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과 평등 정치: 울스턴크래프트를 중심으로

        유경훈 ( Kyoung Hoon Yoo ) 한국18세기영문학회 2013 18세기영문학 Vol.10 No.2

        The similar titles of Mary Wollstonecraft`s A Vindication of the Rights of Men and A Vindication of Rights of Woman make us question: What motivated her to write the second Vindication?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Rights of Men” and “Rights of Woman”? Why is there the asymmetry of the plural “Men” and the singular “Woman”?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article investigates several issues including the relation of the universal and the particular, the problem of hierarchical society, and the disparity of men and women. In the dedicated letter of the second Vindication to Talleyrand-Perigord, Wollstonecraft makes equality a central concept in her politics of democracy: that is, equality becomes a new touchstone testing the relevancy of universality of human rights. This article analyzes how politics and equality are related in her texts, exploring, with the help of Ranciere``s theoretical concepts, her arguments that support the connection of the two. In doing so, we will see that Wollstonecraft invents “woman” as a symbol of minority fighting for emancipation against the patriarchal majority.

      • KCI등재

        관계의 정치와 울스턴크래프트

        유경훈 ( Kyoung Hoon Yoo ) 21세기영어영문학회 2013 영어영문학21 Vol.26 No.4

        This article explores politics of relationship that Mary Wollstonecraft invents so as to struggle for the intersubjective recognition. Wollstonecraft, in a letter to George Dyson, expressed her concern that he failed to give Maria, a fictional character of her novel, due recognition. She tried to figure out the cause of his failure and found out a way to settle the issue. If there were discrepancies in recognizing the other, closing the gap requires a massive transformation of perception in such a way that demands equality and freedom between sexes and classes. Wollstonecraft realized that distinction, prevalent in society, forms a symbolic diving line producing a sensible web of inclusion or exclusion with which people recognize others. Thus, in order to change a normative framework of intersubjective recognition, she initiated a cultural and political revolution debating with Rousseau, Burke, Smith, and Aristotle who were the major sources of the contemporary recognition established in society. In doing so, s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friendship as a symbol of politics of relationship that would be the base of establishing virtuous society.

      • KCI등재

        The Over-coming of Modernity through Aesthetics: Adorno"s Aesthetic Critique

        Kyoung-Hoon Yoo(유경훈) 한국비평이론학회 2006 비평과이론 Vol.11 No.1

          계몽과 함께 시작된 현대성은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지식, 보편적 윤리, 자율적 예술에 대한 진정한 믿음에서 출발하여 그 이전 사회를 특징짓던 무지, 억압, 적대를 넘어서 진리, 해방, 행복, 비강압적 화해를 달성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그러나 아도르노는 작금의 사회에 구현된 현대성의 결과가 상기한 이상을 실현하기보단 오히려 자연과 인간의 통제와 지배를 더 확고히 하는 고차원의 지식과 무의미한 도덕과 예술로 나타났다는 점을 통렬히 비판한다. 현대의 과학기술, 관료적 기관과 조직, 시장체계 등은 삶의 질을 증진시키려는 현대성의 이상을 망각하고, 억압의 지배 망을 더욱더 공고히 하는 결과를 가져왔다는 것이다. 현대성의 핵심인 이성이 역사의 흐름 속에서 도구적 이성으로 변질되어 외부와 내부의 자연을 지배한 결과 현대는 완전한 관리사회가 되었고, 이 사회의 거대한 체계는 기존 상태를 유지하기위해 인간과 물질을 동일성의 법칙아래 감금·재생산한다는 것이 아도르노의 현대성 비판의 주 내용이다.<BR>  현대의 예술 또한 자가당착의 운명에 처해있다. 과학과 도덕이 서로의 독립된 영역을 형성하여 상호간의 긍정적인 중재와 비판을 배제한 것처럼 예술 또한 이들 비미학적 영역과 유리되어 그 자신만의 독특한 영역을 구축하게 되었다. 지식과 도덕의 영역이 쉽게 다룰 수 없는 인간의 욕망, 쾌락, 감정, 행복, 미 등을 주요 대상으로 삼는 예술은 따라서 비예술적 영역과는 독립되어 있는 자율성을 강조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 주장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면 예술은 사회와의 접합점을 상실하게 되고, 그 스스로를 유폐한 가운데 고도로 조직화된 후기자본주의 사회가 거부하는 행복의 가상만을 전달하는 보상대체물로 전락하게 된다.<BR>  본고는 아도르노의 미학이론에 제시된 미학적 비판을 토대로 현대성이 남긴 사회의 제문제점을 극복하기위한 하나의 시도이다. 아도르노의 미학적 비판이 시사하는 것은 도구적 이성의 증폭을 벗어날 수 있는 길이 예술에 형상화된 미학적 합리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실천하는 길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아도르노의 미학은 예술이 진리, 자유, 행복을 구체화한 표현으로 외부 사회와 부정변증법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강조한다. 고정된 개념을 적용하여 동일한 것의 영원한 순환을 생산하는 현 사회의 지배담론이 억압하고 파편화 시킨 비동일성의 흔적은 예술의 비개념적 인식 속에서 찾을 수 있다. 아도르노의 미학적 비판을 통해 조망할 수 있는 것은 현대의 모순 속에서 망각으로의 도피를 도모하기보단 정확한 모순인식속에서 타자에 대한 배려와 상호협조를 통해 더 나은 세계를 위한 한걸음을 내딛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본고는 아직도 계속되는 폭력과 억압의 세계 역사 속에서 살아가야만 하는 현대인이 취할 비판의식과 실천의 장을 마련하려한다. 미학이론은 더 이상 아름다운 예술만을 다루는 협소한 영역이 아니다. 오히려 미학은 사회의 제 갈등과 첨예의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 관계에 끊임없이 주의하라고 우리의 시선을 인도한다. 사회모순에 대한 관심을 통해서, 지식의 비정상적 비대화로 인한 현대성의 비인간적 소외를 넘어 볼 조건을 형성해본다.

      • KCI등재

        영어영문학21제26권 2호 : 울스턴크래프트와 버크-프랑스대혁명과 계몽 논쟁

        유경훈 ( Kyoung Hoon Yoo ) 21세기영어영문학회 2013 영어영문학21 Vol.26 No.2

        This paper explores the debates between Mary Wollstonecraft and Edmund Burke on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Enlightenment. Shocked by Richard Price`s sermon that applauded the French Revolution, Burke, in Reflections on the Revolution in France (1790), criticized the horrible effects of the Revolution. Wollstonecraft, in A Vindication of the Rights of Men (1790) took her cue against Burke in that she considered the Revolution as a timely opportunity to establish human rights, 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liberty, and philanthropy on English soil. The disagreements of Wollstonecraft and Burke hinge on the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 Enlightenment philosophy. Burke, the forerunner of conservatism, founds his aesthetics and politics on “common sense” and “natural feelings”: that is, on nature. This maneuver of Burke secures an unchangeable origin that is designed to rationalize the questionable hierarchy among people. Burke proposes “prescription” as an antidote against the Revolution whose base is the enlightenment philosophy. Wollstonecraft, on the contrary, foregrounds Burke`s ideologies of anti-feminism, power-politics, and violence. Wollstonecraft as a radical Enlightenment thinker constructs a progressive relation of reason and feeling, moral virtue, educational system, and a new relation between men and women based on friendship. In this way, Wollstonecraft cultivates the grounds for feminism and democracy, which are anathemas to Burke.

      • KCI등재

        A Possibility of Reinstating the Ethical Dimension: Adorno's Critique of Kant's Moral Philosophy and Freedom

        유경훈(Kyoung-Hoon Yoo) 한국비평이론학회 2004 비평과이론 Vol.9 No.2

        본고는 칸트의 『실천이성비판』 에 나타난 도덕철학과 자유에 내재하는 문제점을 아도르노의 시각을 통하여 분석함으로 더 나은 사회구축의 매개가 될 수 있는 윤리적 차원의 복원 기능성 여부를 타진해보는 목적을 갖는다. 칸트의 제2비판서는 현대적 의미의 도덕철학을 담고 있으며 현대윤리학이 필연적으로 조우하고 대화해야할 거대담론을 형성한 텍스트이다. 칸트에게 도덕 혹은 실천이성이란 자유와 동일시되며, 이에 대한 바른 이해는 계몽주의와 현대성을 깨닫는데 필수적인 것이다. 계몽주의는 당시에 만연했던 비이성적 전통과 관습에 종속된 인간의 해방을 위해 필수적인 이성중심주의를 근간으로 하여 발전한 것으로 현대의 과학, 도덕, 예술의 세 영역은 모두 이 운동과 밀접한 상관관계에 놓여있다. 그러나 현대 사회가 계몽의 이상을 수용했다면, 현사회가 가진 여러 문제는 그 이상을 진실하게 실천하지 못했거나 아니면 계몽의 이성법칙이 갖는 한계로부터 발생한다고 말할 수 있다. 본고는 바로 후자의 입장에서 이성의 내재적 문제점을 살펴본다. 특히 도덕 혹은 실천이성이 도구적 이성의 과도한 팽창을 억제하지 못하는 원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해봄으로써 사회개혁의 가능성 조건을 탐색한다. 인과율의 끊임없는 연쇄에 사로잡혀 결코 자유의 세계에 거하지 못하는 현상계내의 존재가 어떻게 자유와 그에 대한 도덕적 의지를 가진 물자체의 주체로 태어날 수 있는 가를 다룬 것이 바로 제2비판서의 핵심이다. 한 인간의 모든 행동이 윈인과 결과의 기계적 구속망을 벗어나지 못하며 감정과 기질의 속박에 얽혀있다면, 결국 인간은 경험의 인과세계에 종속된 상태를 벗어날 수 없다. 이에 칸트는 초윌적이고 그 자체가 그 자체의 원인이며 결과인 자율 혹은 자유를 이상으로 삼아 현상의 속박 상태를 벗어나야함을 주장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의도에도 불구하고 칸트의 자유개념은 진정한 의미의 해망을 방해하는 퇴행적 문제점을 지닌다. 아도르노가 지적하듯 왜곡과 지배, 억압 등의 병폐를 안고 있는 현대성의 여러 문제에 대하여 칸트의 도덕철학과 자유개념은 충분한 비판을 가할 공간을 함유하고 있지 않다. 보편과 특수, 본질과 현상, 자유와 인과 등의 이분법의 이면엔 사상과 사회의 갈등구조를 인식하고 그 극복을 위한 번뇌의 흔적이 남아 있지만 사회의 구체적인 모순을 사상의 형식논리적인 비모순율로 정립하는 과정에서 사실과 가치의 세계를 양분하고 그 둘 사이의 의사소통을 가능하지 않도록 만드는 오류를 범한다. 그러나 아도르노의 칸트비판을 도덕철학과 자유에 대한 철저한 거부로 해석하기보단, 오히려 실천이성의 미비점을 부정변증법적으로 극복하려는 시도로 독해함으로 그의 비판이 갖는 윤리적 차원을 복원하는 것이 중요한 시점이다. 칸트 도덕 철학의 문제인 초역사적이고 초월적 이상을 향해 나아감으로 발생하는 왜곡과 억압의 필연성을 지양하며, 아울러 점차 다변화되고 탈중심화됨으로 발생하는 후기 현대성의 과도한 상대성에 경도됨이 없는 윤리관을 형성하여 각 개개인이 현사회의 모순을 부둥켜안고 나아가면서 끊임없이 변해가는 문제들의 양상에 적극적인 개입을 가능케 하는 진정한 자유와 주체성을 구축하는데 아도르노 비판의 의의가 있는 것이다. 역사적으로 매개된 도덕의 중재 가능성을 고찰함으로 칸트의 도덕적 추상화에 반해 구체적이고도 진정한 의미의 자유를 가져옴으로 계몽을 계몽하려는 아도르노의 의도를 되짚어본다.

      • KCI등재

        에드먼드 버크의 미학과 정치

        유경훈 ( Kyoung Hoon Yoo ) 21세기영어영문학회 2012 영어영문학21 Vol.25 No.1

        This paper explores the intricate interrelationships of aesthetics and politics that are represented in the works of Edmund Burke. Burke, in Reflections on the Revolution in France, expressed his strong aversion and fear against the French Revolution. What interests us about this negative criticism is his conspicuous modifications of the aesthetics of the beautiful and the sublime constructed in A Philosophical Inquiry into the Sublime and Beautiful. What made him change his perspectives? In order to find the answer to this question this paper reconstructs Burke`s aesthetics with its political implications. In doing so, this paper also excavates Burke`s hidden desire to be cultural capital as a way to share the political prerogatives with the upper classes. Burke`s discussion of taste left a trace of his inner fragmentation that would be vanished when he criticized the Revolution.

      • KCI등재

        울스턴크래프트의 미학과 자율주체

        유경훈(Yoo, Kyoung Hoo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3 아시아여성연구 Vol.52 No.2

        길버트 임레이와의 좌절된 사랑으로 인한 자살기도는 울스턴크래프트의 삶과 사상에 대한 전면적인 재해석을 촉구한다. 격정적인 그녀의 삶은 『인권옹호』와 『여권옹호』를 통해 나타난 감성의 폐해에 대한 비판과 여성의 이성과 자율의 강조와는 모순되기 때문이다. 울스턴크래프트의 삶과 사상에 나타난 분열의 문제는 그녀의 평가에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왔고, 현재에 이르기까지 많은 비평가들로 하여금 의견의 합치를 쉽게 허용하지 않는 논점을 제공하고 있다. 본고는 울스턴크래프트의 이성과 감성의 관계를 면밀히 조사하여 모순을 포용하는 얼개를 발명하려하며, 이 발명은 이성과 감성의 복잡한 관계를 본령으로 삼는 미학의 문제 틀과 연관을 갖는다. 그녀가 활동하던 18세기말은 그 어떤 시기보다도 강력한 정치사건의 발생과 함께 상상력의 폭발 그리고 미와 숭고 미학의 비약적인 발전과 확장을 가져왔다. 그녀의 저작 여러 곳에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는 미학적 사유는 당대의 정치와 미학과 소통하고 있음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그녀 특유의 삶과 사상의 모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 그녀의 편지와 저서에서 발견하는 감성과 이성의 좌표는 칸트가 반성적 판단력을 통해 감성, 오성, 이성의 분리와 상충을 연대하고 융합하려한 시도와 동일한 방향을 가리키고 있다. 울스턴크래프트가 자신의 미학 사유를 통해 추구하는 것은 단독성의 자율 주체, 그 무엇으로도 대체가능하지 않은 특이한 삶과 사상의 주체라는 점이 제기된 문제에 대한 해결로 제시될 것이다. Wollstonecraft’s attempt at suicide, which happened as a consequence of a failed love affair with Gilbert Imlay, demands a full-scale re-interpretation of her life and thought. A passionate life of Wollstonecraft seems to be inconsistent with her emphatic assertion on women’s use of reason and autonomous subjectivity. The problem of the split represented in her life and thought has brought forth negative responses from diverse layers of people so that it has become a controversial issue that resists consensual agreement of many critics. This paper tries to invent a framework that embraces a contradiction between sensibility and reason, the framework that is interrelated with aesthetics. Historic political events happened and the corresponding expansion of imagination and the aesthetics of the beautiful and the sublime upsurged in the late eighteenth century when Wollstonecraft was in full activities. Her aesthetic thought sporadically presented throughout her oeuvre was in communion with the contemporary politics and aesthetics, and indicates a direction that can solve the contradictory problem. The coordinates of sensibility and reason represented in her letters and works form a parallel with Kant who tried to unite understanding, reason, sensibility and imagination by way of reflective judgement. What Wollstonecraft pursued is a singular and autonomous subjectivity, a subject with non-replaceable and peculiar life and thought, which could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 KCI등재후보

        피로사회' 속 창의성과 행복에 관한 담론

        한기순(Ki Soon Han),유경훈(Kyoung Hoon Yoo)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3 창의력교육연구 Vol.13 No.1

        본고에서는 피로사회로 대변되는 현대의 성과주의와 자기착취에 관하여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피로사회가 던지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우리 사회와 학교가 안고 있는 창의성과 행복에 관한 이슈를 논의하였다. 또한 피로사회가 학교 문제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가를 교사들의 소진이라는 측면에 비추어 논의하였으며, 우리의 학교가 창의성을 추구한다고 하면서 동시에 얼마나 반창의적인 편향을 보이고 있는가에 대하여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맥락에서 우리 학교의 창의성과 행복의 회복을 위하여 어떠한 구체적인 노력이 필요한가를 탐색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는 한병철이 피로사회에서 제시하는 깊은 심심함, 중단하는 본능, 머뭇거리는 능력, '아니오'라고 말할 수 있는 힘, 쓸모없는 것의 쓸모의 함의를 창의성의 이해와 계발이라는 측면에서 논하였다. Today's society is called 'fatigue society' which emphasizes excessive outcome-based evaluation and self-exploitation. This paper critically discusses why fatigued society, excessive outcome, and self-exploitation can be harmful to our society including our schools. In this context, this paper discusses how we can recover creativity and happiness in the fatigued schools and society where most students and teachers are exhausted too much. While we desire and seek for creativity, it is also discussed how we do not respect creativity in reality. To search for creativity and happiness in our schools and society, author suggests and discusses issues such as in-depth boredom, a will to discontinue and hesitate, courage to say 'NO', and use of uselessness.

      • 고전압 분사시스템의 액적 하전 특성연구

        손승우(Seung Woo Son),유경훈(Kyoung hoon Yoo),김윤신(Yoon Shin Kim) 대한기계학회 2003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3 No.11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haracterize water droplet charging performance of an electrostatic<br/> spraying nozzle for an electrostatic wet scrubber. Charge-to-mass ratios, the nozzle currents divided by<br/> the mass flow rate of water were obtained with respect to the applied voltage to the ring-electrode for<br/> 2 different flow conditions. It was shown that the charge-to-mass ratio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br/> applied voltage and tended to saturate at a certain higher voltage.

      • KCI등재후보

        우리는 진정 창의성을 원하는가?

        한기순(Ki Soon Han),유경훈(Kyoung Hoon Yoo)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3 창의력교육연구 Vol.13 No.3

        2013년 한국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단연 화두는 '창조경제'이고, 현재 한국 사회는 창의성의 열풍 속에 살고 있다. 하지만 우리 학교와 사회에서 사람들은 창의성을 진정으로 열망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창의적인 사람이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거부하는 경향이 있다. Mueller는 이러한 창의성에 대한 위선적 이중적 잣대와 관련하여 '반창의성 편향' 이슈를 제기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는 작금의 우리 사회의 창의성의 열풍 속에서 우리가 진정으로 창의성을 원하고 있는가에 대한 고찰을 시도한다. 우리 사회에 창의 문화와 풍토가 진정 의미 있게 자리매김하기 위해 우리 사회속 내재되어 있는 반창의적 편향을 다각도로 탐색하고 그 해소를 위한 나름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The hottest issue of Korean society in 2013 is absolutely 'creative economy'. The whole country is in the grip of creativity fever. However, ironically, people in our school and society actually tend to reject creative people and creative ideas, even when they regard creativity as important. Regarding these hypocritical double standards on creativity in our society, Mueller raises 'anti-creativity bias' issue. In this context, this paper explores the 'anti-creativity bias' issue in our society where creativity is really the high aspiration. To create a sound creative climate and to better understand creativity itself, this study explores diverse theoretical and practical evidences on the bias against creativity in our society and present possible ideas to resolve the anti-creativity biases in our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