real state of Korean`s cultural context and situation about well dying. Result of this analysis shows that in the Korean cultural context and situation religious authenticity has reduced and instead another sphere which religious influence cannot touch has increased, and that attitudes inclining toward material values have been increasing so much. This observed facts imply that a renewed religion or something new as an alternation for traditional religion which play a role for leading human lives belonging to this spiritual dimension to the direction of health and sacredness. Therefore a discussion about the preparative method for well dying dependent of a top-down style approach is needed. In regard to this ideal types which could be taken from traditional thoughts of Korean or Western are deferred in this paper and the reason why traditional thoughts or ideal types can do valuable roles for well dying in the context of Korean`s cultural context is inferred. Attitude of Dr. Kuebler Ross, contents of education for preparing death, teachings of Tibetian Buddhism, and Ken Wilber and his wife`s notes during commonly accepting process toward the time of her death told that looking one`s death in the eye and meeting the death self-confidently is feasibly get by virtue of a philosophically conviction or a religiously firm belief. Some ideas from them such as constructing a one`s own philosophy regarding death, religiously interpreting of death, Ken Wilber`s perennial philosophy, Tibetian thinking that death is bridge for increasing possibility of spiritual awakening, etc. should be effective measures, and meditation or contemplation should be another approaching measure to these. Even though these ideas are extracted, of course, from accumulation of long term experiences relating to many people`s death, at the same time they are the inferential results according to traditional ideas of philosophy or religion regarding as apriori wisdom.

      • KCI등재
      • KCI등재

        시스템적 생명이론과 동양철학 연구 -프리초프 카프라의 학문관을 중심으로

        유권종(Yoo, Kwon Jong)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20 철학탐구 Vol.60 No.-

        이 글의 목적은 카프라의 생명이론의 핵심을 밝히는 것이며 그것이 동양철학 연구에 시사하는 바에 대해 간략히 결론으로 맺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방대한 카프라의 저술 속에서 그의 학문적 관점과 (동양)철학연구가 관련되는 이론이나 관점들을 추출하여 검토하고, 아울러 그들로부터 동양철학 연구에 긴요하다고 보는 시사점을 간략하게 논의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 내용들을 주요 논의사항으로 삼는다. 첫째 카프라의 생태학 및 시스템적 생명관의 핵심적 이론의 검토, 둘째 그의 이론에서 특히 철학 연구의 틀이나 방향의 전환을 요청하는 내용들의 검토, 셋째 동양철학 연구에 수용할 내용과 수용 방향의 논의 등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고찰과 논의는 생태학적 전제, 시스템과 생명, 자기제작 이론의 순서로 진행하며, 결론에서 동양철학 연구 관점의 조정 방향 및 방법과 관련하여 간단하게 제안하도록 한다. 그의 이론을 수용한다면 근대철학적 틀에 머물러서 철학적 논제를 개발해 온 기존의 동양철학 연구에 근본적인 관점의 변화가 가능할 것이다. 연구자마다 입장이 다르겠지만, 적어도 현대 학문의 동향과 연동하여 현대의 학문적 논의의 틀과 준거를 담아내는 것은 동양철학의 지혜와 가치를 현재화하는 작업이다. 이 현재화는 동양철학의 지혜를 타학문들과 널리 공유하여 세상의 앎을 지혜롭게 만드는 길로 통하게 될 것이다. This paper purports to explain Fritjof Capra’s systems view of life and concludes what his view proposes to studies of East Asian traditional philosophies. For this purpose, Capra’s viewpoint and theories that are related to studies of the East Asian traditional philosophies are reviewed with many explanations about context of present time sciences development in his books and key points of his understandings to make the studies of the East Asian traditional philosophies developed are discussed. This study has three main discussions: to review on Capra’s essential ideas of ecology and essential understanding of the systems view of life, to discuss about what his ideas require philosophical studies for turning their theoretical framework and direction of construction of theory, and to discuss about what should be taken into studies of the East Asian traditional philosophies from Capra’s ideas. In these ideas this paper has three sub titles for effective discussion as presupposition of ecology, system and life, and autopoietic theory. And a new direction for understanding of the East Asian traditional philosophies and its vision are discussed as a conclusion.

      • KCI등재

        노하우로서의 倫理 : 프란시스코 바렐라의 인지과학과 동양철학 연구

        유권종(Yoo, Kwon-Jong) 한국동양철학회 2010 동양철학 Vol.0 No.34

        급진적 구성주의의 학문 연구를 주도했던 인물들 가운데 한 사람인 프란시스코 바렐라(1946~2001)의 강연집 『윤리적 노하우』는 동양의 전통적 가르침이 정립했던 것을 윤리적 노하우라는 관점으로 조명한 내용을 담고 있다. 그의 저서는 동양철학 전공자에게 연구의 중요한 진전을 가져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고 있음에 틀림없는 것이다. 본 연구는 바렐라의 견해를 분석하고, 그의 관점과 연구 내용을 동양철학 연구 특히 유교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과 그 방향을 탐구하였다. 본 연구의 순서는 인지과학의 흐름과 프란시스코 바렐라의 학문, 『윤리적 노하우』의 체계와 주요 관점, 윤리에 관한 지식의 본질, 윤리를 노하우로 보는 것이 타당한가? 동양철학 연구의 새로운 관점의 논의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동양철학연구에 적용가능한 『윤리적 노하우』의 특징적 구도를 네 가지로 파악하였다. 그 내용은 첫째 현대인의 윤리적 실천의 현실에 관한 그의 문제의식, 둘째 서구철학적 사고 내지는 초기 인지과학의 계산주의적 모델의 극복과 구성주의 모델의 확립, 셋째 존재론적 이원론의 구도를 넘어서는 생명론적 일원론의 구도로의 전환, 넷째 숙련에 의한 자기창조의 원리 등이다. One of leading members of radical constructivism on the basis of cognitive science, Francisco J. Varela's Ethical Know-how, which is a collective publication of his speeches, newly explains the Asian traditional teachings as a very useful and meaningful wisdom depending on a new conception of ethical know-how he developed. It is sure that his work gives a moment to specialists of Asian traditional thoughts. This article is for the analysis of his ideas about the ethical know-how and at the same time for a search for possible way to apply his ideas and methodology to the studies of Asian traditional thoughts. This study is going on with the order as follows; current stream of cognitive science and Varela's researches, the principle of Ethical Know-how and main viewpoints, the essence of knowledge of ethics, the explanary structure of Ethical Know-how, and new viewpoint of Asian philosophical studies. According to this study, his ideas and theoretical points that can be applied to the studies of Asian traditional thoughts are summarized as follow; his strong and consistent willingness to improve the low level practice of ethics in contemporary societies up to a higher level practice, changing the thinking model for the improvement leaving from the Western philosophical tradition or the computational style of the early cognitive science settling to radical constructivist model, establishment of the monistic principle on the basis of the life itself with rejection of the ontological dualism, and construction of autopoiesis(self-organization) by means of mastery of the know-how.

      • KCI등재

        한국철학사 연구

        유권종(Yoo, Kwon Jong)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7 철학탐구 Vol.48 No.-

        이 논문은 지금까지의 한국철학사 연구들을 성찰하면서 향후의 한국철학사 기술작업의 방향과 방식을 고찰한 것이다. 이 논문은 한국철학사 기술작업이 한국 사회의 의사소통과 의식형성이란 관점에서 볼 때 지니는 의미와 이 의미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한국철학사 기술 작업에 요청되는 새로운 변화된 관점과 방향을 찾아본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한국철학사 기술이 출판을 전제로 할 때 그것은 독자들과의 의사소통의 과정에 연관된다는 점을 고려하였고, 이를 학문적 논의로 연결하기 위해서 사회체계를 커뮤니케이션 체계로 다루는 니클라스 루만의 사회체계이론의 관점을 원용하였다. 루만의 사회체계이론을 한국철학사 연구에 적용함으로써 논의하는 주제는 네 가지이다. 첫째, 일제 식민지 사상사관은 어떻게 다루는가? 둘째, 한국철학이란 성립가능한가? 셋째, 한국철학의 실체화는 가능한가? 넷째, 한국철학의 고유성은 가능한가? 논의의 결론은 한국철학의 형이상학적 실체화로부터 벗어나서 한국에서 이루어진 의사소통의 체계를 통해서 한국 철학의 정체성과 고유성을 주장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것이 식민사관의 그늘에서 벗어나는 길이라는 점이다. 그러나 서구 철학의 문제의식과 주제를 통해서 과거의 전통사상의 철학적 커뮤니케이션을 재구성하는 작업이 한국철학사의 본령인지 그것과는 별도의 다른 방법이 가능한지는 학계의 지속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This article is a study result on direction and methods of historiography of Korean philosophy due to a reflection on many studies of Korean philosophy until now. It includes a reflection on meaning of the historiography from communication of Korean society and looks for a required new viewpoint and methods of historiography of Korean philosophy. For these it is considered that the historiography should be connected to communication with readers when the historiography is published. Thus Niklas Luhmann’s Social System theory is to provide a basis of this discussion. This article discussed about four themes: How to approach the Japanese colonial view of Korean history of philosophy? Could concept of Korean philosophy be possible? Is it available to take substance of Korean philosophy for granted? How is peculiarity of Korean philosophy possible? The conclusion is as follow. Firstly substantialization of Korean philosophy should be avoided and rather system and context of philosophical discussion and communications in Korea should be very identity and peculiarity of korean philosophy. However, it needs more continuous discussion to choose a main method to describe the Korean history of philosophy according to the Western philosophical themes or to other themes.

      • KCI등재
      • KCI등재

        朱熹의 爲己之學 고찰

        유권종(Yoo, Kwon-Jong)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3 철학탐구 Vol.33 No.-

        본 연구는 주희의 학문을 위기지학의 체계로 재구성하려는 시도이다. 위기지학은 공자에게 연원이 있는 것이지만 그것이 주희의 시대에 이르러서 하나의 완정적인 학문방법론으로서 체계화되었다. 아직까지 국내든 국외든 위기지학에 관한 천착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후속 연구의 길을 개척하려는 취지에서 위기지학의 대강의 원리를 밝히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의 순서는 우선 남송시대 주희에 이르기까지 선진시대와 북송시대에 걸쳐서 이루어진 위기지학의 개념화 과정을 살피고 주희가 위기지학을 수용하고 그것을 자신의 학문의 중추적 원리로 삼게 된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하였다. 이어서 위기지학에 관한 주희의 입장을 첫째 當事者 방법에 입각한 長期 課程의 설계, 둘째 儒學 工夫의 統合的 體系化, 셋째 體認과 實效를 추구하는 학문화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마지막 장에서는 위기지학과 주자학 전반의 연관성을 크게 세 가지 내용으로 꼽아보고 그것을 통해서 향후 위기지학 고찰시 주요 사항을 설정하였다. 우선 四書를 중심으로 한 교과서 체제의 확립이 위기지학의 체계화와 깊은 상호 연관성이 있다는 점, 둘째는 위기지학은 내면과 외면의 통합과 일관성의 확보를 중심적 목표로 한다는 점, 셋째는 반복되는 학습과 실천이 가져오는 진실의 축적으로 인하여 공부의 진전이 가능하게 되고 궁극적으로는 도리에 달통하는 효과를 보게 된다는 점이다. 이 달통은 결국은 자연스럽게 도를 실행할 수 있는 역량의 확보를 의미한다. 따라서 향후의 연구는 이에 주목하여 그 구체적인 방법과 과정을 분석하여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n essay for re-organizing Zhu Xi’s Confucianism as so-called Wi-gi-ji-hak(爲己之學) which had completely changed the whole system or structure of Confucian learning and established a new design of comprehensive methodology for becoming a perfect being like Confucius by self-organization. Wi-gi-ji-hak has not been inquired philosophically inside or outside of contemporary Korea. The substance of his Confucian self-organizing methodology is considered in this study. This article mainly consists of three chapters except introduction and conclusion. In the first chapter, the process of conceptualization of the methodology as Wi-gi-ji-hak(in Chineses Weijizhixue) from pre-Qin era to Early Song Dynasty and his acceptance and centralization of the methodology in his whole learning of Confucianism are elucidated. In the second chapter his principle of the methodology is analyzed into three main ideas; design of long term process of self-organization based on the first-person methodology, synthetic and integrated systematization of learning of Confucius, and transformation of Confucianism into a new learning which stresses as its main target on embodiment of Confucian life and teachings and actual effect. The most stressed thing in this article is that his methodology In the last chapter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methodology and Zhi Xi’s whole Confucianism is counted and the direction of research of his methodology hereafter is considered. The interrelationship is firstly elucidated that his establishment of four-book system is necessarily connected to the systematization of the methodology. Secondly it is that the Wi-gi-ji-hak aims at forming a consistency on a person’s life by integrating and unifying the whole activities of mind and body on the standard of Confucian proprieties. Finally it is that the effect of practice of the methodology should be explained as an accumulation effect, which means that repetition of learning and practice makes an important result in improvement of the character of the person directly concerned and ultimately in being highly proficient in mastery of Confucian teaching and principles. Therefore follow-up studies on the details of the methodology should be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